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라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라야는 특정 국가에서 사용되는 행정 구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중동 및 북아프리카, 동아프리카,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되며, 각 지역의 언어와 행정 체계에 따라 의미와 범위가 다르다. 오스만 제국에서는 빌라예트(vilâyet)로 사용되었으며, 이슬람 국가(ISIS)에서도 윌라야로 점령 지역을 나누어 통치했다. 아랍어에서는 미국의 주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우르두어에서는 외국, 특히 영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어 낱말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아랍어 낱말 - 셔벗
    셔벗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디저트로, 과즙에 우유, 달걀 흰자 등을 섞어 만들며, 유지방 함유량이 낮고 입자가 굵은 형태를 띤다.
  • 행정 구역 단위 - 행정동
    행정동은 법정동을 기준으로 설치되며, 행정력 효율성을 위해 법정동을 통합하거나 분할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 행정 구역 단위 - 구성국
    구성국은 단일 국가 내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나 완전한 독립성은 없는 자치 또는 연합된 단위들을 의미하며, 연합 왕국이나 연방 국가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자치권과 중앙 정부 권한 간의 균형은 지속적인 논의 대상이다.
윌라야
지도
개요
유형행정 구역
설명일부 국가에서 주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
프랑스의 알제리 점령 기간 동안 만들어짐
어원
어원아랍어 "wilāya" (ولایة)에서 유래
의미"관할 구역", "지방", "주" 등을 의미
사용 국가
알제리주 (Wilaya, ولاية)
탄자니아지방
코모로
모로코지방
오만지방
수단
타지키스탄지방
튀니지
말레이시아주 (Negeri) - 술탄 또는 총독이 다스리는 주를 지칭
브루나이구 (Daerah)

2. 특정 국가에서 사용하는 것

"윌라야"는 다양한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지구명(한국어)지구명(중국어 간체)
아커쑤 지구阿克苏地区
알타이 지구阿勒泰地区
카스 지구喀什地区
타청 지구塔城地区
허톈 지구和田地区


  •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시아에서는 연방 정부가 직접 통치하는 세 곳의 연방 직할지를 "윌라야 페르세쿠투안"(Wilayah Persekutuan)이라고 부르며, 구어체로 "윌라야"라고 줄여 쓴다.[1] 또한, 동부 해안 경제 지역을 "윌라야 에코노미 판타이 티무르"(Wilayah Ekonomi Pantai Timur)라고 부른다. 필리핀에서는 술루주를 "윌라야 신 루파 수그"(Wilāya sin Lupa' Sūg)라고 부른다.[1]
  • 중앙아시아에서는 페르시아어로 '주'를 뜻하는 'velâyat'가 여러 형태로 사용된다.


} || viloyatho|tg || ноҳия|nohiyatg 또는 район|raionru

|-

| 투르크메니스탄 || welaýat|tk || welaýatlar|tk || etrap|tk

|-

| 우즈베키스탄 || || ||

|}

소련 시대에는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을 러시아어 용어를 사용하여 '오블라스트'와 '라이온'이라고 불렀다.[4]

2. 1. 중동 및 북아프리카

알제리에서는 윌라야를 "도"로 번역하며, 48개의 도가 존재한다.[1]모로코는 12개의 지방(region)으로 구성되며, 각 지방은 다시 주(province)와 현(prefecture)으로 나뉜다.[1]오만은 11개의 주로 구성되며, 각 주는 윌라야로 세분화된다.[1]모리타니는 15개의 윌라야(주)로 구성되며, 이는 다시 더 작은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1]수단은 18개의 윌라야(주)로 구성된다.[1]튀니지는 24개의 윌라야(주)로 구성된다.[1]이라크는 19개의 주(무하파자)로 구성되며, 때때로 윌라야로 번역되기도 한다.[2]

2. 2. 동아프리카

케냐탄자니아에서 "윌라야(wilaya)"는 스와힐리어 용어로, 주를 나누는 행정 구역을 의미한다.[1]

2. 3. 동아시아

중화인민공화국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7개의 지구(地区, dìqū)를 위구르어로 '윌라야'로 번역한다.[1] 이 지구들은 지급시나 자치주가 아닌 행정 구역이다.[1] 그러나 다른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 구역 유형에 대해서는 위구르어가 카자흐어와 마찬가지로 러시아어 차용어인 'oblasti' 또는 'rayoni'와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1]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 윌라야로 번역되는 지구는 다음과 같다.

