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어보트는 항공기 프로펠러로 추진되는 평저선으로, 1905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에 의해 발명되었다. 초기에는 항공기 엔진 시험용으로 개발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육군이 군사적으로 사용하면서 실용화되었다. 1930년대부터는 민간 분야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얕은 물이나 습지, 얼음 위에서 구조 활동, 생태 관광 등에 활용된다. 에어보트는 얕은 수심에서도 운행이 가능하고, 프로펠러 손상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음이 크고 연비가 낮다는 단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양 추진력 - 외륜선
외륜선은 선체에 장착된 외륜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는 배로, 스크류 프로펠러보다 효율은 낮지만 얕은 물 운항에 유리하여 초기 증기선의 주요 추진 방식이었으며 현재는 관광용 등으로 활용된다. - 해양 추진력 - 패들
패들은 카누나 카약과 같은 배를 추진하는 도구로,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외날과 양날 패들로 구분되고, 노와 달리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하며 스포츠 외에 체벌 도구로도 사용된다. - 캐나다의 발명품 - 비디오 판독
비디오 판독은 축구, 야구, 배구, 테니스, 미식축구, 태권도, 농구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에서 심판 판정을 보조하여 공정성을 높이고 논란을 최소화하는 기술이며, 종목별로 판독 대상, 요청 방법, 기회 횟수 등의 규정이 다르다. - 캐나다의 발명품 - 인슐린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에 관여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에어보트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유형 | 동력 보트 |
| 추진력 | 항공기 프로펠러 |
| 사용 장소 | 늪지, 습지, 얕은 물, 얼음 |
| 주요 사용 지역 | 미국 남부, 특히 플로리다 주 에버글레이즈 지역 |
| 작동 원리 | |
| 프로펠러 위치 | 보트 뒤쪽 또는 위에 장착 |
| 동력 전달 방식 | 직접적으로 공기를 밀어 추진 |
| 조향 방식 | 방향타나 공기 방향 조절 장치 사용 |
| 특징 | |
| 장점 | 얕은 물에서 이동 가능 수초, 장애물 통과 용이 빠른 속도 간단한 구조 |
| 단점 | 소음이 큼 연료 효율성이 낮음 높은 중심 |
| 역사 | |
| 초기 사용 | 1905년 프랑스에서 최초 제작, 수상 비행기의 초기 형태 |
| 현대적 발전 | 1920년대 미국에서 개발 |
| 현재 | 주로 늪지대, 습지대, 수색 및 구조 활동, 관광,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 |
| 용도 | |
| 일반 용도 | 낚시 사냥 생태 관광 수색 및 구조 활동 경주 |
| 특수 용도 | 군사 작전 해양 경찰 소방 |
| 추가 정보 | |
| 기타 명칭 | 에어보트 팬보트 늪지 보트 글래디에이터 |
| 참고 | |
![]() | |
| 관련 항목 | 수륙양용차 호버크래프트 |
2. 역사
에어보트는 1930년대부터 민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랑베르 에어보트는 양쯔강 상류와 황푸강 등지의 얕은 물에서 여객선으로 사용되었다. 프랑스에서 제조되어 상하이에서 조립된 이 보트들은 흘수가 18cm에 불과했고, 최대 32mph의 속도로 순항할 수 있었다. 랑베르 에어보트는 미주리 강 상류와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 습지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14]
파르망 항공은 1920년대에 민간용 에어보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보트들은 수상 택시, 경량 화물선, 또는 프랑스 식민 정부의 순찰선으로 사용되었다. 모델에 따라 25,000~50,000 프랑에 판매되었는데, 이는 너무 비싼 가격이었고, 회사는 1920년대 말에 보트 사업에서 철수했다.[15]
1920년 글렌 커티스는 플로리다 오지에서 활쏘기 사냥을 즐기기 위해 에어보트의 일종인 '스쿠터(Scooter)'를 제작했다. 항공기 엔진으로 구동되는 6인승 밀폐형 캐빈 프로펠러 보트인 스쿠터는 50mph의 속도로 습지를 이동할 수 있었다.[17][18]
에어보트는 1930년대 미국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는데, 특히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독자적으로 에어보트를 발명하여 사용했다.[7] 1933년에는 황소개구리 사냥꾼 조니 램이 75마력 에어보트 "후시모바일"을 제작했고,[7][19] 1935년에는 어니스트와 윌러드 예이츠 형제가 조잡한 나무 키를 끈으로 조종하는 에어보트를 제작했다.[7][19] 윌러드 예이츠는 엔진이 이탈하여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맞아 사망하는 최초의 에어보트 사고 사망자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31][19]
1943년 유타주에서는 세실 윌리엄스, 레오 영, G. 호르틴 젠슨이 개량된 에어보트를 발명했다.[20] 브리검시티 근처에서 개발 및 사용된 그들의 보트는 때때로 최초의 에어보트로 잘못 알려지기도 한다. 이들은 베어 리버 철새 보호구역에서 조류 보툴리누스 중독증 연구를 수행하던 중, 얕고 습지대인 환경에서의 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보트를 고안했다. 약 3.66m 길이의 평저 알루미늄 보트에 40마력 콘티넨탈 항공기 엔진을 장착한 이 에어보트는 '앨리게이터 I'라고 불렸다.[21] 특히, 이들의 에어보트는 물이 아닌 프로펠러 배기가스를 이용하는 공기 방향타를 최초로 사용하여 현대 에어보트 설계의 중요한 개선을 이루었다.[22]
