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라스무스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라스무스상은 유럽의 문화, 사회과학 분야에 기여한 개인 또는 단체에 수여되는 상으로, 15만 유로의 상금과 함께 하모니카 형태의 장식물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네덜란드 국왕이 직접 주관하며, 강연, 학술회의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린다. 1958년부터 시작되어, 로베르 쉬망, 찰리 채플린, 바츨라프 하벨, 위키백과 공동체 등이 수상했으며,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단체와 개인도 수상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상 - 하이네켄 상
하이네켄상은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서 주관하며, 노벨상과 유사한 시스템으로 생화학, 의학, 환경과학, 역사, 인지과학,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개인 또는 단체에게 수여되는 학술상 및 예술상이지만, 수상자 선정의 투명성과 유럽 중심의 편향성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 에라스뮈스 프로그램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은 유럽 연합의 학생 교환 프로그램으로, 유럽 내 대학생 교류를 증진하고 교육, 훈련, 청소년 및 스포츠 분야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 자유의지론
자유의지론은 에라스뮈스가 인간의 자유 의지를 옹호하고 예정론을 반박하며, 자유 의지와 하나님의 은총 간의 협력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저술한 책으로, 종교 개혁 시대의 중요한 논쟁을 촉발하고 가톨릭과 개신교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에라스무스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에라스뮈스상 | |
설명 | 유럽 문화, 사회, 사회 과학에 대한 기여 |
수여 기관 | 에라스뮈스 재단 |
국가 | 네덜란드 |
상금 | 15만 유로 |
첫 수여 년도 | 1958년 |
수여 빈도 | 매년 |
웹사이트 | 에라스뮈스상 공식 웹사이트 |
2. 상의 특징
에라스무스 상은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분야에서 유럽 문화에 뛰어난 공헌을 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이 상은 네덜란드의 에라스무스 재단에서 주관하며, 매년 다른 주제를 선정하여 시상한다. 재단 이사회는 수상 분야를 결정하고, 자문 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최종 수상자를 선정한다. 시상식은 보통 암스테르담 왕궁에서 열리며, 다양한 학술 및 문화 활동이 함께 개최된다.
2. 1. 상금 및 부상
2024년 기준, 상금은 150000EUR와 함께 1995년 브루노 니나베르 판 아이벤이 디자인한 장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식물은 하모니카 스타일로 접힌 리본으로, 끝 부분은 티타늄 판으로 만들어졌다. 리본에는 1523년 1월 5일에 장 카롱드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발췌한 에라스무스의 친필 글씨가 새겨져 있다. 그 글은 "variae sunt ingeniorum dotes multae seculorum varietates sunt. quod quisque potest in medium proferat nec alteri quisquam invideat qui pro sua virili suoque modo conatur publicis studiis utilitatis aliquid adiungere."이며, 번역하면 "천재들의 재능은 다양하고 시대의 종류도 많다. 각자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고, 자신의 능력과 방식에 따라 모든 사람의 교육에 유용한 공헌을 하려고 노력하는 다른 사람을 시기하지 말라."는 뜻이다.2. 2. 시상식
시상식은 일반적으로 암스테르담 왕궁에서 열리며, 재단의 후원자(2015년 기준 네덜란드 국왕 빌럼-알렉산더)가 상을 수여한다. 강연, 학술회의, 워크숍, 전시회, 무용, 음악 및 연극 공연, 그리고 기타 교육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학술 및 문화 활동이 다른 학술 및 문화 기관과 협력하여 에라스무스상 시상식과 함께 개최된다. 수상자와 그들의 업적에 대한 에세이도 발표된다.2. 3. 선정 방식
에라스무스상은 재단 이사회가 수여할 분야를 미리 결정한다. 자문위원회는 네덜란드 및 외국 전문가와 상의한 후 수상자를 추천하며, 재단 이사회가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3. 역대 수상자
에라스무스 재단은 1958년부터 매년 유럽 문화, 사회, 사회과학에 현저한 기여를 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에라스무스 상을 수여해 왔다.
