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트리 만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야트리 만트라는 힌두교의 가장 중요한 만트라 중 하나로, 리그베다의 찬가에 등장하며, '옴 부흐 부바하 스바하'로 시작하여 '디요 요 나하 프라초다야트'로 끝난다. 이 만트라는 사비트리, 즉 태양신에게 바쳐지며, 지혜와 깨달음을 구하는 내용으로 번역된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어 왔으며, 힌두교의 여러 종파에서 숭배되며, 불교에서도 언급된다. 힌두교 젊은이의 우파나야나 의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19세기 후반 힌두교 개혁 운동을 통해 널리 퍼졌다. 오늘날에도 힌두교 의식과 대중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신과 여신을 위한 가야트리 만트라가 존재한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다양한 방식으로 번역되지만, 그 의미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56]
2. 원문 및 번역
가야트리 만트라는 태양신 사비트리에게 바치는 찬가로, 신성한 빛을 통해 지혜와 깨달음을 얻고 올바른 길로 인도받기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53]
스와미 비베카난다는 "우리는 이 우주를 창조하신 그 존재의 영광을 명상합니다. 그분께서 우리의 마음을 밝혀주시기를."[11]라고 번역했고, 모니어 모니어-윌리엄스는 "신성하고 생명력을 부여하는 태양의 훌륭한 영광을 명상합시다. 그분께서 우리의 이해력을 밝혀주시기를."[12][13]라고 번역했다.
2. 1. 원문
ॐ भूर्भुवः॒ स्वः ।sa
तत्स॑वि॒तुर्वरेण्यं॒ ।sa
भर्गो॑ दे॒वस्य॑ धीमहि ।sa
धियो॒ यो नः॑ प्रचो॒दया॑त् ॥sa[6]
IAST 표기는 다음과 같다.
oṃ bhūr bhuvaḥ svaḥsa
tat savitur vareṇyaṃsa
bhargo devasya dhīmahisa
dhiyo yo naḥ pracodayātsa[8]
데바나가리 문자와 IAST 표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데바나가리 문자 | 로마자 (IAST) |
|---|---|
| ॐ भूर्भुवः॒ स्वः ।sa | oṃ bhūr bhuvaḥ svaḥsa |
| तत्स॑वि॒तुर्वरेण्यं॒ ।sa | tat savitur vareṇyaṃsa |
| भर्गो॑ दे॒वस्य॑ धीमहि ।sa | bhargo devasya dhīmahisa |
| धियो॒ यो नः॑ प्रचो॒दया॑त् ॥sa | dhiyo yo naḥ pracodayātsa |
2. 2. 번역
तत्स॑वि॒तुर्वरेण्यं॒ ।sa
भर्गो॑ दे॒वस्य॑ धीमहि ।sa
धियो॒ यो नः॑ प्रचो॒दया॑त् ॥sa[8]
ओम् भूर्भुवः स्वःsa
तत्सवितुर्वरेण्यंsa
भर्गो देवस्य धीमहिsa
धियो यो नः प्रचोदयात्sa
가야트리 만트라는 다양한 방식으로 번역되어 왔다. 비교적 직역에 가까운 번역들은 다음과 같다.[18]
- 스와미 비베카난다: "우리는 이 우주를 창조하신 그 존재의 영광을 명상합니다. 그분께서 우리의 마음을 밝혀주시기를."[11]
- 모니어 모니어-윌리엄스 (1882): "신성하고 생명력을 부여하는 태양의 훌륭한 영광을 명상합시다. 그분께서 우리의 이해력을 밝혀주시기를."[12][13]
- 랄프 T.H. 그리피스 (1896): "우리가 신 사비타르의 훌륭한 영광을 얻게 하소서: 그분께서 우리의 기도를 자극하시기를."[14]
- S. 라다크리슈난:
- (1947): "우리는 신성한 빛의 찬란한 영광을 명상합니다. 그분께서 우리의 이해력을 고취시켜주시기를."[34]
- (1953): "우리는 빛나는 태양의 숭고한 영광을 명상합니다. 그분께서 우리의 지성을 고취시켜주시기를."[15]
- 스리 오로빈도: "우리는 신성한 태양의 최상의 빛을 선택합니다. 우리는 그것이 우리의 마음을 움직이기를 열망합니다."[16]
- 스테파니 W. 제미슨과 조엘 P. 브레레톤: "우리가 우리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기를, 우리 통찰력을 일깨울 신 사비타르의 바람직한 광채를."[17]
단어들의 직역은 다음과 같다.
