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연합 탈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연합 탈퇴는 회원국이 유럽 연합(EU)을 자발적으로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2004년 유럽 연합 확대를 앞두고 회원국들은 탈퇴 조항을 요구했고, 영국과 덴마크 등은 2009년 발효된 리스본 조약을 통해 제50조를 마련했다. 제50조는 회원국이 유럽 이사회에 탈퇴 의사를 통보하고, 탈퇴 조건과 미래 관계를 설정하는 협상을 거쳐 탈퇴하도록 규정한다. 탈퇴 협상 실패 시에는 WTO 관세 규칙을 따르게 된다. 현재까지 EU를 탈퇴한 국가는 영국이 유일하며, 여러 국가에서 EU 탈퇴를 옹호하는 정당들이 활동하고 있다. 또한, 기존 회원국의 분리, EU 시민권 상실, 회원국 제명 등 관련 법적 영향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 연합 탈퇴 - 브렉시트
브렉시트는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를 의미하며, 2016년 국민투표로 결정되어 2020년 1월 31일 공식 탈퇴 후 영국 경제,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유럽 연합 탈퇴 - 2016년 영국 유럽 연합 회원국 국민투표
2016년 영국 유럽 연합 회원국 국민투표는 영국이 유럽 연합 탈퇴 여부를 묻는 투표로, 투표 결과 탈퇴가 결정되어 경제 및 정치적 여파를 낳았다. - 유럽 연합의 역사 - 유럽 공동체
유럽 공동체는 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원자력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를 통합한 기구로, 경제 통합, 관세 동맹, 공동 시장 창설을 목표로 하였으나, 마스트리흐트 조약 이후 유럽 연합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되었다가 리스본 조약으로 유럽 연합에 흡수·통합되었다. - 유럽 연합의 역사 - 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경제 공동체는 1957년 로마 조약으로 프랑스, 서독 등 6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관세 동맹을 통해 경제 통합을 추구하고 공동 정책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유럽 연합의 기반이 되었다. - 유럽 연합의 정치 - 유럽 통합
유럽 통합은 유럽 국가들이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으로, EU를 중심으로 단일 시장, 유로존 등을 통해 경제적 통합을 심화시키고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증진하고 있으나, 국가 주권, 문화적 정체성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유럽 연합의 정치 - 유럽 녹색당
유럽 녹색당은 유럽 각국의 녹색당들이 연합하여 2004년에 창당된 최초의 유럽 정당으로, 풀뿌리 운동에서 기원하여 유럽 의회에서 꾸준히 성장, 기후변화 대응과 사회 정의를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유럽 연합 탈퇴 | |
---|---|
개요 | |
유형 | 법적 절차 |
목적 | 유럽 연합 (EU)에서 회원국의 탈퇴를 규정 |
근거 | 유럽 연합 조약 제50조 |
발효 | 유럽 연합 조약 (TEU)과 유럽 연합 기능 조약 (TFEU)이 발효된 2009년 12월 1일에 발효 |
주요 내용 | |
탈퇴 통보 | 회원국은 자체 헌법 절차에 따라 탈퇴 결정을 유럽 이사회에 통보해야 함 |
협상 기간 | 통보 후 2년 이내에 탈퇴 협정을 체결해야 함. 이 기간은 유럽 이사회의 만장일치 동의를 받아 연장 가능 |
협정 부재 시 | 협정 체결 실패 시, 통보일로부터 2년 후 EU 법 적용 중단 (기간 연장 없을 시) |
탈퇴 협정 | EU와 탈퇴국 간의 미래 관계 틀을 설정 |
EU 기관 역할 | 유럽 이사회는 탈퇴 지침을 정의하고,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는 EU를 대표하여 협상을 진행함 |
의결 방식 | 유럽 의회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유럽 연합 이사회는 특정 다수결로 결정 |
재가입 | 탈퇴 국가는 재가입 절차를 밟아야 함 |
적용 예외 | 유럽 원자력 공동체 탈퇴에는 적용되지 않음 |
역사적 배경 | |
리스본 조약 | 유럽 연합 조약 제50조는 리스본 조약에 의해 도입됨 |
최초 발동 | 영국이 2016년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2017년 3월 29일에 발동 |
영국 탈퇴 | 2020년 1월 31일에 영국이 유럽 연합에서 탈퇴함 |
법적 해석 | |
철회 가능성 | 탈퇴 통보 철회 가능성에 대한 법적 논쟁 존재 |
참고 사항 | |
관련 조항 | 유럽 연합 조약 (TEU), 유럽 연합 기능에 관한 조약 (TFEU) |
2. 역사적 배경
