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샤스는 베다에서 새벽을 관장하는 여신이다. 어원은 "새벽"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원시 인도유럽어의 "새벽"을 의미하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 베다 문헌에서 우샤스는 생명을 불어넣고, 어둠을 몰아내며, 모든 생명체가 의무를 다하도록 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그녀는 리그베다의 수많은 찬가에서 숭배되며, 황금빛 전차를 타고 다니는 아름다운 처녀로 묘사된다. 현대 힌두교에서도 숭배되며, 다른 인도유럽 신화의 여신들과 유사한 점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우소스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하우소스 - 아우슈리네
    아우슈리네는 리투아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별의 여신으로, 태양의 길을 준비하며 사울레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하늘의 여왕으로 불리기도 한다.
  • 종교와 소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종교와 소 - 헬리오스
    헬리오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을 의인화한 신으로, 티탄 신족 히페리온과 테이아 사이에서 태어나 매일 네 마리 말이 끄는 전차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르며 세상을 비추는 존재로 묘사되며 로도스 섬에서 숭배받고 아폴론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 새벽의 여신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새벽의 여신 - 아우슈리네
    아우슈리네는 리투아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별의 여신으로, 태양의 길을 준비하며 사울레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하늘의 여왕으로 불리기도 한다.
우샤스
개요
새벽의 Panchchuli II
우샤스는 새벽의 베다적 의인화이다. 위: Panchchuli 산맥, Uttarakhand, 인도에서 일출
설명새벽의 의인화
종교힌두교
신화적 정보
데바나가리어उषस्
유형데비
아버지댜우스
어머니프리트비
자매라트리
배우자수르야
그리스 동등신에오스
로마 동등신아우로라
일본 동등신아메노우즈메
누리스탄 동등신디사니
슬라브 동등신조랴
인도-유럽 동등신H₂éwsōs
텍스트베다
만트라

2. 어원

베다어 uṣás|우샤스sa는 "새벽"을 의미하는 ''uṣá''에서 파생되었다. 이 단어는 원시 인도-이란어 *Hušā́s(아베스타어에서 ušā), 다시 원시 인도유럽어 *h₂éusōs(새벽)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리스어의 "ēṓs"와 리투아니아어의 "aušrà"와 관련이 있다.[9] 말로리와 아담스에 따르면, 인도유럽 전통에서 "동쪽(east)"이라는 단어의 근원이기도 하다.[9]

''Uṣás''는 ''s''-어간으로, 소유격은 uṣásas|우샤사스sa이며, 이를 통해 인도유럽어족에서 "새벽 여신"을 의미한다.[10] 우샤스는 원시 인도유럽 여신 ''*h₂ausos-''와 관련이 있다. 다른 인도유럽 신화에서의 동족어로는 그리스 여신 에오스, 로마 여신 아우로라, 리투아니아 여신 아우슈리네, 그리고 영어 여신 에오스트레(OE: ēastre)가 있으며, 이 이름은 현대 영어 단어 "Easter"의 어원일 가능성이 높다.[11]

3. 베다 문헌에서의 묘사

우샤스는 베다에서 새벽의 주요 여신으로, 모든 존재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존재, 즉 "모든 생명의 생명"이자 "모든 호흡의 숨결"로 묘사된다.[2] 그녀는 매일 지구에 생기를 불어넣고, 혼돈과 어둠을 몰아내며, 모든 것을 움직이게 하고, 모든 생명체가 그들의 의무를 다하도록 하는 여신으로 존경받는다.[2][4]

우샤스는 베다 문학에서 아그니, 소마, 인드라와 같은 세 명의 주요 남신만큼 중요하지는 않지만, 베다의 다른 모든 남신과 여신만큼은 언급되는 중요한 여신 중 하나이다.[12]

