맨위로가기

알곤킨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곤킨어파는 약 30개의 언어로 구성된 어족으로, 북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며, 평원, 중앙, 동부의 세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 중 동부 알곤킨어군만이 실제 계통군을 이룬다. 알곤킨어파 언어들은 복잡한 형태론과 정교한 동사 체계를 가지며, 생물/무생물 명사 구별, 근접/회피 명사 대조 등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알곤킨어족은 영어에 많은 단어를 제공했으며, 미국의 여러 주와 도시, 캐나다의 수도 오타와의 지명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곤킨어족 - 크리어
    크리어는 캐나다 전역에서 사용되는 알곤킨어족 언어로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전통적인 음절 문자와 라틴 문자 표기법을 사용하고, 방언 간 발음 및 문법 차이, 복잡한 합성어적 형태론, 자유로운 어순, 그리고 배제라는 인칭 구분 체계를 특징으로 가지지만, 언어 소실 위기에 직면하여 언어 부흥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알곤킨어족 - 베오투크어
    베오투크어는 18세기와 19세기에 소멸한 뉴펀들랜드 원주민인 베오투크족의 언어로, 제한적인 어휘 목록이 남아있으며 알곤킨어족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고, 1910년 녹음된 노래를 통해 기록 및 정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포합어 - 알류트어
    알류트어는 알래스카와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족의 언어로, 동부, 아트카, 아투 섬, 코퍼 섬 방언으로 나뉘며, SOV 어순을 따르고 언어 활성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포합어 - 나바호어
    나바호어는 아타바스칸어족에 속하며 미국 남서부 나바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성조와 복잡한 동사 활용, SOV 어순을 특징으로 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암호 통신에 사용되기도 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알곤킨어파
개요
명칭알곤킨어파
다른 이름알곤키안어
사용 민족알곤킨족
사용 지역북아메리카
어족알기크어족
어파 분류알기크어족
언어 코드
ISO 639-2alg
ISO 639-5alg
Glottologalgo1256 (알곤킨-블랙푸트)
algo1257 (알곤킨)
계통
조상 언어원시 알곤킨어
하위 언어아라파호어파
블랙푸트어
샤이엔어
크리어-몬타냐이어-나스카피어
동부 알곤킨어파
메노미니어
메슈와키-소크-키카푸어
마이애미-일리노이어
오지브웨어-포타와토미어
쇼니어
분포
알곤킨어파 언어의 초기 분포
유럽과의 접촉 이전 알곤킨어파의 분포

2. 분류

알곤킨어파에는 약 30개의 언어가 속하며 지리적 분포에 따라 평원, 중앙, 동부의 세 집단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실제로 계통군을 이루는 집단은 동부알곤킨어군뿐이다.

아래는 알곤킨어파 언어의 목록이다. 고다드 (1996)와 미툰 (1999)의 분류를 따른다. 사어는 †로 표시하였다.

: 평원

:: 1. '''블랙풋어'''

:: 아라파호어군 (나와티네헤나어 (†), 베사우네나어 (†) 포함)

::: 2. '''아라파호어'''

::: 3. '''그로반트어''' (†)

:: 4. '''샤이엔어'''

: 중앙

:: 5. '''크리·몬타녜이·나스카피어'''

:: 6. '''메노미니어''' (심각한 사멸 위험)

:: 오지브웨·포타와토미어군

::: 7. '''오지브웨어'''

::: 8. '''포타와토미어''' (소멸 직전)

:: 9. '''소크·폭스·키카푸어군''' (심각한 사멸 위험)

:: 10. '''쇼니어''' (심각한 사멸 위험)

:: 11. '''마이애미·일리노이어''' (†)

: 동부

:: 12. '''미크맥어'''

:: 아베나키어

::: 13. '''서아베나키어''' (사멸 직전)

::: 14. '''동아베나키어''' (†)

:: 15. '''맬리싯·패서매쿼디어'''

:: 16. '''매사추세츠어'''

:: 17. '''내러갠싯어''' (†)

:: 18. '''모히갠·피콰트어''' (†)

:: 19. '''퀴리피어''' (†)

:: 20. '''마히칸어''' (†)

:: 델라웨어어군

::: 21. '''먼시어''' (사멸 직전)

::: 22. '''우나미어''' (†)

:: 23. '''낸티코크어''' (†)

:: 24. '''캐롤라이나 앨곤킨어''' (†)

:: 25. '''파우하탄어''' (†)

:: 26. '''에체민어''' (†) (불확실 - 동부알곤킨어군 참고)