1953년 쇼와 28년 서일본 수해에서는 미 공군 소유의 프로펠러 보트(에어보트) 2척이 구조 활동에 사용되었다.[57][58] 1959년 해상보안청은 "히엔"을 도입하여 1969년까지 구조정으로 운용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프레시 에어가 일본에서 유일하게 에어보트 제조를 사업화하여 구난정으로서의 보급이 모색되고 있다. 2015년 헤이세이 27년 9월 간토·도호쿠 호우에서는 이바라키현 조소시의 기누가와 제방 붕괴 시 프레시 에어가 제공한 에어보트가 구조 활동에 활용되어 46명을 구조했다. 2017년에는 난카이 트로프 거대 지진 대책으로 고치현 경찰에 에어보트가 채용되었고,[59] 같은 해 4월에는 사카이마치가 수해 구난과 관광을 목적으로 지자체로서는 처음으로 에어보트를 도입했다.[60][61] 2019년 도쿄도는 재해 즉응 대처 부대 창설에 따라 에어보트 도입을 검토했고,[62] 2020년 도쿄소방청에 대소 각 1척의 에어보트가 납입되었다.[63]
2. 1. 초기 개발
에어보트는 1905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에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Alexander Graham Bell)에 의해 발명되었다.[7][19]
에어보트의 가장 초기 조상은 항공기 엔진을 시험하기 위한 수상 차량이었다. 최초의 에어보트는 ''어글리 덕링(Ugly Duckling)''이었는데, 1905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에서 발명가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Alexander Graham Bell)이 이끄는 팀에 의해 제작된 항공기 프로펠러 시험 차량이었다. ''어글리 덕링''은 약 1133.98kg의 수냉식 항공기 엔진에 연결된 항공기 프로펠러로 추진되는 쌍동선 형태의 보트였다. 임시변통으로 만든 뗏목 같은 이 선박은 3.5kn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없었지만, 프로펠러 회전 속도를 통해 벨은 마찰이 완전히 제거된다면 시속 약 48.28km~약 64.37km에 달하는 이론적인 최고 속도를 가질 것이라고 믿었다. 이는 일부 현대 에어보트와 비슷한 속도이다.[8]
1907년 브라질 항공 개척자 알베르토 산토스 두몽(Alberto Santos-Dumont)은 항공기 엔진 시험을 위해 유사한 쌍동선을 제작했는데, 그는 이를 수중익선이라고 불렀다.[15]
1907년 프랑스 항공 개척자인 텔리에 형제(Tellier brothers)는 고속정 ''라 라피에르 2세(La Rapière II)''(''라피어 2세'')를 통해 현대 에어보트로 향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라 라피에르 2세''는 길이 8m의 마호가니 목재 고속정으로, 부분적으로 물 위에 떠 있는 항공기 프로펠러와 20마력 4기통 파나르-르바소(Panhard-Levassor) 엔진에 연결되어 있었다. 이 보트는 선박용 키와 연결된 기존의 수중 키로 조종되었다.[9] ''라 라피에르 2세''는 승객 2명 탑승 시 최대 시속 26km, 3~4명 탑승 시 시속 25km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15] 1913~1914년경 슈나이더 트로피(Schneider Trophy)로 유명한 프랑스 금융가이자 기구 조종사, 항공 애호가인 자크 슈나이더(Jacques Schneider)는 자신만의 다인승 에어보트를 개발하고 실험했다.[10]
2. 2. 제1차 세계 대전
에어보트는 1905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에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에 의해 발명되었다.[7][19]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 메소포타미아 전역에서 영국 육군에 의해 최초로 군사적 용도로 사용되었다.[11]
최초로 사용된 에어보트는 1915년 영국군의 랑베르 "하이드로-글리세르"이다. 이 에어보트는 크고 평평한 바닥의 수상비행기로, 금속으로 피복된 나무 선체에 큰 항공기 프로펠러가 장착되어 최대 55mph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었다.[14] 주로 티그리스 강 정찰에 사용되었다.[11] 최초의 에어보트인 HG 1 ''아리엘''은 파손된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 파르망 MF.7 쌍발기의 엔진과 프로펠러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영국 인도에 의해 메소포타미아 주둔군에 제공되었다.[12] 1915~1916년 ''아리엘''의 쿠트까지의 상류 전역 성공적인 배치 이후, 영국은 샤를 드 랑베르의 동명 회사인 ''드 랑베르''로부터 특수 제작된 에어보트 7척을 주문했다. 1917년에 8척, 1918년 휴전까지 9척이 운영되었다.[13] 바그다드의 자동차 수리 도크야드에 전용 수리 슬립웨이가 건설된 것은 영국의 전쟁 노력에 대한 중요성과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초기 유럽 에어보트는 현대의 에어보트와는 달리 자유현측이 높고, 프로펠러 주위에 보호 케이지가 없었으며, 조종 장치도 달랐다.[16] 초기 에어보트는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가속 페달로 스로틀을 제어하는 핸들로 조종되는 물속의 방향타로 조종되었다.[13] 현대적인 에어보트는 조이스틱으로 제어되는 공기 방향타를 사용한다.
2. 3. 민간 보급
에어보트는 1930년대부터 민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7]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랑베르 에어보트는 양쯔강 상류와 황푸강 등지의 얕은 물에서 여객선으로 사용되었다. 프랑스에서 제조되고 상하이에서 조립된 이 보트들은 흘수가 7인치(약 18cm)에 불과했고, 최대 32mph의 속도로 순항할 수 있었다. 랑베르 에어보트는 미주리 강 상류와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 습지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14]
파르망 항공은 1920년대에 민간용 에어보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보트들은 수상 택시, 경량 화물선, 또는 프랑스 식민 정부의 순찰선으로 사용되었다. 모델에 따라 25,000~50,000 프랑에 판매되었는데, 이는 너무 비싼 가격이었고, 회사는 1920년대 말에 보트 사업에서 철수했다.[15]
초기 유럽 에어보트는 현대의 에어보트와는 상당히 달랐다. 오늘날의 에어보트에 비해 초기 유럽 에어보트는 다소 크고, 자유현측이 높았으며, 프로펠러 주위에 보호 케이지가 없었다.[16] 또한, 초기 에어보트는 자동차처럼 가속 페달로 스로틀을 제어하는 핸들로 조종되는 물속의 방향타를 사용했다.[13] 반면, 현대 에어보트는 조이스틱으로 제어되는 공기 방향타를 사용한다.
