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레타 산자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는 1930년대 프랑스 위임 통치 하에 있던 지역으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으며 1936년 인구 조사에서 튀르크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1938년, 터키는 이 지역에 개입하여 유권자 등록과 선거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을 받았다. 같은 해 9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는 하타이국으로 선포되었고, 이후 터키의 영향력 아래 1939년 터키의 하타이 주로 합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임통치령 - 남카메룬
    남카메룬은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영국이 통치한 카메룬 지역의 일부로, 1961년 카메룬 공화국에 편입되었으나, 영어 사용 인구는 차별 대우를 주장하며 독립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 위임통치령 - 클라이페다 지역
    클라이페다 지역은 발트해 연안에 위치하며, 독일 기사단 국가의 지배를 거쳐 리투아니아에 병합되었다가 독일로 편입되었고, 현재는 리투아니아의 일부이다.
  • 1938년 폐지 - 진위군
    진위군은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경기도에 존재했던 군으로, 1895년 공주부 진위군이 되었다가 경기도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수원군, 평택군 일부를 병합하여 확장된 후 1938년 평택군으로 개칭되었다.
  • 1938년 폐지 - 부전동 (부산)
    부전동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부산의 지리적 중심지인 서면 일대에 위치하며 상업 시설과 주거 시설이 혼재되어 있다.
  • 1918년 설립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17세기 후반 남슬라브인 왕국 건설을 목표로 시작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 공산주의 정권 수립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거쳐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붕괴되었다.
  • 1918년 설립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특별시의 공립 종합대학교인 서울시립대학교는 경성공립농업학교로 시작하여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으로서 도시 관련 학문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서울특별시의 지원으로 낮은 등록금과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유지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반값 등록금을 시행하였다.
알렉산드레타 산자크
지도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알렉산드레타 산자크
이름 (아랍어)لواء الإسكندرونة (Liwa' Al-Iskandarūna)
이름 (튀르키예어)İskenderun Sancağı
이름 (프랑스어)Sandjak d'Alexandrette
역사
존속 기간1920년 – 1939년
국가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프랑스 위임통치령 하의 특별 체제프랑스어: régime spécial
정치
정치 체제산자크 (지방 자치 단위)
지리
위치하타이 주
인구 통계
인구 (추정)219,000 명 (1936년)
민족 구성 (1936년)튀르크인: 39%
아랍인 (알레비파 포함): 28%
아르메니아인: 11%
기타: 22% (주로 기독교인)
기타
현재 소속 국가튀르키예

2. 인구

1936년 프랑스 고등판무관이 주관한 인구조사에 따르면, 알렉산드레타 산자크의 총인구는 22만 명이었다. 민족 구성은 튀르크인이 3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아랍어를 사용하는 알라위파가 28%, 아르메니아인이 11%, 수니파 아랍인이 10%, 기타 기독교인이 8%를 차지했다. 그 외 체르케스인, 유대인, 쿠르드인 등이 4%를 구성했다. 단일 집단으로는 튀르크인이 가장 많았지만, 알라위파, 수니파, 기독교인을 포함한 아랍어 사용 인구는 튀르크인보다 더 많았다.[12]

1936년 프랑스의 인구조사에 따른 하타이국 인구분포[12]
민족/종교 집단인구비율 (%)
아랍인101,200명46%
알라위파61,600명28%
수니파 아랍인22,000명10%
멜키트파, 그리스인, 기타 기독교17,600명8%
튀르크인85,800명39%
아르메니아인24,200명11%
체르케스인, 유대인, 쿠르드인8,800명4%
총합220,000명100%



이 지역은 튀르크인과 아랍인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했으며, 다양한 소수 민족도 함께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구 구성에도 불구하고, 튀르크인은 주의회 의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인구 비율에 비해 과도하게 대표되었다.[5] 또한, 소수 민족 출신 의원들은 의회에서 선서할 때 튀르크어로 해야 했다.[6]

3. 1938년 유권자 등록 및 선거

1938년 7월 5일, 이스켄데룬으로 진군하는 대령 쉬크리 카나틀의 터키군 병력


1938년, 알렉산드레타 산자크 의회 구성을 위한 유권자 등록과 의석 배분이 국제적 감독 아래 프랑스 당국이 실시한 인구 조사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총 40석의 의석은 튀르크인 22석, 알라위파 9석, 아르메니아인 5석, 수니파 아랍인 2석, 안티오키아 그리스인 2석으로 배분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은 1938년 7월 5일 터키군의 군사적 개입[8]과 함께 진행되었으며, 특히 파야스와 하사 지역에서는 아랍인 및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폭력 사태가 보고되기도 했다.[13] 또한 터키 정부가 자국 내 튀르크인 수만 명을 산자크로 이주시켜 유권자로 등록시키고[14], 특정 소수 민족을 튀르크인으로 간주하는 선전을 지속했다는[11] 주장도 제기되어, 유권자 등록 및 의석 배분의 공정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1938년 7월 22일 기준으로 총 57,008명의 유권자가 등록되었다.[15]

