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스는 12세기 노르만 시인으로, 《브뤼 이야기》와 《루 이야기》를 비롯한 여러 운문 작품을 남겼다. 1099년에서 1111년 사이에 저지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캉에서 교육을 받고 교직 생활을 했다. 《브뤼 이야기》는 몬머스의 제프리의 《영국 열왕사》를 앵글로-노르만어로 번역한 작품으로, 아서 왕 전설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루 이야기》는 노르망디 공국의 역사를 다룬 작품이며, 잉글랜드의 헨리 2세의 의뢰로 제작되었다. 와스는 중세 영어와 프랑스 문학 전통을 잇는 가교 역할을 했으며, 저지 섬에서는 저지 문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지섬 - 저지어
저지어는 영국 해협의 저지 섬에서 사용되는 노르만어의 한 종류로, 역사적으로 섬 주민 대다수가 사용했으나 영어의 영향으로 사용자가 감소하여 현재는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 저지섬 - 채널 제도
채널 제도는 영국 해협의 섬들로, 저지섬과 건지섬을 중심으로 영국 왕실 속령이며 자치 정부를 운영하고 노르망디 공국과 역사적 연관이 깊고, 독자적인 법체계와 통화, 발달한 금융 및 관광 산업을 특징으로 한다. - 아서왕 문학 작가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아서왕 문학 작가 - 에드먼드 스펜서
에드먼드 스펜서는 르네상스 시대 영국의 시인으로, 《요정 여왕》 등의 영향력 있는 작품을 남겼으며, 고풍스러운 어투와 독창적인 운율 형식을 사용하여 사랑, 아름다움, 도덕, 정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나, 《아일랜드의 현재 상태에 대한 견해》는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 프랑스의 시인 - 마르그리트 당굴렘
마르그리트 당굴렘은 프랑스 왕족이자 작가, 예술 후원가로서, 나바라 왕비가 되어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프랑스의 시인 - 파블로 피카소
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태생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입체파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입체주의 미술 양식을 창시했으며 《아비뇽의 처녀들》, 《게르니카》 등의 대표작과 함께 회화, 조각, 판화,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긴 20세기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와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웨이스 |
| 본명 | 로베르 웨이스 |
| 출생 | 1110년경 |
| 출생지 | 저지섬, 노르망디 공국 |
| 사망 | 1174년 이후 |
| 직업 | 시인, 연대기 작가 |
| 국적 | 노르만인 |
| 언어 | 고대 프랑스어/고대 노르만어/앵글로-노르만어 |
| 교육 | 캉에서 교육받음 |
| 작품 활동 | |
| 활동 시기 | 1150년대–70년대 |
| 문학 사조 | 앵글로-노르만 문학 |
| 주요 작품 | 브뤼 이야기 루 이야기 |
2. 생애
와스가 사용한 앵글로노르만어는 고대 프랑스어나 노르만어의 방언, 또는 :en:Jèrriais의 선구로 여겨진다. 저지 섬 작가들은 와스를 저지 섬 문학의 창시자로 여기며, 저지어는 "와스의 원어"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와스 자신은 문어로서 저지어 발전에 앞서 있었다. 와스는 저지 섬의 초기 작가로 알려져 있다.
와스가 묘사한 노르망디 해안의 군사적 중요 거점은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초기 작전에 활용되었다. 저지 섬 로열 스퀘어에 있는 정부 건물 측면에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와스 기념비가 있으며, 여기에는 『루 이야기』에 나오는 와스의 출생지에 대한 자부심이 새겨져 있다.
:Jo di e dirai ke jo sui
:Wace de l’isle de Gersui
:(나는 자신이 저지 섬 출신의 와스라고 말하고, 말하고 싶다)
2. 1. 출생 및 초기 생애
와스는 1099년에서 1111년 사이에 노르망디 공국 저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 '와스'는 당시 노르망디에서 흔한 이름이었으며, 인도유럽어족의 개인 이름 'Wasso'에서 유래했다.[4] 필사자들의 출신 지역에 따라 'Wace', 'Gace', 'Vace', 'Vacce', 'Vaicce' 등 다양하게 표기되었다.[4] 그는 교육을 받기 위해 캉으로 보내졌는데, 이는 그가 귀족 출신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0] 해상 문제에 대한 그의 상세한 글쓰기는 그의 섬 출신 배경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2. 2. 교직 생활 및 사망
1130년경 와스는 캉으로 돌아와 교직 생활을 시작했는데, 아마도 교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0]와스의 사망 날짜는 불확실하다. 《루 이야기》에 묘사된 가장 최근의 사건은 117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루 이야기》에서 와스는 젊은 헨리 왕이 살아 있다고 언급한다. 젊은 헨리 왕은 1183년까지 살았는데, 이는 와스가 그 이후에 《루 이야기》를 개정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의미한다.