글렌 커티스는 1920년 플로리다 오지에서 활쏘기 사냥을 즐기기 위해 에어보트의 일종인 '스쿠터(Scooter)'를 제작했다. 항공기 엔진으로 구동되는 6인승 밀폐형 캐빈 프로펠러 보트인 스쿠터는 50mph의 속도로 습지를 이동할 수 있었다.[17][18]
에어보트는 1930년대 미국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는데, 특히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독자적으로 에어보트를 발명하여 사용했다.[7] 1933년에는 황소개구리 사냥꾼 조니 램이 75마력 에어보트 "후시모바일"을 제작했고,[7][19] 1935년에는 어니스트와 윌러드 예이츠 형제가 조잡한 나무 키를 끈으로 조종하는 에어보트를 제작했다.[7][19] 윌러드 예이츠는 엔진이 이탈하여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맞아 사망하는 최초의 에어보트 사고 사망자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31][19]
1943년 유타주에서는 세실 윌리엄스, 레오 영, G. 호르틴 젠슨이 개량된 에어보트를 발명했다.[20] 브리검시티 근처에서 개발 및 사용된 그들의 보트는 때때로 최초의 에어보트로 잘못 알려지기도 한다. 이들은 베어 리버 철새 보호구역에서 조류 보툴리누스 중독증 연구를 수행하던 중, 얕고 습지대인 환경에서의 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보트를 고안했다. 12피트(약 3.7m) 길이의 평저 알루미늄 보트에 40마력 콘티넨탈 항공기 엔진을 장착한 이 에어보트는 '앨리게이터 I'라고 불렸다.[21] 특히, 이들의 에어보트는 물이 아닌 프로펠러 배기가스를 이용하는 공기 방향타를 최초로 사용하여 현대 에어보트 설계의 중요한 개선을 이루었다.[22]
수년에 걸쳐 표준 설계는 시행착오를 통해 발전했다. 엔진이 뒤쪽에 장착된 열린 평저 보트에 운전자가 높은 위치에 앉고, 프로펠러가 이물질에 맞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지가 있는 형태가 일반적인 에어보트의 디자인이 되었다.
2. 4. 현대적 발전
현대 상업적으로 제조되는 에어보트 선체는 알루미늄 또는 섬유유리로 만들어진다. 사용되는 재료는 선박이 운항될 지형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빙판에서 사용되는 에어보트는 더욱 견고한 폴리머 코팅 알루미늄 선체를 가지는 반면, 습지에서 사용되는 일부 에어보트는 더 가벼운 섬유유리 선체를 갖는다.[46] 표준 사냥/트레일 보트는 길이가 약 3.05m이며 2~3명이 탑승할 수 있다. 관광 보트는 훨씬 더 커서 18명 이상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31]엔진은 공랭식 4기통 또는 6기통 항공기 엔진 또는 수랭식 대배기량 V8 자동차 엔진으로, 50마력에서 600마력 이상의 마력을 낸다. 자동차 엔진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교체 부품을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항공등유(avgas)보다 저렴한 고옥탄가 자동차 가솔린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더 저렴한 경향이 있다.[31][42][46]
에어보트가 속도를 낼 때 발생하는 소음의 대부분은 프로펠러에서 나오지만, 엔진 자체에서도 일부 소음이 발생한다. 소음기와 다중 블레이드 탄소 섬유 프로펠러 덕분에 현대 에어보트 디자인은 훨씬 조용하다.
3. 구조 및 작동 원리
에어보트는 평저선 형태의 선체 후부에 대출력 엔진을 장착하고, 후방 약간 높은 위치에 거대한 프로펠러를 설치하는 것이 표준적인 구조이다. 프로펠러는 새장 모양의 금속틀로 전방을 보호하여 장애물 흡입에 의한 파손이나 휘감김에 의한 인적 피해를 방지한다. 조타는 항공기와 마찬가지로 프로펠러 후방에 설치된 방향타를 조종간으로 조작하여 수행한다. 브레이크가 없으므로 감속이나 정지는 조선 기술에 의존하지만, 프로펠러 피치를 역전시켜 후진 기능을 갖춘 것도 있다. 클램셸식 역진 기구를 갖춘 배도 있지만 일반적이지는 않다.
온난한 습지대를 항해하는 유형에서는 무성한 수변 식물에 의해 시야가 가리지 않도록 조종석이 프로펠러 바로 앞의 고지대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한랭지 또는 구조를 목적으로 하는 유형에는 조종실이나 구조자 보호용 선실을 갖추고, 외관이 호버크래프트와 비슷한 하프 캐빈이나 캐빈 유형도 있다. 시베리아 등에서의 운용을 상정하여, 썰매(애어로썰매)로서 설상 등을 활주할 수 있는 수륙양용 차량도 있으며, 출력은 최대 500마력을 넘는 것도 많다.
