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왈리 (칭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왈리(wāli)는 아랍어에서 유래한 칭호로, 다양한 지역에서 행정관, 총독, 또는 통치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알제리, 튀니지에서는 주지사를, 오스만 제국에서는 빌라예트의 총독을, 이란에서는 지방 영주를 지칭했다. 오만에서는 윌라야의 장을, 모로코에서는 지방 주지사를, 파키스탄에서는 스와트 번왕국의 통치자를 왈리라고 불렀다. 필리핀에서는 방사모로 자치구의 의례상 수장을, 터키에서는 주의 주지사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 제국의 칭호 - 술탄 중의 술탄
  • 오스만 제국의 칭호 - 파디샤
    파디샤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하여 "위대한 왕" 또는 "왕 중 왕"을 의미하며 황제에 준하는 통치자를 지칭하는 칭호로, 역사적으로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중동 지역의 여러 제국에서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특히 무굴 제국과 오스만 제국의 통치자들이 사용하면서 권위와 위엄, 제국의 힘을 상징했다.
  • 지방관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지방관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아랍어 낱말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아랍어 낱말 - 셔벗
    셔벗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디저트로, 과즙에 우유, 달걀 흰자 등을 섞어 만들며, 유지방 함유량이 낮고 입자가 굵은 형태를 띤다.
왈리 (칭호)
일반 정보
종류행정 구역의 장
임명권자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
권한행정, 사법, 군사
지위지방 정부 수반
임기법률 또는 관습에 따름
어원
언어별 명칭아랍어: والي (wālī)
페르시아어: والی (vâlî)
터키어: vali
어원 설명아랍어 동사 "왈리야"(waliya, "통치하다", "다스리다")에서 유래
역사적 맥락
기원이슬람 제국 초기
역할지방 통치
세금 징수
치안 유지
법 집행
현대적 용법
국가별 용례알제리: 도지사
아프가니스탄: 주지사
모로코: 주지사
오만: 주지사
튀니지: 주지사
터키: 주지사
기타 다수 이슬람 국가
권한 및 책임
일반적인 역할행정 구역 통치
공공 서비스 제공
지역 개발 촉진
중앙 정부와의 협력
특별 권한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으로부터 위임받은 권한 행사
임명 및 해임
임명 방식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이 임명
해임 사유직무 유기
부패 행위
정치적 이유
관련 용어
유사 직위총독
지사
도지사
시장
파생 용어빌라야 (Wilayah, 관할 구역)
왈리다 (Walida, 여성 통치자)
추가 정보
참고 문헌"Wali" in Encyclopaedia of Islam
John L. Esposito, ed.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관련 문서칼리프
에미르
술탄

2. 알제리

알제리에서 '왈리'는 58개 주의 "지사"이자 행정 수반이며, 대통령이 임명한다.[1]

3. 이란

이란에서 왈리(''Vāli'')는 중요한 지방의 총독 또는 지방 영주를 지칭한다. 사파비 왕조(1501-1722) 시대에는 조지아의 카르틀리 왕국과 카헤티 왕국, 쿠르드인아르달란 가문, 로레스탄 주와 후제스탄 주의 수장들이 세습 총독으로 여겨졌으며, 이들의 칭호는 왈리로, 베일레르베이 (사파비 페르시아)와 동등한 지위를 가졌다. 이 "변경의 영주들"은 외세로부터 이란의 서부 국경을 보호해야 했다. 카자르 왕조(1785-1925) 시대에는 조지아 왕국이 러시아에 넘어가고 세습 영주들은 중앙 정부 관리로 대체되었다. 주로 이 관리들은 황실의 왕자와 왕족 출신이었으며, 중요한 지방의 왈리가 되었다. 예를 들어, 황태자는 전통적으로 아제르바이잔 (이란)의 왈리라는 칭호를 가졌다.

4.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에서 왈리(Vali)는 빌라예트(Vilayet)를 다스리는 총독의 가장 일반적인 칭호였으며, 종종 파샤와 같은 군인이었다.[1] 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 참고.

5. 오만

오만 술탄국이 케냐몸바사를 통치했을 때, 현지에서는 리왈리(''LiWali'')로 알려진 왈리를 임명했다.[1] 현재 오만에는 11개의 무하파자 아래에 62개의 윌라야(주)가 설치되어 있으며, 윌라야의 장은 왈리이다.[1]

6. 모로코

1997년 지방 분권 개혁 이후, ''왈리''는 모로코의 12개 지방 중 하나의 주지사를 지칭한다.[1] 1997년 개편으로 모로코 전역은 16개 지역(region)으로 나뉘었으며, 국왕이 왈리를 임명했다.[1] 현재는 2011년 모로코 헌법 개정에 따른 분권 정책으로 지방 의회의 장에게 그 권한을 양도하고 있다.[1]

7.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 이전 번왕국인 스와트의 통치자들은 왈리라는 칭호를 받았다.[1] 왈리는 파키스탄에서 1969년까지 존재했던 반자치 국가 스와트의 지배자 칭호였다.[2]

8. 필리핀

필리핀에서 '왈리'는 민다나오섬 남부 방사모로 자치구의 명목상 수장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왈리는 해당 지역의 도덕적 보호자로서, 의회 소집 및 해산과 같은 의례적 기능과 권한을 가진다.[4] -- 현재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부에 위치한 이슬람교도 자치구인 방사모로 자치 지역의 의례상 수장은 왈리라고 불린다.[9] 왈리는 실권은 없지만, 각종 의례에서 역할을 수행하며, 자치 정부의 수상이 자문에 따라 의회를 해산·소집하는 등 지역 전체의 상징적인 존재이다.[10]

9. 튀니지

튀니지에서 ''왈리''는 24개 주 각각의 주지사이자 행정 수반이며, 대통령에 의해 선택된다.

10. 터키

터키에서 왈리(Vali)는 터키의 81개 주 중 한 주의 주지사를 의미한다. 왈리는 내무부 장관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왈리는 보안 및 유지 관리와 같은 국가 기능을 감독하며, 선출된 주 의회 및 시 의회도 감독한다. 1987년부터 2002년까지 계엄령인 OHAL 기간 동안 동남아나톨리아 지역의 최대 13개 주의 왈리를 감독하는 소위 슈퍼 왈리가 존재했다.[11]

참조

[1]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https://menadoc.bibl[...] Orient-Institut Istanbul
[2]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https://menadoc.bibl[...] Orient-Institut Istanbul
[3]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https://menadoc.bibl[...] Orient-Institut Istanbul
[4] 뉴스 PNoy submits draft Bangsamoro law Entity to have 58 exclusive powers; UN, Canada hail move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2014-09-11
[5] 서적 The Settlement Issue in Turkey and the Kurds https://archive.org/[...] Brill
[6]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https://menadoc.bibl[...] en:Orient-Institut Istanbul
[7]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https://menadoc.bibl[...] en:Orient-Institut Istanbul
[8]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https://menadoc.bibl[...] en:Orient-Institut Istanbul
[9] 서적 ミンダナオ支援の包括的レビュー(2021年2月) https://openjicarepo[...] JICA 2023-12-14
[10] 웹사이트 Wālī Mandates – Office of the Wali of Bangsamoro https://wali.bangsam[...] バンサモロ自治政府 2023-12-14
[11] 서적 The Settlement Issue in Turkey and the Kurds https://archive.org/[...] Br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