리스본 조약 이전에는 유럽 연합 조약이나 법에 국가가 자발적으로 유럽 연합에서 탈퇴할 수 있는 능력을 규정하는 조항이 없었다. 이러한 조항이 없어 탈퇴가 기술적으로는 어려웠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다.[12] 법적으로 국가가 탈퇴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있었다. 첫째, 주권 국가는 국제적 약속에서 탈퇴할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11] 둘째, 조약이 무기한이고 탈퇴 조항이 없으며 "보다 긴밀한 연합"을 요구하므로, 이러한 통일에 대한 약속은 일방적인 탈퇴와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이다. 조약법에 관한 빈 협약은 당사자가 그러한 절차에 대해 침묵하는 조약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하려는 경우, 탈퇴가 허용되는 경우는 두 가지뿐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모든 당사자가 그렇게 할 수 있는 비공식적 권리를 인정하는 경우와 상황이 너무나 극적으로 변화하여 서명자의 의무가 근본적으로 바뀌는 경우이다.[12]
2. 1. 2004년 유럽 연합 확대와 탈퇴 조항 논의
2004년 유럽 연합 가입을 앞둔 국가들은 2002-2003년 유럽 헌법 회의에서 탈퇴 조항 도입을 추진했다. 가입 예정 국가들은 유럽 연합 가입이 자신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유럽 연합을 탈퇴할 수 있는 선택지를 원했다. 협상 과정에서 영국과 덴마크와 같은 유럽 회의론 국가들이 제50조 제정을 주도했다.[8]회원국 탈퇴를 허용하는 제50조는 원래 영국 무소속 귀족이자 전직 외교관인 킨로카드의 커 경이 초안을 작성했으며, 이 회의는 유럽 연합 헌법 조약을 작성했다.[9] 유럽 헌법 비준 절차가 실패한 후, 이 조항은 2009년에 발효된 리스본 조약에 포함되었다.[10]
2. 2. 유럽 헌법 조약과 리스본 조약
2004년 유럽 연합 가입을 앞둔 국가들은 2002-2003년 유럽 헌법 회의에서 탈퇴를 추진했다. 이 국가들은 유럽 연합 가입이 자신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유럽 연합을 탈퇴할 수 있는 선택지를 원했다. 협상 과정에서 영국과 덴마크와 같은 국가의 회의론자들은 이후 제50조의 제정을 추진했다.[8]회원국이 탈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50조는 원래 영국 무소속 귀족이자 전직 외교관인 킨로카드의 커 경이 초안을 작성했는데, 그는 유럽 헌법 회의의 사무총장이었고, 이 회의는 유럽 연합 헌법 조약을 작성했다.[9] 유럽 헌법 비준 절차가 실패한 후, 이 조항은 2009년에 발효된 리스본 조약에 포함되었다.[10]
2. 3. 탈퇴 조항 부재와 법적 해석
리스본 조약 이전에는 유럽 연합 조약이나 법에 국가가 자발적으로 유럽 연합에서 탈퇴할 수 있는 능력을 규정하는 조항이 없었다. 이러한 조항의 부재는 탈퇴를 기술적으로 어렵게 만들었지만 불가능하게 하지는 않았다.[12] 법적으로 국가가 탈퇴할 수 있는지에 대한 두 가지 해석이 있었다. 첫째, 주권 국가는 국제적 약속에서 탈퇴할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11] 둘째, 조약은 무기한이며, 탈퇴 조항이 없고 "보다 긴밀한 연합"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통일에 대한 약속은 일방적인 탈퇴와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이다. 조약법에 관한 빈 협약은 당사자가 그러한 절차에 대해 침묵하는 조약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하려는 경우, 탈퇴가 허용되는 경우는 두 가지뿐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모든 당사자가 그렇게 할 수 있는 비공식적 권리를 인정하는 경우와 상황이 너무나 극적으로 변화하여 서명자의 의무가 근본적으로 바뀌는 경우이다.[12]3. 탈퇴 절차 (제50조)
2009년 12월 1일 리스본 조약에 의해 제정된 유럽 연합 조약 제50조는 회원국이 자발적으로 EU에서 탈퇴할 수 있는 절차를 처음으로 도입했다.[12]
해당 조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3]
# 모든 회원국은 자체 헌법에 따라 연합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 탈퇴를 결정한 회원국은 그 의사를 유럽 이사회에 통보해야 한다. 유럽 이사회가 제공하는 지침에 따라 연합은 해당 국가와 협상을 통해 탈퇴 조건과 연합과의 미래 관계의 틀을 설정하는 협정을 체결해야 한다. 해당 협정은 유럽 연합 기능에 관한 조약 제218조(3)에[14] 따라 협상되어야 한다. 해당 협정은 유럽 의회의 동의를 얻은 후, 유럽 연합 이사회가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연합을 대표하여 체결한다.
# 조약은 탈퇴 협정 발효일 또는 그 발효일이 없을 경우, 제2항에 언급된 통보 후 2년이 되는 날부터 해당 국가에 적용되지 않는다. 단, 유럽 이사회가 해당 회원국과 합의하여 만장일치로 이 기간을 연장하기로 결정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 제2항 및 제3항의 목적상, 탈퇴하는 회원국을 대표하는 유럽 이사회 또는 이사회의 구성원은 유럽 이사회 또는 이사회의 논의 또는 이와 관련된 결정에 참여할 수 없다. 가중 다수결은 유럽 연합 기능에 관한 조약 제238조(3)(b)에 따라 정의된다.