3. 1. 특징
에어보트는 평평한 바닥 덕분에 습지와 기타 수심이 얕은 수역, 홍수 지역을 포함한 곳을 쉽게 항해할 수 있다. 얼음 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된 버전도 있다. 수면 아래에 작동 부품이 없기 때문에 구조 작업에 이상적이다.[42][27]에어보트는 프로펠러가 발생시키는 공기 기둥에 의해 추진되며, 최대 150km/h의 풍속을 생성한다. 조종간에 부착된 방향타는 공기를 돌려 방향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약 35kn의 속도로 이동하며, 개조된 것은 135kn에 도달할 수 있다.[31]
특별한 개조가 없으면 에어보트는 후진할 수 없다.[31] 에어보트는 물 위에 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상 운송 수단보다 감속과 정지가 더 어렵다. 조종석은 일반적으로 시야를 최대화하기 위해 높은 위치에 있다.[42][30]
2004년 미국에서 일반적인 우수한 품질의 에어보트 가격은 33000USD에서 70000USD 사이였다. 그러나 이라크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250만 이라크 디나르(약 2147USD)[53]에 구입할 수 있다.
특수 설계와 사용 목적 이외의 환경에서의 제한된 이동성 때문에 에어보트는 전체 수상 운송 수단에서 매우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2017년 12월 기준으로 플로리다주에는 12,164대의 에어보트가 있었으며, 그중 1,025대가 상업용이었다.[31] 에어보트는 특히 루이지애나주를 포함한 다른 멕시코만 연안 주에서 널리 사용된다.
표준적인 구조는 평저선 형태의 선체 후부에 대출력 엔진을 장착하고, 후방 약간 높은 위치에 거대한 프로펠러를 설치하는 것이다. 프로펠러는 새장 모양의 금속틀로 전방을 보호하여 장애물 흡입에 의한 파손이나 휘감김에 의한 인적 피해를 방지한다. 조타는 항공기와 마찬가지로 프로펠러 후방에 설치된 방향타를 조종간으로 조작하여 수행한다. 브레이크가 없으므로 감속이나 정지는 조선 기술에 의존하지만, 프로펠러 피치를 역전시켜 후진 기능을 갖춘 것도 있다. 클램셸식 역진 기구를 갖춘 배도 있지만 일반적이지는 않다.
온난한 습지대를 항해하는 유형에서는 무성한 수변 식물에 의해 시야가 가리지 않도록 조종석이 프로펠러 바로 앞의 고지대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한랭지 또는 구조를 목적으로 하는 유형에는 조종실이나 구조자 보호용 선실을 갖추고, 외관이 호버크래프트와 비슷한 하프 캐빈이나 캐빈 유형도 있다. 시베리아 등에서의 운용을 상정하여, 썰매(애어로썰매)로서 설상 등을 활주할 수 있는 수륙양용 차량도 있다. 출력은 최대 500마력을 넘는 것도 많다.
3. 2. 소련의 에어로슬레드
소련 및 그 후신 국가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또는 그 이전부터 에어보트와 유사한 선박들이 사용되었다. 소련군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수상에서만 운항하는 진정한 에어보트(NKL-5 등)를 사용했는데, 무게 약 1200kg의 무장 보트로 최대 시속 60km에 달하는 속도를 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5] 그러나 대부분의 소련 에어보트는 에어로슬레드(러시아어로 "에어로사니")이다. 에어로슬레드는 항공기 프로펠러로 추진되는 수륙양용 차량으로, 썰매, 에어보트 및 지면 효과 차량의 혼합체라고 할 수 있다. 수천 대의 에어로슬레드가 시베리아에서 화물 및 승객 운송 수단으로 사용되었는데, 얼어붙은 시베리아 겨울과 봄철 해빙기(미국의 머드 시즌과 유사)의 진흙탕 습지에서 모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여 도로 운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했다. 에어로슬레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6] 투폴레프 A-3 에어로슬레드는 이러한 차량의 전형적인 예로, 눈에서는 최대 시속 120km, 물에서는 최대 시속 65km에 달하는 속도를 낼 수 있다.[25]4. 용도
에어보트는 평평한 바닥 덕분에 습지와 얕은 수역, 홍수 지역을 쉽게 항해할 수 있으며, 얼음 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할 수 있다. 수면 아래에 작동 부품이 없어 구조 작업에 이상적이다.[42][27]
에어보트는 프로펠러가 만드는 공기 기둥으로 추진되며, 최대 150mph의 풍속을 낼 수 있다. 조종간에 부착된 러더로 공기 방향을 조절한다. 일반적인 속도는 약 35mph이며, 개조된 에어보트는 135mph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31]
특별한 개조 없이는 후진할 수 없으며,[31] 물 위에 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상 운송 수단보다 감속과 정지가 어렵다. 조종석은 시야 확보를 위해 높게 위치한다.[42][30]
2004년 미국에서 일반적인 에어보트 가격은 33000USD[46]에서 70000USD[4] 사이였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에어보트는 전체 수상 운송 수단에서 매우 작은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루이지애나주를 포함한 멕시코만 연안 주에서 널리 사용된다.
