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는 1466년경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태어난 르네상스 시대의 인문주의자이자 기독교 사상가이다. 그는 고전 문헌 연구와 신약성서의 그리스어 원본 번역을 통해 서방교회의 개혁을 촉구했으며, 《우신예찬》과 같은 저서를 통해 사회와 교회의 부조리를 비판했다. 루터의 종교개혁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며 양측으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 평화주의를 강조했다. 에라스뮈스는 "인문주의자들의 왕자"로 불리며, 서구 문학, 사상,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작은 한국어로 번역, 연구되었으며, 일본에는 에라스뮈스 호의 목상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라틴어학자 - 후고 그로티우스
후고 그로티우스는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자연법에 기초한 국제법을 주창하고 《전쟁과 평화의 법》 등의 저서를 통해 전쟁의 정당한 이유와 바다의 자유로운 이용을 주장했다. - 네덜란드의 교육자 - 마르크 뤼터
마르크 뤼터는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하고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자유민주국민당 대표를 지냈고,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하다 2023년 사임했다. - 네덜란드의 교육자 - 헨드리퀴스 콜레인
헨드리퀴스 콜레인은 네덜란드의 반혁명당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총 5차례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하며 대공황 시기 경제 위기에 대응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점령 하에서 독일의 지도력 수용을 주장했다.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신부 |
이름 |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
다른 이름 |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로테로다무스 |
출생일 | 1466년/1469년 10월 28일 (추정)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부르고뉴 네덜란드 로테르담 또는 고우다 |
사망일 | 1536년 7월 12일(69세) |
사망지 | 바젤 |
종교 | 기독교 |
소속 교단 | 가톨릭교회 |
서품일 | 1492년 4월 25일 |
학문적 배경 | |
학파/전통 | 르네상스 인문주의 |
시대 | 북유럽 르네상스 |
주요 관심사 | Bonae litterae 문헌학 사목 신학 교부학 가톨릭 신학 정치 철학 교육 철학 개신교 비판 |
영향을 준 인물 | 복음서 히에로니무스 오리게네스 로렌초 발라 존 콜렛 장 비트리에 존 피셔 알두스 마누티우스 키케로 소크라테스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
영향을 받은 인물 | 토머스 모어 마르틴 루터 필리프 멜란히톤 훌드리히 츠빙글리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 윌리엄 틴들 장 칼뱅 볼프강 카피토 다미앙 드 고이스 프랑수아 라블레 미겔 데 세르반테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이냐시오 데 로욜라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존 헨리 뉴먼 앙리 드 뤼박 |
주요 업적 및 사상 | |
알려진 업적 | 신약성경 번역 및 주해 풍자 평화주의 서한 저술 및 편집 |
주요 저서 | 우신예찬 그리스도 군인의 지침서 어린이의 예절에 대하여 율리우스, 천국에서 추방됨 그리스도교 군주 교육 Novum Instrumentum omne 자유 의지에 관하여 |
주요 사상 | Philosophia Christi (그리스도의 철학) 성경의 ad fontes (근원으로) 에라스뮈스식 발음 정당 전쟁론 비판 융화 Lectio difficilior potior (더 어려운 구절이 더 나은 구절이다) |
교육 및 경력 | |
교육 | 파리 대학교 퀸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토리노 대학교 (신학 박사, 1506년) |
직장 | 케임브리지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뢰번 대학교 |
수상 | 카를 5세의 고문 (명예) |
기타 | |
영향 | 서양 교육사 |
2. 생애
에라스뮈스의 거의 70년의 생애는 4분기로 나눌 수 있다.
- 첫 번째 시기는 그가 중세 시기에 네덜란드에서 보낸 어린 시절로, 고아가 되고 가난해지면서 끝을 맺었다.
- 두 번째 시기는 교회법에 따른 성직자(일종의 준 수도사), 성직자, 사제, 실패한 허약한 대학생, 시인이 되려 했던 사람, 그리고 가정교사로서 고군분투했던 시기이다.
- 세 번째 시기는 1499년 개혁적인 영국의 존 콜렛과 토머스 모어를 비롯한 서클과의 만남, 급진적인 프랑스 프란치스코회 수도사 장 비트리에(또는 보이리에)와의 만남, 그리고 나중에는 베네치아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알디네 신 아카데미와의 만남 이후, 더욱 집중하고 문학적인 생산성이 증가하면서 전성기를 누렸던 르네상스 시대이다.
- 네 번째 시기는 검은 숲 근처에서 보낸 종교 개혁 시대의 비교적 경제적으로 안정된 시기이다. 그는 자신의 신약성경과 루터교의 여러 측면에 대한 공개적인 반대를 통해 유럽 사상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처음에는 바젤에서, 그 다음에는 가톨릭 종교 난민으로서 프라이부르크에서 활동했다.

에라스뮈스는 1466년경(1467년, 1469년 설도 있음)[9][22][10][11]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태어났다.[394] 그의 초명은 '''헤이르트 헤이르츠'''(Geert Geertsnl)였다. 아버지 로저 제라드(Roger Gerard)는 서방교회의 성직자, 사제였고,[395][396] 어머니 마르가레타는 외과의사의 딸이었다.[397] 그는 사생아였지만, 부모의 보살핌을 받으며, 사랑이 넘치는 가정과 최고의 교육을 받았다.[22] 1483년에 흑사병으로 부모를 모두 잃었다.[397] 이후 에라스뮈스는 여러 수도원 학교에서 수학했다. 특히 공동생활 형제회(''Brethren of the Common Life'')가 운영한 학교에서 《그리스도를 따라서》(''The Imitation of Christ'')라는 책을 통해 신과의 개인적 만남의 중요성에 대해 연구하고, 수도원과 학교의 엄격한 규율을 피했다.[377]
1484년경, 그는 그의 형과 함께 공동 생활 형제회가 운영하는 s-Hertogenbosch의 문법 학교나 신학교에 다녔다.[24][25] 그는 그곳에서 현대 경건주의 운동과 형제회의 유명한 책 ''그리스도를 본받아''에 노출되었지만, 종교 형제들과 교육자들의 가혹한 규칙과 엄격한 방법에 반감을 느꼈다.[10]
1487년 친족의 강요로[377] 스테인에 있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수도원에 들어갔다.[378] 여기서 그는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아우구스티누스, 히에로니무스 등의 고전 라틴어 문학을 탐독하고,[378] 이탈리아 유학을 꿈꾸게 되었다.[9] 그는 고전 교양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반 야만주의론』의 집필을 시작했다.[378]

1487년, 에라스뮈스는 친족의 뜻에 따라 델프트 근처 스테인에 있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의 수도원에 들어갔다.[378] 그는 이곳에서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아우구스티누스, 히에로니무스 등의 고전을 탐독하며 고전 교양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반 야만주의론』의 집필을 시작했다. 그러나 그는 수도회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수도원을 떠날 기회를 찾고 있었다.[378]
1492년, 에라스뮈스는 가난 때문에 수도원에 들어갔으며,[400] 25세에 서방교회의 사제로 서품받았다.[378] 그는 아우구스티누스 교회법에 맹세했지만, 서방교회 사제로서 오랫동안 적극적으로 활동할 생각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에라스뮈스는 일생 동안 교회의 부정부패를 비판했으며, 그 비판에는 수도원 제도에 대한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400]
사제서품을 받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뛰어난 라틴어 실력과 지식인으로서의 명성 덕분에 캉브레(Cambrai) 지역 주교의 비서직을 제안받아 수도원 밖에서 지낼 기회를 얻었다.[400] 캄브레이 주교 헨리 오브 베르겐의 라틴 비서직을 맡게 된 것이다.[48] 주교의 비서로 일해야 하는 점과 건강상의 이유로 그는 사제로서의 의무에서 일시적으로 면제됐다. 이후 교황 레오 10세는 이 면제를 영구적인 것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당시에는 상당한 특권이었다.[400]
1493년, 그의 전임자는 그가 스타인 하우스를 떠나도록 주선했다.[47] 1500년부터 그는 스타인 수도원으로 돌아가는 것을 피했고, 심지어 그 식단과 시간이 그를 죽일 것이라고 주장했지만,[52] 여행 중에 다른 아우구스티누스 공동체와 다른 수도회의 수도원에 머물렀다. 1505년, 교황 율리우스 2세는 에라스뮈스가 특정 특전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수도회의 통제와 의복으로부터 서약된 가난으로부터 면제를 허가했다. 그는 사제이자 형식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수도사로 남았다.[56] 에라스뮈스는 남은 생을 그렇게 보냈다.[35]
1495년 캉브레 주교의 허락을 받아 파리 대학교의 몽테규 학료(Collège de Montaigu)에서 신학을 공부했다.[61] 이곳은 잔 스탄돈크(Jan Standonck)의 주도로 프랑스 교회 개혁 운동의 중심지였으나, 당시에는 이미 르네상스 인문주의 영향에 놓여 있었다.[63] 에라스뮈스는 얀 스탄동크의 엄격함에 대해 불평했고,[62] 스콜라 철학에 깊은 혐오감을 갖게 되었다. 파리에서 시인이자 "인문학 교수"였던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푸블리오 파우스토 안드렐리니와 절친한 친구가 되는등[64] 이 시기 인문주의자들과 교류하며 고전 연구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499년 윌리엄 블런트, 4대 마운트조이 남작의 초청으로 잉글랜드를 처음 방문한 에라스뮈스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가르치며 존 콜렛, 토머스 모어 등과 교류했다.[68] 특히 존 콜렛의 성서 연구 방법론에 큰 영향을 받아 교부 철학과 유사한 방식으로 성경을 가르쳤으며,[68] 이를 계기로 성서 연구에 몰두하게 되었다. 콜렛의 사상은 에라스뮈스에게 평화주의,[69] 개혁적인 사고방식,[70] 반-스콜라주의에 영향을 끼쳤다.[75] 에라스뮈스는 불가타 성서를 새롭게 해석하고 더 심층적으로 신학을 연구하기 위해 그리스어를 3년간 집중적으로 익혔다.[401] 그는 친구들에게 책과 공부할 돈을 보내달라고 편지를 보내곤 했다.[401]
이후, 1500년 『격언집』, 1504년 『엔키리디온』을 출판하며 학자로서 명성을 얻었다.[379] 또한 같은 해, 로렌초 발라가 쓴 『신약 성서 주해』의 필사본을 발견한 것은 그의 인생의 방향을 결정짓는 사건이 되었다.[380]
에라스뮈스는 토마스 모어와 절친한 친구가 되었으며, 모어의 사상은 14세기 프랑스 신학자 장 게르송의 영향을 받았다.[72][73]
1506년에는 토리노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82] 그는 ''가는 길에'' 로렌초 발라의 ''신약성경 주석''을 발견하고 어원론을 사용하여 신약성경을 연구하게 되었다.[81]
에라스뮈스는 파리, 루뱅, 영국, 바젤 등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저술 및 출판 활동에 전념했다.[401][402] 1499년 영국에서 존 콜렛의 성서 연구법에 영향을 받아 그리스어를 집중적으로 공부했다.[401] 1506년부터 1509년까지 이탈리아에 머물며 학자들과 교류했고, 1506년 토리노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02]
1511년 토머스 모어의 집에 머물면서 가톨릭 교회를 비판한 풍자 문학인 『우신예찬』을 저술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408] 그는 "가장 행복한 사람은 학문이나 예술에서 떠나 자연만을 주인으로 모시게 된 사람이다"라고 하면서 권위주의에 빠진 기독교와 직업적인 성직자를 비난하였다.[408]
1514년 이후 바젤에서 출판업자 요한 프로벤과 협력하여 『교정판 신약 성서』(1516)와 『예로니무스 저작집』(1516)을 출판하여 학문적 명성을 확고히 했다.[381] 1516년에는 카를 5세의 고문으로 임명되어 『그리스도교 군주 교육』을 저술했다.
1517년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운동이 시작되자, 에라스뮈스는 초기에는 루터에게 호의적이었다.[405] 그러나 교회의 분열을 우려하여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고, 천주교와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408] 에라스뮈스는 서방교회 개혁 반대파인 천주교와 개혁 찬성파인 개신교 간의 대립에서 중용의 태도를 견지했다.[408] 그는 성직자의 부정을 비판하면서도 교회 제도 자체는 인정하며 성직자들에게 악의는 없다고 역설했다.[408]
마르틴 루터는 신약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한 후 에라스뮈스로부터 인정받으려 했으나, 에라스뮈스는 중용을 강조하며 루터의 제의를 거절했다.[408] 에라스뮈스는 루터의 교회 비판에 동의하면서도, 그의 과격한 방식이 교회 내 수구 세력의 입장만 강화할 것이라고 판단했다.[408]
1524년 에라스뮈스는 『자유의지론』을 발표하여 인간의 자유 의지를 부정하는 루터의 예정설을 비판했다.[406][407] 루터는 이에 『노예의지론』으로 반박했고, 에라스뮈스는 다시 『반론』(Hyperaspistes)을 저술하며 자신의 입장을 변호했다.