# 연합에서 탈퇴한 국가가 재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요청은 제49조에 언급된 절차를 따른다.
이 조항은 TFEU 제355조에 따라 완전한 조약 개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정 해외 영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15]
요약하면, 회원국은 헌법에 따라 EU 탈퇴를 결정하고 유럽 이사회에 통보하며, EU와 탈퇴 조건 및 미래 관계에 대한 협상을 진행한다. 탈퇴 협정은 유럽 의회 동의와 유럽 연합 이사회 가중 다수결로 체결된다. 협정 발효 또는 통보 후 2년(연장 가능)이 지나면 EU 조약 적용이 중단된다. 탈퇴 국가는 관련 논의에 참여할 수 없으며, 재가입은 별도 절차를 따른다.
3. 1. 탈퇴 의사 통보
회원국이 탈퇴를 결정하면 유럽 이사회에 탈퇴 의사를 통보해야 한다. 유럽 이사회가 제공하는 지침에 따라 연합은 해당 국가와 협상을 통해 탈퇴 조건과 연합과의 미래 관계의 틀을 설정하는 협정을 체결해야 한다. 해당 협정은 유럽 연합 기능에 관한 조약 제218조(3)에[14] 따라 협상되어야 하며, 유럽 의회의 동의를 얻은 후 유럽 연합 이사회가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연합을 대표하여 체결한다.[13]회원국이 탈퇴 의사를 유럽 이사회에 통지하면 탈퇴 협상이 시작되며, 이 과정의 시작은 탈퇴를 원하는 회원국에 달려있다.[13]
3. 2. 탈퇴 협상
유럽 이사회가 제공하는 지침에 따라, 탈퇴를 결정한 회원국과 EU는 탈퇴 조건 및 EU와의 미래 관계 틀을 설정하는 협정을 체결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한다. 이 협정은 유럽 연합 기능에 관한 조약 제218조(3)에[14] 따라 협상된다. 협정은 유럽 의회의 동의를 얻은 후, 유럽 연합 이사회가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연합을 대표하여 체결한다.[13]탈퇴 협상은 회원국이 탈퇴 의사를 유럽 이사회에 통지하면 시작된다. 협상은 유럽 위원회가 EU를 대신하여 나머지 회원국이 유럽 연합 이사회에서 회의를 통해 부여한 위임에 따라 진행한다. 협정은 탈퇴에 대한 약정을 명시해야 하며, 회원국의 EU와의 미래 관계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고려해야 하지만, 그 프레임워크 자체를 정하는 것은 아니다.[17]
탈퇴 협정 발효 또는 협정이 없는 경우, 유럽 이사회에 탈퇴 의사를 통보한 지 2년 후에 해당 회원국에 대한 조약의 적용이 중단된다. 다만, 이 기간은 유럽 이사회의 만장일치 합의로 연장될 수 있다.[16]
협정이 유럽 연합 이사회에서 통과되려면 최소 65%의 인구를 대표하는 잔류 회원국의 최소 72%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협정은 연합을 대신하여 이사회가 체결하며, 유럽 연합 기능 조약 제218조(3)에 따라 협상된다. 이 협정은 유럽 의회의 동의를 얻은 후 가중 다수결로 이사회에서 승인되어야 한다.[18]
3. 3. 탈퇴 협정 체결
유럽 연합 조약 제50조 3항에 따르면, 탈퇴 협정은 유럽 의회의 동의를 얻은 후 유럽 연합 이사회가 가중 다수결로 체결한다.[18] 유럽 연합 이사회에서 협정이 통과되려면 최소 65%의 인구를 대표하는 잔류 회원국의 최소 72%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17]조약은 탈퇴 협정 발효일 또는 협정이 발효되지 않을 경우, 탈퇴 의사를 유럽 이사회에 통보한 후 2년이 되는 날부터 해당 국가에 적용되지 않는다. 단, 유럽 이사회가 해당 회원국과 합의하여 만장일치로 이 기간을 연장하는 경우는 예외이다.[16]
3. 4. 탈퇴 협상 실패
협상이 실패하여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탈퇴 국가는 합의 없이 EU를 떠나게 되며, EU 조약은 대체 또는 과도기적 조치 없이 해당 국가에 대한 적용이 중단된다. 무역과 관련하여 양측은 세계 무역 기구(WTO)의 관세 규칙을 따를 가능성이 높다.[20]3. 5. 일방적 탈퇴 철회