국가주 (단수)주 (복수)하위 행정 구역
아프가니스탄ولايت|wilāyatpsولايتونه|wilāyatunaps (ولسوالۍ|wuləswāləips 또는 ولسوالی|wolaswālīfa)
타지키스탄{{lang|tg|viloyat|}
지구명(한국어)지구명(중국어 간체)
아커쑤 지구阿克苏地区
알타이 지구阿勒泰地区
카스 지구喀什地区
타청 지구塔城地区
허톈 지구和田地区


  • 커쯔러쑤 키르기스 자치주와 투루판 지구는 원문에 해당 내용이 없으므로 표에서 삭제함.

2. 4. 동남아시아

말레이시아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 '''윌라야 페르세쿠투안'''(Wilayah Persekutuan)은 구어체로 "윌라야"로 줄여 쓰이며, 연방 정부가 직접 통치하는 세 곳의 연방 직할지인 쿠알라룸푸르, 라부안, 푸트라자야를 가리킨다.[1]
  • '''윌라야 에코노미 판타이 티무르'''(Wilayah Ekonomi Pantai Timur)는 동부 해안 경제 지역으로 번역된다.


필리핀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2. 5. 중앙아시아

페르시아어로 '주'를 뜻하는 단어('velâyat')는 중앙아시아 국가에서 다음과 같은 여러 형태의 단어로 사용된다.

} || viloyatho|tg || ноҳия|nohiyatg 또는 район|raionru

|-

| 투르크메니스탄 || welaýat|tk || welaýatlar|tk || etrap|tk

|-

| 우즈베키스탄 || || ||

|}

소련 시대에는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을 러시아어 용어를 사용하여 '오블라스트'와 '라이온'이라고 불렀다.[4]

3. 과거의 사용

오스만 제국은 1864년부터 행정 구역 단위를 에야레트(eyâlet)에서 빌라예트(vilâyet)로 개편하였다. 빌라예트는 아랍어 윌라야(wilāyah)의 터키어 발음이며, 산자크로 세분화되었다.[3]

이슬람 국가(ISIS)는 점령 지역을 윌라야(주)로 나누어 통치했는데, 이슬람 국가 – 호라산주, 이슬람 국가 – 서아프리카주 등이 있다.[3]

4. 기타

미국의 주(State)는 아랍어에서 윌라야(Wilayah)로 번역된다. 따라서 미국은 "알-윌라야트 알-무타히다 알-아므리키야"(al-Wilāyāt al-Muttaḥidah al-Amrīkīyah), 즉 "미국 연합"으로 불린다.[1] 이란에서는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루홀라 호메이니가 제창한 "이슬람 법학자에 의한 통치"라는 정치 이념을 "벨라야테 파키흐"(ولایت فقیه|velâyat-e faqîhfa)라고 부른다. 우르두어에서 윌라야(Vilayat)는 외국, 특히 영국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며, 벵골어아삼어에서는 영국 및 영국산 제품을 의미하는 "빌라트"(bilat)와 "빌라티"(bilati)로 변형되어 사용된다.[4]

참조

[1] 문서 Malay is an official language recognized by the Thai government
[2] 서적 Religion and Nationalism in Southeast Asia
[3] 웹사이트 ISIS Governance In SyrIa http://www.underst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2020-10-15
[4] 서적 The Empire Strikes Back? The Impact Of Imperialism on Britain from the Mid-Nineteenth Century Pearson Education
[5] 문서 トルクメン語の w (в) は有声両唇摩擦音なので、ヴェラヤト(ヴェラヤトゥ)あるいはウェラヤト(ウェラヤトゥ)などとカナ表記するのは不適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국가주 (단수)주 (복수)하위 행정 구역
아프가니스탄ولايت|wilāyatpsولايتونه|wilāyatunaps (ولسوالۍ|wuləswāləips 또는 ولسوالی|wolaswālīfa)
타지키스탄{{lang|tg|viloy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