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온라인 음악 서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온라인 음악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음악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1990년대 후반, IUMA와 같은 초기 아카이브에서 시작하여, 냅스터와 같은 P2P 파일 공유 서비스의 등장과 저작권 문제로 인한 변화를 겪었다. 이후 eMusic, 아이튠즈 스토어 등의 합법적인 서비스가 등장하며 디지털 음악 다운로드 시장이 성장했다. 온라인 음악 서비스는 저작권 준수, 고품질 메타데이터, 편리한 검색 등의 장점을 제공하는 반면, 파일 형식의 제한, 손실 압축, DRM 적용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또한, 온라인 라디오와 경쟁 관계에 있으며, 판도라와 같은 서비스가 주요 업체로 자리 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라인 음악 서비스 - 냅스터
    냅스터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운영된 P2P 파일 공유 서비스로, MP3 파일 공유를 용이하게 하여 음악 산업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나 현재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운영되고 있다.
  • 온라인 음악 서비스 - 애플 뮤직
    애플 뮤직은 애플이 2015년에 출시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아이튠즈와 비츠 뮤직을 통합하여 시작되었으며, 개인 맞춤형 음악 믹스, 무손실 음원 등을 지원하고, 애플 뮤직 어워드를 개최한다.
온라인 음악 서비스
온라인 음악 서비스
유형디지털 미디어 스토어
설명음악, 오디오북, 팟캐스트 및 기타 오디오 형식의 디지털 파일을 통해 음악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업체
특징
오디오 포맷MP3
AAC
WAV
FLAC
기타
전송 방법다운로드
스트리밍
지불 방법일회성 구매
구독
DRM다양한 DRM 체계 사용 또는 DRM-Free 파일 제공
역사
최초의 합법적 온라인 음악 상점인디밴드 닷컴 (1996년)
유명한 서비스아이튠즈 스토어
아마존 뮤직
구글 플레이 뮤직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
디저
판도라
코부즈
타이달
라인 뮤직
멜론
지니뮤직
벅스
비즈니스 모델
다운로드트랙 또는 앨범을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다운로드 가능
스트리밍구독 기반으로 음악 스트리밍 제공
광고 지원무료로 음악 스트리밍을 제공하고 광고를 통해 수익 창출
기술적 측면
디지털 오디오 코덱다양한 디지털 오디오 코덱 사용
메타데이터곡 정보, 아티스트, 앨범 등을 포함한 메타데이터 제공
디지털 권리 관리 (DRM)저작권 보호를 위해 DRM 기술 사용 (또는 DRM-Free)
장점
편리성언제 어디서든 음악 구매 및 감상 가능
다양한 선택방대한 음악 라이브러리 제공
가격 경쟁력물리적 매체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음악 제공
단점
인터넷 연결 필요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시 인터넷 연결 필수
디지털 음질스트리밍 음질은 압축으로 인해 원본 음원보다 낮을 수 있음
DRM 제한DRM으로 보호된 파일은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

2. 역사

1993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의 롭 로드, 제프 패터슨, 존 루이니가 시작한 인터넷 언더그라운드 뮤직 아카이브(IUMA)는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곡을 제공하는 최초의 무료 고음질 온라인 음악 아카이브였다.[1][2] 1999년 12월 20일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재팬은 일본 최초의 디지털 음악 상점인 비트뮤직을 출시했다.[3][4]

2000년 숀 패닝이 만든 냅스터MP3 형식으로 음악을 공유하는 P2P 서비스였으나, 저작권 침해 문제로 운영을 중단했다.[5] 같은 해, 팩토리 레코드의 토니 윌슨은 노래당 33 페니에 MP3를 판매하는 온라인 음악 상점인 Music33을 출시했다.[6]

유니버설 뮤직 그룹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는 pressplay, EMI, AOL/타임 워너, 베텔스만 뮤직 그룹은 MusicNet을 출시했으나, 높은 가격과 사용 제약으로 인해 실패했다.[7] 소비자들은 불법 파일 공유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2003년 4월 애플아이튠즈 스토어아이팟 출시 후 디지털 오디오 다운로드 수요가 급증했다. 2007년 9월 아마존은 아마존 MP3 서비스를 출시했다.

