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전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 전이는 학습자의 모국어가 제2언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두 언어의 유사성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 전이는 모국어의 특징이 제2언어의 규범과 일치하여 학습을 촉진하며, 부정적 전이는 모국어와 제2언어의 차이로 인해 오류를 발생시킨다. 언어 전이는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며, 문해력 발달, 이해, 음운, 화용론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언어 전이는 원어민과 비원어민 간의 접촉을 통해 원어민의 언어 사용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언어 전이 | |
---|---|
언어 간 간섭 | |
정의 | 하나의 언어가 다른 언어의 습득이나 명료성에 미치는 영향 |
다른 이름 | 교차 언어 영향 (Crosslinguistic influence) 언어 전이 (言語転移, 언어 轉移) |
유형 | |
긍정적 전이 | 모국어의 지식이 목표 언어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경우 |
부정적 전이 | 모국어의 지식이 목표 언어 학습을 방해하는 경우 |
관련 개념 | |
언어 간 영향 | 교차언어 영향 (Crosslinguistic influence) |
부정적 전이 (심리학) | 부정적 전이 (심리학) |
참고 문헌 |
2. 언어 전이의 유형
언어 전이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긍정적 전이(positive transfer)''': 학습자의 모국어 특징이 제2언어의 규범과 일치하여 올바른 언어 생성을 돕는 경우이다.[31] 언어 간 거리가 가까운 언어일수록 긍정적 전이가 나타나기 쉽다.
-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 학습자의 모국어 특징이 제2언어와 달라 오류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다.[31] 언어 간 거리가 멀수록 부정적 전이가 나타나기 쉽다.
두 언어의 관련 단위나 구조가 동일하면 언어 간섭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 언어 생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조 분석 이론에서는 두 언어 간의 차이가 클수록 부정적 전이를 예상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영어 화자가 스페인어를 배울 때 요일 앞에 전치사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영어와 스페인어의 문법 구조 차이 때문이다.[35]
긍정적 전이는 부정적 전이에 비해 덜 주목받는 경향이 있지만, 두 언어가 비슷할수록, 그리고 학습자가 두 언어의 관계를 인식할수록 긍정적 전이는 더 많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영어 화자가 독일어를 학습할 때 어휘는 쉽게 추측할 수 있지만, 어순이나 의미 등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2. 1. 긍정적 전이
두 언어의 관련 단위 또는 구조가 동일할 때 언어 간섭은 올바른 언어 생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를 ''긍정적 전이''라고 한다. 여기서 "올바른" 의미는 대부분의 원어민들이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 일치한다.[3] 동족어의 사용이 그 예이다.긍정적 전이의 결과는 크게 눈에 띄지 않으므로 덜 논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는 관찰 가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언어가 더 유사하고 학습자가 두 언어 간의 관계를 더 잘 인식할수록 더 많은 긍정적 전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영어를 사용하는 학습자가 독일어를 배울 때, 영어 단어와 독일어 단어가 유사하다는 것을 추측하여 독일어 어휘를 올바르게 추측할 수 있다.
학습자의 모국어 특징이면서 제2언어의 규범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이 나타나는 것을 '''긍정적 전이'''(positive transfer)[31]라고 한다. 언어 간 거리가 가까운 언어일수록 긍정적 전이가 나타나기 쉽다.
일본어 모국어 화자가 영어를 학습할 때의 예로,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32][33]
긍정적 전이의 예 |
---|
2. 2. 부정적 전이
부정적 전이는 학습자의 모국어 특징이 제2언어와 달라 오류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대조 분석 이론에서는 두 언어 간의 차이가 클수록 부정적 전이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4] 언어 간 거리가 멀수록 부정적 전이가 나타나기 쉽다.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요일 앞에 전치사를 사용하지만("I'm going to the beach ''on'' Friday."), 스페인어에서는 전치사 대신 정관사를 사용한다("Voy a la playa el viernes."). 따라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초보 스페인어 학습자는 영어에 의존하여 불필요하게 전치사를 사용하는 전이 오류를 범할 수 있다.[5]
또 다른 예로, 독일어 명사 "Information"은 복수형("Informationen")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습자는 거의 예외 없이 영어에서도 "informations"를 사용하는데, 이는 불가산 명사의 규칙을 위반하는 것이다.[6]
일본어 모국어 화자가 영어를 학습할 때 나타나는 부정적 전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32][33]
- '''부정관사 a와 정관사 the의 구분''': 일본어에는 관사의 구별이라는 문법 규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a와 the의 올바른 사용법을 습득하는 것은 어렵다.
