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원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원왕은 고구려의 제24대 왕으로, 안원왕의 아들이며 문자명왕의 손자이다. 그는 533년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안원왕 사후 왕위 계승 과정에서 내분이 있었다. 547년 백암성을 수리하고 신성을 쌓는 등 전쟁에 대비했으며, 백제, 신라, 돌궐 등 주변국과의 잦은 군사적 충돌을 겪었다. 그는 북조의 동위, 북제와 교류하며 책봉을 받았으나, 559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원왕 - 평양성 (고구려)
    평양성은 고구려가 수도를 옮긴 후 수도 역할을 한 성곽으로, 외성, 중성, 내성, 북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려 시대 서경, 조선 시대 평안도 핵심 성으로 기능했고 현재는 북한에서 문화재로 관리된다.
  • 559년 사망 - 진패선
    진패선은 남조 양나라의 장군으로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진나라를 건국한 초대 황제이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국가 기틀을 다지고 북제의 침공을 막아내는 등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 559년 사망 - 북제 문선제
    북제 문선제 고양은 동위의 실권자 고환의 아들로, 형 고징 사후 황위를 찬탈하여 북제를 건국했으나, 초기에는 유능한 정치를 펼쳤지만 후반기에는 폭정을 일삼아 북제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양원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왕명양원왕
한자陽原王, 陽崗(上好)王
한글양원왕, 양강(상호)왕
로마자 표기Yangwon-wang, Yanggang(sangho)-wang
평성(平成), 성(成)
별칭양강상호왕(陽崗上好王), 양강왕(陽崗王)
출생538년경
사망559년 3월 (음력, 21세경)
능묘진파리 1호분 (추정)
시호양원(陽原)
왕위
왕위 계승제24대 고구려 국왕
재위 기간545년 3월 ~ 559년 3월 (음력)
전임 왕안원왕
후임 왕평원왕
태자 책봉533년 1월
태자 재위 기간533년 1월 ~ 545년 3월 (음력)
전임 태자태자 흥안 (안장왕)
후임 태자태자 양성 (평원왕)
가족 관계
부왕안원왕
모후중부인
형제자매2남 중 장남
배우자미상
자녀평원왕
기타
종교불교

2. 생애

양원왕은 안원왕의 뒤를 이어 고구려 제23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일본서기백제본기에 따르면, 안원왕의 세 부인 중 중부인(제2왕비)의 아들인 평성(양원왕)이 왕위에 올랐으나, 소부인(제3왕비)의 아들을 지지하는 세력과의 갈등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양원왕을 지지하는 추군(麁群)이 승리하여 반대파를 제거하였다.[2][3]

대외적으로는 북조의 동위, 북제와 교류를 지속하고 남조와의 교류는 중단하였다. 550년에는 북제로부터 책봉을 받았다. 내치에서는 국방력 강화에 힘써 547년 백암성(白巖城)을 고쳐 쌓고 신성(新城)을 수리하였으며, 552년에는 장안성을 쌓았다.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약화되기도 하였다. 548년 백제 독산성을 공격하였으나 신라 지원군에 의해 실패하였고, 550년에는 백제에게 도살성(道薩城)을 빼앗겼으며, 백제 금현성(金峴城)을 공격하는 틈을 타 신라에게 두 성을 함락당했다. 551년 돌궐의 침입을 받았으나 고흘이 격퇴하였지만, 같은 해 신라에게 10개의 성을 빼앗겼다. 554년 백제 웅천성(熊川城)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했다.

557년, 왕자 양성(陽成)을 태자로 삼았고, 같은 해 환도성의 장수 간주리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양원왕은 559년 3월에 사망하였다.

