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펠 벡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펠 벡트라는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인 오펠이 생산한 중형차이다. 1세대는 1988년부터 1995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오펠 아스코나의 후속 모델로 4도어 세단과 5도어 해치백으로 출시되었다. 2세대는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스테이션 왜건 모델이 추가되었고, 영국에서는 복스홀 벡트라로 판매되었다. 3세대는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차체가 확대되고 해치백 모델이 추가되었으며, GM 엡실론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벡트라는 대한민국 시장에 직접 판매되지는 않았지만, GM대우가 벡트라 C를 기반으로 쉐보레 에피카를 생산, 판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도입된 자동차 - 쌍용 코란도 훼미리
쌍용 코란도 훼미리는 쌍용자동차에서 생산된 SUV 차량으로 다양한 엔진과 사양으로 출시되었으며, 4륜 구동 방식과 초기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에서 5링크 코일 스프링으로 변경된 서스펜션을 채택하고, 여러 미디어 작품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졌다. - 1988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시마
닛산 시마는 1988년에 출시되어 일본 버블 경제 시기에 인기를 얻은 닛산의 고급 세단으로, 여러 차례의 모델 변화와 해외 수출, 그리고 닛산 푸가의 롱 휠베이스 버전으로 부활했지만 2022년에 단종되었다. - 오펠의 차종 - 오펠 칼
오펠 칼은 칼 오펠의 이름을 딴 5도어 해치백 경차로 쉐보레 스파크와 형제 차종이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단종되었다. - 오펠의 차종 - 오펠 아담
오펠 아담은 오펠이 피아트 500, 미니와 경쟁하기 위해 개성을 중시하는 젊은 고객층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리미엄 콤팩트 자동차로, 다양한 디자인과 맞춤화 옵션을 제공했으나 2019년 판매 부진으로 단종되었으며, 여러 파생 모델이 있다. - 스테이션 왜건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스테이션 왜건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오펠 벡트라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 차량 정보 | |
| 제조사 | 오펠 (제너럴 모터스) |
| 별칭 | 쉐보레 벡트라 홀덴 벡트라 복스홀 캐벌리어 (1988–1995) 복스홀 벡트라 (1995–2008) |
| 생산 기간 | 1988년 10월 – 2010년 6월 |
| 차종 | 대형 패밀리카 (D-세그먼트) |
| 레이아웃 | 전륜구동/사륜구동 |
| 선행 차량 | 오펠 아스코나 복스홀 캐벌리어 홀덴 카미라 / 홀덴 아폴로 (홀덴 벡트라) |
| 후속 차량 | 오펠 인시그니아 |
2. 1세대 (1988–1995)
아스코나의 후속으로 출시된 1세대 벡트라는 세단과 해치백 두 가지 형태로 나왔다. 초기에는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고, 1992년에는 V형 6기통 가솔린 엔진이 추가되었다. 이스즈의 직렬 4기통 디젤 엔진도 탑재되어 유럽에서 판매되었다. 파생 차종으로는 칼리브라가 있었다.[2][3][4]
1992년 9월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새로운 전면 그릴과 후미등 상단의 검은색 플라스틱 스트립을 적용했고, 구조를 업그레이드하여 충돌 안전성을 높였다. 1993년부터는 에어백이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영국에서는 복스홀 카발리에로, 뉴질랜드에서는 홀덴 벡트라로 판매되었다. 일본에서는 도호 모터스와 이스즈 자동차가 벡트라를 수입, 판매하였다.[5] 1993년부터는 야나세가 벡트라의 수입 및 판매를 담당했다.
| 출시 연도 | 주요 변경 사항 |
|---|---|
| 1988년 | 아스코나 후속 모델로 출시. 세단, 해치백 모델. |
| 1989년 | 5도어 해치백 버전, 칼리브라 (쿠페), 최상위 벡트라 2000 16V, 4륜구동 버전 출시. |
| 1992년 | V형 6기통 가솔린 엔진 추가, 페이스리프트, 한정판 터보차저 버전 출시. |
| 1993년 | 에어백 옵션 제공, 브라질에서 쉐보레 벡트라 A 출시. |
| 1994년 |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 벡트라 4x4 터보 버전 세이프티 카로 사용, 유로 I 배출 규제 도입으로 1.4 엔진이 1.6 엔진으로 대체. |


2. 1. 1세대 모델의 문제점 (한국 시장 관점)
1990년대 초, 한국 시장에서 독일차는 고급차라는 인식이 강했으나, 벡트라는 경쟁 모델인 메르세데스-벤츠 190E, BMW 3 시리즈, 아우디 80에 비해 판매량에서 크게 뒤처졌다. 이는 벡트라가 한국 소비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능과 품질을 제공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벡트라의 잔고장 문제와 부실한 애프터 서비스는 한국 소비자들의 불만을 샀다.3. 2세대 (1995–2002)
2세대 벡트라는 1995년에 출시되었다. 이 세대부터 유럽에서 선호도가 높은 스테이션 왜건이 차체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이스즈제 디젤 엔진이 계속 탑재되었다.[2]
복스홀 브랜드와의 명칭 통일 정책에 따라, 영국에서는 이 모델부터 "복스홀 벡트라"로 판매되었다.