- '''/l/과 /r/의 구별''': 일본어에서는 "l"과 "r"의 소리를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l"과 "r"을 발음하거나 듣고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3. 의식적 및 무의식적 전이
언어 전이는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일 수 있다.[11] 의식적인 전이는 학습자가 제2 언어로 말하거나 글을 쓸 때 특정 부분을 제대로 배우지 못했거나 잊어버렸을 경우, 모국어를 바탕으로 추측하는 상황을 말한다. 로저 앤더슨의 "전이" 원칙에 따르면, "언어 구조는 자연스러운 습득 원칙과 호환되거나 수용 언어에서 유사한 대응(전이할 어딘가)이 있다고 인식될 경우에만 전이될 수 있다."[14] 이는 학습자가 모국어(L1)를 제2 언어(L2)에 대응시키기 위해 일종의 인식을 활용하여 목표 언어 입력을 이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5]
무의식적인 전이는 학습자가 제2 언어의 구조와 규칙이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이를 실행에 옮길 기술이 충분하지 않아 모국어에 의존하는 경우이다. 에릭 켈러만의 "무전이" 원칙은 언어의 구문적 특징 대신 개념적 구성을 기반으로 언어를 다루는 것을 설명한다. 켈러만은 "학습자는 [목표/L2] 언어 특유의 관점을 찾지 않을 수 있으며, 대신 L1 관점을 유지할 수 있는 언어적 도구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새로운 언어의 해석 패턴을 습득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13]
켈러만의 원칙과 앤더슨의 원칙의 차이점을 설명하자면, 전자는 언어적 표현 수단을 발견하려는 동기를 부여하는 개념화에 관한 것이고, 앤더슨의 원칙은 이러한 수단의 습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15]
4. 가속 및 감속
가속은 아이가 언어를 습득할 때 한 언어에서 얻은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언어의 습득을 돕고 속도를 높이는 부트스트래핑과 유사한 과정이다.[16]
감속은 아이가 다른 언어로부터의 간섭으로 인해 언어 습득에 부정적인 영향(더 많은 실수와 더 느린 언어 학습)을 경험하는 과정이다.
5. 문해력 발달
언어 전이는 종종 "교차 언어 전이"라고 하며, 한 언어에서 습득한 기술을 사용하여 새로운 언어를 학습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17] 언어 상호 의존 가설에 따르면, L1(모국어) 문해력 기술이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L2(제2 언어)로의 기술 전이가 가능하다.[20] 즉, L1 문해력에 대한 사전 지식이 L2 문해력 습득을 돕는다. L1 문해력 기술에 더 많은 시간, 접근 및 경험을 가지면 L2 문해력 기술 습득이 용이해진다.[21]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해력 기술에 대한 공식적인 노출과 연습을 통해 L2 학습자는 모국어 사용자와 비슷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22]
대부분의 연구에 따르면 L1과 L2 언어에 관계없이 문해력 교차 언어 전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Chung 외(2012[24])는 언어가 유사한 정자법(문자 표기) 체계를 공유하지 않을 경우 교차 언어 전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영어와 스페인어는 유사한 정자법을 공유하여 전이가 쉽지만, 영어와 한국어는 정자법 체계가 달라 전이가 어려울 수 있다.
교차 언어 전이는 수화와 문자를 읽는 청각 장애 이중 언어 사용자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25] 미국 수화(ASL)와 영어는 다른 언어이며, ASL은 발음, 단어 형성 및 어순에 대한 고유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26] 수화는 고유한 언어로 간주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청각 장애인은 한 언어(수화)로 말하고 다른 언어(영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로 읽기 때문에 이중 언어 사용자로 간주된다. 또한 여러 수화가 존재한다.