유권자 등록에도 불구하고 실제 선거는 실시되지 않았으며, 산자크 의회는 터키와 프랑스 양국의 합의를 통해 구성되었다. 1938년 8월 25일, 아타튀르크의 임명을 받은 타이푸르 쇽멘이 되르트욜에서 안타키아로 도착하여 행정권을 장악했다.[16][9]

3. 1. 의회 구성



산자크 의회의 의석 배분은 국제적 감독 아래 1938년 프랑스가 조사한 인구 조사의 민족 구성을 따랐다. 총 40석의 의석 중 튀르크인에게 22석, 알라위파에게 9석, 아르메니아인에게 5석, 수니파 아랍인에게 2석, 안티오키아 그리스인에게 2석이 배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의회 구성 과정에는 여러 논란이 존재했다. 의석 배분이 결정된 이후인 1938년 7월 5일, 터키군이 산자크로 진주했으며, 파야스와 하사에서는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던 아랍인 및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학살이 벌어졌다.[13] 또한, 터키는 수만 명의 튀르크인을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로 이주시킨 뒤 유권자로 등록시켜 투표를 진행하게 했다.[14] 터키 정부가 지속적으로 알레비파체르케스인을 튀르크인으로 간주하며 선전해왔다는 점 역시 결과의 공정성에 의문을 더했다.[11]

1938년 7월 22일 기준으로 공식 집계된 산자크 내 유권자 수는 총 57,008명이었으며, 민족별 유권자 수는 다음과 같다.[15]

민족유권자 수
튀르크인35,847명
알라위파11,319명
아르메니아인5,504명
그리스 정교회인2,098명
아랍인 (수니파 무슬림)1,845명
기타359명



산자크 의회 40석의 카자별 의석 배분은 아래와 같았다.

카자튀르크인알라위파아르메니아인수니파 아랍인그리스 정교회인합계
안타키아14석7석2석2석1석26석
이스켄데룬3석2석1석-1석7석
키리한5석-2석--7석
총합22석9석5석2석2석40석



유권자 등록 절차는 이루어졌으나 실제 선거는 실시되지 않았고, 구성된 산자크 의회는 터키와 프랑스 양국의 승인을 받는 형태로 운영되었다. 1938년 8월 25일, 아타튀르크의 임명을 받은 타이푸르 쇨크만이 되르트롤에서 안타키아로 도착하여 행정권을 장악했다.[16]

3. 2. 터키의 개입 의혹



산자크 의회 의석은 1938년 국제적 감독 아래 프랑스가 실시한 인구조사의 민족 구성을 반영하여 배분되었다. 총 40석 중 튀르크인에게 22석, 알라위파에게 9석, 아르메니아인에게 5석, 수니파 아랍인에게 2석, 안티오키아 그리스인에게 2석이 할당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의석 배분 과정의 공정성에 대해서는 터키의 개입 의혹이 강하게 제기된다. 의석 재편성이 이루어지기 전인 1938년 7월 5일, 터키군이 이스켄데룬으로 진군했으며, 파야스와 하사에서는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던 아랍인 및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학살이 벌어졌다는 주장이 있다.[13] 또한 터키 정부가 수만 명의 튀르크인을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로 이주시킨 뒤 유권자로 등록시켜 투표에 영향을 미치려 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4] 터키가 지속적으로 알레비파체르케스인을 튀르크인으로 선전해왔다는 점[11] 역시 결과의 신뢰성에 의문을 더하는 요인이다.

1938년 7월 22일 기준으로 공식 집계된 산자크 내 유권자 수는 총 57,008명이었으며, 민족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1938년 7월 22일 기준 민족별 유권자 수[15]
민족유권자 수
튀르크인35,847명
알라위파11,319명
아르메니아인5,504명
그리스 정교회인2,098명
아랍인 (수니파 무슬림)1,845명
기타359명
총합57,008명



산자크 의회 40석의 카자별 의석 배분은 다음과 같았다.