- ''oṃ'' - 신성한 음절, 원초적인 소리
- ''bhūr'' - 육체 / 물리적 영역
- ''bhuvaḥ'' - 생명력 / 정신적 영역
- ''svaḥ'' - 영혼 / 영적 영역
- ''tat'' - 그 (신)
- ''savitur'' - 사비트르(태양, 창조주, 모든 생명의 근원)의
- ''vareṇyam'' - 숭배하다, 존경할 만한
- ''bhargo'' - 광채, 찬란함, 신성한 빛
- ''devasya'' - 최고 주님
- ''dhīmahi'' - 우리가 명상하기를
- ''dhiyo'' - buddhi (지성)
- ''yo'' - 이 빛이
- ''naḥ'' - 우리
- ''prachodayāt'' - 밝히다 / 고취시키다
더 해석적인 번역들은 다음과 같다.
- 존 우드로프 경 (아서 아발론) (1913): "옴. 육지, 대기, 천상의 영역의 신성한 창조주(''사비트리'')의 경이로운 정신을 숙고합시다. 그분께서 우리의 마음을 (즉, '달마', '아르타', '카마', '모크샤'의 성취 '쪽으로') 인도하시기를, 옴."[19]
- 라비 샹카르 (시인): "오,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 숨결의 파동과 광선, 통찰력의 붉은 연꽃, 눈에서 배꼽으로, 목으로, 별들의 덮개 아래에서 흙에서 솟아나 끊이지 않는 빛의 아치로 우리를 관통하게 하소서, 우리가 마치 태양처럼 내면에서 빛날 때까지 스스로를 몰입할 수 있도록."[20]
- 판디트 쉬리람 샤르마: 옴, 브라흐마, 보편적인 신성한 에너지, 생명력 있는 영적 에너지(프란), 우리 삶의 본질, 긍정, 고통의 파괴자, 행복, 태양처럼 밝고 빛나는 것, 최고, 악한 생각의 파괴자, 행복을 부여하는 신성, 그것의 신성과 광채를 우리 안에 스며들게 하여 우리를 정화하고 올바른 지혜를 올바른 길로 인도하게 하소서.[21]
- 윌리엄 존스 경 (1807): "모든 것을 비추고, 모든 것을 재창조하며, 모든 것이 거기에서 나오고, 모든 것이 돌아가야 하며, 그분을 숭배하여 그의 거룩한 자리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우리의 이해력을 올바르게 인도해 달라고 간구하는, 그 신성한 태양의 숭고함을 숭배합시다."[22]
- 윌리엄 콴 저지 (1893): "우주에 생명을 주시는 분, 모든 것이 거기에서 나오고, 모든 것이 돌아가야 하는 분, 금빛 빛의 꽃병에 가려진 진실된 태양의 그 얼굴을 드러내 주소서, 우리가 진실을 보고 당신의 거룩한 자리로 가는 여정에서 우리의 모든 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23]
- 시바나트 샤스트리 (브라모 사마지) (1911): "우리는 땅, 지하 세계, 하늘(즉, 우주)을 창조하시고 우리의 이해력을 인도하시는 분의 숭배할 만한 힘과 영광을 명상합니다."[24]
- 스와미 시바난다: "우리는 우주를 창조하시고 숭배받을 만하며 모든 죄와 무지를 제거하시는 이스바라와 그의 영광을 명상합시다. 그분께서 우리의 지성을 밝혀주시기를."
