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레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레순은 노르웨이의 도시로, 9세기에 건설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1904년 대화재 이후 아르누보 양식으로 재건되어 독특한 건축 양식을 갖추고 있다. 주요 산업은 어업, 조선업, 가구 산업이며, 북해 유전 개발 이후 해양 관련 산업이 발달했다. 올레순은 노르웨이에서 중요한 어항이며, 후르티루텐 여객선이 기항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유겐트스틸센터, 순뫼레 박물관 등의 문화 시설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뫼레오그롬스달주의 도시 - 울스테인비크
    울스테인비크는 노르웨이 뫼레오그롬스달주에 위치한 도시로, 자연 항만을 기반으로 조선업이 발달했으며, 2012년 노르웨이에서 가장 매력적인 도시로 선정되었다.
  • 뫼레오그롬스달주의 도시 - 크리스티안순
    크리스티안순은 노르웨이 뫼레오그롬스달주에 있는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클리프피시 생산지로 성장하여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전쟁 후 복구와 확장을 거쳐 현재는 바칼라우 및 석유/가스 산업의 중심지이자 문화와 스포츠 활동이 활발한 곳이다.
  • 노르웨이의 도시 - 베르겐
    베르겐은 노르웨이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070년에 건설되어 한자 동맹의 무역 거점으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해양 사업, 관광, 교육의 중심지이자 베스트란주의 자치구이다.
  • 노르웨이의 도시 - 나르비크
    노르웨이 북부의 나르비크는 스웨덴 철광석의 주요 수송 항구이자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현재는 관광 도시로서 오포텐 철도와 해상 및 도로 교통의 요충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올레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Ålesund
이전 명칭Aalesund
위치뫼레오그롬스달주
지역순nmøre
수도올레순
언어중립적
시장호콘 뤼케뵈 스트란드
시장 소속 정당Frp
면적 순위184위
총 면적632.51km²
육지 면적607.41km²
물 면적25.10km²
물 면적 비율4%
인구 (2023년)67,250명
인구 순위13위
인구 밀도111.2명/km²
인구 증가율9.1%
설립일1838년 1월 1일
ID 번호1508
UTM 구역32V
UTM 노팅6930569
UTM 이스팅0355180
지리적 분류adm2nd
휘장Ålesund komm.svg
웹페이지www.alesund.kommune.no
추가 정보
로마자 표기Ålesund

2. 역사

1895년경 화재 전 노르웨이 올레순


지역 전설에 따르면 올레순은 9세기에 ''강게롤프''(노르웨이 밖에서는 롤로로 더 잘 알려짐)에 의해 건국되었다.[13] 1900년까지 인구는 11,777명으로 증가했다.[14]

1904년 1월 23일 밤, 올레순 화재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이는 노르웨이 마을들이 겪었던 수많은 화재 중 가장 끔찍한 사건 중 하나였다. 밤새도록 폭풍우가 화염을 도왔고, 주민들은 몇 분 만에 마을을 떠나야 했다. 이 화재로 76세 여성 한 명이 사망했지만, 10,000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15]

독일 빌헬름 2세는 종종 순뫼레로 휴가를 왔는데, 화재 후 임시 대피소와 막사 건설을 위한 자재를 실은 군함 4척을 보냈다. 계획 기간을 거친 후, 마을은 유겐트스틸 양식으로 돌, 벽돌, 모르타르로 재건되었다. 빌헬름 2세를 기리기 위해, 마을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04년부터 1907년 사이에 아르누보 양식의 건물들이 재건되어 올레순은 매우 일관된 건축 양식을 가지게 되었다.[13] 유겐트스틸센터는 마을 화재, 재건, 아르누보 스타일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국가적인 해석 센터이다. 올레순은 1999년에 설립된 아르누보 연구, 보호 및 개발을 위한 유럽 협력 네트워크인 아르누보 네트워크의 파트너이다.

2. 1. 초기 역사와 도시 성장

올레순은 9세기에 노르망디 공작 롤로가 건설한 기스케 마을에서 기원했다고 전해진다.[13] 롤로는 10세기 노르망디 공작 왕조의 창시자로 올레순 북서쪽에 있는 기스케 출신이었다. 롤로의 조각상은 올레순의 마을 공원, 루앙 (프랑스), 노스다코타주 파고 (미국)에 있다.