2000년대에는 음악가가 팬에게 직접 음악을 판매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가 늘어났다.[8] 2007년 라디오헤드는 ''인 레인보우즈''를 다운로드 형식으로 출시하며 청취자가 원하는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게 했다. 2008년 4월 아이튠즈 스토어는 미국 최대의 음악 소매업체가 되었다.[9]

2010년대 초반, 아이튠즈를 필두로 온라인 음악 상점 판매가 크게 증가했다. 사이버 먼데이의 인기로 온라인 음악 상점은 더 많은 입지를 확보했다.[10] 아이튠즈는 '''인스턴트 그라티피케이션''' ('''instant grat''') 서비스를 출시했다.[11]

2. 1. 초기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

1993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의 롭 로드, 제프 패터슨, 존 루이니가 시작한 인터넷 언더그라운드 뮤직 아카이브(IUMA)는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곡을 제공하는 최초의 무료 고음질 온라인 음악 아카이브였다.[1][2]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재팬은 1999년 12월 20일 일본 최초의 디지털 음악 상점인 비트뮤직을 출시했으며, 처음에는 일본 국내 뮤지션이 발매한 싱글의 A면을 중심으로 했다.[3][4]

2000년에는 숀 패닝이 만든 음악 및 파일 공유 서비스인 냅스터가 개발되면서 다운로드 가능한 음악 시장이 널리 퍼졌다. 냅스터는 MP3 형식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파일, 일반적으로 음악을 공유하는 것을 강조한 선구적인 피어 투 피어(P2P) 파일 공유 인터넷 서비스였다. 그러나 저작권 침해와 관련된 법적 문제에 직면하여 운영을 중단했고, 결국 Roxio에 인수되었다. 냅스터는 이후 온라인 음악 상점이 되었으며, Rhapsody가 2011년 12월 1일 Best Buy로부터 냅스터를 인수했다.[5] 이후 Gnutella, Freenet, Kazaa, Bearshare 등과 같은 회사 및 프로젝트가 P2P 파일 공유의 예시를 따랐다. LimeWire, Scour, Grokster, Madster, eDonkey2000과 같은 일부 서비스는 유사한 상황으로 인해 폐쇄되거나 변경되었다.

같은 해, 팩토리 레코드의 기업가 토니 윌슨과 그의 사업 파트너들은 노래당 33 페니에 MP3를 판매하는 초기 온라인 음악 상점인 Music33을 출시했다.[6]

주요 음반 회사는 자체 온라인 상점을 출시하여 비용, 가격 책정, 노래 및 앨범의 프레젠테이션 및 패키징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 했다.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의 서비스는 탐색 및 사용의 어려움, 곡당 3.5달러라는 높은 가격, 파일 만료 문제 등으로 실패했다.

유니버설 뮤직 그룹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는 Duet이라는 서비스를 출시했고, 나중에 pressplay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EMI, AOL/타임 워너 및 베텔스만 뮤직 그룹은 MusicNet과 팀을 이루었다. 그러나 두 서비스 모두 높은 가격과 다운로드한 파일을 사용 방식에 대한 심각한 제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7] 소비자들은 불법적이고 무료인 파일 공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음악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선택했다.

eMusic, Cductive 및 Listen.com (현재 Rhapsody)과 같은 비메이저 레이블 서비스는 독립 레이블 및 아티스트의 음악을 판매했다. 애플아이튠즈 스토어 (당시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라고 불림)가 2003년 4월에 출시되고, 아이팟과 같은 휴대용 음악 및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가 제작된 후 디지털 오디오 다운로드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아마존2007년 9월 미국에서 아마존 MP3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아마존이 운영하는 대부분의 국가로 점차 확대했다.