새턴 L 시리즈는 벡트라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일본에는 세단이 1996년부터, 왜건이 1997년부터 도입되었지만, 해치백은 수입되지 않았다. 트림은 두 차종 모두 직렬 4기통의 GL과 CD, V형 6기통의 CDX가 있었고, 모든 차량에 뉴트럴 컨트롤이 장착된 4단 자동 변속기가 조합되었다.
1998년형 모델부터는 모든 차량에 사이드 에어백이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또한, 키홀더형 키리스 리모컨에서 리모컨 일체형 엔진 키로 변경되었다. 2000년형 모델부터는 몰딩류가 차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변경되었고, 그릴에 크롬 도금이 적용되었으며, 도어 미러가 대형화되었다. 2001년형 모델부터는 모든 엔진이 변경되었으며, CD와 CDX 트림의 경우 배기량이 확대되었다.
엔진은 연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었다.
- 직렬 4기통
- * 1996년-1998년형 모델: X18 (1.8L), X20 (2.0L)
- * 1999년-2000년형 모델: X181 (1.8L), C20SEL (2.0L)
- * 2001년형 모델: Z18 (1.8L), Z22 (2.2L)
- V형 6기통
- * 1996년-2000년형 모델: X25 (2.5L)
- * 2001년형 모델: Y26 (2.6L)
벡트라는 유럽 외 오펠 브랜드가 판매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판매되었지만, 홀덴(오세아니아)을 시작으로 GM대우제 쉐보레 에피카로 대체가 진행되어, 멕시코, 칠레 등 중남미 일부 국가에서 쉐보레 브랜드로 판매되는 데 그쳤다. 또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서는 아스트라가 벡트라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4. 3세대 (2002–2008)
2002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오메가를 대체하기 위해 크기가 대폭 커진 3세대 벡트라가 공개되었다. 1년 뒤인 2003년에는 파생 차종인 시그넘도 출시되었다. 벡트라 C는 세단, 스테이션 왜건, 그리고 GTS로 명명된 해치백 세 가지 타입으로 나왔다. 초기에는 이스즈의 디젤 엔진을 사용했으나, 이후 피아트의 디젤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벡트라는 사브 9-3 2세대, 쉐보레 말리부 6, 7세대 등과 GM 엡실론 플랫폼을 공유한다.
2005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다. 2008년 후속 차종인 인시그니아가 출시된 이후에도 벡트라는 병행 생산 및 판매되었으나, 판매 부진과 노후화로 인해 2009년 단종되었다.
일본에서는 가솔린 엔진 모델이 수입되었으나, 2006년 판매가 중단되었다.
4. 1. 3세대 단종의 배경 (한국 시장 관점)
2000년대 중반, 대한민국 수입차 시장이 급성장했지만, 오펠 벡트라는 경쟁력을 잃고 판매 부진을 겪었다. 결국 2006년, 오펠은 대한민국 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하면서 벡트라의 수입도 중단되었다.5. 대한민국 시장에서의 벡트라
벡트라는 대한민국 시장에 직접 판매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대우자동차가 벡트라 C를 기반으로 쉐보레 에피카를 생산 및 판매하였다.[15]
6. 모터스포츠
벡트라는 여러 투어링카 레이스 시리즈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 2세대 모델은 슈퍼 투어링 머신의 베이스 차량으로 활약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벡트라 B 슈퍼 투어링은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십, 아시아 태평양 투어링카 챔피언십, 독일 슈퍼 투렌바겐 컵, 호주 슈퍼 투어링 챔피언십, 일본 투어링카 챔피언십, 이탈리아 슈퍼투리스모 챔피언십, 프랑스 슈퍼투어링 챔피언십, 스웨덴 투어링카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우베 알첸은 1997년과 1998년 슈퍼 투렌바겐 컵에서 3위를, 1999년에는 2위를 차지했다. 존 헨더슨은 2000년 호주 슈퍼 투어링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존 클리랜드는 1995년에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이 되었으며, 1992년 3위, 1993년과 1994년 4위를 기록했다. 이반 뮐러는 1999년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 6위, 2000년에는 4위를 기록했으며, 니클라스 칼슨은 2002년 스웨덴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03년 트리플 에이트 레이스 엔지니어링에서 BTC 투어링 규격에 맞춰 프로토타입 벡트라 C가 제작되어 2004년 BTCC에 사용될 예정이었지만, 2004년 버밍엄 모터쇼에서 '벡트라 디젤 컨셉'으로 공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경주에는 투입되지 않았다.[31]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 아스트라 H로 대체된 후 2007년 복스홀 벡트라가 도입되었다. 파브리치오 지오바나르디는 2007년과 2008년 챔피언이 되었다. VX 레이싱은 지오바나르디, 맷 닐, 앤드루 조던이 운전하는 벡트라 3대로 2009년 시즌에 참가했다.