1793년 올레순 항구는 제한적인 라데스태드 권한을, 1824년에는 완전한 라데스태드 권한을 부여받았다. 1835년 올레순의 인구는 482명이었다.[4] 1838년 1월 1일 포르만스카프스디스트리크트 법에 따라 노르웨이의 모든 교구에 제한적인 지방 자치권이 부여되면서, 올레순은 자체 의회를 가진 작은 자치 단체가 되었다. 1848년에는 더 중요한 시장 도시인 kjøpstad|쵭스타드no 지위로 승격되었다.[13]

1875년 1월 1일과 1922년에 보르군 자치 단체의 일부가 올레순 시로 편입되었다.[5]

2. 2. 1904년 대화재와 재건

1904년 1월 23일 밤, 올레순 화재라고 불리는 대화재가 발생하여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당시 목재로 지어진 노르웨이 마을들에서 자주 발생했던 화재 중 가장 끔찍한 사건 중 하나였다. 밤새도록 폭풍우가 불길을 키웠고, 거의 모든 도시가 파괴되어 주민들은 단 몇 분 만에 한밤중에 도시를 떠나야 했다. 이 화재로 76세 여성 1명이 사망하고 10,000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15]

유겐트스틸센터 - 노르웨이의 아르누보 센터


독일 빌헬름 2세는 종종 순뫼레 지역으로 휴가를 왔는데, 화재 소식을 듣고 임시 대피소와 막사 건설을 위한 자재를 실은 군함 4척을 보냈다. 이후 도시 재건 계획을 거쳐, 당시 유행하던 건축 양식인 유겐트스틸 (아르누보) 양식으로 돌, 벽돌,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도시를 재건했다. 20여 명의 건축가와 30여 명의 노르웨이 건축가가 재건 작업에 참여했으며, 이들은 트론헤임과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에서 교육받고 유럽 전역에서 영감을 얻었다. 빌헬름 2세를 기리기 위해,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재건된 올레순은 1904년부터 1907년 사이에 아르누보 양식의 돌로 지어진 건물이 대부분이어서 매우 일관된 건축 양식을 가지게 되었다.[13] 유겐트스틸센터는 노르웨이의 아르누보 센터로, 방문객들은 도시 화재, 도시 재건, 아르누보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올레순은 1999년에 설립된 아르누보 연구, 보호 및 개발을 위한 유럽 협력 네트워크인 아르누보 네트워크의 회원이기도 하다.

2. 3. 자치구 통합과 확장

1793년, 올레순 항구는 제한적인 라데스태드 권한을 부여받았다. 이후 1824년, 완전한 라데스태드 권한을 받았다. 1838년 1월 1일, 포르만스카프스디스트리크트 법이 발효되어 노르웨이의 모든 교구에 제한적인 지방 자치권이 부여되면서, 올레순은 자체 의회를 가진 작은 자치 단체가 되었다. 이 지역은 보르군의 큰 농촌 자치 단체에 둘러싸여 있었다. 1848년에는 더 중요한 시장 도시인 kjøpstad의 지위로 승격되었다.[4]

1875년 1월 1일, 보르군 자치 단체의 일부(인구: 902명)가 올레순 시로 편입되었다. 1922년에는 보르군 자치 단체의 또 다른 일부(인구: 1,148명)가 올레순 시로 편입되었다. 1960년대에는 셰이 위원회의 활동으로 노르웨이 전역에서 많은 자치 단체 통합이 이루어졌다. 1968년 1월 1일, 인접한 보르군 자치 단체의 대부분(인구: 20,132명)이 올레순 시와 합병되었다. 이 합병으로 자치 단체의 토지 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올레순의 인구가 두 배 이상 증가하여 총 인구가 38,589명에 달했다. 1977년 1월 1일, 술라 섬과 주변의 작은 섬들(인구: 6,302명)이 올레순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술라 자치 단체를 형성했다.[5]

2020년 1월 1일, 하람 자치 단체, 스코드예 자치 단체, 산되이 자치 단체, 외르스코그 자치 단체가 올레순과 합병하여 올레순의 큰 자치 단체를 형성하면서 올레순 자치 단체가 크게 확대되었다.[6]

2024년 1월 1일, 2020년 이전의 구 하람 자치 단체의 일부였던 자치 단체의 북부 지역이 올레순에서 분리되어 다시 별도의 자치 단체가 되었다.[7]

3. 지리

올레순 자치구는 헤사섬, 아스포여섬, 뇌르보여섬, 옥세뇌여섬, 엘링쇠여섬, 훔라섬, Tørla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내는 아스포여섬과 뇌르보여섬에 위치해 있으며, 헤사섬과 옥세뇌여섬에는 주거 지역이 있다.