산자크 의회 카자별 의석 배분 (총 40석)
카자튀르크인알라위파아르메니아인수니파 아랍인그리스 정교회인합계
안타키아14석7석2석2석1석26석
이스켄데룬3석2석1석0석1석7석
키리한5석0석2석0석0석7석
총합22석9석5석2석2석40석



유권자 등록은 이루어졌지만 실제 선거는 실시되지 않았으며, 산자크 의회는 터키와 프랑스 양국의 합의를 통해 구성되었다. 1938년 8월 25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임명을 받은 타이푸르 쇨크만이 되르트롤에서 안타키아로 이동하여 행정권을 장악했다.[16]

3. 3. 유권자 등록 현황



산자크 의회의 의석 배분은 국제적 감독 하에 1938년 프랑스 당국이 실시한 인구 조사의 민족 구성을 기반으로 결정되었다. 총 40석의 의석 중 22석은 튀르크인에게, 9석은 알라위파에게, 5석은 아르메니아인에게, 2석은 수니파 아랍인에게, 2석은 안티오키아 그리스인에게 할당되었다.

그러나 이 의석 배분 과정과 결과에는 여러 문제점이 지적된다. 1938년 7월 5일, 터키군이 산자크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파야스와 하사 지역에서 다수를 차지하던 아랍인과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학살이 벌어졌는데, 의석 배분은 이러한 사건 이전에 이루어진 인구 조사를 바탕으로 했다.[13] 또한, 터키는 의석 확보를 위해 수만 명의 튀르크인을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로 이주시킨 뒤 유권자로 등록시켜 투표에 참여하게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4] 터키 정부는 지속적으로 알레비파체르케스인 역시 튀르크인이라고 선전했으며[11], 이러한 일련의 과정 때문에 최종적인 의석 배분 결과의 공정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특히 1936년 프랑스 인구 조사 당시 튀르크인 비율은 39%였으나[4], 1938년 의석 배분에서는 55%를 차지하여 과도하게 대표되었다는 지적이 있다.[5] 심지어 소수 민족 출신 의회 대의원들은 튀르크어로 선서를 해야 했다.[6]

1938년 7월 22일 기준으로 공식 등록된 산자크 내 유권자 수는 총 57,008명이었으며, 민족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15]

1938년 7월 22일 기준 민족별 유권자 수[15]
민족유권자 수
튀르크인35,847명
알라위파11,319명
아르메니아인5,504명
그리스 정교회인2,098명
아랍인 (수니파 무슬림)1,845명
기타359명
총계57,008명



산자크 의회의 40석은 각 카자별로 다음과 같이 배분되었다.

산자크 의회 카자별 의석 배분 (총 40석)
카자튀르크인알라위파아르메니아인수니파 아랍인그리스 정교회인합계
안타키아14석7석2석2석1석26석
이스켄데룬3석2석1석-1석7석
크르크한5석-2석--7석
총합22석9석5석2석2석40석



유권자 등록 절차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선거는 실시되지 않았다. 대신, "승인된" 산자크 의회는 터키와 프랑스 양국의 합의에 의해 구성되었다. 1938년 8월 25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에 의해 임명된 타이푸르 쇨크만이 되르트롤에서 안타키아로 도착하여 행정을 장악했다.[16][9]

3. 4. 선거 결과의 불확실성



산자크 의회 의석 배분은 국제적 감독 하에 1938년 프랑스가 조사한 인구조사의 민족 구성을 따랐다. 총 40석의 의석 중 22석은 튀르크인에게, 9석은 알라위파에게, 5석은 아르메니아인에게, 2석은 수니파 아랍인에게, 2석은 안티오키아 그리스인에게 배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의석 재편성은 1938년 7월 5일 튀르키예군의 군사 개입[8] 이전에 이루어진 것이었다.[13] 튀르키예는 군사 개입 외에도 수만 명의 튀르크인을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로 이주시켜 유권자로 등록시켰다.[14] 또한, 튀르키예 정부가 지속적으로 알레비파체르케스인을 튀르크인으로 간주하며 선전해왔다는 점[11] 등을 고려할 때, 발표된 민족 구성과 그에 따른 의석 배분의 정확성 및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1938년 7월 22일 기준으로 공식 등록된 산자크 내 유권자 수는 총 57,008명이었으며, 민족별 유권자 수는 다음과 같았다.[15]

민족유권자 수
튀르크인35,847명
알라위파11,319명
아르메니아인5,504명
그리스 정교회인2,098명
아랍인 (수니파 무슬림)1,845명
기타359명



산자크 의회 40석은 각 카자별로 다음과 같이 배분되었다.