에라스뮈스는 중년 이후 본격화된 루터의 종교개혁에 대해 교회 권력에 대한 비판에는 호의적이었으나, 극단적인 신앙은 싫어하여 루터와 대립하며 중도를 취했다.[408] 이로 인해 천주교와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비판받는 곤경에 처했다.[408]
1529년 초, 오콜람파디우스가 주도한 성상 파괴 폭동[127]으로 바젤이 개신교를 공식 채택하자,[128] 에라스뮈스는 1529년 4월 13일 바젤을 떠나 프라이부르크로 이주했다.[158] 그는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의 보호를 받으며,[158] 모어에게 "절제가 돌아올 희망이 있었다"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130]
1530년 초, 에라스뮈스는 탄저병으로 추정되는 질병으로 3개월간 병상에 누웠다.[131] 그는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 참석을 거절하며, 교황 특사 캄페지오에게 "하나님께서 '데우스 엑스 마키나'처럼 나타나 인간의 마음을 변화시키지 않는 한 이 거대한 비극에서 벗어날 방법이 보이지 않습니다"라고 비관적인 심정을 드러냈다.[131]
그는 고래 하우스의 최상층에서 2년간 머물렀고,[132] 이후 자신의 집을 사서 다미앙 드 고이스와 같은 학자들을 식객으로 받았다.[135]

쇠약해지는 상황에도 불구하고,[134] 에라스뮈스는 ''교회론(Ecclesiastes)''과 ''죽음 준비'' 등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137][138] 특히 드 고이스는 사미와 에티오피아 교회의 상황에 대한 로비를 진행하며,[207] 에라스뮈스가 해외 선교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영향을 주었다.[136]
토머스 모어가 재상으로 임명된 시기부터 사임할 때까지(1529-1533) 에라스뮈스와 모어 사이의 서신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에라스뮈스는 토마스 볼린의 후원 아래 ''시편 23편에 대한 삼중 해설''(1529), ''신조 해설''(1533) 등 여러 작품을 썼다.[137]
1535년, 건강이 악화되자 네덜란드 섭정 헝가리의 마리아 여왕의 초대로 브라반트로 이주하려 했으나, 외콜람파디우스가 사망하고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자 바젤로 돌아와 ''교회론'' 등 마지막 저서들을 출판했다. 1536년 7월 12일, 이질로 사망했다.[144] 그의 마지막 말은 "주여, 끝을 맺으소서"()였으며,[146] 그 다음은 "사랑하는 하나님"()이었다.[147]
그는 바젤 대성당에 묻혔으며, 개신교 시 당국은 그의 장례식을 가톨릭 위령 미사로 허용했다.[151] 그는 보니파키우스 아메르바흐를 유언 집행인으로 임명하여 학생들과 빈민들을 위한 기금을 마련하도록 했다.[155]
에라스뮈스는 평생 병약했으며, 4일 열(Quartan fever), 발한열(sweating sickness), 신장 결석, 통풍 등 여러 질병을 앓았다.[338][339] 그의 유해에서는 농포성 골관절염,[343] 매독 또는 요스,[343] 류마티스 관절염, 장성 류마티즘,[344] 척추관절염[345] 등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466년경-1492년)
에라스뮈스는 1466년경(1467년, 1469년 설도 있음)[9][22][10][11]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태어났다.[394] 그의 초명은 '''헤이르트 헤이르츠'''(804/Geert Geerts}})였다. 아버지 로저 제라드(Roger Gerard)는 서방교회의 성직자, 사제였고,[395][396] 어머니 마르가레타는 외과의사의 딸이었다.[397] 그는 사생아였지만, 부모의 보살핌을 받으며, 사랑이 넘치는 가정과 최고의 교육을 받았다.[22] 1483년에 흑사병으로 부모를 모두 잃었다.[397] 이후 에라스뮈스는 여러 수도원 학교에서 수학했다. 특히 공동생활 형제회(''Brethren of the Common Life'')가 운영한 학교에서 《그리스도를 따라서》(''The Imitation of Christ'')라는 책을 통해 신과의 개인적 만남의 중요성에 대해 연구하고, 수도원과 학교의 엄격한 규율을 피했다.[377]1484년경, 그는 그의 형과 함께 공동 생활 형제회가 운영하는 s-Hertogenbosch의 문법 학교나 신학교에 다녔다.[24][25] 그는 그곳에서 현대 경건주의 운동과 형제회의 유명한 책 ''그리스도를 본받아''에 노출되었지만, 종교 형제들과 교육자들의 가혹한 규칙과 엄격한 방법에 반감을 느꼈다.[10]
1487년 친족의 강요로[377] 스테인에 있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수도원에 들어갔다.[378] 여기서 그는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아우구스티누스, 히에로니무스 등의 고전 라틴어 문학을 탐독하고,[378] 이탈리아 유학을 꿈꾸게 되었다.[9]{{rpnl 그는 고전 교양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반 야만주의론』의 집필을 시작했다.[378]
2. 2. 수도원 생활과 사제 서품 (1492년-1495년)
1487년, 에라스뮈스는 친족의 뜻에 따라 델프트 근처 스테인에 있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의 수도원에 들어갔다.[378] 그는 이곳에서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아우구스티누스, 히에로니무스 등의 고전을 탐독하며 고전 교양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반 야만주의론』의 집필을 시작했다. 그러나 그는 수도회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수도원을 떠날 기회를 찾고 있었다.[378]1492년, 에라스뮈스는 가난 때문에 수도원에 들어갔으며,[400] 25세에 서방교회의 사제로 서품받았다.[378] 그는 아우구스티누스 교회법에 맹세했지만, 서방교회 사제로서 오랫동안 적극적으로 활동할 생각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에라스뮈스는 일생 동안 교회의 부정부패를 비판했으며, 그 비판에는 수도원 제도에 대한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400]
사제서품을 받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뛰어난 라틴어 실력과 지식인으로서의 명성 덕분에 캉브레(Cambrai) 지역 주교의 비서직을 제안받아 수도원 밖에서 지낼 기회를 얻었다.[400] 캄브레이 주교 헨리 오브 베르겐의 라틴 비서직을 맡게 된 것이다.[48] 주교의 비서로 일해야 하는 점과 건강상의 이유로 그는 사제로서의 의무에서 일시적으로 면제됐다. 이후 교황 레오 10세는 이 면제를 영구적인 것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당시에는 상당한 특권이었다.[400]
1493년, 그의 전임자는 그가 스타인 하우스를 떠나도록 주선했다.[47] 1500년부터 그는 스타인 수도원으로 돌아가는 것을 피했고, 심지어 그 식단과 시간이 그를 죽일 것이라고 주장했지만,[52] 여행 중에 다른 아우구스티누스 공동체와 다른 수도회의 수도원에 머물렀다. 1505년, 교황 율리우스 2세는 에라스뮈스가 특정 특전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수도회의 통제와 의복으로부터 서약된 가난으로부터 면제를 허가했다. 그는 사제이자 형식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수도사로 남았다.[56] 에라스뮈스는 남은 생을 그렇게 보냈다.[35]
2. 3. 파리 유학과 인문주의와의 만남 (1495년-1499년)
1495년 캉브레 주교의 허락을 받아 파리 대학교의 몽테규 학료(Collège de Montaigu)에서 신학을 공부했다.[61] 이곳은 잔 스탄돈크(Jan Standonck)의 주도로 프랑스 교회 개혁 운동의 중심지였으나, 당시에는 이미 르네상스 인문주의 영향에 놓여 있었다.[63] 에라스뮈스는 얀 스탄동크의 엄격함에 대해 불평했고,[62] 스콜라 철학에 깊은 혐오감을 갖게 되었다. 파리에서 시인이자 "인문학 교수"였던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푸블리오 파우스토 안드렐리니와 절친한 친구가 되는등[64] 이 시기 인문주의자들과 교류하며 고전 연구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2. 4. 잉글랜드 방문과 학문적 성장 (1499년-1509년)
1499년 윌리엄 블런트, 4대 마운트조이 남작의 초청으로 잉글랜드를 처음 방문한 에라스뮈스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가르치며 존 콜렛, 토머스 모어 등과 교류했다.[68] 특히 존 콜렛의 성서 연구 방법론에 큰 영향을 받아 교부 철학과 유사한 방식으로 성경을 가르쳤으며,[68] 이를 계기로 성서 연구에 몰두하게 되었다. 콜렛의 사상은 에라스뮈스에게 평화주의,[69] 개혁적인 사고방식,[70] 반-스콜라주의에 영향을 끼쳤다.[75] 에라스뮈스는 불가타 성서를 새롭게 해석하고 더 심층적으로 신학을 연구하기 위해 그리스어를 3년간 집중적으로 익혔다.[401] 그는 친구들에게 책과 공부할 돈을 보내달라고 편지를 보내곤 했다.[401]이후, 1500년 『격언집』, 1504년 『엔키리디온』을 출판하며 학자로서 명성을 얻었다.[379] 또한 같은 해, 로렌초 발라가 쓴 『신약 성서 주해』의 필사본을 발견한 것은 그의 인생의 방향을 결정짓는 사건이 되었다.[380]
에라스뮈스는 토마스 모어와 절친한 친구가 되었으며, 모어의 사상은 14세기 프랑스 신학자 장 게르송의 영향을 받았다.[72][73]
1506년에는 토리노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82] 그는 ''가는 길에'' 로렌초 발라의 ''신약성경 주석''을 발견하고 어원론을 사용하여 신약성경을 연구하게 되었다.[81]
2. 5. 전성기와 종교개혁 논쟁 (1509년-1529년)
에라스뮈스는 파리, 루뱅, 영국, 바젤 등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저술 및 출판 활동에 전념했다.[401][402] 1499년 영국에서 존 콜렛의 성서 연구법에 영향을 받아 그리스어를 집중적으로 공부했다.[401] 1506년부터 1509년까지 이탈리아에 머물며 학자들과 교류했고, 1506년 토리노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02]1511년 토머스 모어의 집에 머물면서 가톨릭 교회를 비판한 풍자 문학인 『우신예찬』을 저술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408] 그는 "가장 행복한 사람은 학문이나 예술에서 떠나 자연만을 주인으로 모시게 된 사람이다"라고 하면서 권위주의에 빠진 기독교와 직업적인 성직자를 비난하였다.[408]
1514년 이후 바젤에서 출판업자 요한 프로벤과 협력하여 『교정판 신약 성서』(1516)와 『예로니무스 저작집』(1516)을 출판하여 학문적 명성을 확고히 했다.[381] 1516년에는 카를 5세의 고문으로 임명되어 『그리스도교 군주 교육』을 저술했다.
1517년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운동이 시작되자, 에라스뮈스는 초기에는 루터에게 호의적이었다.[405] 그러나 교회의 분열을 우려하여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고, 천주교와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408] 에라스뮈스는 서방교회 개혁 반대파인 천주교와 개혁 찬성파인 개신교 간의 대립에서 중용의 태도를 견지했다.[408] 그는 성직자의 부정을 비판하면서도 교회 제도 자체는 인정하며 성직자들에게 악의는 없다고 역설했다.[408]
마르틴 루터는 신약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한 후 에라스뮈스로부터 인정받으려 했으나, 에라스뮈스는 중용을 강조하며 루터의 제의를 거절했다.[408] 에라스뮈스는 루터의 교회 비판에 동의하면서도, 그의 과격한 방식이 교회 내 수구 세력의 입장만 강화할 것이라고 판단했다.[408]
1524년 에라스뮈스는 『자유의지론』을 발표하여 인간의 자유 의지를 부정하는 루터의 예정설을 비판했다.[406][407] 루터는 이에 『노예의지론』으로 반박했고, 에라스뮈스는 다시 『반론』(Hyperaspistes)을 저술하며 자신의 입장을 변호했다.
2. 6. 말년 (1529년-1536년)
에라스뮈스는 중년 이후 본격화된 루터의 종교개혁에 대해 교회 권력에 대한 비판에는 호의적이었으나, 극단적인 신앙은 싫어하여 루터와 대립하며 중도를 취했다.[408] 이로 인해 천주교와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비판받는 곤경에 처했다.[408]1529년 초, 오콜람파디우스가 주도한 성상 파괴 폭동[127]으로 바젤이 개신교를 공식 채택하자,[128] 에라스뮈스는 1529년 4월 13일 바젤을 떠나 프라이부르크로 이주했다.[158] 그는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의 보호를 받으며,[158] 모어에게 "절제가 돌아올 희망이 있었다"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130]
1530년 초, 에라스뮈스는 탄저병으로 추정되는 질병으로 3개월간 병상에 누웠다.[131] 그는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 참석을 거절하며, 교황 특사 캄페지오에게 "하나님께서 '데우스 엑스 마키나'처럼 나타나 인간의 마음을 변화시키지 않는 한 이 거대한 비극에서 벗어날 방법이 보이지 않습니다"라고 비관적인 심정을 드러냈다.[131]
그는 고래 하우스의 최상층에서 2년간 머물렀고,[132] 이후 자신의 집을 사서 다미앙 드 고이스와 같은 학자들을 식객으로 받았다.[135]
쇠약해지는 상황에도 불구하고,[134] 에라스뮈스는 ''교회론(Ecclesiastes)''과 ''죽음 준비'' 등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137][138] 특히 드 고이스는 사미와 에티오피아 교회의 상황에 대한 로비를 진행하며,[207] 에라스뮈스가 해외 선교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영향을 주었다.[136]
토머스 모어가 재상으로 임명된 시기부터 사임할 때까지(1529-1533) 에라스뮈스와 모어 사이의 서신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에라스뮈스는 토마스 볼린의 후원 아래 ''시편 23편에 대한 삼중 해설''(1529), ''신조 해설''(1533) 등 여러 작품을 썼다.[137]
1535년, 건강이 악화되자 네덜란드 섭정 헝가리의 마리아 여왕의 초대로 브라반트로 이주하려 했으나, 외콜람파디우스가 사망하고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자 바젤로 돌아와 ''교회론'' 등 마지막 저서들을 출판했다. 1536년 7월 12일, 이질로 사망했다.[144] 그의 마지막 말은 "주여, 끝을 맺으소서"()였으며,[146] 그 다음은 "사랑하는 하나님"()이었다.[147]
그는 바젤 대성당에 묻혔으며, 개신교 시 당국은 그의 장례식을 가톨릭 위령 미사로 허용했다.[151] 그는 보니파키우스 아메르바흐를 유언 집행인으로 임명하여 학생들과 빈민들을 위한 기금을 마련하도록 했다.[155]
에라스뮈스는 평생 병약했으며, 4일 열(Quartan fever), 발한열(sweating sickness), 신장 결석, 통풍 등 여러 질병을 앓았다.[338][339] 그의 유해에서는 농포성 골관절염,[343] 매독 또는 요스,[343] 류마티스 관절염, 장성 류마티즘,[344] 척추관절염[345] 등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3. 사상
에라스무스는 "인문주의자들의 왕자"라는 칭호를 누렸고, 순수한 라틴어 문체를 구사하는 고전적인 학자였다. "최고 영광의 기독교 인문주의자"로도 불렸다.[392] 그는 헬라 그리스어의 신약성서를 라틴어로 새롭게 다시 번역했다. 이는 서방교회의 기독교 사상에 의문을 표시하면서 서방교회의 종교 개혁과 종교개혁 찬성파와 반대파가 천주교와 개신교로 분리된 이후에 개혁 반대파였던 가톨릭 개혁에도 영향을 끼쳤다. 그의 다른 작품으로 《우신 예찬》, 《기독교 기사의 안내서》등이 있다.