두 번째로 큰 섬인 엘링쇠여섬은 과거에는 배나 스쿠에 자치구를 경유하는 도로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었지만, 1987년에 해저 엘링쇠여 터널이 건설되어 섬과 시내 간의 이동이 편리해졌다. 이 터널은 길이가 3481m이며, 2009년에 개량되었다.

베르겐시에서 북동쪽으로 236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올레순은 Hjørund 피오르와 Geiranger 피오르와 인접해 있으며, 후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6]

자치구의 면적은 93km2이다. 2017년 인구는 47,199명으로, 인구 밀도는 506.6PD/km2이다. 인근 술라 자치구의 일부를 포함하는 도시권의 인구는 48,460명이다.[17] 자치구에는 또한 엘링쇠여섬에 3개의 작은 별도 도시 지역인 Hoffland, 오르세트, 미클레보스트가 있으며, 총 인구는 1,279명이다.[17] 그 외 마을로는 Løvika와 Spjelkavik가 있으며, 두 곳 모두 옥세뇌여섬에 위치해 있다.

4. 기후

올레순은 해양성 기후(쾨펜 ''Cfb'')를 보이며, 해양 서부 해안 기후라고도 알려져 있다. 4월에서 7월까지는 건조하고, 9월부터 1월까지는 우기이며, 12월에 강수량이 가장 많다. 연평균 기온은 8.1°C로, 북위 62°라는 위도에 비해 매우 따뜻한 편이다. 이는 온화한 가을과 겨울, 때로는 강한 바람이 부는 현상 때문이다.[74] 2010년 1월에는 최저 기온을 기록했고, 2018년 7월에는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 이 지역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시내 동쪽(내륙) 기상 관측소에서 측정한 34.4°C였다. 대서양 저기압이 순뫼레알프네 산맥을 넘어오면서 발생하는 푄 현상 때문에 올레순에서는 겨울에도 따뜻한 날씨가 나타나기도 한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445711141516131175
평균 기온 (°C)2234.58.511.512.513.5118.553
평균 최저 기온 (°C)00126910119631
월 강수량 (mm)106888973546583107174171158142

[7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5.716.516.622.42825.731.52824.822.720.316.5
최저 기온 기록 (°C)-10-9.8-7.6-3.5-12.35.66.31.3-2.1-7.2-8.7
평균 기온 (°C)3.32.73.86.49.312.214.514.812.38.45.73.6
월 강수량 (mm)14612812777738381126153169150176

[18]

5. 경제

밤의 올레순


올레순은 노르웨이에서 중요한 어항을 가진 도시이다. 1950~60년대에는 청어 어업의 중심지였고, 어선과 관련된 조선 및 장비 산업이 발달했다. 1970년대 북해에서 석유가 발견되자, 지역 어선 선주들은 석유 탐사 및 생산에 필요한 선박 건조 산업으로 전환하여 발전했다.

올레순과 그 주변 지역에는 가구 산업도 발달하였다. 에코르네스(Ekornes), 스토케와 같은 유명 가구 회사들이 이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올레순은 후르티루텐 연안 여객선이 하루 두 번 기항하는 항구이자, 주변 피오르 관광의 거점 도시이다. 아틀란테르하브파르켄(Atlanterhavsparken) 수족관도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62] [63]

5. 1. 전통 산업: 어업과 조선업

올레순은 노르웨이의 주요 어항 중 하나이며, 이곳의 어선은 유럽에서 가장 현대적인 어선 중 하나로 손꼽힌다.[11][12]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올레순은 청어 어업의 주요 기지였다.