소련과 그 후신 국가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에어보트와 유사한 선박(에어로슬레드)을 사용했다. 에어로슬레드는 썰매, 에어보트, 지면 효과 차량의 혼합체로, 시베리아에서 화물 및 승객 운송에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된다.[6] 투폴레프 A-3 에어로슬레드는 눈에서 최대 120km/h, 물에서 최대 65km/h의 속도를 낼 수 있다.[25]
최근 에어보트는 홍수, 얕은 물, 결빙 구조 작업에 필수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공공 안전 분야에서 인기가 높아졌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이후 뉴올리언스 홍수 당시 수천 명의 홍수 피해자를 구조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37] 카준 네이비라는 자원봉사 단체는 허리케인 하비[39], 허리케인 플로렌스[40] 등 자연재해에서 구조 활동을 펼쳤다.[41]
에어보트는 얕고 습지대 또는 겨울철 얼음이 언 환경에서 효과적이며, 일반 보트보다 빠르고 크며 안전하다.[46] 다만, 헬리콥터와 함께 작업할 때는 헬리콥터의 로터 와류에 의해 전복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38]
에어보트는 전 세계 여러 군대, 국경 순찰대, 미국 해안경비대에서 사용된다.[47] 미 육군과 이라크 보안군은 각각 베트남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서 에어보트를 사용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허리케인 에어캣 에어보트는 미국 특수부대와 남베트남군이 강과 습지 지역을 순찰하는 데 사용되었다.[48]
에어보트는 텍사스와 이라크에서도 국경 순찰에 사용된다.[51] 이라크 군용 에어보트는 M240 기관총으로 무장되어 있다.[52] 2013년 이라크 석유부는 에어보트 20대를 구매했다.[53]
에어보트 타기는 생태관광 활동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와 루이지애나 바이유 등에서 투어가 진행된다.[54]
일본에서는 구조정으로서 에어보트 도입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5. 장점 및 단점
에어보트는 얕은 물, 습지, 얼음 위에서 운행이 가능하고 수면 아래 작동 부품이 없어 구조 작업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42][27] 프로펠러 추진으로 인한 소음과 낮은 연비, 후진 및 감속/정지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있다.[31] 기누가와 제방 붕괴 등 재난 상황에서 유용성이 입증되었으나, 소음 문제 해결과 전문 조종 기술 교육이 필요하다.
5. 1. 장점
에어보트는 평평한 바닥 덕분에 습지와 얕은 수역, 홍수 지역을 쉽게 항해할 수 있으며, 얼음 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된 버전도 있다. 수면 아래에 작동 부품이 없어 구조 작업에 이상적이다.[42][27] 프로펠러가 발생시키는 공기 기둥으로 추진되며, 최대 150mph의 풍속을 생성한다. 조종간에 부착된 러더는 공기를 돌려 방향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35mph의 속도로 이동하며, 개조된 것은 135mph에 도달할 수 있다.[31]특별한 개조 없이는 후진할 수 없으며, 일반적인 수상 운송 수단보다 감속과 정지가 더 어렵다. 조종석은 시야 확보를 위해 높은 위치에 있다.[42][30] 2004년 미국에서 일반적인 에어보트 가격은 33000USD[46]에서 70000USD[4] 사이였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에어보트는 전체 수상 운송 수단에서 매우 작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홍수, 얕은 물, 결빙 구조 작업에 필수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공공 안전 분야에서 인기가 높아졌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이후 뉴올리언스 홍수 당시 수천 명의 홍수 피해자를 구조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37] 민간 자원봉사자들은 36시간 이내에 뉴올리언스 시내 네 개 병원에서 환자 1,100명 이상과 의료진 및 가족 4,000명을 대피시켰다.[38]
에어보트는 얕고 습지대나 겨울철 얼음이 언 환경에서의 수상 구조에 특히 효과적이며, 부분적으로 수륙양용이기 때문에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미네소타 소방서에 따르면 결빙 구조의 경우 에어보트 사용으로 평균 구조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46]
일본에서는 쓰나미 재해 시 다량의 부유 쓰레기가 떠다니는 해역에서의 구조 활동에 있어서, 특히 부유 쓰레기에 선체를 올려놓고 나아가는 등 일반 선박이나 고무보트, 호버크래프트 등으로는 구조 활동이 어려운 상황에서의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2015년 9월 11일에는 기누가와 제방 붕괴로 인한 조소시의 침수 피해 지역에서 국내 최초로 에어보트를 이용한 구조 활동이 실시되어 그 유효성이 입증되었다.
5. 2. 단점
에어보트는 특별한 개조 없이는 후진할 수 없다.[31] 물 위에 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상 운송 수단보다 감속과 정지가 더 어렵다.프로펠러 추진이기 때문에 소음이 크고 연비가 나쁘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프로펠러 날개 수를 늘리는 다엽화(多翅化)나 경량 고강도 탄소 소재 채용, 엔진 머플러 부착 등의 소음 대책이 도입되고 있다.
일본의 연안은 인구 밀집 지역이 많아 도입 시에는 보다 철저한 소음 대책이 요구된다. 구조 활동 시에는 무음 시간(サイレントタイム) 도입 등 운용상의 노력이 필요하다.
추진력이 항공역학에 기반한 것이므로, 에어보트의 성능 유지·향상 시 선박 지식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해외처럼 홈빌드로 즐기고 싶어도, 자동차로 치면 차량 검사에 해당하는 선박 검사(선검)를 통과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조종 기술에 대해서도 전문 강사의 지도가 필수적이지만, 일본에서는 강사 자격 보유자가 거의 없다. 미숙한 지식으로 조종하면, 선수의 심한 범핑이나 선회 시 카운터 토크에 의해 선박이 전복될 위험을 안고 있다.
6. 대한민국 현황
일본에서는 1953년 서일본 수해 당시 미군 소유의 에어보트가 구조 활동에 사용되었고, 이후 해상보안청에서 히엔을 도입하여 운용하기도 했다.[57][58] 그러나 이후에는 미국 드라마 등에서 등장하는 탈 것으로 인식되는 정도였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을 계기로 프레시 에어가 일본에서 유일하게 에어보트 제조를 사업화하면서 구난정으로서의 보급이 다시 모색되기 시작했다.