2. 2. 발전 (2000년대 중반 ~ 2010년대 초)

2000년대에는 음악가가 중개인 없이 팬에게 직접 음악을 판매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늘어났다. 이러한 서비스는 다양한 웹 페이지에 내장되는 전자 상거래 지원 웹 위젯을 사용하여 각 웹 페이지를 음악가 자신의 온라인 음악 상점으로 만들었다. 또한 특정 청중을 위한 "부티크" 음악 상점이 급증했다.[8]

2007년 10월 10일, 영국의 록 밴드 라디오헤드는 앨범 ''인 레인보우즈''를 다운로드 형식으로 출시하면서 청취자가 원하는 가격으로 앨범을 구매하거나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했다. 앨범을 다운로드한 사람의 약 3분의 1은 아무것도 지불하지 않았고, 평균 가격은 4GBP였다. 앨범은 3개월 후 밴드에 의해 온라인에서 내려졌고, CD로 출시되었다. 2008년 4월 기준으로, 가장 큰 온라인 음악 상점은 아이튠즈 스토어로 시장의 약 80%를 차지했다.[9] 2008년 4월 3일, 아이튠즈 스토어는 월마트를 제치고 미국 최대의 음악 소매업체가 되었으며, 이는 온라인 음악 소매업체가 CD와 같은 실물 음악 형식을 판매하는 음반 가게를 넘어선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2010년대 초반, 온라인 음악 상점, 특히 아이튠즈의 판매가 크게 증가했다. 소비 지출은 CD 구매에서 온라인 음악 상점에서 앨범이나 개별 곡을 구매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아이튠즈는 모든 곡을 99cents에 판매하여 이러한 변화를 이끌었다. 역사적으로 앨범은 싱글의 약 5배 가격에 판매되었지만, 아이튠즈는 모든 곡을 앨범 가격의 10분의 1 가격으로 판매했다. 아이튠즈는 앨범 판매를 늘리기 위해 이미 한 곡 이상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할인된 가격으로 전체 앨범을 제공하는 "내 앨범 완성하기"를 시행했다. 사이버 먼데이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온라인 음악 상점은 다른 음악 유통 소스보다 더 많은 입지를 확보했다.[10]

아이튠즈는 앨범을 미리 주문한 고객에게 일부 트랙이나 보너스 트랙을 제공하는 '''인스턴트 그라티피케이션''' ('''instant grat''') 서비스를 출시했다.[11] 인스턴트 grat 트랙은 영국 오피셜 차트의 싱글 차트 기준을 변경했다. 2013년, 데이비드 보위의 "Where Are We Now?"는 앨범 ''The Next Day''의 사전 주문 곡이었기 때문에 차트에 진입할 수 없었지만, 오피셜 차트는 2013년 2월 10일부터 특정 인스턴트 grat을 40위 안에 포함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12][13] 인스턴트 grat은 아마존, 스포티파이 등 다른 온라인 음악 상점에서도 제공되었다.[14]

3. 파일 공유와의 비교

파일 공유를 둘러싼 많은 논란이 있으며, 이 내용의 상당수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3. 1. 합법적 온라인 음원 서비스의 장점


  • 허가된 콘텐츠를 판매하여 저작권법을 준수한다.
  • 메타데이터 입력이 중앙 집중화되고 감독 하에 수행되므로, 더 일관되고 고품질의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 음악 다운로드 회사는 파일 공유 프로그램 제작자보다 사용자에게 더 책임이 있다.
  • 음악이 중앙 집중식으로 저장되어 원하는 노래를 더 쉽게 찾을 수 있다.
  • 특히 애플의 CEO 스티브 잡스아이튠즈 스토어를 소개하면서 파일 공유를 통해 다운로드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최저 임금 미만으로 일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4달러 미만을 절약하기 위해 한 시간을 쓰는 것은 최저 임금보다 적게 일하는 것입니다!"라고 계산했다.[15][16]