에라스무스가 살았던 시대는 많은 지식인들이 서방교회 제도로 발생한 성직자의 권한 남용을 비판하던 때였다. 어떤 비평가들은 교황중심주의의 폐해를 지적했고 새로운 신학 체계를 세웠다. 에라스무스도 동시대 주류 서방교회의 신앙과 부정, 관행을 비판하던 교회 개혁가 중 한 사람이다. 한편 그는 서방교회 전통인 자유 의지(free will영어) 관념을 지지했다. 그래서 그는 종교개혁 사상 중 예정론을 지지하는 칼뱅주의자들과 마찰이 있었다. 그의 이러한 중립 노선은 마르틴 루터 같은 서방교회 개혁 찬성파인 종교개혁자들과 개혁 반대파인 '교황주의자' 양쪽의 실망과 분노를 샀다. 로마 교황청의 부정부패와 성직자의 권한 남용을 비판했지만, 에라스무스는 종교개혁의 찬성파인 개신교와 개혁 반대파인 천주교회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았다.[393] 서방교회 개혁 찬성파인 종교개혁가 마르틴 루터는 그를 경멸조로 조롱했고, 서방교회 개혁 반대 교황주의자들의 트리엔트 공의회는 그를 ‘불경스런 이교도’로 정죄했다. 이처럼 개신교와 천주교 양쪽 교회들로부터 배척을 당했지만 에라스뮈스는 많은 당대 신학자들의 지지를 받으며 전 유럽에서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 뿐만 아니라 서구 문학사에서 근대성의 효시로 여겨지는 프랑스의 라블레, 스페인의 세르반테스, 영국의 셰익스피어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408] 그는 1536년 바젤에서 죽었다.
에라스뮈스는 획기적인 사상가로 불리며,[159] 목회 및 수사학적 신학자로서, 형이상학적 접근 방식보다는, 성경을 해석하는 데 있어 문헌학적이고 역사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161] 문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에 관심을 가졌다.[158]
에라스뮈스는 비판적이거나 극단을 조롱할 때조차도 온건하고, 신중하며, 건설적이라고 불렸지만,[164] 이단이라는 비방에는 민감하게 반응했다.
### 인문주의와 기독교의 조화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는 고전 고대(그리스-로마)의 학문과 기독교 신앙을 조화시키고자 노력했다.[293] 그는 "그리스도의 철학"(Philosophia Christi)이라는 개념을 통해, 고전 철학의 지혜와 예수의 가르침을 통합하여 기독교인의 삶의 지침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295]
에라스뮈스는 자신의 저술을 통해 "지적 문화를 사물에 대한 논리적 논쟁에서 텍스트, 문맥 및 단어에 대한 논쟁으로" 전환시켰다.[260][261][262][263] 그는 기독교 주제에 대한 논의를 위해 많은 고전 철학자들의 구절, 아이디어, 모티프를 종합적으로 사용했다.[264] 그의 사상은 플라톤주의(이원론),[265] 견유주의(금욕주의),[266][267] 스토아주의(아디아포라),[268] 에피쿠로스주의(아타락시아,[269] 쾌락을 덕으로 간주)와 유사하다고 여겨졌으며,[270] 이소크라테스(수사학, 정치 교육, 종합)와도 유사성이 발견된다.[272] 그러나 그의 기독교화된 에피쿠로스주의 버전은 독자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273]
에라스뮈스는 회의주의에 동조하며, "성경에 명시된 모든 것 또는 교회의 권위에 의해 우리에게 전해진 모든 것을 명시적으로 제외"한다고 밝혔다.[276] 그는 인간의 삼분적인 본성에 대해 글을 썼으며, 영혼은 자유 의지의 자리라고 보았다.[336]
에라스뮈스는 스콜라 철학의 형이상학적 접근 방식보다는 성경을 해석하는 데 있어 문헌학적이고 역사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161]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발견되는 형이상학, 인식론, 논리 철학을 피했으며,[281]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 이후의 스콜라 철학 교육 과정과 체계적인 방법을 비판했다.[283][284] 그는 학자들이 기독교적 일치를 해치는 철학적 파벌주의를 피하고 "온 세상을 기독교인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286]
에라스뮈스는 고전 철학자들에게 신학적이고 수사학적으로 접근했다. 그들의 가치는 그들이 어떻게 그리스도의 가르침(특히 산상수훈[158])을 예언하고, 설명하고, 확장했는가에 있었다.[293] 그는 자신의 저서인 ''엔키리디온'', 기독교 군주의 교육, 그리고 대화집과 같은 저서를 통해 영적, 윤리적, 사회적, 정치적, 법률적[294] 철학으로 간주되는 예수의 가르침에 따라 살아가는 삶, 즉 ''크리스타 철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켰다.[296] 에라스뮈스에게 "철학자"는 웅변술이나 과학에 능숙한 사람이 아니라, 환영을 거부하고 진실하고 선한 것을 끈기 있게 찾고 따르는 사람을 의미했다.[4]
에라스뮈스는 융통성을 보편적인 개념으로 여겼다. 그는 인간, 교회, 그리스도가 서로에게 융통성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삼위일체 내의 영원한 상호 융통성을 반영한다고 보았다.[301] 그는 요한복음 1장 1절의 ''로고스''를 "태초에 언어가 있었다"에 가깝게 번역하여,[302] 정적인 원리가 아닌 역동적이고 대인적인 의사소통을 강조했다.[303][305]
에라스뮈스에게 그리스도는 모든 것의 ''스코푸스''(scopus), 즉 "인간과 신성이라는 두 차원의 현실이 교차하는 초점"이었다.[300] 그는 산상수훈을 시작점으로,[317] 팔복과 주기도문을 기독교와 경건함, 참된 신학의 확고한 핵심으로 간주했다.[318][319] 산상수훈은 모든 정당한 신학이 세워져야 하는 공리, 신학적 담론을 지배하는 윤리, 신학적 산물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규칙을 제공하며, 에라스뮈스의 ''크리스티 철학''은 첫 번째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기본적인 가르침을 신학적 방법론으로 다룬다.
### 성서 연구와 번역
에라스뮈스는 성서를 기독교 신앙의 중심으로 보았고, 성서 원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강조했다.[310][305] 그는 성경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어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으며, 이를 위해 그리스어와 라틴어에 능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라스뮈스는 성경 읽기가 기도 형태가 된다고 보았다.[218]
에라스뮈스는 1516년 『교정판 신약 성서』(Novum Instrumentum omne)를 출판했다.[392] 이 책은 그리스어 원문을 바탕으로 기존 라틴어 번역 성경(불가타)을 수정하고 주석을 추가한 것이다. 에라스뮈스는 기존 라틴어 번역본의 오류를 바로잡고, 원문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그는 수사학적 신학(''theologia rhetorica'')을 통해 문맥, 장르 및 신약성서의 문학적 표현을 이해하는 것을 강조했다.[222][300][312]
에라스뮈스의 『교정판 신약 성서』는 이후 마르틴 루터의 독일어 성서 번역을 비롯한 여러 언어로의 성서 번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성서 연구는 종교개혁 시기 성서 번역과 해석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93] 에라스뮈스는 성경해석이 예수의 가르침과 복음서에서의 상호작용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산상수훈이 시작점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316][318] 그는 팔복과 주기도문을 기독교와 경건함, 참된 신학의 확고한 핵심으로 간주했다.[318][319]
에라스뮈스는 오리게네스의 영향을 받아 성경 해석에 있어서 알레고리적 해석보다는 문자적, 역사적 해석을 중시했다.[325] 그는 성경 본문의 역사적 배경과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 교회 개혁
에라스뮈스는 기독교가 국교화된 이후 12세기 교회의 분열로 정치 권력화된 서방교회의 교황주의적 교회제도가 지닌 절대권위에 대해 비판적인 인문주의자였다.[403] 당시 인문주의자들은 고대 언어(라틴어, 그리스어)를 공부하면서 성서도 같이 연구했기 때문에 교회를 비판적으로 보는 안목을 갖고 있었다. 에라스뮈스는 토마스 모어의 집에서 쓴 《우신예찬》을 통해 부패한 중세 로마 가톨릭 교회의 방종과 폐습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야유를 보냈다.[403] 그는 성직자들의 권위주의와 학문적 무지를 비판하고, 모든 신자가 성서를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516년에는 그리스어판 신약성서를 출판했다. 에라스뮈스판 성서는 그리스어 원본과 라틴어 번역을 같이 달아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으며, 10여 개의 성서번역본을 참고했다. 그는 "'''모든 성서가 전 세계의 여러 말로 번역되고, 시골 농부와 베 짜는 아낙네 그리고 여행객이 성서 읽기로 지루함을 달래길 바랍니다.'''"라는 서문을 통해, 교황의 뜻을 따라 성직자가 성서 해석을 독점하던 중세 교황 중심적 서방교회의 극단적인 알레고리 성경해석의 잘못을 바로잡고자 했다.[403] 특히 서문에 나타난 역사 문법적 해석은 역사적 성경해석의 회복이었다. 이는 서방교회 교황중심의 알레고리 성경해석으로 중세까지 내려온 4중적 의미의 해석을 비평하고 역사적 성경해석을 서방교회에서 회복한 소중한 공헌으로 평가한다.
에라스뮈스는 종교개혁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에라스뮈스는 종교개혁의 알을 낳아 주고, 루터가 그것을 부화시켰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그는 루터의 철저한 성경적 종교개혁에 동조하지는 않아서, 1524년 루터를 비판하는 글인 《자유 의지를 혹평함에 대하여》을 썼다.[404] 그는 교회의 분열을 반대하고, 대화와 관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믿었다.
에라스뮈스는 종종 매우 반어적인 표현으로 글을 썼는데,[157] 특히 그의 서신에서 그러했다.[166] 이 때문에 그 편지들은 반어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문자 그대로 해석될 때 다양한 해석을 낳기 쉽다.
그는 종종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에 대해, 자신에게 명확하게 귀속될 수 있는 직접적인 진술을 피하기 위해 대화 형식을 사용했다. 마르틴 루터에게 그는 미꾸라지[170] 같았는데, 미끄럽고, 회피적이며, 붙잡을 수 없는 존재였다.
그는 자유 의지에 관하여 서문에서 자신의 화해적인 성향을 "자연의 은밀한 성향"이라고 언급하며, 이를 통해 회의주의자들의 견해를, 비록 그가 "아디아포라"를 신약에서 논란의 여지없이 명시된 내용이나 교회의 가르침에 의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내용과 날카롭게 구별했을지라도, 관용적이지 않은 주장보다 더 선호할 것이라고 말했다.[194] 화합은 통일과 동의를 요구했다. 에라스뮈스는 종파주의에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195] 비종파적이기도 했다.[196] 사랑의 법을 따르기 위해, 우리의 지성은 어떤 주장을 할 때 겸손하고 우호적이어야 한다. 그는 논쟁을 "세속적이고, 짐승 같고, 악마적"이라고 불렀으며[318] 교사나 그 추종자들을 거부할 만한 충분한 이유라고 보았다. 멜란히톤의 견해에 따르면, 에라스뮈스는 믿음이 아니라 자비를 가르쳤다.[146]
에라스뮈스는 《자유 의지에 관하여》에서 마르틴 루터의 특정 견해에 반대하며 종교적 논쟁가들이 자신의 언행을 절제해야 한다고 언급했는데, "너무 많은 언쟁 속에서 종종 사라지는 진실을 이 방법으로 더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게리 레머는 "키케로처럼 에라스뮈스는 진실이 대화자 간의 더 조화로운 관계를 통해 증진된다고 결론짓는다."라고 적었다.[197]
초기 개혁가들은 에라스뮈스의 신약성경 특정 구절에 대한 문헌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그들의 신학을 세웠다. 회개는 고행보다 중요하며(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의 첫 번째 명제의 근거), 의는 전가에 의한 것이며, 은총은 호의 또는 자비이며, 믿음은 희망적인 신뢰이다.[232] 인간의 변화는 개혁보다 중요하며, 회중은 교회보다 중요하며, 신비는 성사보다 중요하다. 에라스뮈스의 견해로는 그들은 너무 지나쳤고, 교부들의 해석과 같은 성스러운 전통을 경시했으며, 무책임하게 유혈 사태를 조장했다.
에라스뮈스는 교황 레오 10세의 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면죄부 판매에 분개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존 콜렛에게 보낸 1518년 서신에서 그의 견해는 신학적인 것보다는 정치적인 것이었다.
### 자유 의지와 예정
에라스뮈스는 루터의 교회 비판에 동의하며 그를 "복음의 힘찬 나팔"로 비유하기도 했다.[405] 루터는 에라스뮈스에게 자신의 편에 설 것을 제안했지만, 에라스뮈스는 학문적 독립성을 이유로 거절했다. 그는 중립을 지키려 했으나,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405] 그는 의견 대립을 싫어했으며, 중립적인 태도가 양측 모두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했다.[405]
에라스뮈스는 《사도신경 해설》을 통해 루터의 교리를 비판했고,[406] 루터는 에라스뮈스를 "독사", "거짓말쟁이" 등으로 비난했다.[407] 에라스뮈스가 본격적으로 루터를 비판한 주된 논점은 인간의 자유 의지 문제였다. 그는 《자유의지론》을 통해 인간에게 자유 의지가 없다는 루터의 견해를 비판했고, 루터는 《노예의지론》으로 반박하며 에라스뮈스를 기독교도가 아니라고까지 주장했다. 이에 에라스뮈스는 《히페라스피스테스》를 통해 자신을 변호했다.
### 평화주의
에라스뮈스는 기독교적 삶과 신비주의 신학에 대한 글에서 평화, 평화로움, 평화 유지를 핵심적인 특징으로 강조했다.[178] 그는 "우리 종교의 요약과 요지는 평화와 만장일치이다"[179]라고 언급하며, 예수의 탄생에서 천사들이 전쟁의 영광이나 승리의 노래가 아닌 평화의 찬송을 불렀다고 강조했다.[180]
에라스뮈스는 절대적인 평화주의자는 아니었지만, 정치적 평화주의와 종교적 이레니즘을 장려했다.[182] 그는 교회가 종교적 분쟁을 해결해야 할 신성한 책무가 있다고 주장했으며,[158] 가능한 한 배타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최소한의 교리 발전을 포함하여 해결해야 한다고 보았다.