6. 1. 도입 사례
1953년 서일본 수해 당시, 미 공군 소유의 에어보트 2척이 출동하여 토스시까지 급속 여과기를 싣고 침수된 치쿠고가와 유역을 횡단, 구루메시의 구루메대학 본관까지 수송했다.[57] 이후 두 척은 홍수로 범람한 유역의 구조 활동에 사용되었다.[58] 해상보안청은 1959년 6미터형 프로펠러 보트 "히엔"을 도입하여 1969년까지 구조정(정 번호: CR-51)으로 운용했다.2011년 동일본대지진을 계기로, 프레시 에어가 일본에서 유일하게 에어보트 제조를 사업화하여 구난정으로서의 보급을 모색하고 있다. 2015년 간토·도호쿠 호우 당시 이바라키현조소시의 기누가와 제방 붕괴 때 프레시 에어가 제공한 에어보트 1척이 소방 지휘하에 구조 활동에 활용되어 심야 수색에서 46명을 구조했다.
2017년에는 난카이 트로프 지진 대책으로 1척이 고치현 경찰에 채용되었고,[59] 같은 해 4월에는 기누가와 대홍수 피해를 입은 이바라키현 사카이마치가 수해 구난과 관광을 목적으로 지자체로서는 처음으로 에어보트를 도입했다.[60][61] 2019년 1월에는 도쿄도가 재해 즉응 대처 부대 창설에 따라 에어보트 도입을 검토했고,[62] 2020년 3월에 대소 각 1척의 에어보트가 도쿄소방청에 납입되었다.[63][64]
6. 2. 제조 현황
에어보트 제조업체는 대부분 주문 제작 방식으로 보트를 조립하는 소규모 가족 경영 사업체이다. 대부분의 에어보트는 미국에서 제조되지만, 러시아[25], 이탈리아[26], 핀란드[27][28], 일본[29], 오스트레일리아[30] 등 다른 지역에서도 제작된다. 1950년 이전에는 대부분의 에어보트가 프랑스의 회사 및 개인에 의해 제조되었다.[15]현대 상업적으로 제조되는 에어보트 선체는 알루미늄 또는 섬유유리로 만들어진다. 사용되는 재료는 선박이 운항될 지형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빙판에서 사용되는 에어보트는 더욱 견고한 폴리머 코팅 알루미늄 선체를 가지는 반면, 습지에서 사용되는 일부 에어보트는 더 가벼운 섬유유리 선체를 갖는다.[46] 표준 사냥/트레일 보트는 길이가 약 3.05m이며 2~3명이 탑승할 수 있다. 관광용 보트는 훨씬 더 커서 18명 이상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31]
엔진은 공랭식 4기통 또는 6기통 항공기 엔진 또는 수랭식 대배기량 V8 자동차 엔진으로, 50마력에서 600마력 이상의 마력을 낸다. 자동차 엔진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교체 부품을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항공등유(avgas)보다 저렴한 고옥탄가 자동차 가솔린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더 저렴한 경향이 있다.[31][42][46]
속도를 낼 때 에어보트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대부분은 프로펠러에서 나오지만, 엔진 자체에서도 일부 소음이 발생한다. 소음기 덕분에 현대 에어보트 디자인은 훨씬 조용하다.
일본 국내 제조업체는 프레시에어(Fresh Air)사뿐이다.
6. 3. 과제
1953년 서일본 수해 당시 미 공군 소유 에어보트 2척이 구조 활동에 투입되었다.[57][58] 해상보안청은 1959년 에어보트 '히엔'을 도입하여 1969년까지 운용했다.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프레시 에어가 일본에서 유일하게 에어보트 제조를 사업화하여 구난정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2015년 간토·도호쿠 호우 당시 이바라키현조소시 기누가와 제방 붕괴 현장에 프레시 에어의 에어보트가 투입되어 46명을 구조했다.
2017년 고치현 경찰이 난카이 트로프 지진 대책으로 에어보트 1척을 채용했고,[59] 사카이마치는 수해 구난 및 관광 목적으로 에어보트를 도입했다.[60][61] 2019년 도쿄도는 재해 대응 부대 창설에 따라 에어보트 도입을 검토,[62] 2020년 도쿄소방청에 에어보트 2척이 납입되었다.[63][64]
7. 안전
에어보트는 윗부분이 무겁고 불안정하며, 물에 잠기는 깊이가 매우 얕기 때문에 특히 공해나 파도가 거칠거나 폭풍우가 치는 상황에서 뒤집히거나 가라앉기 쉽다.[32] "장벨트 기어 감속 구동 장치"와 자동차 엔진을 사용하는 에어보트는 엔진을 선체 내부에 장착하여 무게중심을 낮춤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줄인다.[46] Airboat West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등 일부 회사와 기관에서는 바람이 많이 부는 거친 환경이나 저수선 등 장애물이 있는 곳에서의 구조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무게중심이 낮은 에어보트를 제작했다.[33] 에어보트에는 전복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자동 팽창 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다.[46]
7. 1. 사고 유형
에어보트는 안전벨트와 부력장치/구명조끼와 같은 안전 장비를 갖추고 있다.[46][31]2014년부터 2017년까지 플로리다주에서는 75건 이상의 에어보트 사고가 발생하여 7명이 사망하고 102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 중 5명은 익사했으며, 사고 피해자의 90%는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았다. 이는 수영을 할 줄 아는 사람이 30%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부상자의 40%와 익사 외 사망자 2명은 충돌로 인해 좌석에서 튕겨져 나갔다.[31]
마이애미 뉴 타임스(Miami New Times)의 2017년 분석에 따르면, 에어보트 사고의 64%는 조작자 과실로 인한 것이며, 다음 세 가지 요인 중 하나로 귀결된다.[31]
- 보트 교육 또는 훈련 부족
- 안전벨트나 부력장치와 같은 안전 장비 부족 또는 안전 장비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함
- 음주운항 및 부적절한 주의 관찰을 포함한 무모한 행동
에어보트의 엔진과 프로펠러는 보호용 금속 케이지에 둘러싸여 있어 나뭇가지, 옷, 음료 용기, 승객 또는 야생 동물과 같은 물체가 프로펠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46][31]