올레순과 인근 항구의 대규모 어선과 관련하여, 조선 및 선박 장비 산업이 발전했다. 올레순 자체에는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가 더 이상 없지만, 마지막 조선소였던 리아엔 조선소(Liaaen Shipyard)는 선박 수리로 발전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주로 리아엔 테크놀로지(Liaaen Technology)를 통해 해양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며, 이 회사는 2007년에 Strata Møre로 합병 및 브랜드 변경되었다.[48] 그러나 인근 지역 사회에서는 바르드(Vard), 울스타인 베르프트(Ulstein Verft),[49] 클레벤 마리타임(Kleven Maritime),[50] 하비야르 그룹(Havyard Group)[51] 등의 조선소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5. 2. 해양 산업의 발전

1970년대 북해 유전 개발 이후, 지역 어선 선주들은 어선을 개조하여 초기 석유 탐사 및 생산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56] 곧 이들은 북해 유전 개발에 더 적합하도록 지역 조선소에서 맞춤형 선박을 건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파르스타드[52], 부르봉[53], 올림픽[54], 하빌라[55], [56] 등 선도적인 해양 공급 선박 소유 회사가 올레순과 주변 지역의 핵심 산업으로 성장했다. 롤스로이스[57], 오딤[58], 스페르[59], 옵티마[60], 쉽 퀠립(Ship Equip)[61], 제츠(Jets)[60] 등 조선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 제조업체도 발전했다.

5. 3. 기타 산업

올레순과 그 주변 지역은 가구 산업이 크게 발달한 곳이다. 에코르네스(Ekornes)는 시킬벤(Sykkylven) 시에서 스트레스리스 의자와 같은 가구를 생산하고 있으며, 스토케 회사는 올레순 근처 호헴(Håhjem)에 본사를 두고 있다.[62]

관광 산업 또한 올레순의 중요한 산업이다. 후르티루텐이 하루에 두 번 정박하고, 피오르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과 지역 문화 중심지라는 점 덕분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62] 아틀란테르하브파르켄(Atlanterhavsparken) 수족관도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63]

6. 교통

베르겐, 킹스턴 어폰 헐, 뉴캐슬, 함부르크, 트론헤임 사이를 운항하는 여객선 및 화물선이 올레순에 기항하며, 노르웨이 연안을 운항하는 후르티루타 (노르웨이 연안 특급) 크루즈 선박도 하루에 두 번 올레순에 도착한다.[16]

올레순의 MS ''Polarlys'' (2005년 12월)


올레순 비그라 공항은 국제공항으로서 오슬로, 베르겐, 트론헤임, 코펜하겐 등 여러 도시로 가는 항공편이 매일 운항된다. 과거에는 리가 (리가 국제공항) (에어발틱) 및 런던 (런던 개트윅 공항) 간을 오가는 항공편도 있었지만, 현재는 중단되었다. 2012년 11월, KLM은 2013년 4월부터 암스테르담에서 올레순까지 주 5회 운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4]

최근에는 도시의 인구 증가에 따른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오슬로, 베르겐, 트론헤임 간의 고속 철도 연결뿐만 아니라 지하철 스타일의 지역 교통 서비스에 대한 제안이 있었다.

7. 문화

유겐트스틸센터는 노르웨이 아르누보 건축 센터로, 도시 화재와 노르웨이 및 유럽의 아르누보/유겐트스틸에 대한 전시회를 개최한다.[13] 올레순은 1999년에 아르누보 연구, 보호 및 개발을 위해 만들어진 유럽 협력 네트워크인 아르누보 네트워크의 파트너이다.

1931년에 설립된 순뫼레 박물관(Sunnmøre museum)은[65] 노르웨이 해안 문화와 생활 방식을 보여주는 야외 민속 박물관이다. 120ha 면적에 55채 이상의 오래되고 독특한 가옥을 이전해 놓았고, 고대 바이킹 선박의 복제품, 고대 무역 중심지 발굴 유물을 전시하는 중세 시대 박물관이 있다.

지역 신문으로는 1882년에 창간되어 주 6일 발행되는 ''순뫼르스포스텐(Sunnmørsposten)''이 있다. 1898년 올레순에서 잠시 ''아르베이데르네스 블라(Arbeidernes blad)'' 신문이 발행되었다.[66][67] 올레순은 매년 노르웨이 음식 축제가 열리는 곳이다.