3. 작품
와스는 《브뤼 이야기》, 《루 이야기》, 성 마가렛과 성 니콜라스의 생애 등을 운문으로 남겼다.[1]
《브뤼 이야기》는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브리타니아 열왕전》을 바탕으로 트로이의 브루투스의 브리튼 건국부터 전설적인 브리튼 역사의 마지막까지 다룬다. 앵글로-노르만어(앵글로-프랑스어)로 쓰여 아서 왕 전설을 대중에게 친숙하게 만들었고, 아서 왕의 원탁의 기사와 엑스칼리버를 처음 언급했다.[11]
《루 이야기》는 헨리 2세의 명으로 쓰였으며, 윌리엄 1세와 노르만 정복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정복)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와스는 가족의 구전 정보를 참고하여 헤이스팅스 전투 등을 기록했으며, 핼리 혜성에 대한 언급도 있다.[12]
3. 1. 《브뤼 이야기》(Roman de Brut)
1155년경에 완성된 《브뤼 이야기》는 제프리 몬머스의 《영국 열왕사》를 앵글로-노르만어(앵글로-프랑스어) 운문으로 번안한 작품이다. 트로이의 브루투스에 의한 영국의 건국부터 전설적인 영국 역사의 종말까지를 다룬다. 이 작품은 아서 왕 전설을 대중에게 친근하게 소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11] 아서 왕의 원탁과 엑스칼리버 검에 대한 최초의 언급을 담고 있다.[11]《브뤼 이야기》는 레이아몬의 《브루트》, 두운을 사용하는 중세 영어 시, 그리고 피터 랭토프트의 《연대기》의 기반이 되었다.[11]
3. 2. 《루 이야기》(Roman de Rou)
잉글랜드의 헨리 2세의 의뢰로 제작된 《루 이야기》는 노르망디 공국의 역사를 다룬 운문 작품이다.[12] 윌리엄 1세와 잉글랜드의 노르만 정복에 대한 내용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와스는 자신의 가문 내의 구전 전승과 친척들의 목격담을 참고하여 헤이스팅스 전투 등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비록 그가 텍스트 작업을 시작했을 때는 목격자가 더 이상 살아있지 않았을지라도, 가까운 친척들의 증언에 의존했을 수 있다. 핼리 혜성의 출현에 대한 언급도 포함되어 있다. 1204년 대륙 노르망디가 프랑스 왕국에 편입된 후 노르망디 공국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인기가 떨어졌다.3. 3. 기타 작품
와스는 《브뤼 이야기》와 《루 이야기》 외에도 성 마가렛과 성 니콜라스의 생애를 다룬 운문 작품을 남겼다.[1]4. 언어 및 문학적 의의
와스가 사용한 로망스어는 고대 노르만어의 방언인 노르만어, 고대 프랑스어의 방언, 또는 특히 제르지어의 전신으로 다양하게 간주된다.[4] 저지 섬의 작가들은 와스를 저지 문학의 창시자로 여겼으며, 제르지어는 때때로 "와스의 언어"라고 불리지만, 시인 자신은 문학 언어로서의 제르지어가 발전하기 전에 활동했다.[4] 와스는 저지 섬에서 가장 오래된 작가로 알려져 있다.[4] 그의 작품, 특히 《브뤼 이야기》는 아서 왕 전설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5. 평가 및 영향
역사학자 매튜 베넷은 "와스와 전쟁"이라는 논문에서 와스가 동시대 전쟁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으며, 그의 군사 작전 묘사는 당대 전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했다.[11] 와스의 작품은 레이아몬의 ''브루트'', 피터 랭토프트의 ''연대기'' 등 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와스는 아서 왕의 원탁 전설을 처음으로 언급하고, 아서 왕의 검에 엑스칼리버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사용한 작가로 알려져 아서 왕 전설을 다룬 작품들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6. 기념
저지 섬의 로열 광장에 있는 스테이츠 빌딩 측면에는 와스를 기념하는 화강암 기념석이 있다.[4] 이 기념석에는 와스의 출생지에 대한 자부심을 표현하는 《루 이야기》의 다음 구절이 새겨져 있다.[4]
| 원문 | 현대 제르지어 | 현대 프랑스어 | 영어 | 한국어 |
|---|---|---|---|---|
| 조 디 에 디라이 케 조 수이 와스 드 르 일 드 게르수이 | 제 디스 에 디테이 퀘 제 시스 와스 데 르일 데 제르리 | 제 디스 에 디라이 퀘 제 수이스 와스 드 릴 드 제르지 | 아이 세이 앤드 윌 세이 댓 아이 엠 와스 프롬 더 아일랜드 오브 제르지 | 나는 자신이 저지 섬 출신의 와스라고 말하고, 말하고 싶다 |
참조
[1]
서적
Burgess, ed., at xiii
[2]
서적
Burgess, ed., at xvi
[3]
간행물
Robert Wace
Catholic Encyclopedia
[4]
서적
Guillaume le duc, Guillaume le roi
Centre de publication de l'Université de Caen
1987
[5]
서적
Lepelley 15
[6]
웹사이트
Repartition of Vasse in Fr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rths) In the south of France, it is probably an unrelated name
http://www.geopatron[...]
[7]
웹사이트
Nom de famille en France: popularité, origine, étymologie, état-civil, généalogie
http://www.geopatron[...]
[8]
웹사이트
WACE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9]
서적
Chretien de Troyes and the Dawn of Arthurian Romance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2010
[10]
웹사이트
Maistre Wace
http://user.itl.net/[...]
[11]
문서
Bennett, "Wace and warfare"
[12]
서적
Writing History for the King: Henry II and the Politics of Vernacular Historiography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