유럽 사법 재판소는 2018년 12월 10일, 유럽 연합 조약 제50조 통지가 다른 EU 회원국의 허가 없이 통지 회원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철회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 이는 회원국의 의지에 반하여 "유럽 국민 간의 더욱 긴밀한 연합을 창설하려는 EU 조약의 목적과 모순"되기 때문이다.[22][23][24] 단, 이는 해당 국가가 아직 EU를 탈퇴하지 않았고, 철회가 "국가 헌법적 요구 사항에 따라 민주적 절차에 따라" 결정된 경우에 한한다.[22][23][24]유럽 연합 조약 제50조는 회원국이 탈퇴 의사를 철회할 수 있는지 여부를 명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2017년 10월 24일 유럽 이사회 의장은 유럽 의회에서 "합의, 노 딜 또는 브렉시트 없음"은 영국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유럽 연합 법률 전문가와 유럽 연합 기관들 사이의 지배적인 법적 견해는 탈퇴를 희망하는 회원국이 마음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의도'가 아직 행위가 아니며, 행위가 이루어지기 전에 의도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21]
2017년 4월 5일 유럽 의회 결의안은 "통지 철회는 모든 EU-27개국이 정한 조건에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25] 이는 절차적 장치로 사용되거나 영국의 현재 회원 자격 조건을 개선하려는 시도로 악용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럽 연합 시민 권리 및 헌법 문제 정책 부서는 가상의 철회 권한은 유럽 연합 사법 재판소에 의해서만 검토되고 확인되거나 부인될 수 있다고 밝혔다.[26] 유럽 위원회는 제50조가 통지의 일방적인 철회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고 간주한다.[27] 제50조의 영국 저자인 로드 커(Lord Kerr)도 이 절차가 되돌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28][29]
유럽 연합 조약 제50조 (3)항에 따르면, 통보 시점부터 연합 탈퇴까지의 2년의 기간 연장은 모든 회원국의 만장일치 지지를 필요로 한다.
3. 6. 재가입
유럽 연합에서 탈퇴한 국가가 재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요청은 유럽 연합 조약 제49조에 언급된 절차를 따른다.[13]4. 최외곽 지역
유럽 연합 기능에 관한 조약(TFEU) 제355조(6)는 리스본 조약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의 해외 영토 지위를 더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완전한 조약 개정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32] 대신, 유럽 이사회는 관련 회원국의 발의에 따라 해외 영토 (OCT)의 지위를 최외곽 지역 (OMR)으로 변경하거나 그 반대로 변경할 수 있다.[32]
5. 탈퇴 사례
과거 유럽 연합 회원국이나 그 영토가 탈퇴한 사례로는, 통치 국가로부터 독립을 얻거나 EU 비회원국으로 이전되면서 EU와의 공식적인 관계를 단절한 경우가 있다. 이들 영토의 대부분은 EU의 일부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최대 해외 영토 지위를 가졌으며, 일반적으로 EC 법(EC law)은 이들 국가에서 시행되지 않았다.
일부 현재 영토는 EU법 적용에 예외를 두거나, EU법이 대부분 적용되지 않도록 지위를 변경하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변경은 EU의 공식적인 확대와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리스본 조약은 이러한 변경 절차를 더 쉽게 만들었다.
5. 1. 과거 영토 탈퇴
회원국의 일부 전(前) 영토는 통치 국가로부터 독립을 얻거나 EU 비회원국으로 이전되면서 EU와의 공식적인 관계를 단절했다. 이들 영토의 대부분은 EU의 일부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최대 해외 영토 지위를 가졌으며, 일반적으로 EC 법(EC law)은 이들 국가에서 시행되지 않았다.[1]5. 2. 회원국 탈퇴
리스본 조약에 의해 회원국의 탈퇴 절차가 더 쉬워졌다.[1] 현재까지 영국이 제50조를 통해 EU를 탈퇴한 유일한 국가이다.[1]6. EU 탈퇴 옹호 정당
여러 국가의 유럽 의회나 자국 의회에는 EU 탈퇴를 옹호하는 정당들이 진출해 있다.[43] 2014년 유럽 의회 선거 이후, EU의 연방주의적 경향을 비판하며 탈퇴를 옹호하는 정당들이 여러 회원국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44] 2024년 현재, 영국 외에 EU 탈퇴 투표를 실시한 국가는 없다.