에라스뮈스는 전쟁의 경험을 통해 기독교 왕들 간의 전쟁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3] 그의 《격언집(Adages)》에는 "전쟁은 경험하지 못한 자들에게 달콤하다"(Dulce bellum inexpertisla)라는 격언이 포함되어 있으며,[185] "불리한 평화가 정당한 전쟁보다 낫다"라는 주장을 통해 전쟁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213]
그는 중재[188]와 조정[3]을 통해 평화를 만드는 데 있어 교회의 핵심 역할을 강조했다.[33] 에라스뮈스는 정당한 전쟁 이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전쟁을 "마지막 수단으로 피할 수 없을 경우에만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89]
에라스뮈스는 당시 유럽의 중요한 군주들의 호전적인 방식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으며,[191] 이들을 부패하고 탐욕스럽다고 묘사했다.[193] 특히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네덜란드가 겔데른과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을 막았다고 비난했다.[192]
그는 오스만 세력을 물리칠 수 있다고 추정되는 과도하게 확장된 제국을 가진 기독교 "보편 군주"라는 아이디어에 반대했다.[3] 대신 세속적이고 영적인 군주 간의 화합을 옹호했으며, 영적 군주들은 중재와 조정을 통해 "정치적 다원성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옹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3]
에라스뮈스는 군주가 백성의 동의를 받아 통치해야 한다는 생각을 옹호했으며, 1356년의 환희 입성과 같은 브라반트의 관습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107] 그는 군주의 절대 권력을 견제하고 "폭정으로 치닫는 것을 막기 위해 귀족주의와 민주주의의 혼합으로 견제하고 희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
3. 1. 인문주의와 기독교의 조화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는 고전 고대(그리스-로마)의 학문과 기독교 신앙을 조화시키고자 노력했다.[293] 그는 "그리스도의 철학"(Philosophia Christi)이라는 개념을 통해, 고전 철학의 지혜와 예수의 가르침을 통합하여 기독교인의 삶의 지침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295]에라스뮈스는 루키아노스의 영향을 받아 수사학자 또는 문법학자로 자처하며, 자신의 저술을 통해 "지적 문화를 사물에 대한 논리적 논쟁에서 텍스트, 문맥 및 단어에 대한 논쟁으로" 전환시켰다.[260][261][262][263] 그는 기독교 주제에 대한 논의를 위해 많은 고전 철학자들의 구절, 아이디어, 모티프를 종합적으로 사용했다.[264] 그의 사상은 플라톤주의(이원론),[265] 견유주의(금욕주의),[266][267] 스토아주의(아디아포라),[268] 에피쿠로스주의(아타락시아,[269] 쾌락을 덕으로 간주)와 유사하다고 여겨졌으며,[270] 이소크라테스(수사학, 정치 교육, 종합)와도 유사성이 발견된다.[272] 그러나 그의 기독교화된 에피쿠로스주의 버전은 독자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273]
에라스뮈스는 회의주의에 동조하며, "성경에 명시된 모든 것 또는 교회의 권위에 의해 우리에게 전해진 모든 것을 명시적으로 제외"한다고 밝혔다.[276] 그는 인간의 삼분적인 본성에 대해 글을 썼으며, 영혼은 자유 의지의 자리라고 보았다.[336]
에라스뮈스는 스콜라 철학의 형이상학적 접근 방식보다는 성경을 해석하는 데 있어 문헌학적이고 역사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161]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발견되는 형이상학, 인식론, 논리 철학을 피했으며,[281]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 이후의 스콜라 철학 교육 과정과 체계적인 방법을 비판했다.[283][284] 그는 학자들이 기독교적 일치를 해치는 철학적 파벌주의를 피하고 "온 세상을 기독교인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286]
에라스뮈스는 고전 철학자들에게 신학적이고 수사학적으로 접근했다. 그들의 가치는 그들이 어떻게 그리스도의 가르침(특히 산상수훈[158])을 예언하고, 설명하고, 확장했는가에 있었다.[293] 그는 자신의 저서인 ''엔키리디온'', 기독교 군주의 교육, 그리고 대화집과 같은 저서를 통해 영적, 윤리적, 사회적, 정치적, 법률적[294] 철학으로 간주되는 예수의 가르침에 따라 살아가는 삶, 즉 ''크리스타 철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켰다.[296] 에라스뮈스에게 "철학자"는 웅변술이나 과학에 능숙한 사람이 아니라, 환영을 거부하고 진실하고 선한 것을 끈기 있게 찾고 따르는 사람을 의미했다.[4]
에라스뮈스는 융통성을 보편적인 개념으로 여겼다. 그는 인간, 교회, 그리스도가 서로에게 융통성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삼위일체 내의 영원한 상호 융통성을 반영한다고 보았다.[301] 그는 요한복음 1장 1절의 ''로고스''를 "태초에 언어가 있었다"에 가깝게 번역하여,[302] 정적인 원리가 아닌 역동적이고 대인적인 의사소통을 강조했다.[303][305]
에라스뮈스에게 그리스도는 모든 것의 ''스코푸스''(scopus), 즉 "인간과 신성이라는 두 차원의 현실이 교차하는 초점"이었다.[300] 그는 산상수훈을 시작점으로,[317] 팔복과 주기도문을 기독교와 경건함, 참된 신학의 확고한 핵심으로 간주했다.[318][319] 산상수훈은 모든 정당한 신학이 세워져야 하는 공리, 신학적 담론을 지배하는 윤리, 신학적 산물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규칙을 제공하며, 에라스뮈스의 ''크리스티 철학''은 첫 번째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기본적인 가르침을 신학적 방법론으로 다룬다.
3. 2. 성서 연구와 번역
에라스뮈스는 성서를 기독교 신앙의 중심으로 보았고, 성서 원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강조했다.[310][305] 그는 성경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어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으며, 이를 위해 그리스어와 라틴어에 능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라스뮈스는 성경 읽기가 기도 형태가 된다고 보았다.[218]에라스뮈스는 1516년 『교정판 신약 성서』(Novum Instrumentum omne)를 출판했다.[392] 이 책은 그리스어 원문을 바탕으로 기존 라틴어 번역 성경(불가타)을 수정하고 주석을 추가한 것이다. 에라스뮈스는 기존 라틴어 번역본의 오류를 바로잡고, 원문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그는 수사학적 신학(''theologia rhetorica'')을 통해 문맥, 장르 및 신약성서의 문학적 표현을 이해하는 것을 강조했다.[222][300][312]
에라스뮈스의 『교정판 신약 성서』는 이후 마르틴 루터의 독일어 성서 번역을 비롯한 여러 언어로의 성서 번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성서 연구는 종교개혁 시기 성서 번역과 해석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93] 에라스뮈스는 성경해석이 예수의 가르침과 복음서에서의 상호작용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산상수훈이 시작점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316][318] 그는 팔복과 주기도문을 기독교와 경건함, 참된 신학의 확고한 핵심으로 간주했다.[318][319]
에라스뮈스는 오리게네스의 영향을 받아 성경 해석에 있어서 알레고리적 해석보다는 문자적, 역사적 해석을 중시했다.[325] 그는 성경 본문의 역사적 배경과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3. 3. 교회 개혁
에라스뮈스는 기독교가 국교화된 이후 12세기 교회의 분열로 정치 권력화된 서방교회의 교황주의적 교회제도가 지닌 절대권위에 대해 비판적인 인문주의자였다.[403] 당시 인문주의자들은 고대 언어(라틴어, 그리스어)를 공부하면서 성서도 같이 연구했기 때문에 교회를 비판적으로 보는 안목을 갖고 있었다. 에라스뮈스는 토마스 모어의 집에서 쓴 《우신예찬》을 통해 부패한 중세 로마 가톨릭 교회의 방종과 폐습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야유를 보냈다.[403] 그는 성직자들의 권위주의와 학문적 무지를 비판하고, 모든 신자가 성서를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516년에는 그리스어판 신약성서를 출판했다. 에라스뮈스판 성서는 그리스어 원본과 라틴어 번역을 같이 달아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으며, 10여 개의 성서번역본을 참고했다. 그는 "'''모든 성서가 전 세계의 여러 말로 번역되고, 시골 농부와 베 짜는 아낙네 그리고 여행객이 성서 읽기로 지루함을 달래길 바랍니다.'''"라는 서문을 통해, 교황의 뜻을 따라 성직자가 성서 해석을 독점하던 중세 교황 중심적 서방교회의 극단적인 알레고리 성경해석의 잘못을 바로잡고자 했다.[403] 특히 서문에 나타난 역사 문법적 해석은 역사적 성경해석의 회복이었다. 이는 서방교회 교황중심의 알레고리 성경해석으로 중세까지 내려온 4중적 의미의 해석을 비평하고 역사적 성경해석을 서방교회에서 회복한 소중한 공헌으로 평가한다.
에라스뮈스는 종교개혁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에라스뮈스는 종교개혁의 알을 낳아 주고, 루터가 그것을 부화시켰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그는 루터의 철저한 성경적 종교개혁에 동조하지는 않아서, 1524년 루터를 비판하는 글인 《자유 의지를 혹평함에 대하여》을 썼다.[404] 그는 교회의 분열을 반대하고, 대화와 관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믿었다.
에라스뮈스는 종종 매우 반어적인 표현으로 글을 썼는데,[157] 특히 그의 서신에서 그러했다.[166] 이 때문에 그 편지들은 반어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문자 그대로 해석될 때 다양한 해석을 낳기 쉽다.
- 울리히 폰 후텐은 에라스뮈스가 비밀리에 루터교 신자라고 주장했다. 에라스뮈스는 그에게 폰 후텐이 자신의 공개 서신의 반어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꾸짖었다.[122]
- 로이힐린 박해에 대한 에라스뮈스의 경구적 인용구인 "유대인을 미워하는 것이 기독교적이라면, 우리는 모두 여기서 넘치도록 기독교인이다"라는 구절은 테오도르 둥켈그룬[168]과 해리 S. 메이[169]에 의해 그러한 증오를 긍정하는 것으로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졌다. 이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은 이것이 비꼬는 듯하고 도전적인 표현이었다는 것이다.
그는 종종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에 대해, 자신에게 명확하게 귀속될 수 있는 직접적인 진술을 피하기 위해 대화 형식을 사용했다. 마르틴 루터에게 그는 미꾸라지[170] 같았는데, 미끄럽고, 회피적이며, 붙잡을 수 없는 존재였다.
그는 자유 의지에 관하여 서문에서 자신의 화해적인 성향을 "자연의 은밀한 성향"이라고 언급하며, 이를 통해 회의주의자들의 견해를, 비록 그가 "아디아포라"를 신약에서 논란의 여지없이 명시된 내용이나 교회의 가르침에 의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내용과 날카롭게 구별했을지라도, 관용적이지 않은 주장보다 더 선호할 것이라고 말했다.[194] 화합은 통일과 동의를 요구했다. 에라스뮈스는 종파주의에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195] 비종파적이기도 했다.[196] 사랑의 법을 따르기 위해, 우리의 지성은 어떤 주장을 할 때 겸손하고 우호적이어야 한다. 그는 논쟁을 "세속적이고, 짐승 같고, 악마적"이라고 불렀으며[318] 교사나 그 추종자들을 거부할 만한 충분한 이유라고 보았다. 멜란히톤의 견해에 따르면, 에라스뮈스는 믿음이 아니라 자비를 가르쳤다.[146]
에라스뮈스는 《자유 의지에 관하여》에서 마르틴 루터의 특정 견해에 반대하며 종교적 논쟁가들이 자신의 언행을 절제해야 한다고 언급했는데, "너무 많은 언쟁 속에서 종종 사라지는 진실을 이 방법으로 더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게리 레머는 "키케로처럼 에라스뮈스는 진실이 대화자 간의 더 조화로운 관계를 통해 증진된다고 결론짓는다."라고 적었다.[197]
에라스뮈스는 추기경 로렌초 캄페조에게 보낸 편지에서 관용을 외교적으로 로비했다. "만약 (보헤미안이 주장하는 것처럼) 특정 조건하에 종파를 용납할 수 있다면, 그것은, 내가 인정하건대, 심각한 불행이 되겠지만 전쟁보다는 더 견딜 만할 것입니다." 그러나 갈등과 유혈 사태를 피하려는 동일한 헌신은 (반교황주의) 종파에 가입하려는 유혹을 받는 사람들도 보여야 한다.
초기 개혁가들은 에라스뮈스의 신약성경 특정 구절에 대한 문헌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그들의 신학을 세웠다. 회개는 고행보다 중요하며(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의 첫 번째 명제의 근거), 의는 전가에 의한 것이며, 은총은 호의 또는 자비이며, 믿음은 희망적인 신뢰이다.[232] 인간의 변화는 개혁보다 중요하며, 회중은 교회보다 중요하며, 신비는 성사보다 중요하다. 에라스뮈스의 견해로는 그들은 너무 지나쳤고, 교부들의 해석과 같은 성스러운 전통을 경시했으며, 무책임하게 유혈 사태를 조장했다.
에라스뮈스는 교황 레오 10세의 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면죄부 판매에 분개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존 콜렛에게 보낸 1518년 서신에서 그의 견해는 신학적인 것보다는 정치적인 것이었다. "로마 교황청은 부끄러움을 버렸다. 이 끊임없는 면죄부보다 더 뻔뻔스러운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이제 그들은 튀르크인과의 전쟁을 구실로 내세우지만, 그들의 진정한 목표는 스페인 사람들을 나폴리에서 몰아내는 것이다."[210]
3. 4. 자유 의지와 예정
에라스뮈스는 루터의 교회 비판에 동의하며 그를 "복음의 힘찬 나팔"로 비유하기도 했다.[405] 루터는 에라스뮈스에게 자신의 편에 설 것을 제안했지만, 에라스뮈스는 학문적 독립성을 이유로 거절했다. 그는 중립을 지키려 했으나,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405] 그는 의견 대립을 싫어했으며, 중립적인 태도가 양측 모두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했다.[405]에라스뮈스는 《사도신경 해설》을 통해 루터의 교리를 비판했고,[406] 루터는 에라스뮈스를 "독사", "거짓말쟁이" 등으로 비난했다.[407] 에라스뮈스가 본격적으로 루터를 비판한 주된 논점은 인간의 자유 의지 문제였다. 그는 《자유의지론》을 통해 인간에게 자유 의지가 없다는 루터의 견해를 비판했고, 루터는 《노예의지론》으로 반박하며 에라스뮈스를 기독교도가 아니라고까지 주장했다. 이에 에라스뮈스는 《히페라스피스테스》를 통해 자신을 변호했다.