:: 27. '''루어 A''' (†) (닙먹어(†)일 가능성 있음, 불확실 - 동부알곤킨어군 참고)

:: 28. '''루어 B''' (†) (불확실 - 동부알곤킨어군 참고)

:: 29. '''시네콕어''' (†) (불확실)

2. 1. 평원 알곤킨 제어

''동부 알곤킨어''는 진정한 유전적 하위 그룹이지만, ''평원 알곤킨어''와 ''중부 알곤킨어''는 유전적 그룹이 아닌 구역적 그룹이다. 이러한 구역적 그룹은 언어적 특징을 공유하지만, 이는 언어 접촉에 기인한다. 폴 프룰스는 평원 알곤킨어를 포함하는 ''중부 알곤킨어''가 유전적 하위 그룹이며 동부 알곤킨어는 여러 개의 다른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지만, 알곤킨어 전문가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하위 그룹 체계는 아이브스 고다드(1994)가 제안한 것이다. 이 제안의 핵심은 원시 알곤킨어가 서쪽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시작되어 동쪽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고다드는 원시 알곤킨어의 구체적인 서부 우르하임아트를 식별하려 하지 않았다.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블랙풋어가 가장 먼저 분기되었으며, 이는 알곤킨어에서 가장 분기된 언어라는 점과 일치한다. 서쪽에서 동쪽 순으로, 그 다음 분기는 아라파호-그로 벤트르, 크리-몽타네, 메노미니, 샤이엔, 핵심 대호수 언어(오지브웨-포타와토미, 쇼니, 소크-폭스-키카푸, 마이애미-일리노이), 그리고 원시 동부 알곤킨어 순이다.

이러한 역사적 재구성은 가장 분기된 언어가 가장 서쪽에서 발견되고, 가장 얕은 하위 그룹이 가장 동쪽에서 발견된다는 점에서, 가족 내에서 관찰된 분기 수준과 가장 잘 일치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서쪽에서 동쪽으로의 순서는, J.P. 데니(1991)의 원시 알곤킨어족이 아이다호와 오리건의 컬럼비아 고원 지역 또는 로키 산맥-대평원 경계인 몬태나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하위 그룹을 떨어뜨렸을 수 있다는 제안과 일치한다. 고다드는 또한 동부 알곤킨어와 크리-몽타네, 샤이엔과 아라파호-그로 벤트르 사이의 선사 시대 접촉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있다고 지적한다. 크리어와 오지브웨 사이에는 오랫동안 특히 광범위한 상호 영향이 있었다.

고다드가 "핵심 중부"라고 부르는 "동부 대호수" 언어, 예를 들어 오지브웨-포타와토미, 쇼니, 소크-폭스-키카푸, 마이애미-일리노이(크리-몽타네 또는 메노미니 제외)가 알곤킨어 내에서 자체 유전적 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들은 특정 흥미로운 어휘 및 음운 혁신을 공유한다. 그러나 이 이론은 아직 완전히 구체화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추측으로 간주된다.

알곤킨어는 때때로 뉴펀들랜드의 멸종된 베오툭어를 포함한다고 말한다. 이 언어 화자들은 알곤킨어 화자들과 지리적으로 가깝게 위치해 있었고 알곤킨어를 사용하는 미크맥과 공통된 DNA를 공유한다. 그러나 언어적 증거는 부족하고 제대로 기록되지 않았으며, 연결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증거를 찾을 가능성은 낮다.

알곤킨어족은 크게 대평원, 중부, 동부의 3개 어군으로 나뉘며, 27개 정도의 언어(각각 많은 방언 포함)로 세분되지만, 분류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 평원 알곤킨어군은 다음과 같다.

2. 2. 중앙 알곤킨 제어

''동부 알곤킨어''는 유전적 하위 그룹이다. ''평원 알곤킨어''와 ''중부 알곤킨어''는 유전적 그룹이 아니라 구역적 그룹이며, 언어적 특징을 공유하지만, 이러한 공통점은 언어 접촉에 기인한다. 폴 프룰스는 평원 알곤킨어를 포함하는 ''중부 알곤킨어''는 유전적 하위 그룹이며 동부 알곤킨어는 여러 개의 다른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지만, 이 분류는 알곤킨어 전문가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하위 그룹 체계는 아이브스 고다드(1994)가 제안한 것이다. 이 제안의 핵심은 원시 알곤킨어가 서쪽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시작되어 동쪽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고다드는 1994년 논문에서 원시 알곤킨어의 구체적인 서부 우르하임아트를 식별하려 하지 않았다.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블랙풋어가 가장 먼저 분기되었으며, 이는 알곤킨어에서 가장 분기된 언어라는 점과 일치한다. 서쪽에서 동쪽 순으로, 그 다음 분기는 아라파호-그로 벤트르, 크리-몽타네, 메노미니, 샤이엔, 그 다음 핵심 대호수 언어, 그리고 마지막으로, 원시 동부 알곤킨어 순이다.