연도 | 수상자/수상단체 | 주 |
---|---|---|
1958 | 오스트리아 국민 | |
1959 | 로베르 쉬망, 카를 야스퍼스 | |
1960 | 마르크 샤갈, 오스카르 코코슈카 | |
1962 | 로마노 구아르디니 | |
1963 | 마르틴 부버 | |
1964 | 국제 학술원 연합 | |
1965 | 찰리 채플린, 잉마르 베리만 | |
1966 | 허버트 리드, 르네 위그 | |
1967 | 얀 틴베르헌 | |
1968 | 헨리 무어 | |
1969 | 가브리엘 마르셀,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 |
1970 | 한스 샤룬 | |
1971 | 올리비에 메시앙 | |
1972 | 장 피아제 | |
1973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 |
1974 | 니네트 드 발루아, 모리스 베자르 | |
1975 | 에른스트 곰브리치, 빌럼 산드베르흐 | |
1976 | 국제 사면 위원회, 르네 다비드 | |
1977 | 베르너 카에기, 장 모네 | |
1978 | 인형극: | |
1979 | 디 차이트, 노이에 취르허 차이퉁 | |
1980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
1981 | 장 프루베 | |
1982 | 에드바르트 스힐레베이크스 | |
1983 | 레몽 아롱, 이사야 베를린, 레셰크 코와코프스키,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 |
1984 | 마시모 팔로티노 | |
1985 | 폴 들루브리에 | |
1986 | 바츨라프 하벨 | |
1987 | 알렉산더 킹 | |
1988 | 자크 르두 | |
1989 | 국제법학자회 | |
1990 | 그레이엄 클라크 | |
1991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
1992 | 인디아스 고문서관, 시몬 비젠탈 | |
1993 | 피터 슈타인 | |
1994 | 지크마어 폴케 | |
1995 | 렌초 피아노 | |
1996 | 윌리엄 하디 맥닐 | |
1997 | 자크 들로르 | |
1998 | 마우리치오 카겔, 피터 셀라스 | |
1999 | 메리 로빈슨 | |
2000 | 한스 판마넌 | |
2001 |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아담 미흐니크 | |
2002 | 베른트와 힐라 베허 | |
2003 | 앨런 데이비드슨 | |
2004 | 압둘카림 소루시, 사디크 잘랄 알아즘, 파티마 메르니시 | |
2005 | 시몬 섀퍼, 스티븐 샤핀 | |
2006 | 피에르 베르나르 | |
2007 | 페테르 포가치 | |
2008 | 이언 바루마 | |
2009 | 안토니오 카세스, 벤저민 프렌츠 | |
2010 |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 |
2011 | 후안 부스케츠 | |
2012 | 대니얼 데넷 | |
2013 | 위르겐 하버마스 | |
2014 | 프리 라이젠 | |
2015 | 위키백과 공동체 | |
2016 | A. S. 바이어트 | [1] |
2017 | 미셸 라몽 | [3] |
2018 | 바바라 에렌라이히 | [4] |
2019 | 존 아담스 | [5] |
2021 | 그레이슨 페리 | [6] |
2022 | 데이비드 그로스만 | [7] |
2023 | 트레버 노아 | [8] |
2024 | 아미타브 고쉬 |
3. 1. 주요 수상자 (개인)
에라스무스상의 주요 수상자(개인) 목록은 다음과 같다.사진 | 년도 | 수상자 | 비고 |
---|---|---|---|
1958 | 오스트리아 국민 | 문화유산. 밀라노 대학교에서 수여. 상금은 유럽에서 유학 중인 오스트리아인, 오스트리아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학생, 그리고 에페소스 발굴에 사용되었다. | |
![]() | 1959 | 로베르 쉬망 | |
![]() | 1959 | 카를 야스퍼스 | |
![]() | 1960 | 마르크 샤갈 | |
![]() | 1960 | 오스카르 코코슈카 | |
1962 | 로마노 구아르디니 | ||
![]() | 1963 | 마르틴 부버 | |
![]() | 1964 | 국제 학술 연합 | |
![]() ![]() | 1965 | 찰리 채플린, 잉마르 베리만 | |
![]() ![]() | 1966 | 허버트 리드, 르네 위그 | |