국가 | 정당명 | 정치 성향 | 기타 |
---|---|---|---|
불가리아 | 부활당 | 극우 | 2023년 기준 국회 제3당 |
체코 | 자유와 직접 민주주의 | 극우 | EU 탈퇴 주장[47] |
덴마크 | 신 우파 | 국가 보수주의 | EU 가입 반대[48] |
핀란드 | 핀란드인당 | EU가 유럽 연방이 될 경우 탈퇴 주장[55][56] | |
프랑스 | 인민 공화 연합, 애국자 | EU 탈퇴 지지 | |
그리스 | 그리스 해결책, 황금 새벽 | EU 탈퇴 옹호[59][60] | |
헝가리 | 우리 조국 운동 | 국민투표를 통한 EU 탈퇴 제안[63] | |
이탈리아 | 이탈렉시트 | EU 탈퇴를 주요 목표로 창당[64] | |
네덜란드 | 포럼 더모크라시, 자유당 | EU 탈퇴(Nexit) 지지[65] | |
폴란드 | 자유와 독립 연맹 | 극우 | EU 가입 반대[66] |
루마니아 | 누아 드레아프타 | 우익 | EU 및 NATO 가입 반대[67] |
스웨덴 | 스웨덴을 위한 대안 | EU 탈퇴 지지, 스웨덴 의회에 대표 없음[44] |
6. 1. 불가리아
불가리아에서는 극우 정당인 부활당이 EU 탈퇴를 지지하며, 2023년 기준 국회에서 세 번째로 큰 정당이다. 부활당은 유럽 연합(EU) 내 특별 지위를 위한 "재협상" 또는 탈퇴를 지지한다.[45] 중립 불가리아 연합의 공격당과 같이 의회에 진출하지 못한 소규모 정당들도 탈퇴를 지지하며, 공격당은 유럽 연합 가입 조약에 서명한 정치인들을 "반역자"라고 불렀다.[46]6. 2. 체코
체코의 극우 정당인 자유와 직접 민주주의는 유럽 연합(EU) 탈퇴를 주장하고 있다.[47]6. 3. 덴마크 (Dexit-Danexit)
덴마크 의회에서, 국가 보수주의 정당인 신 우파는 덴마크의 유럽 연합(EU) 가입에 반대한다.[48] 이념적으로 유사한 덴마크 인민당은 원칙적으로 EU 가입에 반대하지만, 2001년 이후 친 EU 우파 연합을 실질적으로 지지해 왔다. 이 당의 공동 시장과 선택적 참여/탈퇴 솔루션 지지는 "더 많은 덴마크, 더 적은 EU"(Mere Danmark, mindre EU)라는 슬로건에 반영되었다. 2020년, 이 당은 반 EU 입장을 강화할 것을 선언했다.[49] 덴마크에서 세 번째로 큰 정당인 좌파 적녹동맹은 여전히 공식적으로 EU 가입에 반대하지만,[50] 당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유럽 의회에서, 덴마크 EU 반대 인민 운동은 1979년 첫 직접 선거부터 2019년까지 대표자를 배출했다. 통일 명부는 인민 운동의 단체 구성원이며 유럽 선거에 인민 운동의 후보로만 참여했다.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통일 명부는 독립적으로 참여하여 의석을 얻었고, 인민 운동은 의석을 잃었다. 인민 운동의 전 유럽 의회 의원인 리나 론자 카리는 통일 명부의 개인 회원 자격을 사임했다.
여론 조사는 대부분 덴마크인들이 EU 가입에 찬성하지만 유럽 회의론자임을 보여준다. 2018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소수의 덴마크인들만이 탈퇴를 원했지만 (12%는 "매우 많이", 16%는 "어느 정도"), 다수는 선택적 탈퇴 폐지에 반대했다 (유로에 대해 57% 반대, 22% 찬성; 방위 협력에 대해 42% 반대, 30% 찬성; 사법 협력에 대해 47% 반대, 22% 찬성).[51] 2019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신 우파 유권자의 37%가 탈퇴를 원했고, 다른 50%는 유럽 회의론자였다 ("EU에 남아 있지만 EU는 덴마크 상황에 덜 영향을 미쳐야 한다"). 덴마크 인민당 유권자의 경우 이 수치는 각각 18%와 57%였고, 통일 명부에서는 각각 11%와 42%였다. 다른 모든 정당에서 탈퇴는 유권자의 5% 이하의 지지를 받았지만, 상당한 유럽 회의론이 있었다 (26%에서 32% 사이). 그러나 사회 자유당 (15%)과 대안 (20%) 유권자 사이에서는 그 비율이 낮았다.[52]
때때로 EU와 북유럽 협력 사이의 선택에 대한 여론 조사는 비슷한 지지율을 보여주었다. 2020년 여론 조사는 각 대안에 대해 39%의 지지를 보여주었다.[53] 2019년 여론 조사에서는 북유럽 옵션에 42.7%, EU 옵션에 40.5%의 지지가 나타났다.[54]
6. 4. 핀란드
핀란드인당은 유럽 연합이 유럽 연방이 될 경우 핀란드가 유럽 연합을 탈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55][56] 이는 유럽 차원에서 고려되지 않는 제안이다.6. 5. 프랑스 (Frexit)
국민연합은 프랑스의 유럽 연합 탈퇴(프렉시트)를 옹호했던 극우 정당이었다. 그러나 당 대표인 마린 르 펜은 당명을 국민 전선프랑스어에서 변경한 직후, 이 정책을 배제하고 대신 유럽 연합의 제도 변화에 집중할 것을 제안했다.[57][58]인민 공화 연합과 애국자 정당은 프랑스의 유럽 연합 탈퇴를 지지한다.