우샤스는 베다 텍스트에서 황금빛 붉은 말이나 소가 끄는 빛나는 전차를 타고 다니는, 보석으로 치장한 아름다운 처녀로 묘사된다. 그녀는 미소를 짓고 저항할 수 없이 매력적이며, 그녀를 바라보는 모든 사람에게 기쁨을 가져다준다.[8] 그녀는 어둠을 몰아내고, 숨겨진 보물과 진실을 드러내며,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밝힌다.[8] 찬가 6.64편은 그녀를 부와 빛과 연관시키고, 찬가 1.92편은 그녀를 "소의 어머니"라고 부르며, 소처럼 모든 사람에게 이익을 주는 존재라고 칭한다.[4] 찬가 1.113편은 그녀를 "신들의 어머니"라고 부르고, 찬가 7.81편은 그녀를 청원하는 모든 생명체의 어머니라고 명시한다.[12] 찬가 6.64편에서는 그녀가 난로의 여신이라고 말한다.[4] 그녀는 현실을 상징하며, 시간의 지표이며, "인생은 지구상에서 제한적이다"라는 것을 모두에게 상기시켜준다.[12] 그녀는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며, 찬가 7.75–77편에 따르면 그녀는 신들의 눈이다.[12][16]

그녀는 라트리(밤)의 자매,[2][15] 아디티야의 자매로 다양하게 언급되며, 사비트리와 수르야와 밀접하게 함께한다.[12][13] 그녀는 또한 바루나(하늘, 물) 및 아그니(불)와 연관된다.[8][16]

3. 1. 리그베다

우샤스는 리그베다의 수많은 찬가에서 언급된다.[12] 그녀에게 헌정된 찬가가 40편이나 되며, 다른 찬가에도 그녀의 이름이 등장한다.[13] 7.78, 6.64, 10.172편의 찬가에서는 어둠을 몰아내는 존재로, 3.61편에서는 수르야에 의해 빛을 가져오는 존재로, 8.47편에서는 악마를 물리치는 존재로 칭송받고 감사함을 받는다.[12] 리그베다의 찬가 1.48편은 그녀가 백 대의 전차를 타고 다니며, 빛의 매일의 도래로 드러나고, 모든 움직임에 생명을 불어넣고 모든 생명에 움직임을 부여하며, 사람들을 그들의 의무로 이끈다고 묘사한다.[12][13] 그녀는 찬가 1.44편에서는 힘을 주고, 찬가 3.61편[14]과 7.75편에서는 르타에게 힘을 주며, 1.113편에서는 일상의 질서를 회복하고 세계를 위협하는 혼돈의 세력과 싸우는 데 참여하는 것으로 존경받는다.[12]

리그베다 6.64.1-2절에서 우샤스는 다음과 같이 칭송받는다.[17]

úd u śriyá uṣáso rócamānā ásthur apā́ṃ nórmáyo rúśantaḥ kr̥ṇóti víśvā supáthā sugā́ny ábhūd u vásvī dákṣiṇā maghónī|빛나는 새벽은 영광을 위해 솟아올랐고, 물의 물결처럼 빛나네. 그녀는 모든 길, 모든 통로를 쉽게 만들고, 그녀는 나타났다. 훌륭한 사제의 선물, 풍요로운 자.sa

bhadrā́ dadr̥kṣa urviyā́ ví bhāsy út te śocír bhānávo dyā́m apaptan āvír vákṣaḥ kr̥ṇuṣe śumbʰámānóṣo devi rócamānā máhobhiḥ|상서로운 당신은 눈에 띄게 되었고, 널리 빛을 발하네. 당신의 불꽃, 당신의 빛나는 광선은 하늘로 날아올랐네. 여신 새벽이여, 온 힘으로 빛나며, 아름다움 속에서 당신의 가슴을 드러내네.sa

리그 베다의 "가족 책" (예: RV 6.64.5)에서 우샤스는 하늘 아버지(''Dyaus Pita'')의 신성한 딸, 즉 ''디보 두히타(divó duhitâsa)''이다.