카자튀르크인알라위파아르메니아인수니파 아랍인그리스 정교회인합계
안타키아14석7석2석2석1석26석
이스켄데룬3석2석1석0석1석7석
크르크한5석0석2석0석0석7석
총합22석9석5석2석2석40석



결과적으로 유권자 등록 절차는 진행되었으나 실제 선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신, "승인된" 산자크 의회는 튀르키예와 프랑스 양국 정부의 합의에 따라 구성되었다. 1938년 8월 25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임명을 받은 타이푸르 쇽멘이 되르트욜에서 안타키아로 도착하여 행정을 장악했다.[16][9]

4. 하타이국

1938년 9월 2일, 산자크 의회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를 하타이 공화국으로 선포하였다. 이 국가는 이후 1년간 터키와 프랑스의 공동 군사 감독 하에 있었으며, '하타이'라는 이름은 아타튀르크가 제안한 것이었다. 하타이 공화국은 실질적으로 터키의 강한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결국 1939년 터키에 합병되어 하타이주가 되었다.

4. 1. 터키의 영향력

1939년, 다마스쿠스에서 알렉산드레타 산자크의 터키 합병에 반대하는 여성 시위대. 한 표지판에는 "우리의 피는 시리아 아랍 산자크를 위해 희생된다"라고 적혀 있다.


1938년 9월 2일, 산자크 의회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를 하타이 공화국으로 선포했다.[1][2] 이 공화국은 선포 이후 1년 동안 터키와 프랑스의 공동 군사 감독하에 있었다. '하타이'라는 이름은 터키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직접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 하타이 공화국 정부는 사실상 터키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 운영되었다.

하타이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된 타이푸르 쇨크만은 이미 1935년에 터키 대국민의회에서 안탈리아주 대표 의원으로 선출된 인물이었고,[1][2] 공화국이 소멸하기 직전인 1939년까지 총리직을 유지했던 아부드라흐만 멜레크 역시 터키 대국민의회에서 가지안테프주 대표로 선출된 의원이었다.[1][2] 이러한 정부 구성은 하타이 공화국에 대한 터키의 실질적인 지배력을 보여준다.

결국 1939년 6월 29일, 형식적인 국민 투표[2] 이후 하타이 입법부는 공화국을 해체하고 터키에 합병하기로 결의했다.[2] 이 결정에 따라 하타이 공화국은 1939년 터키의 하타이주가 되었다.[1][2] 이러한 합병 과정은 시리아 등 주변 아랍 국가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4. 2. 터키로의 합병



1938년 9월 2일, 산자크 의회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를 하타이 공화국으로 선포하였다. 이 국가는 이후 1년간 터키와 프랑스의 공동 군사 감독 하에 놓였다. "하타이"라는 이름은 아타튀르크가 제안한 것이었으며, 하타이 정부는 사실상 터키의 통제 하에 있었다. 하타이국의 대통령 타이푸르 쇨크만은 1935년에 선출된 터키 의원(안탈리아주 대표)이었고, 총리 아부드라흐만 멜레크 박사 또한 1939년까지 총리직을 유지하면서 터키 의회에 선출된 인물(가지안테프주 대표)이었다.

1939년 6월 29일, 정당성에 논란이 있는 국민 투표 이후[1] 하타이 입법부는 하타이 공화국을 해체하고 터키에 합병하기로 결의했다. 결국 하타이 공화국은 1939년 터키의 하타이주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Fezzes in the River: Identity Politics and European Diplomacy in the Middle East on the Eve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 간행물 Retour au Sandjak Documentation française 1982-01
[3] 서적 Krieg und Revolution in Syrisch-Kurdistan: Analysen und Stimmen aus Rojava https://books.google[...] Mandelbaum Verlag 2017-03-22
[4] 서적 State Frontiers: Borders and Boundarie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3-07-30
[5] 간행물 Un conflit de nationalités au Proche-Orient : le sandjak d'Alexandrette 1934-1939 http://bazantay.p.ch[...]
[6] 서적 Hatay Devleti Millet Meclisi Zabıtları ATAM
[7] 뉴스 Hatay Askeri Anlaşmasının esasları https://www.gastears[...] Ulus 1938-07-03
[8] 뉴스 Türk askerleri Hatay'da https://www.gastears[...] Ulus 1938-07-05
[9] 웹사이트 HATAY TARİHİ http://www.hatay.gov[...]
[10] 서적 Fezzes in the River: Identity Politics and European Diplomacy in the Middle East on the Eve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2011
[11] 간행물 Retour au Sandjak Documentation française 1982-01
[12] 서적 State Frontiers: Borders and Boundarie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6-11-20
[13] 서적 Identity, Conflict and Cooperation in International River System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14] 서적 The Great War for Civilisation: The Conquest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Vintage
[15] 간행물 Un conflit de nationalités au Proche-Orient : le sandjak d’Alexandrette 1934-1939 http://bazantay.p.ch[...]
[16] 웹사이트 HATAY TARİHİ http://www.hatay.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