![]() | 1967 | 얀 틴베르헌 | |
![]() | 1968 | 헨리 무어 | |
![]() | 1969 | 가브리엘 마르셀,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 |
![]() | 1970 | 한스 샤룬 | |
![]() | 1971 | 올리비에 메시앙 | |
![]() | 1972 | 장 피아제 | |
![]() | 1973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 |
![]() ![]() | 1974 | 니네트 드 발루아, 모리스 베자르 | |
![]() ![]() | 1975 | 에른스트 곰브리치, 빌럼 산드베르흐 | |
![]() | 1976 | 국제앰네스티, 르네 다비드 | |
![]() ![]() | 1977 | 베르너 카에기, 장 모네 | |
![]() | 1978 | 인형극 | |
![]() | 1979 | 디 차이트, 노이에 취르허 차이퉁 | |
![]() ![]() | 1980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
![]() | 1981 | 장 프루베 | |
![]() | 1982 | 에드바르트 스힐레베이크스 | |
![]() ![]() | 1983 | 레몽 아롱, 이사야 벌린, 레셰크 코와코프스키,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 |
![]() | 1984 | 마시모 팔로티노 | |
![]() | 1985 | 폴 들루브리에 | |
![]() | 1986 | 바츨라프 하벨 | |
![]() | 1987 | 알렉산더 킹 | |
![]() | 1988 | 자크 르두 | |
![]() | 1989 | 국제 법률가 위원회 | |
![]() | 1990 | 그레이엄 클라크 | |
![]() | 1991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
![]() | 1992 | 인디아스 고문서관 | |
![]() | 1992 | 시몬 비젠탈 | |
![]() | 1993 | 피터 슈타인 | |
![]() | 1994 | 지크마어 폴케 | |
![]() | 1995 | 렌초 피아노 | |
![]() | 1996 | 윌리엄 하디 맥닐 | |
![]() | 1997 | 자크 들로르 | |
![]() ![]() | 1998 | 마우리시오 카겔, 피터 셀라스 | |
![]() | 1999 | 메리 로빈슨 | |
![]() | 2000 | 한스 판마넌 | |
![]() | 2001 |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아담 미흐니크 | |
![]() | 2002 | 베른트와 힐라 베허 | |
2003 | 앨런 데이비슨 | ||
2004 | 압둘카림 소루시, 사디크 잘랄 알아즘, 파티마 메르니시 | ||
![]() | 2005 | 시몬 섀퍼, 스티븐 샤핀 | |
![]() | 2006 | 피에르 베르나르 | |
![]() | 2007 | 페테르 포가치 | |
![]() | 2008 | 이언 바루마 | |
![]() ![]() | 2009 | 안토니오 카세스, 벤저민 B. 페렌츠 | |
![]() | 2010 |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 |
2011 | 후안 부스케츠 | ||
![]() | 2012 | 대니얼 데넷 | |
![]() | 2013 | 위르겐 하버마스 | |
![]() | 2014 | 프리 라이젠 | "연극, 관객 그리고 사회" 주제 |
2015 | 위키백과 공동체 | 포괄적이고 보편적으로 접근 가능한 백과사전을 통해 지식의 보급을 촉진한 공로. | |
![]() | 2016 | A. S. 바이어트 | 삶의 기록에 대한 영감을 주는 공헌 |
![]() | 2017 | 미셸 라몽[3] | "지식, 권력, 다양성의 관계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에 대한 헌신적인 공헌" |
![]() | 2018 | 바바라 에렌라이히[4] | 그렇지 않으면 들리지 않을 사회 집단에게 목소리를 부여한 공로 |
![]() | 2019 | 존 아담스[5] | "재즈, 팝, 클래식 음악의 요소를 융합하여 새로운 음악적 어법을 창조했기 때문에" |
![]() | 2021 | 그레이슨 페리[6] | "페리는 예술이 모든 사람에게 속하며 엘리트주의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독특한 시각 언어를 개발했다." |