(그것을) 전달하라— 당신의 기쁨대로 소와 함께 탁월한 자로서 그 은혜를 전달하는 당신, 새벽이여, 당신은 여신, 하늘의 딸이시니. 초기에 당신의 관대함으로 볼 만한 가치가 되소서!|(그것을) 전달하라. 당신의 기쁨대로 소와 함께 탁월한 자로서 그 은혜를 전달하는 당신, 새벽이여, 당신은 여신, 하늘의 딸이시니. 초기에 당신의 관대함으로 볼 만한 가치가 되소서![17]sa

4. 현대 힌두교에서의 숭배

조지 윌리엄스에 따르면, 가야트리 만트라는 현대 힌두교에서 우샤스를 매일 상기시키는 존재로 남아 있다.[16]

스리 아우로빈도는 우샤스를 "깨어남, 활동, 그리고 다른 신들의 성장의 매개체이며, 베다적 깨달음의 첫 번째 조건"이라고 하였다. 그는 "우샤스의 빛이 증가함에 따라 인간의 본성이 명확해지며, 그녀를 통해 [인류]는 진리에 도달하고, 그녀를 통해 [진리의] 축복을 누린다"고 하였다.[18]

우샤스는 인도의 비하르와 우타르프라데시, 그리고 네팔에서 열리는 차트 푸자 축제 기간 동안 지역적으로 숭배된다.[19]

5. 다른 인도유럽 신화와의 관련성

베다어 uṣássa는 "새벽"을 의미하는 단어 'uṣá'에서 파생되었다. 이 단어는 원시 인도-이란어 '*Hušā́s'(아베스타어에서 ušā), 다시 원시 인도유럽어 '*h₂éusōs'(새벽)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리스어의 "ēṓs"와 리투아니아어의 "aušrà"와 관련이 있다. 또한, 말로리와 아담스에 따르면, 인도유럽 전통에서 "동쪽(east)"이라는 단어의 근원이기도 하다.[9]

Uṣássa는 's'-어간으로, 소유격은 uṣásassa이며, 이를 통해 인도유럽어족에서 "새벽 여신"을 의미한다.[10] 우샤스는 원시 인도유럽 여신 와 관련이 있다. 다른 인도유럽 신화에서의 동족어로는 그리스 여신 에오스, 로마 여신 아우로라, 리투아니아 여신 아우슈리네, 그리고 영어 여신 에오스트레(OE: ēastre)가 있으며, 이 이름은 현대 영어 단어 "Easter"의 어원일 가능성이 높다.[11]

참조

[1] 웹사이트 25. Goddess Uṣas https://www.wisdomli[...] 2022-10-09
[2]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3] 서적 The Practical Sanskrit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4]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간행물 Ancient Indian Cosmogony
[7] 서적 Indian Religions: A Historical Reader of Spiritual Expression and Experience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8] 서적 Hindu Gods and Goddesses https://books.google[...] Courier
[9]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14] 웹사이트 Usha Suktam - A Vedic Eulogy to the Goddess of Dawn https://www.speaking[...]
[15]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Rigveda -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Secret of the Veda Lotus Press
[19] 웹사이트 Long Essay on Chhath Puja in English for Students and Professionals https://web.archive.[...]
[20] 서적 リグ・ヴェーダ
[21] 서적 リグ・ヴェーダ
[22] 서적 リグ・ヴェーダ
[23] 서적 リグ・ヴェーダ
[24] 서적 リグ・ヴェーダ
[25] 서적 リグ・ヴェーダ
[26] 서적 リグ・ヴェーダ
[27] 서적 リグ・ヴェーダ讃歌
[28] 서적 リグ・ヴェーダ
[29] 서적 リグ・ヴェーダ
[30] 서적 リグ・ヴェーダ
[31] 서적 インド神話伝説辞典
[32] 서적 リグ・ヴェーダ
[33] 서적 リグ・ヴェーダ
[34]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35] 서적 The Practical Sanskrit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36]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7]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8] 서적 Ancient Indian Cosmogony Bombay
[39] 서적 Indian Religions: A Historical Reader of Spiritual Expression and Experience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40] 서적 Hindu Gods and Goddesses https://books.google[...] Cour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