3. 5. 평화주의
에라스뮈스는 기독교적 삶과 신비주의 신학에 대한 글에서 평화, 평화로움, 평화 유지를 핵심적인 특징으로 강조했다.[178] 그는 "우리 종교의 요약과 요지는 평화와 만장일치이다"[179]라고 언급하며, 예수의 탄생에서 천사들이 전쟁의 영광이나 승리의 노래가 아닌 평화의 찬송을 불렀다고 강조했다.[180]에라스뮈스는 절대적인 평화주의자는 아니었지만, 정치적 평화주의와 종교적 이레니즘을 장려했다.[182] 그는 교회가 종교적 분쟁을 해결해야 할 신성한 책무가 있다고 주장했으며,[158] 가능한 한 배타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최소한의 교리 발전을 포함하여 해결해야 한다고 보았다.
에라스뮈스는 전쟁의 경험을 통해 기독교 왕들 간의 전쟁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3] 그의 《격언집(Adages)》에는 "전쟁은 경험하지 못한 자들에게 달콤하다"(Dulce bellum inexpertisla)라는 격언이 포함되어 있으며,[185] "불리한 평화가 정당한 전쟁보다 낫다"라는 주장을 통해 전쟁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213]
그는 황금 의상 회담을 홍보하고 참석했으며,[186] 중재[188]와 조정[3]을 통해 평화를 만드는 데 있어 교회의 핵심 역할을 강조했다.[33] 에라스뮈스는 정당한 전쟁 이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전쟁을 "마지막 수단으로 피할 수 없을 경우에만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89]
에라스뮈스는 당시 유럽의 중요한 군주들의 호전적인 방식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으며,[191] 이들을 부패하고 탐욕스럽다고 묘사했다.[193] 특히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네덜란드가 겔데른과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것을 막았다고 비난했다.[192]
그는 오스만 세력을 물리칠 수 있다고 추정되는 과도하게 확장된 제국을 가진 기독교 "보편 군주"라는 아이디어에 반대했다.[3] 대신 세속적이고 영적인 군주 간의 화합을 옹호했으며, 영적 군주들은 중재와 조정을 통해 "정치적 다원성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옹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3]
에라스뮈스는 군주가 백성의 동의를 받아 통치해야 한다는 생각을 옹호했으며, 1356년의 환희 입성과 같은 브라반트의 관습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107] 그는 군주의 절대 권력을 견제하고 "폭정으로 치닫는 것을 막기 위해 귀족주의와 민주주의의 혼합으로 견제하고 희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
4. 저서
에라스뮈스는 16세기 초 가장 인기 있고 영향력 있는 작가로, 서방의 모든 국가에서 그의 저술이 읽혔고 자주 번역되었다.[327] 1530년대까지 유럽 도서 판매의 10~20%를 그의 저술이 차지했을 정도였다.[328] 그는 라틴어 및 그리스어로 번역, 의역, 편지, 교과서, 연극, 해설, 시, 전례, 풍자, 설교, 기도 등 다양한 분야의 저술을 남겼다.[328] 그의 후기 저술은 주로 가톨릭과 개신교 신학 및 문학적 반대자들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의 초기 저술을 옹호하는 내용이었다.[328]
에라스뮈스는 인문주의적 관심사와[332] 목회적 주제에 대해 글을 썼다.[306] 그는 언어 예술, 교육, 성경 연구에 몰두했으며,[333] 그의 모든 작품은 스타일의 모델 역할을 했다.[333] 그는 문헌 비평의 원리를 개척했다.[333] 또한 젊은이, 부부, 과부, 죽어가는 자, 성직자, 신학자, 수도자, 군주 등 다양한 삶의 단계에 있는 기독교인들을 위한 글을 썼다.[306]
그는 본문 비평판 개신교 성경의 기반을 형성한 라틴어 및 그리스어 교부의 전집과 신약성경 학술 판본으로 유명하다. 현대에 지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작품은 『우신예찬』, 『율리우스, 천국에서 제외되다』, 『평화의 호소』와 같은 풍자 및 반풍자 작품이다. 그의 수천 통의 편지를 포함한 다른 작품들은 다양한 분야의 역사가들에게 중요한 정보원 역할을 한다.
주요 저서로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격언과 속담을 모아 해설한 『격언집』(Adagia, 1500년), 기독교인의 삶의 지침을 제시한 『엔키리디온』(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1504년), 당시 사회와 교회의 부조리를 풍자한 『우신예찬』(Moriae encomium, 1511년), 그리스어 원문을 바탕으로 라틴어 번역을 수정하고 주석을 추가한 『교정판 신약 성서』(Novum Instrumentum, 1516년), 기독교 군주가 갖추어야 할 덕목과 통치 원칙을 제시한 『기독교 군주 교육론』(Institutio principis Christiani, 1516년),[107] 인간의 자유 의지를 옹호하며 루터의 예정설을 비판한 『자유 의지론』(De libero Arbitrio, 1524년), 그리고 『평화의 호소』(Querela pacis, 1517년) 등이 있다.
에라스뮈스는 자신의 저술 방법으로 읽고 있는 모든 것에 대해 주제별로 분류하여 메모하는 것을 권장했다.[331] 그는 이러한 공통어구를 상자에 넣어 다니며, 새로운 책을 만들 때 주제를 검토하고 사용하면서 공통 어구 메모를 지웠다.[331] 이러한 연구 노트 목록을 통해 그는 동일한 주제로 엮인 책을 빠르게 만들 수 있었다.[331]
5. 평가와 영향
에라스뮈스는 르네상스 시대 인문주의가 나아갈 길을 제시한 "인문주의자들의 왕자"이자 "기독교 인문주의자의 정점"으로 불렸다.[335] 그는 세계주의적 정신의 소유자이자 근대 자유주의의 선구자로서 유럽 문화에서 자유주의 전통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408] 또한 기독교 복원을 위해 당시 교황 중심의 서방교회 제도를 비판하고, 성서를 교정하며, 고대 그리스 학문과 예술을 적극 수용하여 경직된 사고방식을 시정하려 노력했다.[408]
에라스뮈스는 학문을 매우 좋아하여 "돈이 있으면 책을 사고 나서 양식을 산다"라고 말했다.[410] 그의 특정 작품들은 사적인 의견에 대한 종교적 관용과 에큐메니즘의 토대를 마련했다.[197] 예를 들어, 《자유 의지에 관하여》에서 마르틴 루터의 특정 견해에 반대하며 종교적 논쟁가들이 자신의 언행을 절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7] 그는 "너무 많은 언쟁 속에서 종종 사라지는 진실을 이 방법으로 더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키케로처럼 진실이 대화자 간의 더 조화로운 관계를 통해 증진된다고 결론지었다.[197]
에라스뮈스는 추기경 로렌초 캄페조에게 보낸 편지에서 관용을 외교적으로 로비했다. 그는 "만약 (보헤미안이 주장하는 것처럼) 특정 조건하에 종파를 용납할 수 있다면, 그것은, 내가 인정하건대, 심각한 불행이 되겠지만 전쟁보다는 더 견딜 만할 것입니다."라고 언급했다.
에라스뮈스는 자신의 화해적인 성향을 "자연의 은밀한 성향"이라고 언급하며, 회의주의자들의 견해를 선호한다고 말했다.[194] 그는 "아디아포라"를 신약에서 논란의 여지없이 명시된 내용이나 교회의 가르침에 의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내용과 날카롭게 구별했다.[194] 화합은 통일과 동의를 요구했으며, 에라스뮈스는 종파주의에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195] 비종파적이기도 했다.[196] 그는 사랑의 법을 따르기 위해, 우리의 지성은 어떤 주장을 할 때 겸손하고 우호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18] 그는 논쟁을 "세속적이고, 짐승 같고, 악마적"이라고 불렀으며[318] 교사나 그 추종자들을 거부할 만한 충분한 이유라고 보았다. 멜란히톤의 견해에 따르면, 에라스뮈스는 믿음이 아니라 자비를 가르쳤다.[146]
그러나 에라스뮈스는 때때로 맹렬하게 비판받기도 했다. 마르틴 루터는 《탁상담화》에서 에라스뮈스를 "세상을 욕되게 한 자들 가운데 가장 사악한 자"라고 평가하며, "그는 모무스(Momus,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조롱과 비난의 신)과 같아서, 하나님이든 사람이든, 교황 진영이든 개신교 진영이든 아무에게나 닥치는 대로 비판하고 조롱하지만, 교묘하고 이중적인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아무도 자신의 속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은폐합니다."라고 비판했다.[409]
6. 한국과의 관계
1600년, 현재 오이타현 우스키시에 표류한 네덜란드 선박 리프데 호의 옛 이름은 에라스무스 호였다.[390] 이 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교 고문으로 유명한 윌리엄 애덤스(미우라 안진)과 얀 요스텐(야요스, 현재 도쿄도 주오구 야에스의 지명은 그에게서 유래)가 타고 있었다는 것으로 유명하다.[390] 이 배의 선미에는 에라스뮈스의 목상이 달려 있었다.[390] 자세한 경위는 불분명하지만, 배의 옛 이름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된다.[390] 이 상은 도치기현 사노시의 류코인이라는 절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화체존자(카테키손자)("화체상" "화체관음"이라고도 함)라는 이름으로 모셔졌다.[390] (도쿄도 다이토구 우에노 공원의 도쿄 국립 박물관에 위탁 중)[390] 또한, 지역 사람들은 이 에라스무스상이 팥 할머니의 상이라고 믿었다는 일화가 있다.[391]
6. 1. 리프데 호와 에라스뮈스 상
1600년, 현재 오이타현 우스키시에 표류한 네덜란드 선박 리프데 호의 옛 이름은 에라스무스 호였다.[390] 이 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교 고문으로 유명한 윌리엄 애덤스(미우라 안진)과 얀 요스텐(야요스, 현재 도쿄도 주오구 야에스의 지명은 그에게서 유래)가 타고 있었다는 것으로 유명하다.[390] 이 배의 선미에는 에라스뮈스의 목상이 달려 있었다.[390] 자세한 경위는 불분명하지만, 배의 옛 이름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된다.[390] 이 상은 도치기현 사노시의 류코인이라는 절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화체존자(카테키손자)("화체상" "화체관음"이라고도 함)라는 이름으로 모셔졌다.[390] (도쿄도 다이토구 우에노 공원의 도쿄 국립 박물관에 위탁 중)[390] 또한, 지역 사람들은 이 에라스무스상이 팥 할머니의 상이라고 믿었다는 일화가 있다.[391]6. 2. 한국어 번역 및 연구
에라스뮈스의 저작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으며,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의 인문주의적 관점과 평화주의 사상은 현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참조
[1]
웹사이트
Desiderius Erasmus Biography & Facts
https://www.britanni[...]
2018-05-29
[2]
웹사이트
Desiderius Erasmu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9-08-10
[3]
서적
The Idea of International Society: Erasmus, Vitoria, Gentili and Grotius
2017-08-31
[4]
서적
Literary and Educational Writings, 1 and 2: Volume 1: Antibarbari / Parabolae. Volume 2: De copia / De ratione studii, Volume 23–24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8
[5]
논문
Introduction: Erasmus, a Biographical Sketch
2020-10-23
[6]
문서
Erasmus'' was his [[baptismal name]], given after [[Erasmus of Formia]]e. ''Desiderius'' was an adopted additional name, which he used from 1496. The ''Roterodamus'' was a scholarly name meaning "from Rotterdam", though the Latin toponymic adjective would be Roterdamensis.
[7]
논문
Due codici scritti da 'Gerardus Helye' padre di Erasmo
[8]
문서
Huizinga, Erasmus, pp. 4 and 6 (Dutch-language version)
[9]
간행물
The Ages of Erasmus and the Year of his Birth
1993-Winter
[10]
웹사이트
Desiderius Erasmus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2-02-10
[11]
간행물
The Birth Dates of John Colet and Erasmus of Rotterdam: Fresh Documentary Evid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the Renaissance Society of America
1979-Spring
[12]
문서
Cornelius Augustijn, Erasmus: His life, work and influence, University of Toronto, 1991
[1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s://www.newadven[...]
2023-05-01
[14]
문서
The 19th-century novel The Cloister and the Hearth, by [[Charles Reade]], is an account of the lives of Erasmus's parents.
[15]
논문
In Praise of Erasmus
https://www.jstor.or[...]
1983
[16]
논문
New Evidence on Erasmus' Youth
https://research.vu.[...]
2019-09-06
[17]
논문
Erasmus on Music
https://www.jstor.or[...]
2023-12-13
[18]
웹사이트
Alexander Hegius
https://www.britanni[...]
2023-05-01
[19]
문서
Peter Nissen: Geloven in de Lage landen; scharniermomenten in de geschiedenis van het Christendom. Davidsfonds/Leuven, 2004.
[20]
서적
The Black Death and recurring plague during the late Middle Ages in the County of Hainaut: Differential impact and diverging recovery
https://dspace.libra[...]
2023-07-20
[21]
문서
DeMolen, Richard L. (1976),p.13
[22]
논문
Erasmus as Adolescent: "Shipwrecked am I, and lost, 'mid waters chill'": Erasmus to Sister Elisabeth
https://www.jstor.or[...]
2023-07-22
[23]
웹사이트
Desiderius Erasmus
https://www.worldhis[...]
2023-12-13
[24]
문서
DeMolen, Richard L. (1976).pp.10–11
[25]
문서
Painter [[Hieronymous Bosch]] lived nearby, on the marketplace, at this time.
[26]
웹사이트
The Making of Erasmus's New Testament and Its English Connections
https://www.academia[...]
2024-05-23
[27]
문서
Collected Works of Erasmus: Poe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8]
문서
Canons regular of St Augustine, Chapter of Sion (or Syon), Emmaus house, Stein (or Steyn).
[29]
서적
Mystics
2007-12-19
[30]
논문
Jean Gerson's Harmony of the Gospels (1420)
https://www.jstor.or[...]