벡트라는 실루엣 레이싱 카로 사용되었다.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스톡 카 브라질 (4시즌 챔피언), 2009년, 2005년부터 아르헨티나 탑 레이스 V6 (기예르모 오르텔리가 2005년 챔피언), 2004년과 2005년에는 독일 투어링카 마스터스에서 사용되었으나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94년, 벡트라 A는 1994년 산마리노 그랑프리에서 공식 포뮬러 1 세이프티 카로 사용되었으며, 당시 막스 안젤렐리가 운전했고, 아일톤 세나가 7랩에서 탐부렐로에서 충돌하기 전 5랩 동안 선두를 달렸다.
6. 1. 전일본 투어링카 선수권 (JTCC)
1세대 벡트라는 HKS 팀을 통해 JTCC에 참가했다.[31]참조
[1]
웹사이트
Vauxhall Vectra Hatchback (2005 - 2008) review
https://www.parkers.[...]
2019-06-06
[2]
웹사이트
Welcome to GMArabia.com
http://www.gmegypt.c[...]
Gmegypt.com
2010-10-02
[3]
웹사이트
GM Bakal Buka Lagi Pabrik Perakitan di Pondok Ungu
https://oto.detik.co[...]
2022-06-14
[4]
간행물
Opel Vectra numera turkisk
Specialtidningsförlaget AB
1991-01-24
[5]
서적
European Motor Business
https://books.googl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1991
[6]
간행물
Per lei ci vuole il "duemila"
Editoriale Domus
1989-01
[7]
웹사이트
Vauxhall Vectra
http://www.autoexpre[...]
Dennis Publishing
2006-08
[8]
서적
Ward's Automotive Yearbook 1990
Ward's Communications, Inc
1990
[9]
웹사이트
THIS WEEK: Vauxhall is launching the estate version of its Vectra ...
https://www.campaign[...]
www.campaignlive.co.uk
1996-11-07
[10]
웹사이트
Vauxhall ends Luton production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 Media Limited
2002-03-21
[11]
뉴스
Why General Motors is keeping its faith in Vauxhall's Luton plant
http://www.autocar.c[...]
Autocar
2014-08-25
[12]
간행물
The 13 Worst Cars of the Last 20 Years
http://www.topgear.c[...]
2013-10-31
[13]
웹사이트
Guide to assembly plants in Europe
https://www.autonews[...]
Automotive News Europe
[14]
문서
Vauxhall Vectra owners' Manual
2007-07
[15]
웹사이트
New Holden Vectra goes up-market
http://www.webwombat[...]
WebWombat
[16]
웹사이트
Vauxhall Vectra Estate (2003 – To Date)
http://uk.cars.yahoo[...]
Yahoo!
[17]
웹사이트
Spy Shots: 2003 Saab 9-3
http://www.autotrade[...]
2001-07-13
[18]
웹사이트
Ellesmere Port gears up for new Vectra production
http://www.fleetnews[...]
Bauer Consumer Media Ltd
2001-06-01
[19]
웹사이트
Opel Vectra and Signum Facelifts
http://www.automotri[...]
Automotriz
[20]
웹사이트
Opel Vectra GTS
http://www.babez.de/[...]
Babez.de
[21]
뉴스
Ad of the Week: Vauxhall puts Vectra on trial
https://www.telegrap[...]
2002-06-18
[22]
웹사이트
Referee Collina 'takes control' in Vauxhall TV and print campaign
https://www.campaign[...]
www.campaignlive.co.uk
2005-09-23
[23]
웹사이트
New Opel Signum: Versatile, Innovative, Unique
http://www.worldcarf[...]
Black Falcon Media Group Oy
[24]
웹사이트
The Smell of Diesel Is Back in the Air
http://www.businessw[...]
McGraw-Hill
2003-05-03
[25]
웹사이트
Vauxhall Vectra CDTI 150
http://www.honestjoh[...]
Khoo Systems
2004-10-17
[26]
서적
Business Review Weekly
https://books.google[...]
BRW
[27]
간행물
Sneer Miss
2007-06
[28]
웹사이트
Holden Epica arrives in New Zealand (God help us)
http://www.jackyan.c[...]
Jack Yan & Associates
2007-05-26
[29]
웹사이트
UK Motor Industry 2007
http://www.carkeys.c[...]
PDRonline
2008-01-08
[30]
간행물
Car of the Year 2007 – Estate car
http://www.whatcar.c[...]
2007-01-19
[31]
문서
Autosport magazine feature
2007-01-25
[32]
Youtube
Opel Insignia London Motor Show2008
http://uk.search.car[...]
2008-07-23
[33]
웹사이트
「HKS」の歴史を彩ったファクトリーマシン6選!
https://www.automess[...]
2017-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