6. 6. 그리스
그리스 해결책과 황금 새벽이 유럽 연합(EU) 탈퇴를 옹호하고 있다.[59][60]6. 7. 헝가리 (Huxit)
우리 조국 운동은 국민투표를 통해 유럽 연합 탈퇴를 제안한 유일한 헝가리 정당이다.[63] 반(反)LGBT 법안 승인으로 인해 헝가리가 EU를 떠나야 한다는 제안이 제기되었다.[61][62]6. 8. 이탈리아 (Italexit)
이탈리아의 상원 의원이자 언론인인 잔루이지 파라곤은 2020년 7월 유럽 연합 탈퇴를 주요 목표로 하는 정당 이탈렉시트를 창당했다.[64] 여러 국가의 국회 또는 유럽 의회에는 EU 탈퇴를 지지하는 정당들이 진출해 있다.[43]6. 9. 네덜란드 (Nexit)
포럼 더모크라시와 자유당은 유럽 연합 탈퇴(Nexit)를 지지하는 네덜란드의 주요 정당이다.[65]6. 10. 폴란드 (Polexit)
폴란드에서는 극우 정당 자유와 독립 연맹이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에 반대한다.[66] 2023년 폴란드 의회 선거 이후, 이 정당은 하원에서 18석(총 460석 중), 상원에서 0석, 유럽 의회에서 0석, 지역 의회에서 1석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2019년 폴란드 의회 선거와 비교하면 하원에서 7석, 지역 의회에서 1석이 증가한 것이다.6. 11. 루마니아 (Roexit)
루마니아에서는 소규모 우익 정당인 누아 드레아프타가 루마니아의 유럽 연합 및 NATO 가입에 반대한다.[67] 2020년 말 기준으로, 이 정당은 국회 또는 유럽 의회에 의원을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2020년 12월, 유럽 회의론자이자 극우 정당인 루마니아 연합을 위한 동맹 (AUR)이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하여 국내 4위 정당이 되었지만, 이 정당이 EU 탈퇴를 지지하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68]6. 12. 스웨덴
스웨덴에서는 스웨덴을 위한 대안이 유럽 연합 탈퇴를 지지하는 가장 큰 정당이다. 이 정당은 스웨덴 의회에 대표가 없다.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이 정당은 반 EU 플랫폼으로 출마하여 0.4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44]7. 기존 회원국 분리 및 내부 확장
기존 EU 회원국이 둘 이상의 국가로 분열되는 시나리오를 다루는 명확한 협정, 조약 또는 선례는 없다. 문제는 한 국가가 EU 회원으로 남는 승계 국가인지, 아니면 다른 국가가 EU에 남기 위해 재신청을 해야 하고 다른 모든 회원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새로운 국가인지, 아니면 분열 후 두 국가 모두 EU 회원 자격을 유지하는지 여부이다.[69][70]
어떤 경우에는 특정 지역이 자국에서 이탈하면 EU를 떠나게 된다. 예를 들어, 주변 국가로부터 스위스 확대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향후 시행될 경우를 들 수 있다.
2014년 스코틀랜드 독립 국민투표는 실패로 돌아갔는데, 당시 유럽 위원회는 새로 독립한 국가는 EU에 재가입하기 위해 EU와 협상해야 하는 새로운 국가로 간주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EU 전문가들은 과도기적 조치와 신속한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71][72][73] 정치적 고려 사항이 이 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카탈루냐의 경우, 다른 EU 회원국들은 자국 내 독립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독립적인 카탈루냐의 EU 회원 가입을 막는 데 관심을 가질 수 있다.[74]
8. EU 시민권에 대한 법적 영향
유럽 연합 시민권은 회원국의 시민권(국적)에 따라 결정되며, 시민권은 회원국에 전적으로 부여되는 권한이다. 따라서 EU 시민권은 회원국의 시민권을 취득하거나 상실해야만 취득하거나 상실할 수 있다. EU에서 탈퇴하는 국가의 시민은, 별도로 협상하고 법적으로 시행하지 않는 한, 더 이상 EU 시민이 아니게 된다는 것이 EU 탈퇴의 결과로 예상되지만, 아직 입증되지는 않았다.[75] 그러나 회원국의 EU 탈퇴로 인한 EU 시민권 자동 상실은 논쟁의 대상이다.[76]
9. 회원국 제명
유럽 연합 조약 제7조는 회원국이 유럽 연합의 기본 가치를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경우 해당 회원국의 특정 권리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국가는 탈퇴할 수 있지만, 회원국 제명에 대한 조항은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Article 50
https://web.archive.[...]
Eurostep
2018-08-23
[2]
웹사이트
Confirmation of UK Government agreement to Article 50 extension
https://www.gov.uk/g[...]
2019-03-22
[3]
뉴스
MPs back Johnson's plan to leave EU on 31 January
https://www.bbc.com/[...]
2020-08-09
[4]
뉴스
Brexit: European Parliament overwhelmingly backs terms of UK's exit
https://www.bbc.co.u[...]
2020-01-29
[5]
웹사이트
The European Union and the Territorial Scope of European Territories
https://web.archive.[...]
2014-03-31
[6]
웹사이트
What is Greenland's relationship with the EU?
https://web.archive.[...]