1991
[31]
masters
Imitations of Christ: Ignatius of Loyola, Philip Neri and the influence of the Devotio Moderna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Wales Trinity Saint David
2024-01-05
[32]
논문
Reforming Christianity in early sixteenth-century Italy: the Barnabites, the Somaschans, the Ursulines, and the hospitals for the incurables
https://www.jstor.or[...]
2018
[33]
서적
The Eve of the Reformation. Studies in the Religious Life and Thought of the English people in the Period Preceding the Rejection of the Roman jurisdiction by Henry VIII
https://www.gutenber[...]
1900
[34]
서적
The spirituality of Erasmus of Rotterdam
De Graaf
1987
[35]
논문
Erasmus' Commitment to the Canons Regular of St. Augustine
1973
[36]
서적
Reformation: A History
2003
[37]
논문
Richard of St. Victor, On the Four Degrees of Violent Love
https://www.academia[...]
2011
[38]
문서
Erasmus's 'Tigress': The Language of Friendship, Pleasure, and the Renaissance Letter
Duke University Press
1994
[39]
서적
Collected Works of Erasmu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4
[40]
인용
Collected Works of Erasmus: Poe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1]
문서
But also a capacity to feel betrayal sharply, as with his brother Peter, "Cantellius", Aleander, and Dorp.
[42]
문서
The biographer J.J. Mangan commented of his time living with [[Andrea Ammonio]] in England "to some extent Erasmus thereby realized the dream of his youth, which was to live together with some choice literary spirit with whom he might share his thoughts and aspiration".
1962
[43]
서적
Collected Works of Erasmus: Paraphrases on the Epistles to the Corinthians, Ephesians, Philippans, Colossians, and Thessalonians, Volume 4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3-08-07
[44]
서적
Richard III's books: ideals and reality in the life and library of a medieval prince
Sutton publ
1997
[45]
서적
The Epistles of Erasmus: from his earliest letters to his fifty-first year arranged in order of time
https://archive.org/[...]
London: Longmans, Green
1901–1918
[46]
논문
The Vatican's Latinist
https://newcriterion[...]
2024-03-03
[47]
웹사이트
Desiderius Erasmus, Dutch Renaissance humanist, Catholic priest and theologian (1466–1536)
https://www.1902ency[...]
2023-12-13
[48]
서적
The University in Medieval Life, 1179–1499
https://books.google[...]
McFarland
[49]
논문
Mirrors for secretaries: the tradition of advice literature and the presence of classical political theory in Italian secretarial treatises
2019-10-24
[50]
서적
131 Christians Everyone Should Know
Nashville: Holman Reference
2000
[51]
서적
Collected Works of Erasmus: Spiritual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89
[52]
문서
Erasmus suffered severe food intolerances, including to fish, beer and many wines, which formed much of the diet of Northern European monks, and caused his antipathy to fasts. "My heart is Catholic, but my stomach is Lutheran." (''Epistles'')
[53]
논문
Once more the manuscripts of Stein monastery and the copyists of the Erasmiana manuscripts
1994
[54]
논문
Copyist B of the Erasmiana Manuscripts in Gouda Identified
2018-06-21
[55]
논문
A Dispensation of Julius II for Erasmus
1910
[56]
웹인용
Dispensed of his vows of stability and obedience
https://www.belmonta[...]
2019-06-06
[57]
논문
New sources for the history of the religious life: the registers of the Apostolic Penitentiary
2005
[58]
논문
A Dispensation of Julius II for Erasmus
https://www.jstor.or[...]
2023-07-11
[59]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Letters 2204–2356 (August 1529 – July 153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4
[60]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I. Modern Christianity. The German Reformation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3-12-02
[61]
문서
Subsequent students included Ignatius of Loyola, Noël Béda, Jean Calvin, and John Knox.
[62]
서적
THE REVISIONS OF THE ENGLISH HOLY BIBLE: Misunderstandings and Misconceptions about the English Bible Translations
Christian Publishing House
2022
[63]
학위논문
Apostolic theology and humanism at the University of Paris, 1490–1540
https://doi.org/10.1[...]
Apollo – University of Cambridge Repository
2023-07-23
[64]
서적
Printing and Reading Italian Latin Humanism in Renaissance Europe (ca. 1470-ca. 1540)
https://www.cambridg[...]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3-07-11
[65]
논문
Theologians and Their Bellies: The Erasmian Epithet Theologaster during the Reformation
https://brill.com/vi[...]
2023-08-09
[66]
ODNB
Erasmus circle in England
https://www.oxforddn[...]
2023-07-20
[67]
문서
Some of these visits were interrupted by trips back to Europe.
[68]
서적
Die Bildnisse des Erasmus von Rotterdam
Gute Schriften Basel
[69]
서적
Pacifism in the English Renaissance, 1497–1530: John Colet, Erasmus, Thomas More and J.L. Vives
University of Chicago
1937
[70]
논문
Dean Colet's Convocation Sermon and the Pre-Reformation Church in England
https://www.jstor.or[...]
2023-10-30
[71]
논문
Erasmus' Greek Studies
https://www.jstor.or[...]
1934
[72]
논문
Conscience in the Early Renaissance: the case of Erasmus, Luther and Thomas More
2014-12
[73]
서적
Le père du siècle: the early modern reception of Jean Gerson (1363-1429) theological authority between Middle Ages and early modern era
Brepols
2023
[74]
논문
Archbishop Morton and St. Albans
https://www.jstor.or[...]
2024-04-09
[75]
서적
Erasmus, the Growth of a Mind
https://books.google[...]
Librairie Droz
2023-11-26
[76]
논문
Mark Vessey (ed.), Erasmus on Literature: His Ratio or 'System' of 1518/1519 (Review)
2022-06
[77]
웹사이트
Erasmus
https://www.britanni[...]
2023-10-23
[78]
논문
Erasmus' Panegyricus ad Philippum Austriae ducem (1504)
2018-01
[79]
서적
Desiderius Erasmus of Rotterdam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20-07-25
[80]
문서
Treu, Erwin (1959),p.8
[81]
논문
Erasmus the Exegete
[82]
서적
Between Saint James and Erasmus: Studies in Late-Medieval Religious Life – Devotion and Pilgrimage in the Netherlands
2003-01-01
[83]
서적
"How to Get a Degree in Fifteen Days: Erasmus' Doctorate of Theology from the University of Turin" in Renaissance Education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https://doi.org/10.4[...]
Routledge
2024-08-23
[84]
문서
Murray, Stuart. 2009.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Chicago, ALA Editions
[85]
문서
Treu, Erwin (1959),pp.8–9
[86]
문서
Opus Epistolarum Des. Erasmi Roterdami
Oxford University Press
1937
[87]
문서
Shire, Helena M., Stewart Style 1513–1542
Tuckwell
1996
[88]
문서
Massing Fatal Discord (2018)159
[89]
문서
Massing Fatal Discord (2018)160
[90]
웹사이트
(Publisher's summary)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https://utorontopres[...]
2024-05-23
[91]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Letters 2357 to 2471 August 1530 – March 1531 / translated by Charles Fantazzi ; annotated by James M. Est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6
[92]
웹사이트
History and Archives
https://www.stpaulss[...]
2019-01-16
[93]
서적
The Oxford Reformers. John Colet, Erasmus and Thomas More
https://reformationc[...]
Longmans, Green and Co
2023-12-17
[94]
논문
Erasmus' Cambridge Years (1511–1514): The Execution of Erasmus' Christian Humanist Programme, His Epitaph for Lady Margaret's Tomb in Westminster Abbey (1512), and His Failed Attempt to Obtain the Lady Margaret's Professorship in the Face of Scholastic Opposition
2024-03-06
[95]
논문
Erasmian Perspectives on Copyright: Justifying a Right to Research
https://digitalcommo[...]
2024-01-07
[96]
웹사이트
Erasmus and Queens' College, Cambridge
http://queenslib.wor[...]
Queenslib.wordpress.com
2014-03-08
[97]
Thesis
The lost Reformation: Why Lutheranism failed in England during the reigns of Henry VIII and Edward VI
http://hdl.handle.ne[...]
Newcastle University
2003
[98]
문서
Erasmus, Desiderius
[99]
문서
Huizinga, Dutch edition, pp. 52–53.
[100]
웹사이트
Erasmus, Life in 16th Century England
https://wwnorton.com[...]
2023-12-03
[101]
서적
Life and Letters of Erasmus
Scribner and Sons
1896
[102]
서적
Wine In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1957
[103]
웹사이트
Old Library Collections
http://www.queens.ca[...]
Queens.cam.ac.uk
2014-03-08
[104]
논문
Erasmus and the Louvain Theologians — a Strategy of Defense
https://www.jstor.or[...]
2023-07-23
[105]
웹사이트
Opera Omnia Desiderii Erasmi – Erasmus, Opera Omnia
https://brill.com/di[...]
2022-12-21
[106]
논문
The Thomism of Bartolomé de Las Casas and the Indians of the New World
https://repository.l[...]
2016-01-01
[107]
논문
Brabantia: decoding the main characters of Utopia
2012-06-01
[108]
논문
Erasmus: The 16th Century's Pioneer of Peace Education and a Culture of Peace
https://www.research[...]
2009-11-30
[109]
논문
On Good Government: Erasmus's Institutio Principis Christiani versus Lipsius's Politica
https://lirias.kuleu[...]
2013-01-01
[110]
웹사이트
500 years Collegium Trilingue
https://expo.bib.kul[...]
[111]
논문
Mourning an Oenophile: A Forgotten Mock Epitaph for Dirk Martens by Erasmus
2024-03-06
[112]
웹사이트
Measuring Worth – Purchasing Power of the Pound.
https://www.measurin[...]
[113]
논문
Erasmus and the Education of Women
https://www.jstor.or[...]
1982-01-01
[114]
웹사이트
Erasmus
https://www.pro-euro[...]
2020-07-30
[115]
웹사이트
Erasmus House, Anderlecht
https://theculturetr[...]
2016-02-14
[116]
서적
Hans Holbein the Younger: The Basel Years, 1515–1532
https://books.google[...]
Prestel
[117]
문서
Erasmus and the Froben Press
Library Quarterly
1965-04-01
[118]
웹사이트
Portrait of Erasmus of Rotterdam (Hans Holbein the Younger)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119]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Letters 1252–1355 (1522–1523)
1989-12-31
[120]
웹사이트
Altbasel – Erasmus in Basel
https://altbasel.ch/[...]
[121]
논문
Erasmus and His Amanuenses
http://nrs.harvard.e[...]
2019-03-13
[122]
논문
The Sponge of Erasmus against the Aspersions of Hutten/ Spongia adversus aspergines Hutteni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0-12-31
[123]
서적
The History of the Popes, from the Close of the Middle Ages
1923-01-01
[124]
논문
Cardinal Cajetan Renaissance Man
https://www.dominica[...]
[125]
웹사이트
Pope Adrian VI, the 'Barbarian From the North' Who Wanted to Reform the Vatican
https://www.the-low-[...]
2022-10-17
[126]
웹사이트
Froude, Life and Letters of Erasmus, p 322
https://upload.wikim[...]
[127]
서적
Reformation Europe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1-01
[128]
웹사이트
Erasmus – Dutch Humanist, Protestant Challenge
https://www.britanni[...]
[129]
문서
says that Œcolampadius wanted to drive Erasmus from the city
[130]
논문
Letters 2803 to 2939. Part 2
2020-12-31
[131]
논문
Letters 2803 to 2939. Part 2
2020-12-31
[132]
서적
Hans Holbein: Portrait of an Unknown Man
https://books.google[...]
Phoenix Giant
1996-01-01
[133]
문서
op cit
[134]
논문
Erasmus' Illnesses in His Final Years (1533–6)
2020-12-31
[135]
논문
The Friendship of Erasmus and Damiâo De Goes
https://www.jstor.or[...]
1951-01-01
[136]
논문
Damião de Goes, a Portuguese Humanist
https://www.jstor.or[...]
1941-01-01
[137]
간행물
The life and career of Thomas Boleyn (1477–1539): courtier, ambassador, and statesman
http://hdl.handle.ne[...]
University of Newcastle
2019-01-01
[138]
문서
The last was released at the time of Henry VIII and Anne Bolyn's wedding; Erasmus appended a statement that indicated he opposed the marriage. Erasmus outlived Anne and her brother by two months.
[139]
서적
History and Biography in the Work of Erasmus of Rotterdam
Librairie Droz
1966-01-01
[140]
문서
"I am so weary of this region[...]I feel that there is a conspiracy to kill me[...]Many hope for war." Letter to Erasmus Schets (1534)
[141]
서적
Flesh, Blood, and Puffed-Up Livers: The Theological,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behind the 1550–1551 Written Eucharistic Debate between Thomas Cranmer and Stephen Gardiner
https://repository.l[...]
2014-01-01
[142]
웹사이트
(Prison) Note(book)s Toward a History of Boredom
https://www.jhiblog.[...]
2024-05-23
[143]
웹사이트
Lisbon in the Renaissance: Author Damiao de Gois
http://www.italicapr[...]
[144]
간행물
Desiderius Erasmus
[145]
웹사이트
Erasmus and His Books (Publisher's material)
https://utorontopres[...]
2024-04-30
[146]
논문
Nineteenth-Annual Bainton Lecture
2003
[147]
문서
Huizinga, Dutch edition, p. 202.
[148]
논문
Faith and Piety in Erasmus's Thought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1989-06-01
[149]
논문
Sixteenth-Annual Bainton Lecture
2000
[150]
서적
Between Saint James and Erasmus: Studies in Late Medieval Religious Life
Brill
[151]
논문
Erasmus and Switzerland
https://scholarsarch[...]
2003
[152]
논문
Erasmus and the Cracow Humanists: The Purchase of His Library by Łaski
https://www.jstor.or[...]
1965
[153]
논문
Erasmus and his Books, by Egbertus van Gulik, tr. J.C. Grayson, ed. James K. McConica and Johannes Trapman
2020-11-06
[154]
논문
Comment: Erasmus
https://www.jstor.or[...]