에어보트는 상부 중량이 크고 불안정하며 흘수가 매우 얕기 때문에 특히 공해 또는 파도가 거칠거나 폭풍우가 치는 상황에서 전복되거나 침몰되기 쉽다.[32] "장벨트 기어 감속 구동 장치"와 자동차 엔진을 사용하는 에어보트는 엔진을 선체 내부에 장착하여 무게중심을 낮춤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줄인다.[46] Airboat West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를 포함한 일부 회사와 기관에서는 바람이 많이 부는 거친 환경이나 저수선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구조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무게중심이 낮은 에어보트를 제작했다.[33] 에어보트에는 전복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자동 팽창 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다.[46]
7. 2. 안전 장비
에어보트는 안전벨트와 부력장치/구명조끼와 같은 안전 장비를 갖추고 있다.[46][31]2014년부터 2017년까지 플로리다주에서는 75건 이상의 에어보트 사고가 발생하여 7명이 사망하고 102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 중 5명은 익사했으며, 사고 피해자의 90%는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았다. 이는 수영을 할 줄 아는 사람이 30%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부상자의 40%와 익사 외 사망자 2명은 충돌로 인해 좌석에서 튕겨져 나갔다.[31]
마이애미 뉴 타임스(Miami New Times)의 2017년 분석에 따르면, 에어보트 사고의 64%는 조작자 과실로 인한 것이며, 다음 세 가지 요인 중 하나로 귀결된다.[31]
- 보트 교육 또는 훈련 부족
- 안전벨트나 부력장치와 같은 안전 장비 부족 또는 안전 장비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함
- 음주운항 및 부적절한 주의 관찰을 포함한 무모한 행동
에어보트의 엔진과 프로펠러는 보호용 금속 케이지에 둘러싸여 있어 나뭇가지, 옷, 음료 용기, 승객 또는 야생 동물과 같은 물체가 프로펠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46][31]
에어보트는 상부 중량이 크고 불안정하며 흘수가 매우 얕기 때문에 특히 공해 또는 파도가 거칠거나 폭풍우가 치는 상황에서 전복되거나 침몰되기 쉽다.[32] "장벨트 기어 감속 구동 장치"와 자동차 엔진을 사용하는 에어보트는 엔진을 선체 내부에 장착하여 무게중심을 낮춤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줄인다.[46] Airboat West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를 포함한 일부 회사와 기관에서는 바람이 많이 부는 거친 환경이나 저수선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구조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무게중심이 낮은 에어보트를 제작했다.[33] 에어보트에는 전복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자동 팽창 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다.[46]
7. 3. 안전 규정 (플로리다 주)
2018년부터 플로리다 주에서는 에어보트 운영자에게 심폐소생술(CPR) 교육과 주 야생동물위원회가 운영하는 에어보트 운항 과정 이수를 요구하고 있다.[34]플로리다 주 법은 또한 에어보트에 "자동차식 공장 제작 소음기, 수중 배기 장치 또는 엔진 배기음을 적절히 줄일 수 있는 기타 제조 장치"를 장착하도록 규정한다. 더불어, 보트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최소 약 3.05m 높은 마스트나 깃대에 최소 약 25.40cm x 약 30.48cm 크기의 국제 오렌지색 깃발을 달아 가시성을 높이고 충돌을 줄이도록 하고 있다.[35]
플로리다 주에서 에어보트를 운항할 수 있는 최소 연령은 14세이다.[36]
참조
[1]
서적
Volume 4 (1915-1916) and Cercle du Mononautisme Classique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Archives historiques
http://www.cmc-retro[...]
[3]
웹사이트
https://www.cmc-retr[...]
[4]
웹사이트
Pre-Owned Airboats
http://americanairbo[...]
2018-07-10
[5]
웹사이트
WWII navy information and facts
http://wio.ru/fleet/[...]
2018-07-11
[6]
뉴스
The remarkable part boat, part sled, part ground-effect Tupelov aerosled
https://newatlas.com[...]
2006-11-06
[7]
뉴스
Airboats simplify swampland surveillance
https://charlottecou[...]
2011-02-17
[8]
서적
Aërial Locomotion: With a Few Notes of Progress in the Construction of an Aërodrome
https://books.google[...]
Press of Judd & Detweiler, Incorporated
1907
[9]
보고서
Les hydravions d'Alphonse Tellier
https://www.hydroret[...]
hydroretro.net
2018-07-10
[10]
서적
History of Aviation
1972
[11]
서적
Guy Gaunt: The Boy From Ballarat Who Talked America Into the Great War
https://books.google[...]
Australian Scholarly Publishing
2016-09-23
[12]
잡지
Reminiscence of the Essen Raids
https://books.google[...]
Flying Association at the office of the Aero Club of America
1916-01
[13]
서적
The Inland water transport in Mesopotamia
https://archive.org/[...]
London Constable
1921
[14]
잡지
"Hydro-Gliders" the latest thing in Chinese transportation, expected to open the upper Yangtze to rapid navigation
https://books.google[...]
The Far Eastern Bureau
1921-01-03
[15]
웹사이트
Archives historiques
http://www.cmc-retro[...]
2018-07-06
[16]
보도자료
Hydroglisseurs Farman
https://gallica.bnf.[...]
Farman Aviation Works
1922
[17]
웹사이트
The 1920 Curtiss "Scooter" airboat
http://www.curtisswa[...]
2018-07-09
[18]
서적
Dreamers, Schemers and Scalawags
https://archive.org/[...]