3. 2. 온라인 음원 서비스의 단점

많은 주요 온라인 음악 상점은 한 가지 오디오 형식으로만 음악을 제공한다.[1] 대부분의 온라인 음악 상점은 손실 압축을 사용한 손실 파일 형식으로 인코딩된 음악을 판매하는데, 이는 오디오 CD와 비교된다.[2]

일부 온라인 음악 상점은 FLAC 또는 ALAC과 같은 무손실, 메타데이터 지원 형식을 제공하지만,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없는 WAV 파일을 고수하기도 한다.[3] AIFF 파일이 제공되기도 하지만, FLAC 또는 ALAC보다 파일 크기가 크고 음질 면에서 이점이 없다.[3] FLAC 형식의 CD 무손실 립(rip)은 불법 다운로드를 위해 웹에서 널리 이용 가능하다.[3]

일부 상점은 디지털 권리 관리(DRM)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는 특정 장치에서 음악 파일 사용을 제한한다.[4] 이러한 제한은 서비스마다, 때로는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노래 간에도 차이가 있다.[4]

온라인 상점은 노래 및 기타 콘텐츠 다운로드에 요금을 부과하지만, 불법 파일 공유는 수수료가 없다.[5] (불법 노래 다운로더는 일부 관할 구역에서 벌금과 기소에 직면할 수 있고, 불법 파일에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포함될 수 있다.)[5]

4. 인터넷 라디오

인터넷 라디오는 인터넷을 통해 웹캐스트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료 배포한다. 청취자는 장르, 아티스트 또는 원하는 노래를 기반으로 사용자 지정 가능한 "스테이션"을 만들 수 있다. 주요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 제공업체로는 판도라, 라스트 FM, 스포티파이가 있으며, 이 중 판도라가 가장 크다. 판도라는 인터넷 라디오 시장의 52%를 점유하고 있으며, 5,300만 명 이상의 등록 사용자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거의 10억 개의 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17]

참조

[1] 웹사이트 THE DYNAMICS OF MUSIC DISTRIBUTION http://www.chime.com[...] 2008-04-21
[2] 뉴스 It's All Geek to Them; Digital Communes Find a Social Scene in Computers https://pqasb.pqarch[...] Los Angeles Times 1995-08-30
[3] 웹사이트 Sony Japan to sell online https://variety.com/[...] 1999-12-02
[4]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による邦楽新譜CDシングルタイトル曲の有料音楽配信を開始。 https://www.sme.co.j[...] Sony Music Entertainment Japan 1999-11-30
[5] 웹사이트 Rhapsody to Acquire Napster in Deal With Best Buy - NYTimes.com http://mediadecoder.[...] Mediadecoder.blogs.nytimes.com 2011-10-03
[6] 뉴스 'You've been smoking too much!': the chaos of Tony Wilson's digital music revolution https://www.theguard[...] 2020-08-10
[7] 웹사이트 Station to Station -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Streaming Music https://pitchfork.co[...] 2014-04
[8] 간행물 The Long Tail https://www.wired.co[...] 2004-10-01
[9] 웹사이트 Amazon flows into digital music sales https://www.theregis[...] theregister.co.uk
[10] 뉴스 Cyber Monday online sales surge by 33% http://www.ft.com/cm[...] 2011-11-29
[11] 웹사이트 How an Unsigned Artist Used iTunes Instant Gratification to Get a Top 10 Hit on iTunes http://www.hypebot.c[...] 2014-06-19
[12] 웹사이트 Instant grat tracks to qualify for chart | News | Music Week http://www.musicweek[...]
[13] 웹사이트 Official Charts rules changed following Bowie controversy https://metro.co.uk/[...] 2013-02-14
[14] 웹사이트 Danny Bryant Release New Album 'Revelation' This April https://www.broadway[...]
[15] 서적 Steve Jobs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6] 웹사이트 Steve Jobs Keynote iTunes Music Store Intro https://www.youtube.[...] 2011-10-05
[17] 웹사이트 Top streaming services active users U.S. 2016-2023 https://www.statista[...] 2022-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