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트란토 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트란토 해협은 이탈리아와 알바니아 사이의 좁은 해협으로, 아드리아 해와 이오니아 해를 연결하며 고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여겨졌다. 로마 시대에는 동로마 제국으로 가는 주요 통로였고, 중세 시대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군사적 거점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국이 해협을 봉쇄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의 지중해 진입을 막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이탈리아가 알바니아를 침공하는 통로로 사용되었다. 냉전 이후에는 알바니아와 이탈리아 간의 대륙붕 경계가 획정되었으며, 알바니아의 혼란으로 인해 난민이 이탈리아로 유입되는 경로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지형 - 메시나 해협
    메시나 해협은 이탈리아 본토와 시칠리아 섬 사이의 좁은 해협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이자 전략적 요충지이며, 다양한 문명의 교류와 갈등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생물 다양성이 높은 해역으로 페리와 수중익선이 운항되지만, 메시나 해협 대교 건설 계획은 논쟁 중에 있다.
  • 이탈리아의 지형 - 시칠리아 해협
    시칠리아 해협은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과 튀니지 사이의 지중해 해역으로, 동서 해류의 특이한 움직임과 다양한 해양 생물, 유라시아 판과 아프리카 판의 결합부로서 화산 활동, 난민 이동 경로, 그리고 바람의 영향 등을 특징으로 한다.
오트란토 해협
지리
위치아드리아 해와 이오니아 해 사이
구분이탈리아와 알바니아를 분리
최소 너비72km
깊이18m
개요
명칭오트란토 해협 (Strait of Otranto)
알바니아어 명칭Ngushtica e Otrantos (응구슈티차 에 오트란토스)
이탈리아어 명칭Canale d'Otranto (카날레 디 오트란토)

2. 역사

오트란토 해협은 고대부터 로마베네치아 공화국 등 여러 국가에게 전략적 요충지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연합 해군은 해협을 봉쇄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지중해 진입을 막았으나, 잠수함에는 효과가 없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이탈리아가 이 해협을 넘어 알바니아를 침공하기도 했다.

1992년 알바니아와 이탈리아는 조약을 체결하여 해협 내 대륙붕 경계를 확정했다. 1997년 알바니아 소요 사태 이후에는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해협을 건너 이탈리아로 가려다 사망하기도 했다. 2006년 알바니아 정부는 조직 범죄를 막기 위해 동력 보트 운행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3]

2. 1. 고대

고대부터 오트란토 해협은 매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로마인들은 이곳을 통해 동쪽으로 군대를 수송했다. 군단은 브룬디시움(현재 브린디시)까지 행진했고, 현대 알바니아 영토까지 하루 만에 항해한 후 에그나티아 가도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1]

2. 2. 중세

중세 후반부터 르네상스 시대에 걸쳐 서유럽 최고의 해군 국가로 지중해를 제패한 베네치아 공화국이 가장 중요하게 여긴 군사적 거점이었다. 아드리아 해 깊숙이 위치한 베네치아는 이 해협에 의해 보호받았지만, 반대로 이곳이 봉쇄되면 움직일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2. 3.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 해협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었다.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의 연합 해군은 주로 경(輕) 해군력과 드래프터로 알려진 경무장 어선을 동원하여 해협을 봉쇄함으로써, 신중한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지중해로 자유롭게 진입하는 것을 방해했고, 효과적으로 전쟁의 해상 전역에서 그들을 배제했다. 이 봉쇄는 '오트란토 해협 해상 봉쇄'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해상 봉쇄는 아드리아해에서 활동하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잠수함에 대해 악명이 높을 정도로 비효율적이었는데, 이 잠수함들은 전쟁 기간 대부분 동안 지중해 전역에서 연합국을 괴롭혔다.[2]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오트란토 해협은 아드리아 해의 출구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군사적·교통의 요충지로 중요시되었다. 고대에는 동서 로마 제국을 잇는 주요 도로 중 하나가 이 해협을 건넜다. 중세 후반부터 르네상스 시대에 걸쳐 서유럽 최고의 해군 국가로 지중해를 제패한 베네치아 공화국이 가장 중요하게 여긴 군사적 거점이었다. 아드리아 해 깊숙이 위치한 베네치아는 이 해협에 의해 보호받았지만, 반대로 이곳이 봉쇄되면 움직일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2. 5. 냉전 이후

1992년, 알바니아와 이탈리아는 조약을 체결하여 해협 내 두 국가 간의 대륙붕 경계를 경계 획정했다. 오트란토 해협에 대한 행정 권한은 이전 오트란토 합의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고 알바니아에 주어졌다.

1997년 알바니아 소요 사태 이후 및 오트란토 비극, 카라부룬 비극에서 열악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약 100명이 해협을 불법적으로 건너려다 사망했다.

2006년, 알바니아 정부는 조직 범죄를 억제하기 위해 알바니아의 모든 호수, 강 및 바다에서 동력 항해 보트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부과했다.[3] 이 규칙의 유일한 예외는 정부 소유 보트, 외국 소유 보트, 어선 및 제트 보트이다. 2010년에는 모라토리엄이 2013년까지 연장되었다.

베를린 장벽 붕괴 후에는 알바니아로부터의 난민이 이 해협을 건너 이탈리아로 몰려들기도 했다.

2. 6. 최근

1992년, 알바니아와 이탈리아는 조약을 체결하여 해협 내 두 국가 간의 대륙붕 경계를 경계 획정했다. 오트란토 해협에 대한 행정 권한은 이전 오트란토 합의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고 알바니아에 주어졌다.

1997년 알바니아 소요 사태 이후 및 오트란토 비극과 카라부룬 비극에서 열악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약 100명이 해협을 불법적으로 건너려다 사망했다.

2006년, 알바니아 정부는 조직 범죄를 억제하기 위해 알바니아의 모든 호수, 강 및 바다에서 동력 항해 보트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부과했다.[3] 이 규칙의 유일한 예외는 정부 소유 보트, 외국 소유 보트, 어선 및 제트 보트이다. 2010년, 모라토리엄은 2013년까지 연장되었다.

베를린 장벽 붕괴 후에는 반대로 알바니아로부터의 난민이 이 해협을 건너 이탈리아로 몰려들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Northern Adriatic Ecosystem: Deep Time in a Shallow Se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03-06
[2] 서적 First World War Dorling Kindersley
[3] 웹사이트 Keshilli i Ministrave http://www.keshillim[...] Council of Ministers of the Republic of Albania, www.keshilliministrave.al, 10 August 2006 2011-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