2005
[155]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Letters 2940 to 3141, Volume 21
2021-12-31
[156]
서적
Sebastian Castellio, 1515–1563; Humanist and Defender of Religious Toleration in a Confessional Age; Translated and Edited by Bruce Gordon
Ashgate Publishing Limited
[157]
논문
Truth and Irony: Philosophical Meditations on Erasmus (Review)
https://brill.com/vi[...]
2019
[158]
서적
Erasmus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doi.org/10.3[...]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3-05-06
[159]
논문
Two Erasmuses and Two Luthers: Erasmus' strategy in defense of De libero arbitrio
https://doi.org/10.1[...]
1987
[160]
논문
Collected Works of Erasmus, written by Frederick J. McGinness (ed.), Michael J. Heath and James L.P. Butrica (transl.), Frederick J. McGinness and Michael J. Heath (annotat.), and Alexander Dalzell (contrib. ed.)
2016
[161]
논문
Erasmus, Augustine and the Nominalists
https://doi.org/10.1[...]
1976
[162]
논문
Erasmus in Relation to the Medieval Biblical Tradition
1969
[163]
논문
When the Old Was New: Reformation Perspectives on Galatians 2:16
2008-04-01
[164]
서적
The Hybrid Reformation: A Social, Cultural, and Intellectual History of Contending Forces
2022-09-22
[165]
웹사이트
Page:Encyclopædia Britannica, Ninth Edition, v. 8.djvu/536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https://en.m.wikisou[...]
[166]
논문
Irreverent Reading: Martin Luther as Annotator of Erasmus
2017
[167]
논문
Erasmus the Man
https://www.jstor.or[...]
1927
[168]
논문
The Christian Study of Judaism in Early Modern Europe
2017-11-16
[169]
논문
ארסמוס והיהודים – מחקר פסיכו-היסטורי / Erasmus and the Jews — a Psychohistoric Reëvaluation
https://www.jstor.or[...]
1973
[170]
웹사이트
Erasmus is an Eel: Renaissance Humanist Hero
https://comment.org/[...]
2012-03-01
[171]
논문
Remembering Professor Heinz Kimmerle
2016
[172]
논문
The Arguments of Erasmus in His Debate with Luther about Free Will
2024-04-08
[173]
웹사이트
Erasmus of Rotterdam
https://www.jewishvi[...]
AICE
2023-07-15
[174]
문서
Erasmus, Declarationes ad censuras Lutetiae, 1532.
[175]
학위논문
Secret lives, public lies: the conversos and socio-religious non-conformism in the Spanish Golden Age
https://escholarship[...]
UC San Diego
2006
[176]
논문
Erasmus and the Other
2023-01-25
[177]
문서
[178]
웹사이트
Erasmus: Then and Now
https://www.clarion-[...]
2023-11-28
[179]
문서
[180]
웹사이트
The Complaint of Peace, p57
https://books.google[...]
2023-06-19
[181]
논문
A System or Method of Arriving by a Short Cut at True Theology by Desiderius Erasmus of Rotterdam
2019-12-31
[182]
논문
The Christian Peace of Erasmus
https://www.tandfonl[...]
2023-06-19
[183]
웹사이트
The Complaint of Peace
https://en.wikisourc[...]
2023-06-19
[184]
웹사이트
The End of Christendom
https://www.firstthi[...]
2016-11-01
[185]
서적
Blessed Are the Peacemakers: Pacifism, Just War, and Peacebuilding
https://www.jstor.or[...]
1517 Media
2019
[186]
웹사이트
The Field of Cloth of Gold | Hampton Court Palace | Historic Royal Palaces
https://www.hrp.org.[...]
2023-12-02
[187]
서적
Pacifism and English Literature
2008
[188]
웹사이트
Erasmus, Jus Canonicum and Arbitration
https://commercialar[...]
University of Leicester
2020-12-04
[189]
논문
A War Against the Turks? Erasmus on War and Peace
https://www.jstor.or[...]
2006
[190]
서적
Erasmus: intellectual of the 16th century
Palgrave Macmillan
2021
[191]
논문
Concepts of Reform Proposed at the Fifth Lateran Council
https://www.jstor.or[...]
1969
[192]
서적
Holland Under Habsburg Rule, 1506–1566: The Formation of a Body Politic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3-08-04
[193]
서적
Erasmus of the Low Count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08-04
[194]
서적
Adiaphora and the Apocalypse: Protestant Moral Rhetoric of Ritual at the End of History (1990 –2003)
http://nrs.harvard.e[...]
2016-05-17
[195]
문서
[196]
논문
Ad Fontes: Desiderius Erasmus' Call for a Return to the Sources of a Unified and Simple Christian Faith
https://digitalcommo[...]
2023-12-16
[197]
문서
[198]
웹사이트
Αποστολική Διακονία της Εκκλησίας της Ελλάδος
https://apostoliki-d[...]
[199]
문서
[200]
서적
Erasmus and the Age of Reformation
https://www.gutenber[...]
Harper Collins
2023-07-15
[201]
논문
Erasmus and Heresy
https://www.jstor.or[...]
2023-07-15
[202]
논문
Rhetoric and the Erasmian Defense of Religious Toleration
1989
[203]
논문
Islam as a Heresy: Christendom's Ideological View of Islam
https://journals.wic[...]
2003
[204]
논문
Erasmus' attitude to towards Islam in the light of Nicholas of Cusa's De pace fidei and Cribiatio alkorani
https://dialnet.unir[...]
2023-07-15
[205]
웹사이트
A terrible pope but a patron of genius
https://catholichera[...]
2019-04-25
[206]
논문
The Non-Cosmopolitan Erasmus: An Examination of his Turkophobic/Islamophobic Rhetoric
https://www.academia[...]
2020-01-01
[207]
논문
Erasmus and the Non-Christian World
2012
[208]
논문
Review of Opera Omnia. vo. V-2. Opera Omnia vol. V-3. Opera Omnia. II-4.
https://www.jstor.or[...]
1989
[209]
논문
842 / To Helias Marcaeus – 863 / From Jakob Spiegel
https://www.degruyte[...]
1982-12-31
[210]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Letters 594–841 (1517–1518)
1979-12-31
[211]
논문
3. The Latin West: From Augustine to Luther and Calvin
2022-08-15
[212]
웹사이트
Erasmus and the Ideal Ruler
https://davidkute.co[...]
2019-12-26
[213]
서적
Erasmus and the "Other"
2019
[214]
서적
Erasmus: His Theology of the Sacraments
Knox
1970
[215]
서적
Erasmus: intellectual of the 16th century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2024-01-01
[216]
논문
Forgiveness and Consolation in the Religious Thought of Erasmus
https://www.jstor.or[...]
1965
[217]
논문
Book Review: Erasmus: His Theology of the Sacraments
1971-12
[218]
논문
Erasmus on the New Testament
2020-12-31
[219]
웹사이트
Praise of Folly | work by Erasmu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20]
논문
Sacramental Reading: Foxe's Book of Actes and Milton's Fifth Gospel
2022-11-15
[221]
서적
Contesting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22]
논문
The theology of Erasmu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1-10
[223]
문서
[224]
논문
The Erasmus Option
https://imagejournal[...]
2024-01-19
[225]
서적
European History in Perspective: The Long European Reformation
Palgrave Macmillan
[226]
서적
The Modern Devotion: Confrontation with Reformation and Humanism
Brill Archive
1968
[227]
논문
'Non monachus, sed demoniacus': Crime in Medieval Religious Communities in Western Europe, 12th – 15th Centuries
https://www.york.ac.[...]
2023-12-13
[228]
웹사이트
The Colloquies of Erasmus
https://it.cgu.edu/e[...]
[229]
논문
Ch XI – Erasmus
1979-09-27
[230]
웹사이트
Make Haste Slowly: Aldus and Erasmus, Printers and Scholars
https://aldine.lib.s[...]
[231]
문서
[232]
논문
The Influence of Erasmus upon Melanchthon, Luther and the Formula of Concord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ttps://www.jstor.or[...]
1974
[233]
서적
[234]
논문
The Concept of Scholar-Publisher in Renaissance: Johannes Froben
https://www.jstor.or[...]
2004
[235]
논문
Luther and Erasmus, Another Perspective
https://www.jstor.or[...]
2024-05-23
[236]
문서
[237]
웹사이트
Erasmus – Dutch Humanist, Protestant Challenge
https://www.britanni[...]
2023-06-21
[238]
문서
[239]
논문
Erasmus' Cambridge Years (1511–1514): The Execution of Erasmus' Christian Humanist Programme, His Epitaph for Lady Margaret's Tomb in Westminster Abbey (1512), and His Failed Attempt to Obtain the Lady Margaret's Professorship in the Face of Scholastic Opposition
2024-03-06
[240]
논문
Erasmus and the Invention of Literature
2013-01-01
[241]
서적
Collected Works of Erasmu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42]
논문
Georges Chantraine, S.J ., Erasme et Luther: Libre et serf arbitre, etude Historique et Theologique. Paris : Éditions Lethielleux / Presses Universitaires de Namur, 1981. XLV + 503 pp. in-8°. 270 Fr
1983-02
[243]
문서
[244]
웹사이트
Desiderius Erasmus of Rotterdam
https://www.gutenber[...]
2023-04-30
[245]
서적
The Identity of Theology (Dissertation)
https://www.alfsvag.[...]
1995-10
[246]
논문
Erasmus, Luther and the Free Will Debate: Influencing the Philosophy of Management 500 Years on-whether we realise it or not!
https://www.research[...]
2023-10-24
[247]
서적
Fatal Discord
https://www.harperco[...]
harpercollins
2022
[248]
문서
Assertio omnium articulorum per bullam Leonis X. novissimam damnatorum
Weimar edition of Martin Luther's works
1520
[249]
서적
Collected Works of Erasmus, Controversies: De Libero Arbitrio / Hyperaspistes I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9
[250]
서적
Erasmus and the Middle Age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a Christian Humanist
https://books.google[...]
Brill
[251]
문서
Hyperaspistes
[252]
간행물
The Reformers on the Reformation (foreign)
https://archive.org/[...]
Burns & Oates
1881
[253]
서적
Opera Omnia
https://books.google[...]
1706
[254]
서적
Controversi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55]
논문
Review of Erasmus, Controversies: Collected Works of Erasmus, vol. 78, trans. Peter Matheson, Peter McCardle, Garth Tissol, and James Tracy.
https://repository.b[...]
2023-08-06
[256]
웹사이트
Concordia Theological Journal
http://www.ctsfw.net[...]
2023-03-26
[257]
서적
The reception of Erasmus in the early modern period
2013
[258]
웹사이트
The differences between Erasmus and Luther in their approach to reform
http://www.passionfo[...]
2023-12-03
[259]
웹사이트
Desiderius Erasmus (1468?—1536)
https://iep.utm.edu/[...]
2023-07-28
[260]
웹사이트
Desiderius Erasmus
https://plato.stanfo[...]
[261]
논문
Erasmus and the Philosophers
2023-01-25
[262]
논문
Hercules, Silenus and the Fly: Lucian's Rhetorical Paradoxes in Erasmus' Ethics
https://www.academia[...]
2023-10-20
[263]
논문
Review: Collected Works of Erasmus, vol. 73: Controversies: Apologia de 'In Principio Erat Sermo', Apologia de Loco 'Omnes quidem', De Esu Carnium, De Delectu Ciborum Scholia, Responsio ad Collationes, edited by Drysdall, Denis L.
2017
[264]
논문
Sapientia and Stultitia in John Colet's Commentary on First Corinthians
2019-05-04
[265]
서적
Platonism and the English Imagination
1994
[266]
논문
Erasmus and Christian Cynicism as Cultural Context for Toleration
https://www.iea-nant[...]
Nantes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2023-08-08
[267]
논문
Dogs' Tales: Representations of Ancient Cynicism in French Renaissance Texts
2006-01-01
[268]
서적
The Stoic Origins of Erasmus' Philosophy of Christ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3-08-11
[269]
논문
Twenty-fifth Annual Margaret Mann Phillips Lecture: Erasmus and the Philosophers
2012
[270]
논문
The Paradox of Christian Epicureanism in Dialogue: Erasmus' Colloquy The Epicurean
2015
[271]
웹사이트
A Much Neglected Basic Choice in Theology
https://www.patheos.[...]
2023-12-02
[272]
학위논문
The contribution of isocrates to western educational thought.
http://etheses.dur.a[...]
Durham University
2023-12-21
[273]
논문
Philosophy and Religion in service of the Philosophia Christi
https://www.eur.nl/s[...]
2023-07-19
[274]
웹사이트
Cicero: Academic Skepticism
https://iep.utm.edu/[...]
2024-04-21
[275]
논문
Erasmus on the Social Functions of Christian Humanism
https://www.jstor.or[...]
2024-01-17
[276]
웹사이트
Desiderius Erasmu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08-25
[277]
논문
Fiery Heart and Fiery Tongue: Emotion in Erasmus' Ecclesiastes
2016
[278]
웹사이트
Three Symposia
https://www.divinity[...]
University of Cambridge
2023-08-05
[279]
서적
Beyond the Gnostic Gospels: Studies Building on the Work of Elaine Pagels (Studies and Texts in Antiquity and Christianity 82
Mohr Siebec
2013
[280]
논문
Desiderius Erasmus
https://archive.org/[...]
1967
[281]
서적
The 'Adages' of Erasmus. A Study with Trans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4
[282]
간행물
Erasmus on the New Testament
https://doi.org/10.3[...]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0-04-02
[283]
간행물
The Age of Reformations by James Hitchcock
http://touchstonemag[...]
[284]
서적
The Erasmus Reader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0
[285]
서적
Flowers of Freethought
https://web.seducoah[...]
1894
[286]
서적
Collected works of Erasmus: an introduction with Erasmus' prefaces and ancillary writing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9
[287]
간행물
Erasmus and the Religious Tradition, 1495–1499
https://www.jstor.or[...]
2023-10-25
[288]
문서
Erasmus to Thomas Grey
[289]
서적
Erasmus's Life of Origen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16
[290]
간행물
The Enchiridion of Erasmus
2007-04
[291]
문서
The Sileni of Alcibiades
1517
[292]
서적
Erasmus and his book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8
[293]
서적
Paraclesis
https://www.cite-osu[...]
2023-08-11
[294]
간행물
Religion and Right in the Philosophia Christriana of Erasmus from Rotterdam
https://repository.u[...]