8. 교육

노르웨이 과학기술 대학교(NTNU)는 2016년 1월 1일 올레순 대학교가 노르웨이 과학기술 대학교(NTNU)와 합병된 후 올레순에 분교 캠퍼스를 두고 있다.[68] 이 캠퍼스에는 약 1,800명의 학생과 150명의 직원이 있다. 올레순 미술학교(Ålesund Kunstskoleno)는 올레순에 있는 시각 예술 학교이다. 노르웨이 경영대학은 올레순에 캠퍼스를 두었지만 2008년 8월 1일에 폐쇄되었다.[69]

올레순 비데레고데 스쿨은 "라틴스콜렌"이라고도 불리며, 이전에는 "올레순 래르드-오 레알스콜레"로 불렸으며, 1863년에 설립된 올레순에서 가장 오래된 중등학교이다.[70] 올레순에 있는 6개의 고등 학교 중 파게를리아 비데레고데 스쿨은 약 1,000명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가장 큰 학교이다. 올레순에는 5~15세 어린이를 위한 국제학교도 있다.[71]

9. 스포츠

올레순 FK(Aalesunds Fotballklubb)는 1914년에 창단된 올레순의 지역 축구팀이다. 2003 시즌에 처음으로 노르웨이 최상위 리그에서 뛰었으며, 2009년과 2011년에 노르웨이 컵에서 우승했다. 2005 시즌까지 크로미라 스타디온에서 홈 경기를 치렀으며, 이후 시내에서 약 1km 떨어진 새로운 컬러 라인 스타디움으로 이전했다. 올레순 FK의 서포터 클럽은 "스토르멘"이라고 불리며 약 2,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10. 자매 도시

올레순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73]

국가도시체결년도
아이슬란드아쿠레이리1949년
이탈리아보르고아모차노1979년
핀란드라흐티1947년
영국 스코틀랜드피터헤드1967년
덴마크란데르스1947년
미국 워싱턴주타코마1986년
스웨덴베스테로스1947년