Pineapple Press Inc
1998
[19]
뉴스
Lars Anderson: Talking Airboats: Can You Hear Me Now?
http://www.gainesvil[...]
2010-10-21
[20]
이미지
World's First Airboat
https://scontent-sjc[...]
2018-07
[21]
웹사이트
Tuesday Trivia: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and the Airboat.
https://www.facebook[...]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16-11-15
[22]
뉴스
World's first airboat hatched at Bear River refuge in '40s
https://www.deseret.[...]
2007-05-08
[23]
웹사이트
Bear River Migratory Bird Refuge, Grassland Unit Restoration Project - Phase I
http://www.ducks.org[...]
2018-07-10
[24]
구술사
Oral History Program
https://cdm.weber.ed[...]
1972
[25]
서적
Jane's Surface Skimmers
Jane's Publishing Company Limited
1982
[26]
웹사이트
Idroscivolanti and the Raid Pavia-Venezia
https://oldmachinepr[...]
2018-07-10
[27]
웹사이트
New Ideas in Boat Design
http://www.airboats.[...]
Arctic Airboat
2018-07-10
[28]
뉴스
Torsti tietää
Helsingin Sanomat
2010-03-28
[29]
웹사이트
エアボートを、レジャー用として、救助用として、広く日本で普及させたい
http://airboat.jp/
Fresh Air Co., Ltd
2018-07-10
[30]
웹사이트
Airboats International -- About Us
https://www.airboats[...]
Airboats International
2018-07-10
[31]
뉴스
Florida Airboat Accidents Have Killed Seven and Injured Dozens in Recent Years
http://www.miaminewt[...]
2017-12-12
[32]
기술보고서
Airboats
https://web.archive.[...]
1966-04-15
[33]
잡지
A boat that walks on water
https://www.asme.org[...]
Th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18-07-11
[34]
뉴스
Gov. Scott signs 'Ellie's Law' creating new safety rules for Everglades airboat operators
http://www.sun-senti[...]
2018-04-24
[35]
서적
Diving and Boating Safety Manual
https://www.fau.edu/[...]
Florida Atlantic University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2014-02
[36]
Statute
The 2010 Florida Statutes (including Special Session A)
http://www.leg.state[...]
2018-07-10
[37]
뉴스
LIFE BEYOND KATRINA: Cajun couple rescues hundreds from flooded homes
http://www.wafb.com/[...]
2015-08-24
[38]
잡지
The Evacuation of New Orleans After The Levees Broke
https://www.fireengi[...]
2018-07-10
[39]
뉴스
The "Cajun Navy," which got its start after Hurricane Katrina hit Louisiana, has stepped up to the plate once again, this time swooping in to help those in need in the neighboring state of Texas after Hurricane Harvey hit.
https://abcnews.go.c[...]
2018-09-29
[40]
뉴스
Hurricane Florence prompts volunteer group America's Cajun Navy to send more than 1,000 people to help
https://www.foxnews.[...]
2018-09-12
[41]
웹사이트
America's Cajun Navy
https://americascaju[...]
2018-09-29
[42]
잡지
Rescue on The Chattahoochee
https://www.fireengi[...]
2018-07-10
[43]
잡지
Rescuing New Orleans
2005-11-01
[44]
잡지
"You Want To Buy A What"
2004-03-01
[45]
잡지
Saving Lives Across America
2004-08-01
[46]
잡지
The Use of Airboats in Ice and Water Rescue Emergencies
https://www.fireengi[...]
2018-07-10
[47]
뉴스
Coast Guard Station Burlington Demonstrates New Airboat
http://coastguardnew[...]
2010-02-13
[48]
서적
Mobile Strike Forces in Vietnam 1966–70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2007-09-18
[49]
서적
The War in Cambodia 1970–75
Osprey Publishing Ltd
1989
[50]
서적
FANK: A History of the Cambodian Armed Forces, 1970–1975
Equinox Publishing (Asia) Pte Ltd
2011
[51]
웹사이트
Whirl Wind Goes to Iraq
https://whirlwindpro[...]
Whirlwind Propellers
2018-07-10
[52]
웹사이트
Airboats in Iraq
https://southernairb[...]
2006-03-31
[53]
보도자료
تجهيز زوارق هوائة نهرية
http://www.iraq-busi[...]
جمهوريى العراق وزارة النفط شركة الاستكشاف النفطية
2018-07-10
[54]
웹사이트
Everglades Airboat Tours {{!}} Airboat Tours and Rides
https://www.everglad[...]
2022-03-18
[55]
웹사이트
New Orleans #1 Swamp Tour
https://ragincajunai[...]
2022-03-18
[56]
인용
Mobile Strike Forces in Vietnam 1966-70
Osprey Publlishing
[57]
서적
続久留米市誌
久留米市役所
1955
[58]
간행물
水害寫眞第二報
久留米市役所
1953
[59]
웹사이트
高知県警察へエアボートを納入いたしました
https://airboat.jp/2[...]
株式会社フレッシュエアー
2020-06-13
[60]
웹사이트
災害救助艇 エアボートの導入
http://www.town.saka[...]
茨城県境町
2020-06-13
[61]
웹사이트
全国自治体初!境町へ納入いたしました。
https://airboat.jp/2[...]
株式会社フレッシュエアー
2020-06-13
[62]
웹사이트
東京都が災害即応対処部隊創設へ 来年3月発足目指す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6-05-19
[63]
웹사이트
東京消防庁へ納入いたしました
https://airboat.jp/2[...]
株式会社フレッシュエアー
2020-06-13
[64]
웹사이트
即応対処部隊の運用開始について
https://www.tfd.metr[...]
東京消防庁
2020-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