이러한 역사적 재구성은 가장 분기된 언어가 가장 서쪽에서 발견되고, 가장 얕은 하위 그룹이 가장 동쪽에서 발견된다는 점에서, 가족 내에서 관찰된 분기 수준과 가장 잘 일치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서쪽에서 동쪽으로의 순서는, J.P. 데니(1991)의 원시 알곤킨어족이 아이다호와 오리건의 컬럼비아 고원 지역 또는 로키 산맥-대평원 경계인 몬태나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하위 그룹을 떨어뜨렸을 수 있다는 제안과 일치한다. 고다드는 또한 동부 알곤킨어와 크리-몽타네, 샤이엔과 아라파호-그로 벤트르 사이의 선사 시대 접촉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있다고 지적한다. 크리어와 오지브웨 사이에는 오랫동안 특히 광범위한 상호 영향이 있었다.

고다드가 "핵심 중부"라고 부르는 "동부 대호수" 언어가 알곤킨어 내에서 자체 유전적 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들은 특정 흥미로운 어휘 및 음운 혁신을 공유한다. 그러나 이 이론은 아직 완전히 구체화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추측으로 간주된다.

thumb

2. 3. 동부 알곤킨어군

동부 알곤킨어군은 알곤킨어족의 하위 어군으로, 유전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어군이다. 평원 알곤킨어군과 중부 알곤킨어군은 유전적 그룹이 아니라 구역적 그룹이며, 언어적 특징을 공유하지만 이는 언어 접촉에 의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알곤킨어족 하위 그룹 체계는 아이브스 고다드(1994)가 제안한 것이다. 이 제안에 따르면 원시 알곤킨어는 서쪽에서 시작되어 동쪽으로 이동했으며, 블랙풋어가 가장 먼저 분기되었다. 고다드는 동부 알곤킨어와 크리-몽타네, 샤이엔과 아라파호-그로 벤트르 사이에 선사 시대 접촉이 있었다고 지적한다.

동부 알곤킨어군에는 다음과 같은 언어들이 속한다.

  • 미크마크어 (Míkmaq) - 미크마크족
  • 아베나키어(Abenaki language) - 아베나키족, 페노브스코트족
  • * 서부 아베나키어 (Western Abenaki)
  • * 동부 아베나키어 (Eastern Abenaki)
  • 말리시트-패스마쿼디어 (Malecite-Passamaquoddy) - 말리시트족, 패스마쿼디족
  • 매사추세츠어(Massachusett language) - 매사추세츠족, 원파노아그족
  • 내러개닛어(Narragansett language)† - 내러개닛족
  • 모히건-피쿼트어(Mohegan-Pequot language)† - 모히건족, 피쿼트족
  • 퀴리피-노가턱-언콰초그어†
  • 마히칸어† (Mahican/ 모히칸어, Mohican 라고도 함) - 모히칸족
  • 델라웨어어군 (Lenape/Delaware) - 레나페족
  • * :en:Munsee language
  • * :en:Unami language†
  • 낸티코크어(Nanticoke language)† - 낸티코크족
  • 캐롤라이나 알곤킨어(Carolina Algonquian language)† (팸리코어, Pamlico 라고도 함)
  • 포우하탄어(Powhatan language)† - 포우하탄족
  • :en:Etchemin language† (Etchemin)
  • :en:Loup language† (Loup) - 니프머크족
  • * Loup A
  • * Loup B
  • 신네콕어(Shinnecock language)† - 신네콕족

thumb

3. 하위 계통

동부알곤킨어군은 실제로 계통군을 이룬다. 평원알곤킨 제어와 중앙알곤킨 제어는 계통적 분류가 아니라 언어 접촉에 의해 여러 특징을 공유하는 지리적 분류이다.