![]() | 2022 | 데이비드 그로스만[7] | "그는 사람들을 내면에서 이해하고, 전쟁과 역사의 경계를 넘어 다른 사람을 사랑으로 바라보려고 한다." |
![]() | 2023 | 트레버 노아[8] | "유머, 사회 비판, 정치 풍자로 가득 찬 에라스무스의 가장 유명한 책인 어리석음 찬양이라는 주제에 대한 영감을 준 공헌." |
![]() | 2024 | 아미타브 고쉬 | "전례 없는 세계적 위기인 기후 변화가 글로 표현되는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기라는 주제에 대한 열정적인 공헌." |
3. 1. 1. 1950년대
3. 1. 2. 1960년대
Sir Charles Chaplin영어 (찰리 채플린, 1889년 ~ 1977년)은 영국의 영화 감독이자 배우로, 사회 비판적인 작품 활동으로 1965년에 잉마르 베리만과 함께 에라스무스 상을 공동 수상했다.가브리엘 마르셀(1889년~1973년)은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가톨릭 보수주의자로, 1969년에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와 함께 에라스무스 상을 공동 수상했다.
3. 1. 3. 1970년대
1973년 클로드 레비스트로스(프랑스, 구조주의 인류학자)가 에라스무스 상을 받았다. 1976년에는 국제앰네스티와 René David|르네 다비드프랑스어(비교법학자)가 에라스무스 상을 받았다.3. 1. 4. 1980년대
1982년, 벨기에의 신학자 에드바르트 스힐레베이크스( Edward Schillebeeckxnl)가 에라스무스상을 수상했다. 그는 해방신학과 연관되어 있다.1983년에는 레몽 아롱, 이사야 베를린, 레셰크 코와코프스키,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가 공동 수상했다. 레셰크 코와코프스키는 폴란드의 철학자이자 반체제 지식인이었다.
1986년에는 체코의 극작가이자 인권 운동가인 바츨라프 하벨이 에라스무스상을 수상했다. 그는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이다.
3. 1. 5. 1990년대
연도 | 수상자 |
---|---|
1990 | 그레이엄 클라크 |
1991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1992 | 인디아스 고문서관 |
시몬 비젠탈 | |
1993 | 피터 슈타인 |
1994 | 지크마어 폴케 |
1995 | 렌초 피아노 |
1996 | 윌리엄 하디 맥닐 |
1997 | 자크 들로르 |
1998 | 마우리치오 카겔, 피터 셀라스 |
1999 | 메리 로빈슨 |
3. 1. 6. 2000년대
사진 | 연도 | 수상자/수상단체 | 주 |
---|---|---|---|
2001 |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아담 미흐니크 | ||
2002 | 베른트와 힐라 베허 | ||
2003 | 앨런 데이비드슨 | ||
2004 | 압둘카림 소루시, 사디크 잘랄 알아즘, 파티마 메르니시 | ||
2005 | 시몬 섀퍼, 스티븐 샤핀 | ||
2006 | 피에르 베르나르 | ||
2007 | 페테르 포가치 | ||
2008 | 이언 바루마 | ||
2009 | 안토니오 카세스, 벤저민 프렌츠 |
3. 1. 7. 2010년대
2010년에는 베네수엘라의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가 수상하였다. 2011년에는 스페인의 건축가 후안 부스케츠가 에라스무스상을 받았다. 2012년에는 미국의 철학자 대니얼 데넷이 수상하였다.2013년에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비판 이론의 대표 주자인 위르겐 하버마스가 수상했다. 그는 사회민주주의를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4년에는 "연극, 관객 그리고 사회"를 주제로 벨기에의 큐레이터 프리 라이젠이 수상하였다. 2015년에는 위키백과 공동체가 포괄적이고 보편적으로 접근 가능한 백과사전을 통해 지식 보급을 촉진한 공로로 상을 받았다. 위키백과는 전 세계 수만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는 공유 프로젝트이다. 2016년에는 영국의 소설가 A. S. 바이어트가 '삶의 기록'에 대한 영감을 주는 공헌으로 에라스무스상을 수상했다.