6. 이해에서의 전이
언어 전이는 다중 언어 사용자가 언어적 발화나 문자를 이해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어와 영어는 모두 관계절을 가지며 명사-명사-동사 (=NNV) 순서를 가지지만, 두 언어에서 다르게 해석된다.[27]
독일어 예시: ''Das Mädchen, das die Frau küsst, ist blond''[27]
단어 순서를 유지하면서 단어별로 번역하면 이 독일어 관계절은 다음과 같다.[27]
영어 예시: ''The girl that ''(or ''whom'')'' the woman is kissing is blonde.''[27]
독일어와 영어의 예는 독일어에서 주어 역할이 ''das Mädchen'' (소녀) 또는 ''die Frau'' (여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반면, 영어 예시에서는 두 번째 명사구 (여자)만 주어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간단히 말해서, 독일어 단수 여성 및 중성 관사는 대격과 주격에 대해 동일한 굴절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독일어 예시는 ''소녀'' 또는 ''여자''가 키스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문적으로 모호하다. 영어 예시에서는 단어 순서 규칙과 다른 주격 및 대격 격 표시가 있는 관계 대명사(예: ''whom''/''who''*)를 대체하는 테스트를 통해 오직 ''여성''만이 키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7]
독일어 NNV 관계절 구조의 모호성은 주어 및 목적어 역할 할당이 명확해지는 경우에 분명해진다. 이것은 명사 중 하나가 문법적으로 남성인 경우 격 표시에 의해 가능하며, 이는 ''Der Mann, den die Frau küsst...'' (여자가 키스하는 남자...) vs. ''Der Mann, der die Frau küsst'' (여자를 키스하는 남자...) 와 같은데, 이는 독일어에서 남성 정관사가 대격 격을 표시하기 때문이다. 독일어 예시의 구문적 모호성은 또한 의미론적 모호성 제거의 경우에도 분명해진다. 예를 들어 ''Das Eis, das die Frau isst...'' (여자가 먹는 아이스크림...) 및 ''Die Frau, die das Eis isst...'' (아이스크림을 먹는 여자...) 에서 오직 ''die Frau'' (여자)만이 그럴듯한 주어이다.[27]
영어에서 명사-명사-동사 구조의 관계절(위의 예시와 같이)에서 첫 번째 명사는 목적어만 될 수 있기 때문에, 독일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는 영어 모국어 화자는 모호한 독일어 NNV 관계절을 목적어 관계절(= 목적어-주어-동사 순서)로 해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는 첫 번째 명사구를 주어(주어-목적어-동사 순서)로 해석하는 것을 선호하는 독일어 모국어 화자보다 그렇다. 이는 그들이 구문 분석 선호도를 제1 언어인 영어에서 제2 언어인 독일어로 전이했기 때문이다.[27]
7. 음운 및 음성
모어 전이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것은 발음이다[39][40]。언어 교체 시에 기층 언어 화자가 일으키는 발음의 모어 전이가 음운 변화의 한 원인으로 여겨진다[44]。
예를 들어, 일본어 학습자에게는 다음과 같은 모어 전이가 나타난다.
8. 화용론
중간 언어 화용론에서 학습자의 모국어 화용론적 특징이 원래 제2언어에는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제2언어 이해 및 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을 '''화용적 전이'''(pragmatic transfer)라고 한다. 부정적 전이나 화용적 지식의 결여로 인해 의사소통이 저해되는 것을 '''화용적 오류'''(pragmatic failure)라고 한다.[45]
9. 광범위한 영향
지속적이거나 강렬한 원어민과 비원어민 간의 접촉으로 인해, 비원어민의 언어 전이 결과는 원어민 공동체의 발화 생성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북미 지역에서 스페인어나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하는 영어 사용자는 원어민이 소수일 경우 원어민의 언어 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으로는 퀘벡, 캐나다와 미국 내 스페인어 사용 인구가 많은 지역이 있다. 후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와 미국 내 히스패닉계 다수 인구 지역 목록을 참조하라. 번역 과정 또한 언어 코드 수준이나 문화적 또는 역사적 참조 수준에서 언어가 혼합되는 소위 하이브리드 텍스트로 이어질 수 있다.[28]
참조
[1]
서적
Crosslinguistic influence in language and cognition
Routledge
2008
[2]
논문
SYNTACTIC ACQUISITION IN BILINGUAL CHILDREN: Autonomous or Interdependent?
1996
[3]
간행물
Native Language Influence Dur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 Large-Scale Learner Corpus Analysis
http://itamarshatz.m[...]