2. 1. 즉위 과정

일본서기(日本書紀) 긴메이 천황(欽明天皇) 6년(545년), 7년(546년) 조와 백제본기(百済本記)에 인용된 기사에 따르면, 양원왕 즉위에는 고구려 내부에 내분이 있었다. 안원왕에게는 정부인(正夫人)이 있었는데 아들이 없었고, 중부인(中夫人, 제2왕비) 소생의 8살 아들 평성을 왕(양원왕)으로 옹립하였다. 그러나 소부인(小夫人, 제3왕비)에게도 아들이 있었고, 안원왕이 병에 걸리면서 중부인의 친가인 추군(麁群)과 소부인의 친가인 세군(細群)이 왕위를 다투었고, 이 과정에서 추군이 이기고 세군 2,000명을 몰살하였다고 한다.[2][3] 다만, 삼국사기의 태자 옹립 기사(533년)와 백제본기 8세 즉위(545년)와는 상충(相衝)된다.

533년, 안원왕 재위 3년에 그는 태자로 책봉되었다. 비록 태자였지만, 아버지의 죽음 이후 곧바로 왕위를 계승할 수는 없었다. 안원왕에게는 세 명의 부인이 있었고, 첫 번째 부인이 아들을 낳지 못했기에 다른 부인들이 자신의 아들을 왕위에 앉히려고 노력했다. 양원왕의 지지자들이 군사적 투쟁에서 승리하여 그는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다.[2][3]

2. 2. 대외 관계

547년 백암성(白巖城)을 고쳐 쌓고 신성(新城)을 수리하여 전쟁에 대비하였다. 548년 군사 6,000명으로 백제의 독산성(獨山城)을 공격하였으나, 신라의 장군 주진이 구원군을 이끌고 와서 실패하였다.[4] 550년 백제가 쳐들어와 도살성(道薩城)이 함락되었다. 이에 백제 금현성(金峴城)을 공격하였으나, 이 틈을 노린 신라군에게 고구려의 두 성이 함락되었다.

551년 돌궐군이 쳐들어와 신성을 포위하였으나 승리하지 못하자 백암성으로 옮겨 공격하였다. 이에 양원왕은 장군 고흘에게 군사 10,000명을 주어 싸우게 하여 1,000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같은 해, 다시 신라가 쳐들어와 10개 성이 함락되었다.[2] 552년 장안성(長安城)을 쌓았다. 554년 백제 웅천성(熊川城)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5]

북조의 동위(東魏), 북제(北齊)에만 조공을 계속하고, 남조와의 교류는 결국 중단하였다. 북제에서는 550년 사지절 시중 표기대장군 영호동이교위 요동군개국공 고구려왕(使持節 侍中 驃騎大将軍 領護東夷校尉 遼東郡開國公 高句麗王)으로 책봉되었다.

2. 3. 백제, 신라와의 전쟁

547년 백암성(白巖城)을 새로 쌓고 신성(新城)을 보수하여 전쟁에 대비하였다.[2] 548년 군사 6,000명으로 백제의 독산성(獨山城)을 공격하였으나,[4] 신라의 장군 주진이 구원군을 이끌고 와서 실패하였다. 550년 백제가 쳐들어와 도살성(道薩城)이 함락되었다. 이에 백제 금현성(金峴城)을 공격하였으나, 이 틈을 노린 신라군에게 고구려의 두 성이 함락되었다.

551년 돌궐군이 쳐들어와 신성(新城)을 포위하였으나 승리하지 못하자 백암성(白巖城)으로 옮겨 공격하였다.[1] 이에 양원왕은 장군 고흘에게 군사 10,000명을 주어 싸우게 하여 1,000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같은 해, 신라가 다시 침략하여 현재 서울 지역의 10개 성이 함락되었다.[2] 552년 장안성(長安城)을 쌓았다. 554년 백제의 웅천성(熊川城)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5]

2. 4. 돌궐과의 전쟁

551년, 돌궐군이 쳐들어와 신성을 포위하였으나 승리하지 못하자 백암성으로 옮겨 공격하였다. 이에 양원왕은 장군 고흘에게 군사 10,000명을 주어 싸우게 하여 1,000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2]

2. 5. 내정

안원왕의 뒤를 이은 양원왕은 고구려 내부의 왕위 계승 분쟁에서 승리하여 즉위하였다. 일본서기백제본기에 따르면, 안원왕의 세 부인 중 중부인의 아들인 평성(양원왕)이 왕위에 올랐으나, 소부인의 아들을 지지하는 세력과의 갈등이 있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양원왕을 지지하는 추군이 승리하여 반대파 2,000명을 몰살하였다고 전해진다.[2][3]

양원왕은 대외적으로 북조의 동위, 북제와 교류를 지속하고 남조와의 교류는 중단하였다. 550년에는 북제로부터 책봉을 받았다.