- 마하르시 다야난다 사라스와티 (아리아 사마지 창시자): "오, 신이시여! 당신은 생명을 주시는 분, 고통과 슬픔을 제거하시는 분, 행복을 베푸시는 분이십니다. 오! 우주의 창조주여, 우리가 당신의 최고의 죄를 파괴하는 빛을 받게 하소서, 당신께서 우리의 지성을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해 주소서."[25]
- 키르팔 싱: "거룩한 음절 '옴'을 중얼거리며 세 영역 위로 일어나, 내면의 모든 것을 흡수하는 태양으로 주의를 돌리라. 그 영향력을 받아들여 태양에 흡수되고, 태양이 자신의 모습으로 너를 모든 빛으로 만들 것이다."[26]
데바나가리 문자와 로마자(IAST) 표기는 다음과 같다.
| ॐ भूर्भुवः॒ स्वः । | oṃ bhūr bhuvaḥ svaḥ |
| तत्स॑वि॒तुर्वरेण्यं॒ । | tat savitur vareṇyaṃ |
| भर्गो॑ दे॒वस्य॑ धीमहि । | bhargo devasya dhīmahi |
| धियो॒ यो नः॑ प्रचो॒दया॑त् ॥ | dhiyo yo naḥ pracodayāt |
가장 중요한 만트라는 RV 3.62.10 찬가에 등장한다. 이 찬송을 암송할 때는 ''oṃ|옴sa'' (ॐsa)과 "위대한 (신비로운) 외침"으로 알려진 ''bhūr bhuvaḥ svaḥ|부르 부바 스바sa'' (भूर् भुवः स्वःsa) 공식, 즉 ''마하비야흐르티''가 앞에 붙는다.[6]
3. 어원 및 구조
원칙적으로 ''가야트리'' 만트라는 각각 8음절로 된 세 개의 ''pāda''s를 명시하지만, 삼히타에 보존된 구절의 텍스트는 8음절이 아닌 7음절로 하나가 짧다. 운율 복원은 증명된 3음절 ''vareṇyaṃ|바레냠sa''을 4음절 ''vareṇiyaṃ|바레니얌sa''으로 수정한다.[7]
스바라가 있는 가야트리 만트라는 데바나가리로 다음과 같다.[6]
: ॐ भूर्भुवः स्वः
तत्स॑वि॒तुर्वरे॑ण्यं॒
भर्गो॑ दे॒वस्य॑ धीमहि।
धियो॒ यो नः॑ प्रचो॒दया॑त्॥sa
IAST로:
: ''oṃ bhūr bhuvaḥ svaḥ|옴 부르 부바 스바sa''
: ''tat savitur vareṇyaṃ|타트 사비투르 바레냠sa''
: ''bhargo devasya dhīmahi|바르고 데바샤 디마히sa''
: ''dhiyo yo naḥ pracodayāt|디요 요 나 프라초다야트sa''
:– Ṛgveda 03.062.10[8]
이 시구는 원래 『리그베다』 3.62.10에 나타나는 태양신 사비트리(Savitṛ)에 대한 찬가이다. "가야트리"는 이 찬가에 사용된 운율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8음절의 구를 3개 나열한 것을 말한다.
3. 1. 가야트리(gāyatrī)
ग॒य॒त्रि, gāyatrī|가야트리sa 만트라는 산스크리트어로 '가야트리 찬다스'라고 불리며, 각각 8음절로 구성된 3행(산스크리트어 '파다스', 문자 그대로 "발")으로 이루어진 24음절이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첫 번째 행에서 한 음절이 짧다.
23음절이기에 가야트리 만트라는 '니크루트 가야트리 찬다스'("한 음절이 짧은 가야트리 만트라")이다. 제안된 역사적 표현인 vareṇiyaṃ|바레니얌sa으로 vareṇyaṃ|바렌얌sa을 재구성하면 첫 번째 행을 8음절로 복원할 수 있다. 만트라를 암송하는 사람들은 7음절을 유지하고 "m"을 발음하는 시간을 연장하거나, "mmm"의 추가 음절(대략 va-ren-yam-mmm)을 추가하거나, 재구성된 vareṇiyaṃ|바레니얌sa을 사용하기도 한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Śrauta 전례의 만트라 목록[27]과 같이 힌두 경전에 널리 인용되며, 브라만과 Srauta-sutras에도 여러 번 인용된다.[28] 또한, 여러 grhyasutras에도 인용되며, 대부분 upanayana 의식[29]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Brihadaranyaka Upanishad, Shvetashvatara Upanishad, Maitrayaniya Upanishad와 같은 주요 우파니샤드, 특히 Mukhya Upanishads에서 난해한 해석과 설명을 다루는 주제이다. Jaiminiya Upanishad Brahmana와 같은 다른 잘 알려진 작품에서도 언급된다. 이 텍스트는 Surya Upanishad와 같은 작은 우파니샤드에도 나타난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다른 신들에게 바쳐진 파생 "gāyatrī" 연절의 영감이 되었다. 이러한 파생은 ''vidmahe'' - ''dhīmahi'' - ''pracodayāt''|비드마헤 - 디마히 - 프라초다야트sa[30] 공식을 따르며 Shatarudriya 리터니의 일부 판본에 삽입되었다.[31] 이러한 형태의 가야트리는 Mahanarayana Upanishad에서도 발견된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마하바라타'', ''Harivamsa'', ''마누스므리티''와 같은 힌두 텍스트에서도 널리 반복되고 인용된다.