3. 2. 주요 수상자 (단체)
에라스무스 재단은 1958년부터 매년 개인 또는 단체에게 에라스무스 상을 수여해 왔다. 다음은 주요 수상 단체 목록이다.연도 | 단체 | 비고 |
---|---|---|
1958 | 오스트리아 국민 | 문화유산. 밀라노 대학교에서 수여. 상금은 유럽에서 유학 중인 오스트리아인, 오스트리아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학생, 그리고 에페소스 발굴에 사용. |
1964 | 국제 학술원 연합 | 국제 학술 교류 증진 |
1976 | 국제 사면 위원회 | 영국의 국제 인권 단체로, 특히 한국의 민주화 운동 지원 |
1978 | 인형극 | La Marionettistica (나폴리 형제), Ţăndărică (Margareta Niculescu), Théatre du Papier (Yves Joly), Bread and Puppet (Peter Schumann) |
1979 | 디 차이트, 노이에 취르허 차이퉁 | |
1989 | 국제법학자회 | 스위스 기반, 전 세계 법치주의 증진, 한국 사법 개혁에 대한 입장 표명 |
1992 | 인디아스 고문서관 | |
2015 | 위키백과 공동체 | 포괄적이고 보편적으로 접근 가능한 백과사전을 통한 지식 보급, 전 세계 수만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는 공유 프로젝트 |
3. 2. 1. 1960년대
연도 | 수상자 |
---|---|
1960 | 마르크 샤갈, 오스카르 코코슈카 |
1962 | 로마노 구아르디니 |
1963 | 마르틴 부버 |
1964 | 국제 학술원 연합 (국제 학술 교류 증진) |
1965 | 찰리 채플린, 잉마르 베리만 |
1966 | 허버트 리드, 르네 위그 |
1967 | 얀 틴베르헌 |
1968 | 헨리 무어 |
1969 | 가브리엘 마르셀,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
3. 2. 2. 1970년대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영어)는 1976년 에라스무스 상을 수상한 단체이다. 국제앰네스티는 영국의 국제 인권 단체로, 특히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지원하는 데 기여했다.3. 2. 3. 1980년대
International Commission of Jurists영어 (국제법학자회)는 1989년에 에라스무스 상을 받았다. 이 단체는 스위스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법치주의 증진을 위해 노력한다. 국제법학자회는 한국의 사법 개혁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3. 2. 4. 2010년대
Wikipedia영어 공동체는 2015년에 에라스무스상을 받았다. 이 상은 포괄적이고 보편적으로 접근 가능한 백과사전을 통해 지식 보급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전 세계 수만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는 공유 프로젝트로서의 커뮤니티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위키백과의 창시자들은 새롭고 효과적인 민주적 플랫폼을 설계하여 이러한 목표를 달성했다.4. 에라스무스 상과 한국
현재까지 에라스무스 상을 수상한 한국인은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Erasmus Prize
https://web.archive.[...]
Praemium Erasmianum Foundation
2015-01-24
[2]
웹사이트
Erasmusprijswinnaars
https://erasmusprijs[...]
2023-06-01
[3]
웹사이트
Nieuws :: Praemium Erasmianum
https://web.archive.[...]
2017-02-20
[4]
웹사이트
Press release: 2018 Erasmus Prize awarded to Barbara Ehrenreich
http://www.erasmuspr[...]
2018-05-01
[5]
웹사이트
Press release: 2019 Erasmus Prize awarded to John Adams
http://www.erasmuspr[...]
2019-02-21
[6]
웹사이트
Grayson Perry
https://erasmusprijs[...]
2020-10-05
[7]
웹사이트
David Grossman
https://erasmusprijs[...]
2022-04-18
[8]
웹사이트
Erasmusprijswinnaars
https://erasmusprijs[...]
2023-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