내치에 있어서는 국방력 강화에 힘썼다. 547년 백암성을 고쳐 쌓고 신성을 수리하여 전쟁에 대비하였으며, 552년에는 장안성을 쌓았다.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약화되기도 하였다. 548년 백제의 독산성을 공격하였으나 신라의 지원군에 의해 실패하였고,[4] 550년에는 백제에게 도살성을 빼앗기고, 백제의 금현성을 공격하는 틈을 타 신라에게 두 성을 함락당했다. 551년에는 돌궐의 침입을 받았으나 장군 고흘이 이끄는 군사로 격퇴하였지만, 같은 해 신라에게 10개의 성을 빼앗겼다.[1][2] 554년에는 백제의 웅천성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했다.[5]

557년, 왕자 양성(陽成)을 태자로 삼았고, 같은 해 10월에는 환도성의 장수 간주리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양원왕은 재위 15년 만인 559년 3월에 사망하였다.

2. 6. 사망

일본서기(日本書紀)와 백제본기(百済本記)의 기록에 따르면, 안원왕의 뒤를 이어 양원왕이 즉위할 때 고구려 내부에서 왕위 계승을 둘러싼 다툼이 있었다. 안원왕의 정실 부인은 아들이 없었고, 둘째 부인의 아들인 8살의 평성(양원왕)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셋째 부인에게도 아들이 있었고, 안원왕이 병에 걸리자 둘째 부인의 친가인 추군(麁群)과 셋째 부인의 친가인 세군(細群)이 왕위를 놓고 다투었다. 이 과정에서 추군이 승리하여 세군 2,000명을 몰살하였다고 한다. 다만, 삼국사기의 533년 태자 옹립 기사와 백제본기의 545년 8세 즉위 기록은 서로 상충된다.

557년, 양원왕은 아들 양성(陽成)을 태자로 삼았다. 같은 해 10월, 환도성의 사령관 간주리(干朱理)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간주리는 처형되었다. 양원왕은 15년간 재위한 후 559년 3월에 사망했다.[2][3] 시호는 양원왕이며, 매장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3. 가족 관계

구 분내용
父|아버지중국어안원왕 (?~545) - 제23대 국왕
母|어머니중국어미상 [9]
王妃|왕비중국어미상
子|아들중국어평원왕 (?~590) - 제25대 국왕
구 분내용
父|아버지중국어안원왕
祖父|할아버지중국어문자명왕
母|어머니중국어中夫人|중부인중국어
알려지지 않은 부인
子|아들중국어양성


4. 연표

서력545년546년547년548년549년550년551년552년553년554년555년556년557년558년559년
간지을축병인정묘무진기사경오신미임신계유갑술을해병자정축무인기묘
주요 사건왕위 계승[2][3]배감성 재건, 신성 수리백제 독산성 공격, 신라 구원군에 퇴각[4]백제 도살성 함락, 신라에 두 성 상실돌궐 침입, 고흘이 격퇴[1], 신라에 10개 군현 상실[2]장안성 축조 시작북제조공, 중국인 5천 가구 송환백제 웅천성 공격 실패[5]고양성을 태자로 책봉, 환도성 성주 간주리 반란 진압사망


참조

[1] 웹사이트 양원왕 https://www.doopedia[...] Doopedia 2016-09-27
[2] 웹사이트 King Yangwon http://world.kbs.co.[...] KBS World 2016-09-27
[3] 웹사이트 King Anwon http://world.kbs.co.[...] KBS World 2016-09-19
[4] 문서 독산성 비정지 논의
[5] 문서 웅천성 비정지 논의
[6] 문서 양원왕 즉위 시기 논의
[7] 문서 양원왕 모후 정보
[8] 문서 양원왕 출생년도 추측
[9] 문서 양원왕 모후 정보 (중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