1978-01-01
[295]
서적
John Wyclif
2009-05-01
[296]
서적
The Unity of Philosophical Experience
Charles Scribner's Sons
1937
[297]
서적
Medieval Essays
https://archive.org/[...]
1990
[298]
서적
The Belgic Confession
https://doi.org/10.4[...]
2023-11-17
[299]
간행물
Alexander Pope: Erasmian Catholic
https://www.jstor.or[...]
1973
[300]
간행물
Erasmus on Language and Interpretation
1991-07
[301]
서적
Rhetoric and Theology
https://api.pageplac[...]
University of Toronto
2024-02-23
[302]
간행물
Erasmus' "In Principio Erat Sermo": A Controversial Translation
1964
[303]
서적
Secrets: Humanism, Mysticism, and Evangelism in Erasmus of Rotterdam, Bishop Guillaume Briçonnet, and Marguerite de Navarre
2014-09-11
[304]
서적
The Christology of Erasmus: Christ, Humanity, and Peace
https://www.cuapress[...]
CUA Press
2024-05-23
[305]
간행물
Evangelism and Erasmus
1999-11-25
[306]
간행물
Promoting the Business of the Gospel: Erasmus' Contribution to Pastoral Ministry
1995
[307]
간행물
Rhetoric and the Erasmian Defence of Religious Toleration
https://www.jstor.or[...]
2024-03-03
[308]
간행물
Truth and Irony: Philosophical Meditations on Erasmus, by Terence J. Martin (Review)
2019-03-13
[309]
서적
Word and Supplement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2002-08-15
[310]
서적
The Communion of the Book
https://www.academia[...]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24-01-20
[311]
웹사이트
Bible Engagement in the Catholic Church Tradition. Conference on the occasion of the annual retreat of the Board of Management of the American Bible Society in Rome
http://www.christian[...]
2024-03-03
[312]
간행물
Interpretive Theories and Traditions
2020
[313]
서적
Remembering the Reformation: Martin Luther and Catholic Theology
https://www.jstor.or[...]
1517 Media
2017
[314]
간행물
Icarus of Basel? Oecolampadius and the Early Swiss Reformation
https://www.academia[...]
1997-01-01
[315]
간행물
The Enchiridion of Erasmus
2007-04
[316]
논문
Eleventh-Annual Margaret Mann Phillips Lecture
1998
[317]
서적
Dialogues between Faith and Reason: The Death and Return of God in Modern German Thought
2011-10-15
[318]
논문
Erasmus on the Study of Scriptures
https://scholar.csl.[...]
2023-12-25
[319]
서적
Understanding and Presence: The Literary Achievement of the Early Modern Sermon (Thesis)
http://hdl.handle.n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2024-03-02
[320]
문서
[321]
논문
Radical Carnivalisation of Religion in Erasmus's ''The Praise Of Folly''
https://edizionicafo[...]
2023-12-20
[322]
웹사이트
Summa Theologiae, Prologue & Ia Q. 2.
https://aquinas101.t[...]
Thomistic Institute
2024-04-23
[323]
웹사이트
IN PRAISE OF FOLLY, by Erasmus
https://www.gutenber[...]
[324]
논문
(Review) The Collected Works of Erasmus, vol 44
https://bmcr.brynmaw[...]
2024-04-25
[325]
논문
The Influence of Origen on Erasmus
2022-02-17
[326]
논문
"Erasmus and Faustus of Riez's De gratia"
https://www.academia[...]
2024-03-23
[327]
문서
[328]
논문
Erasmus's Biblical Project: Some Thoughts and Observations on Its Scope, Its Impact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Reception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www.jstor.or[...]
2023-12-22
[329]
논문
Catalogue of the Works of Erasmus of Rotterdam
2023-01-25
[330]
논문
Portrait and Counter-Portrait in Holbein's The Family of Sir Thomas More
2005-09
[331]
서적
Printed Commonplace-Books and the Structuring of Renaissance Thought
1996-03-14
[332]
문서
[333]
논문
Christian History 145 Erasmus: Christ's humanist by Christian History Institute – Issuu
https://issuu.com/ch[...]
2023-07-17
[334]
논문
Erasmus's Plac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https://www.jstor.or[...]
1907
[335]
문서
[336]
서적
The Medium was the Message: Classical Rhetoric and the Materiality of Language from Empedocles to Shakespeare
https://etheses.whit[...]
English Dept, University of York
2023-07-26
[337]
서적
The Hybrid Reformation: A Social, Cultural, and Intellectual History of Contending Forces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338]
논문
Erasmus' Medical Milieu
https://www.jstor.or[...]
1973
[339]
논문
The Gout of Desiderius Erasmus and Willibald Pirckheimer: Medical Autobiography and Its Literary Reflections
https://www.jstor.or[...]
1983
[340]
논문
Erasmus' Prescription for Henry VIII: Logotherapy
https://www.jstor.or[...]
1978
[341]
논문
Desiderius Erasmus.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Letters 2082 to 2203, 1529. Ed. James Estes. Trans. Alexander Dalzell. Collected Works of Erasmus 15.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2. xxii + 404 pp. $175. ISBN: 978–1–4426–4203–4.
2013
[342]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2015-03-17
[343]
논문
Art, history, and rheumatism: the case of Erasmus of Rotterdam 1466–1536 suffering from pustulotic arthro-osteitis.
1991-07-01
[344]
논문
Can a diagnosis be made in retrospect? The case of Desiderius Erasmus
https://pubmed.ncbi.[...]
1986-12
[345]
논문
Art and history: a large research avenue for rheumatologists
2004-06-01
[346]
웹사이트
Four canons with Sts Augustine and Jerome by an open grave, with the Visitation
https://www.rijksmus[...]
[347]
문서
[348]
문서
[349]
논문
Some Uses of Experiment for Understanding Early Knitting and Erasmus' Bonnet
https://exarc.net/is[...]
2018-08-25
[null]
논문
Erasmus' bonnet
https://www.academia[...]
2016-01-01
[350]
서적
Holbein der Jüngere
Julius Bard Verlag
[351]
서적
Holbein der Jüngere
Julius Bard Verlag
[352]
웹사이트
Terminus, the Device of Erasmus
https://www.clevelan[...]
2022-01-09
[353]
웹사이트
Terminus, the Device of Erasmus
https://www.clevelan[...]
2022-01-09
[354]
서적
Erasmus, Europe and Cosmopolitanism: the Humanist Image and Message in his Letters
https://www.academia[...]
[355]
간행물
Erasmus and the Visual Arts
https://www.jstor.or[...]
1969
[356]
서적
Ingenium et labor. Studia ofiarowane Profesorowi Antoniemu Ziembie z okazji 60. urodzin.
https://www.academia[...]
UNIWERSYTET WARSZAWSKI
2020
[357]
웹사이트
Quinten Massys (1465/6-1530) – Desiderius Erasmus (1466–1536)
https://www.rct.uk/c[...]
2022-01-15
[358]
문서
Stein, Wilhelm (1929), p.78
[359]
웹사이트
Erasmus
https://www.sculptur[...]
2015-05-12
[360]
웹사이트
Achievements and benefits, European Union
https://european-uni[...]
European Union
2024-04-25
[361]
웹사이트
Erasmus Lectures
https://www.firstthi[...]
2023-10-01
[362]
웹사이트
Biblical Interpretation in Crisis
https://www.firstthi[...]
2008-04-26
[363]
웹사이트
Erasmus Studies
https://brill.com/vi[...]
[364]
웹사이트
Erasmus School of Philosophy
https://www.eur.nl/e[...]
[365]
웹사이트
Erasmus Journal for Philosophy and Economics
https://ejpe.org/jou[...]
[366]
웹사이트
Erasmus University College
https://www.eur.nl/e[...]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367]
웹사이트
No more Erasmus, but NDIAS and NDCEC continue
https://irishrover.n[...]
2010-09-19
[368]
웹사이트
Erasmus Building
https://curia.europa[...]
Europa (web portal)
2023-10-01
[369]
웹사이트
Erasmus' Tower, Queen's College, Cambridge
https://collections.[...]
Victoria and Albert Museum
1854-01-05
[370]
웹사이트
Erasmus Building history
https://www.queens.c[...]
Queens' College
[371]
웹사이트
The Erasmus Room
https://queensconfer[...]
Queens' College
[372]
문서
John Twigg, ''A History of Queens' College, Cambridge 1448–1986'' (Woodbridge, Suff.: Boydell Press, 1987).
[373]
간행물
The Allegation of Erasmus' Syphilis and the Question of His Burial Site
https://brill.com/vi[...]
2023-07-19
[374]
웹사이트
Erasmus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4-10-27
[375]
문서
第一「それ(学校)は、学校と呼ぶよりもむしろ牢獄と呼ぶにふさわしい。そこには、笞と棒でなぐる音が鳴り響き、そこから悲鳴とすすり泣きと、そして恐ろしい威喝の声以外の何物も聞こえてこない。そんなところで子供たちは学問を憎悪すること以外の何を学ぶのであろうか。そんな人間(教師)は処刑人であって若人の教育者ではない」。第二「改善の可能性ある奴隷は笞になるよりも忠告と親切な取り扱いによって改善される。笞を使えば奴隷は逃亡を企て、また命がけで主人の残酷さに復讐しようとする。・・・・・主人が賢明であればある程、彼は奴隷をして自発的に主人に仕えるように仕向ける。しかるに本来自由人である子供を教育によって奴隷化するとは、なんというさかさまなことであろうか」。「われわれは暴君を追放する。しかるにわれわれは子供たちを暴君にしたり、また子供たちに対して暴君的に振る舞ったりしている」。 第三「もし笞で打つことよりも外には何もできない教師が、もし皇帝や国王の王子を教えることになったとしたら、彼はどうするだろう。まさか王子様を笞で殴るわけにはゆくまい。そこで彼はいうだろう、おえら方の王子様は例外だ、と。だがこれはなんということだ。庶民の子は王様の子よりも人間的でないというのか、王様にとってその子が大切であるように、それとまったく同じようにだれにとっても自分の子は王様の子に劣らず大切ではないだろうか」。第四「人間はむしろ貧しい境遇にあればあるほど、彼らが自力で向上していく手段として教育と学問による支えが必要である。現に少なからぬ者が下層階級から、お上の役目に召し上げられており、時には僧職の最高の栄位にまでついているではないか。みんながそこまで行き着くわけではない。しかし、みんなその方向にむかって教育されるべきである」。第五「子供をして、いっさい遊びと感じさせるごとき教授が行われなければならない」。参考:『西洋教育思想』晃洋書房、『エラスムス教育論』中城進訳、二弊社。より引用
[376]
웹사이트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s://www.unesco.o[...]
UNESCO
2023-05-27
[377]
서적
沓掛 良彦、『エラスムス 人文主義の王者』、岩波現代全書、2014年、p20
[378]
서적
斉藤美州、『エラスムス』(センチュリーブックス 人と思想62)、清水書院、1981年、p29
[379]
서적
詳説世界史 改訂版
山川出版社
[380]
문서
斉藤、p60
[381]
문서
斉藤、p72
[382]
문서
聖書学者の[[前田護郎]]は、著書『新約聖書概説』(岩波全書、1956年)で「学童の作とあざけられるほど粗雑」とまで言っている。斉藤、p98
[383]
서적
加藤隆『新約聖書はなぜギリシア語で書かれたか』 大修館書店、1999年、pp102-106
[384]
문서
加藤、p104
[385]
문서
斉藤、p89
[386]
문서
斉藤、p119
[387]
서적
キリスト教史5 信仰分裂の時代
平凡社ライブラリー
1997
[388]
문서
斉藤、p153
[389]
문서
テュヒレ、pp81-82
[390]
뉴스
読売新聞栃木版
2017-06-08
[391]
웹사이트
【北関東怪奇伝説】得体の知れない木像が安置された観音堂で夜な夜な小豆を研ぐ音が…佐野・龍江院の伝説はなぜ生まれたのか?(産経新聞・2016年8月16日)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8-16
[392]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Harper & Brothers
1953
[393]
서적
Erasmus and the Age of Reformation
Harper and Row
1924
[394]
문서
Huizinga, Erasmus, pp. 4 and 6 (네덜란드어판)
[395]
문서
15세기 유럽에서는 사제들도 결혼을 하지 않을 뿐 약혼을 통한 가정을 이룰 수 있었다. 당시는 귀족들도 작위 문제로 이런 관계의 가정을 이루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당시 결혼을 통한 자녀에게 성직, 특히 교황직을 작위 형태로 물려 줄 수 있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사제의 결혼을 금지한 것이었을 뿐 사제가 약혼자와 가정을 이루는 것을 금지하지 않았다.
[396]
서적
풍속의 역사: 르네상스, 개역판
까치글방
2001
[397]
문서
19세기 [[찰스 리드]](Charles Reade)의 유명한 소설 《''The Cloister and the Hearth''》(수도원과 가정)은 에라스뮈스의 부모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398]
서적
Collected Works of Erasmus, vol. 1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4
[399]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Erasmus: Letters 1 to 141: 1484 to 1500. Translated by R. A. B. Mynors and D. F. S. Thomson, annotated by Wallace K. Ferguson. (Collected Works of Erasmus, 1). Pp. xxviii + 368 including 12 illustrations.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London: Books Canada, 1974. $25; £12.
https://archive.org/[...]
1975
[400]
서적
131 Christians Everyone Should Know
Holman Reference
2000
[401]
문서
Huizinga, Erasmus, Dutch edition, pp. 52-53.
[402]
간행물
Opus Epistolarum Des. Erasmi Roterdami
Oxford University Press
1937
[403]
웹사이트
이상규 교수의 역사 이야기33, 에라스무스2
http://www.kcnp.com/[...]
[404]
웹인용
안효상, 〈자유의지 부정한 예정설의 루터 예리하게 반박한 에라스무스〉, 한겨레
http://www.hani.co.k[...]
2007-05-01
[405]
서적
Op. cit.
[406]
간행물
Opera omnia Desiderii Erasmi Roterodami, vol. V/1
Norht-Holland
[407]
문서
Ibid., pp. 245 and 279.
[408]
웹사이트
지만지 우신예찬 책소개
http://zmanz.blogi.k[...]
[409]
서적
탁상담화
크리스천다이제스트
[410]
서적
구텐베르크
중앙교육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