Folketing
2016-06-20
[7]
서적
Geographies of the superrich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5-01-20
[8]
논문
Enlargement and exit: The origins of Article 50
2019
[9]
뉴스
Article 50 was designed for European dictators, not the UK, says man who wrote it
https://www.independ[...]
2017-12-27
[10]
웹사이트
Article 50 author Lord Kerr says Brexit not inevitable
https://www.bbc.co.u[...]
2018-06-20
[11]
서적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olitics, Law, Practi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2-05
[12]
논문
Withdrawal and Expulsion from the EU and EMU: Some Reflections
http://www.ecb.int/p[...]
European Central Bank
2013-02-19
[13]
웹사이트
Consolidated Version of the Treaty on European Union
https://www.gov.uk/g[...]
HM Government
2017-12-27
[14]
웹사이트
page 99 of 344
http://eur-lex.europ[...]
2021-11-06
[15]
문서
Instead, the European Council may, on the initiative of the member state concerned, change the status of an [[overseas countries and territories|overseas country or territory]] (OCT) to an [[outermost region]] (OMR) or vice versa.
[16]
문서
"[[s:Consolidated version of the Treaty on European Union/Title VI: Final Provisions#Article 50|Article 50(3) of the Treaty on European Union]]."
[17]
웹사이트
What happens if we vote for Brexit?
https://constitution[...]
2016-05-14
[18]
문서
Article 50(4) of Lisbon Treaty which cites Article 49 Accession process
[19]
웹사이트
Europe without Britain: Assessing the Impact on the European Union of a British Withdrawal
https://web.archive.[...]
Stiftung Wissenshaft und Politik
2014-03-01
[20]
웹사이트
What will Brexit mean for British trade?
https://www.telegrap[...]
2017-04-02
[21]
웹사이트
We have not passed the point of no return – Richard Corbett
http://www.richardco[...]
2017-12-27
[22]
뉴스
UK can cancel Brexit by unilaterally revoking Article 50, European Court of Justice rules
The Independent
2018-12-10
[23]
뉴스
Brexit: UK can revoke Article 50, European court rules
https://www.irishtim[...]
2019-01-22
[24]
웹사이트
Judgment in Case C-621/18 Press and Information Wightman and Others v Secretary of State for Exiting the European Union(press release)
https://curia.europa[...]
2018-12-11
[25]
웹사이트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of 5 April 2017 on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Kingdom following its notification that it intends to withdraw from the European Union, paragraph L
http://www.europarl.[...]
European Parliament
2021-11-06
[26]
웹사이트
The (ir-)revocability of the withdrawal notification under Article 50 TEU – Conclusions
http://www.europarl.[...]
The European Union Policy Department for Citizens' Rights and Constitutional Affairs
2018-09-21
[27]
웹사이트
State of play of Article 50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Kingdom
http://europa.eu/rap[...]
The European Commission
2018-09-23
[28]
뉴스
Chief EU negotiator pushing to ensure Britain can't pull back from two-year Brexit process
https://www.independ[...]
2017-12-27
[29]
논문
Revoking Brexit: Can member states rescind their declaration of withdrawal from the European Union?
https://heinonline.o[...]
Columbia Law School
2017-04-05
[30]
웹사이트
EU Law Analysis – Expert insight into EU law developments – Can an Article 50 notice of withdrawal from the EU be unilaterally revoked?
http://eulawanalysis[...]
University of Essex
2018-09-20
[31]
문서
Article 50(4) of Lisbon Treaty, which cites Article 49 accession process.
[32]
문서
"6. The European Council may, on the initiative of the Member State concerned, adopt a decision amending the status, with regard to the Union, of a Danish, French or Netherlands country or territory referred to in paragraphs 1 and 2. The European Council shall act unanimously after consulting the Commission."
[33]
웹사이트
TRAITÉ instituant la Communauté Économique Européenne et documents annexes
https://eur-lex.euro[...]
1962-11-13
[34]
웹사이트
Europe once stretched into Algeria {{!}} Politics & Society
https://bfna.org/pol[...]
2024-07-07
[35]
뉴스
Greenland Out of E.E.C.,
New York Times
1985-02-04
[36]
웹사이트
European law mentioning Greenland Treaty
http://eur-lex.europ[...]
2009-10-21
[37]
뉴스
Exits before Brexit: Sub-State Separations from the European Union, 1962–2012
https://globalhistor[...]
Scottish Centre for Global History
2020-08-25
[38]
웹사이트
Draft European Council Decision on amendment of the European status of the island of Saint-Barthélemy – adoption
http://register.cons[...]
2010-10-27
[39]
뉴스
Brexit: All you need to know about the UK leaving the EU
https://www.bbc.co.u[...]
2016-11-03
[40]
웹사이트
EU Referendum Results
https://www.bbc.com/[...]
2019-12-23
[41]
웹사이트
House of Commons Briefing Paper 7960, summary
https://researchbrie[...]