Japan Second Language Association
2017-09-10
[4]
문서
Contrastive analysis, error analysis, interlanguage
Aisthesis
2008
[5]
서적
Spanish-English Contrasts: A Course in Spanish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2
[6]
서적
German-English Language Interference: 56 Innovative Photocopiable Worksheets for Teachers & ESL Students
Tumbleweed Edition
[7]
문서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expanded edition)
National Academy Press
2000
[8]
논문
Negative transfer and delay in proficiency development: L1 influenced syntax issues faced by Arab EFL learners
https://doi.org/10.3[...]
2024
[9]
서적
False friends in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The effect of task type and mode
https://ddd.uab.cat/[...]
2017
[10]
문서
Chang Mishler
2012
[11]
서적
Lexical Transfer in Pedagogical Translanguaging: Exploring Intentionality in Multilingual Learners of Spanish
http://su.diva-porta[...]
Stockholm University
2022-03
[12]
서적
Applying Cognitive Linguistics to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13]
서적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ttps://archive.org/[...]
Routledge
[14]
서적
Language Contacts at the Crossroads of Discipline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5]
서적
Fossilization in Adul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ttps://archive.org/[...]
Multilingual Matters Ltd.
[16]
논문
Phonological Acquisition in Bilingual Spanish–English Speaking Children
2010-02-01
[17]
논문
An investigation of cross-linguistic transfer between Chinese and English: a meta-analysis
2017-10-02
[18]
논문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cross-language transfer in bilingual reading development: An interactive framework
https://www.scienced[...]
2019-05-01
[19]
웹사이트
English Learners: Demographic Trends
https://ncela.ed.gov[...]
Office of English Language Acquisition
2022-08
[20]
논문
Cross-Language Transfer of Early Literacy Skills: An Examination of Young Learners in a Two-Way Bilingual Immersion Elementary School
https://doi.org/10.1[...]
2013-09-01
[21]
논문
Exploring the interplay between Iranian EFL learners' first language (L1) literacy resources and their performance on L2 receptive skills
https://doi.org/10.1[...]
2020-12-01
[22]
논문
The role of oral language skills in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of text: a comparison of monolingual (L1) and bilingual (L2) speakers of English language
http://eprints.uwe.a[...]
2014
[23]
서적
Cross-Language Transfer of Reading Skill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Bidirectionality and the Influence of Instructional Environments
https://eric.ed.gov/[...]
2019
[24]
논문
Cross-Language Transfer of Reading Ability: Evidence From Taiwanese Ninth-Grade Adolescents
2012-03
[25]
논문
Bi-directional cross-language activation in Chinese Sign Language (CSL)-Chinese bimodal bilinguals
2022-09-01
[26]
웹사이트
American Sign Language
https://www.nidcd.ni[...]
2021-10-29
[27]
문서
Nitschke Kidd Serratrice
2010
[28]
서적
Handbook of Translation Studies, Volume 2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9]
서적
Crosslinguistic influence in language and cognition
Routledge
2008
[30]
논문
SYNTACTIC ACQUISITION IN BILINGUAL CHILDREN: Autonomous or Interdependent?
1996
[31]
문서
Gabriele Kasper and Shoshana Blum-Kulka
1993
[32]
웹사이트
ushikubou
https://ushikubou.co[...]
[33]
웹사이트
englishhub
https://englishhub.j[...]
[34]
간행물
Native Language Influence Dur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 Large-Scale Learner Corpus Analysis
http://itamarshatz.m[...]
Japan Second Language Association
2017-09-10
[35]
서적
Spanish-English Contrasts: A Course in Spanish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13-05-12
[36]
서적
German-English Language Interference: 56 Innovative Photocopiable Worksheets for Teachers & ESL Students
[37]
서적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expanded edition)
http://www.csun.edu/[...]
National Academy Press
[38]
간행물
[39]
논문
Effectiveness of L2 instruction: A research synthesis and quantitative meta-analysis
[40]
논문
第二言語習得研究からみた発音習得とその可能性についての一考察―臨界期仮説と外国語訛りを中心に―
[41]
논문
セブアノ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学習者の母音知覚に関する予備的考察
[42]
논문
モンゴル語母語話者の日本語母音の音声的特徴について
[43]
논문
トルコ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学習者による子音連続への母音挿入と母音調和の影響
[44]
서적
Language: Its Nature, Development, and Origin
Routledge
[45]
논문
Cross-cultural pragmatic fail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