알곤킨조어 화자들이 서쪽으로부터 동쪽으로 이주하면서 분기군을 남겼다는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가장 처음으로 갈라진 언어는 블랙풋어이다. 서쪽에서 동쪽 순으로 분기군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아라파호·그로반트어군, 크리·몬타녜이어군, 미노미니어, 샤이엔어
  • 핵심 오대호 제어: 오지브웨·포타와토미어군, 쇼니어군, 소크·폭스·키카푸어군, 마이애미·일리노이어군
  • 동부알곤킨어군


이 가설은 가장 이질적인 언어들이 서쪽에 분포하고 가장 동질적인 분기군들이 동쪽에 분포하는 경향과 일치한다. 또한, 동부알곤킨어군과 크리·몬타녜이어군 및 샤이엔어와 아라파호·그로반트어군 사이에 선사시대에 상호 영향이 있었다는 증거가 있으며, 특히 크리어와 오지브웨어는 장기간 상호 영향을 주고받았다.

오지브웨·포타와토미, 쇼니, 소크·폭스·키카푸, 마이애미·일리노이로 구성된 "동부오대호어군"(핵심중앙알곤킨어군)이 유효한 분기군을 이룰 수 있다는 주장이 있으나, 아직 가설 단계에 있다.

뉴펀들랜드섬의 사어인 베오투크어가 알곤킨어파에 속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언어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신뢰하기 어렵다.

알곤킨어족은 대평원, 중부, 동부의 3개 어군으로 나뉘며, 27개 정도의 언어로 세분되지만, 분류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

4. 특징

알곤킨어족은 복잡한 다합성 형태론과 정교한 동사 체계로 유명하다. 영어로 여러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내용을 단 하나의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예: (메노미니어) ''paehtāwāēwesew'' "그는 초월적인 존재에 의해 들려진다" (''paeht''- '듣다', -''āwāē''- '영혼', -''wese''- 피동화 접사, -''w'' 3인칭 주어) 또는 (플레인 크리어) ''kāstāhikoyahk'' "그것은 우리를 두렵게 한다".

알곤킨어의 명사들은 생물/무생물 대조를 갖는다. 일부 명사는 '생물'로 분류되는 반면, 나머지 모든 명사는 '무생물'로 분류된다. 명사를 생물 또는 무생물로 분류하는 데 의미론적 중요성이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이다.

또 다른 중요한 구분은 '근접'으로 표시된 명사와 '회피'로 표시된 명사 간의 대조와 관련이 있다. 근접 명사는 담화에서 가장 중심적이거나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명사인 반면, 회피 명사는 담화에서 덜 중요한 명사이다.

세 인칭, 두 수(단수 및 복수), 포괄적 및 배타적 1인칭 복수, 그리고 근접 및 회피 3인칭을 구별하는 인칭 대명사가 있다. 동사는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알곤킨어의 매우 주목할 만한 특징은 '직접-역'(또한 '계층적'이라고도 함) 형태통사론적 정렬이다.[1] 알곤킨어족은 전형적인 복합어이며, 3인칭은 최소한 2개로 나뉜다. 에드워드 사피어와 레너드 불룸필드의 연구가 특히 유명하다. 백인에 의한 동화 정책인 "인디언 기숙 학교"에 의한 영어 교육 강요로 인해, 많은 언어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미 멸종된 언어도 있다.

매사추세츠, 코네티컷, 일리노이, 미시간, 위스콘신, 밀워키, 시카고, 오타와 등 이 지역의 지명은 알곤킨어족에서 유래된 것이 많다.

5. 차용어

알곤킨어는 유럽인들이 북아메리카에서 처음 접촉한 언어 중 하나였기 때문에, 영어에 많은 단어를 제공했다.[2] 많은 동부 및 중서부 미국 주들이 알곤킨어 기원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매사추세츠 주, 코네티컷 주, 일리노이 주, 미시간 주, 위스콘신 주 등), 많은 도시들도 그렇다: 밀워키, 시카고 등이 있다.[2] 캐나다의 수도인 오타와는 알곤킨 민족인 오다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주머니쥐, 캐리부, 모카신, 페미칸, 파우와우, 라쿤(아메리카너구리), 스컹크, 호박, 우드척, 토마호크, 위그웜 등이 알곤킨어에서 영어로 차용된 단어의 예시이다.

참조

[1] 논문 Inverse languages http://wwwhomes.uni-[...] 2022-01-14
[2] 웹사이트 Ottawa {{!}} The Canadian Encyclopedia https://www.thecanad[...] 2022-06-22
[3] 서적 世界の言語と国のハンドブック 大学書林
[4] 서적 講座言語 第6巻 世界の言語 大修館書店
[5] 문서 캘리포니아주 북서부의 2개의 언어, 위요트어†(Wiyot)와 유록어(Yurok)를 아울러 알기크어족을 이룬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