참조

[1] 웹사이트 Målform - skriftspråk https://alesund.komm[...] 2023-12-07
[2] 웹사이트 Table: 06913: Population 1 January and population changes during the calendar year (M) https://www.ssb.no/e[...] Statistisk sentralbyrå
[3] 웹사이트 09280: Area of land and fresh water (km²) (M) https://www.ssb.no/e[...] Statistisk sentralbyrå
[4] 웹사이트 Tabeller over Folkemængden i Norge den 31te December 1845 https://www.ssb.no/a[...] 1845-12-31
[5] 서적 Historisk oversikt over endringer i kommune- og fylkesinndelingen http://www.ssb.no/em[...] Statistisk sentralbyrå
[6] 웹사이트 Nye Ålesund http://nyealesund.no[...]
[7] 웹사이트 Forskrift om gjennomføring av deling av Ålesund kommune til Haram kommune og Ålesund kommune https://www.regjerin[...]
[8] 웹사이트 Betydningen Ålesund http://www.alesund.k[...] Ålesund kommune
[9] 간행물 Norsk Lovtidende. 2den Afdeling. 1917. Samling af Love, Resolutioner m.m https://www.nb.no/it[...] Grøndahl og Søns Boktrykkeri
[10] 서적 Den Nye rettskrivning : regler og ordlister https://www.nb.no/it[...] Den Mallingske Boktrykkeri
[11] 웹사이트 Civic heraldry of Norway – Norske Kommunevåpen https://www.heraldry[...] Heraldry of the World 2022-07-24
[12] 웹사이트 Ålesund, Møre og Romsdal https://www.crwflags[...]
[13] 백과사전 Ålesund {{!}} Norway https://www.britanni[...]
[14] 웹사이트 Folketællingen i Kongeriket Norge https://www.ssb.no/a[...] 1900-12-03
[15] 웹사이트 Historical journey in the Municipality of Aalesund http://www.alesund.k[...] www.alesund.kommune.no
[16] 웹사이트 West Norwegian Fjords – Geirangerfjord and Nærøyfjord https://whc.unesco.o[...] UNESCO
[17] 웹사이트 Urban settlements. Population and area, by municipality.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12-01-01
[18] 웹사이트 EKlima http://sharki.oslo.d[...]
[19] 백과사전 kommunestyre https://snl.no/kommu[...] Kunnskapsforlaget 2022-09-20
[20]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 2023 - Møre og Romsdal https://valgresultat[...] Valgdirektoratet
[21]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 2019 – Møre og Romsdal https://valgresultat[...] Statistics Norway
[22] 웹사이트 Table: 04813: Members of the local councils, by party/electoral list at the Municipal Council election (M)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3]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 2011 – Møre og Romsdal https://valgresultat[...] Statistics Norway
[24]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95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96
[25]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91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93
[26]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87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88
[27]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83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84
[28] 웹사이트 Kommunestyrevalget 1979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79
[29] 웹사이트 Kommunevalgene 1975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77
[30] 웹사이트 Kommunevalgene 1972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73
[31] 웹사이트 Kommunevalgene 1967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67
[32] 웹사이트 Kommunevalgene 1963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64
[33]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9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60
[34]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5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57
[35]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1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1952
[36]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47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20-05-01
[37]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45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20-05-01
[38]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37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20-05-01
[39]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34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20-05-03
[40]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31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20-05-03
[41]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28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20-05-03
[42]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25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20-05-03
[43]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22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20-05-03
[44] 웹사이트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19 https://www.ssb.no/a[...] Statistisk sentralbyrå 2020-05-03
[45] 웹사이트 Tidligere ordførere https://www.alesund.[...] Ålesund kommune
[46] 서적 Ordførerne i Ålesund 1838–1948 Sunnmørspostens trykkeri
[47] 뉴스 Håkon Lykkebø Strand (27) frå Frp blir ordførar i Ålesund https://www.nrk.no/m[...] 2024-01-16
[48] 웹사이트 Home http://www.liaaen.no[...]
[49] 웹사이트 Ulstein Group http://www.ulsteingr[...] 2010-05-04
[50] 웹사이트 Home http://www.klevenmar[...]
[51] 웹사이트 Home http://www.havyard.c[...]
[52] 웹사이트 Home http://www.farstad.c[...]
[53] 웹사이트 Home http://www.bourbon-o[...]
[54] 웹사이트 Home http://www.olympic.n[...]
[55] 웹사이트 Home http://www.havila.no[...]
[56] 웹사이트 Home http://www.rem.no/
[57] 웹사이트 Home http://www.rolls-roy[...]
[58] 웹사이트 Parkert http://www.odim.no/ 2010-05-04
[59] 웹사이트 Home http://www.sperre.co[...]
[60] 웹사이트 Optimar – Fish handling with care https://optimar.no/?[...] 2023-04-17
[6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ship-equi[...] 2010-05-04
[62] 웹사이트 Ålesund & Sunnmøre https://www.visitnor[...] Visit Norway 2019-01-22
[63] 웹사이트 The Times & The Sunday Times https://www.thetimes[...] 2018-03-28
[64] 웹사이트 KLM to launch scheduled service to Ålesund http://nieuws.klm.co[...] 2018-03-28
[65] 웹사이트 Sunnmøre Museum, Aalesund http://www.sunnmore.[...] 2017-08-31
[66] 서적 Sunnmørsposten: strategier og konkurransesituasjon http://bora.uib.no/b[...] University of Bergen 2019-12-30
[67] 간행물 Arbeideraviser og arbeiderorganisering. Avisaktivitet i den norske arbeiderbevegelsen 1880–1903 https://docplayer.me[...] 2019-12-30
[68] 웹사이트 NTNU History http://www.ntnu.edu/[...] 2024-02-06
[69] 웹사이트 Om BI Ålesund http://www.bi.no/Con[...] 2007-10-16
[70] 웹사이트 Ja til Latinskolen http://www.alesund.v[...] 2007-10-16
[71] 웹사이트 AaIS – Home https://aais.no/en/ 2019-10-13
[72] 웹사이트 Mattis Mathiesen https://www.imdb.com[...] 2023-02-12
[73] 웹사이트 Vennskapsbyer https://www.åbv.no/f[...] Ålesund Kommune 2021-01-31
[74] 웹인용 Climate: Ålesund, Norway http://met.no/klimas[...] 2016-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