2019-02-06
[42]
웹사이트
Advice for British nationals travelling and living in Europe
https://www.gov.uk/g[...]
The U.K. Government
2017-01-19
[43]
뉴스
Brussels' Fear of the True Finns: Rise of Populist Parties Pushes Europe to the Right,
http://www.spiegel.d[...]
Spiegel
2011-04-25
[44]
간행물
Introducing the EU exit index measuring each member state's propensity to leave the European Union
2021
[45]
웹사이트
Revival On The Rise: Ahead Of Elections, Far-Right Party Is Tapping Into Bulgarian Public Anger
https://www.rferl.or[...]
2023-04-03
[46]
웹사이트
Top Bulgarian Nationalist Presents B-day Gifts to Putin
http://www.right-wor[...]
[47]
뉴스
France's Le Pen announces far-right bloc of anti-EU MEPs
https://www.bbc.com/[...]
2015-06-16
[48]
웹사이트
EU Policy
https://nyeborgerlig[...]
Nye Borgerlige
[49]
웹사이트
Kristian Thulesen Dahl: The Danish People's Party are EU opponents
https://www.dr.dk/ny[...]
Danmarks Radio
2020-06-05
[50]
웹사이트
Subprogramme: This is the Unity List's view of the EU
https://enhedslisten[...]
Unity List
[51]
웹사이트
Large differences among EU stances of Danes
http://thinkeuropa.d[...]
Think Tank Europe
2018-08-23
[52]
웹사이트
New opinion poll: Danes want to remain in the EU, but don't want to skip opt-outs
https://www.altinget[...]
Altinget
2019-01-28
[53]
웹사이트
People's Movement against the EU: A representative poll shows Danes divided in the question of EU membership
https://www.folkebev[...]
People's Movement against the EU
2020-04-08
[54]
웹사이트
Most Danes want Nordic cooperation before EU membership
https://arbejderen.d[...]
Arbejderen
2019-04-26
[55]
뉴스
Political parties
http://www.nsd.uib.n[...]
2010-03-13
[56]
뉴스
The right-wing Finns Party does well in Finland's election
https://www.economis[...]
2019-04-17
[57]
웹사이트
Après l'euro et le Frexit, nouveau revirement européen de Marine Le Pen
https://www.huffingt[...]
2021-01-29
[58]
웹사이트
Marine Le Pen n'envisage plus de suspendre les accords de Schengen
https://www.20minute[...]
2021-01-29
[59]
웹사이트
Πολιτικές Θέσεις
http://xryshaygh.com[...]
Golden Dawn
[60]
웹사이트
In crisis-ridden Europe, euroscepticism is the new cultural trend
http://www.opendemoc[...]
2012-10-10
[61]
뉴스
Dutch leader challenges Hungary to leave EU over LGBTQ spat
https://www.bloomber[...]
2021-06-24
[62]
뉴스
EU to Hungary's Orbán: Respect LGBT rights or leave
https://www.reuters.[...]
2021-06-25
[63]
뉴스
Ki tudná léptetni a kormány Magyarországot az EU-ból?
https://www.szabadeu[...]
2020-12-08
[64]
웹사이트
Italexit! Popular senator launches party to take Italy out of EU
https://www.reuters.[...]
2020-07-21
[65]
웹사이트
PVV: Nederland moet uit EU. (The Netherlands should get out of the EU)
http://nos.nl/artike[...]
Nos.nl
2012-07-03
[66]
웹사이트
"Łączy nas Polexit". Narodowcy i Korwin-Mikke łączą siły przed wyborami do PE
https://www.dorzeczy[...]
2018-12-06
[67]
뉴스
Între legionarism deghizat și naționalism-autoritar
https://moldova.euro[...]
2018-03-25
[68]
뉴스
The Center Holds in Romania, but a New Far-Right Party Spells Trouble
https://www.worldpol[...]
2020-12-25
[69]
뉴스
Scotland's Position in the European Union
Blacket Avenue Press
2014-01
[70]
뉴스
Scottish independence: Irish minister says EU application 'would take time'
https://www.bbc.co.u[...]
BBC
2013-01-25
[71]
뉴스
Independent Scotland 'would have to apply to join EU' – Brussels official
https://www.theguard[...]
2017-03-14
[72]
뉴스
An independent Scotland could be 'fast-tracked into the EU'
https://www.scotsman[...]
2017-02-20
[73]
뉴스
Reality Check: Could Scotland inherit the UK's EU membership?
https://www.bbc.co.u[...]
2016-06-24
[74]
웹사이트
The 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is pro-EU – but will the EU accept it?
http://blogs.lse.ac.[...]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17-10-10
[75]
웹사이트
Guidelines Involuntary Loss of European Citizenship (ILEC Guidelines 2015)
http://www.ilecproje[...]
2017-12-27
[76]
간행물
The Withdrawal Clause of the Lisbon Treaty in the Light of EU Citizenship (Between Disintegration and Integration)
http://ir.lawnet.for[...]
2017-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