이 시구는 원래 『리그베다』 3.62.10에 나타나는 태양신 사비트리(Savitṛ)에 대한 찬가이다. "가야트리"는 이 찬가에 사용된 운율로, 8음절의 구를 3개 나열한 것을 말한다. 『리그베다』에서 가장 유명한 시구이며,[51] 사비트리 신에 대한 찬가이기 때문에 "사비트리"라고도 하며, 운율에서 유래하여 "가야트리"라고도 불린다.
이 시구를 외는 것은 브라만의 드비자(스승에게 배우는 것으로 얻는 두 번째 탄생) 의식으로 시작되는 학생 기간에 특히 중요하며, 스승은 아버지, 가야트리는 어머니로 여겨진다.[52]
원래는 자신의 사고에 사비트리 신이 영향을 주기를 바라는 문구이지만, 신비적인 해석이 이루어졌다. 『사비트리 우파니샤드』에서는 세계를 구성하는 것을 사비트리(남성)와 사비트리(여성)로 이분하고, 양자의 교감에 의해 만물이 생성된다고 보았다.
이후 가야트리는 그 자체가 신격화되어 여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여신으로서의 가야트리는 보통 5개의 머리를 가진다.[54]
불전(수타니파타 3장)에도 사비트리 시구에 대해 언급된 부분이 있는데, 이는 같은 음절 수(8음절 3구)를 가진 삼귀의 문을 가리킨다고 한다.[55]
3. 2. 사비트리(savitṛ)
가야트리 만트라는 사비트르라는 태양신에게 바쳐진다.[9] 이 만트라는 리그베다 제3만달라의 저자로도 여겨지는 현자 비슈와미트라에게 귀속된다. 아리아 사마지와 같은 힌두교의 많은 일신교 종파들은 가야트리 만트라가 《야주르베다》 40:17에 언급된 옴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하나의 최고 창조주를 찬양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0]
이 시구는 원래 『리그베다』 3.62.10에 나타나는 태양신 사비트리(Savitṛ)에 대한 찬가이다. "가야트리"는 이 찬가에 사용된 운율로, 8음절의 구를 3개 나열한 것을 말한다. 『리그베다』에서 가장 유명한 시구이며,[51] 사비트리 신에 대한 찬가이기 때문에 "사비트리"라고도 하며, 운율에서 유래하여 "가야트리"라고도 불린다. 『바가바드 기타』 10.35에서는, 크리슈나가 자신이 가장 뛰어난 존재임을 표현하며 "성구 중에서는 나는 가야트리이다(gāyatrī chandasām ahamsa)"라고 말한다.
이 시구를 외는 것은 브라만의 드비자(스승에게 배우는 것으로 얻는 두 번째 탄생) 의식으로 시작되는 학생 기간에 특히 중요하며, 스승은 아버지, 가야트리는 어머니로 여겨진다.[52]
원래는 자신의 사고에 사비트리 신이 영향을 주기를 바라는 문구이지만, 신비적인 해석이 이루어졌다. 『사비트리 우파니샤드(영어)』에서는 세계를 구성하는 것을 사비트리(남성)와 사비트리(여성)로 이분하고, 양자의 교감에 의해 만물이 생성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성스러운 소리 옴과 세 개의 발성(bhūr, bhuvaḥ, svarsa)에 이어 사비트리 시구를 외도록 하고 있다.[53]
3. 3. 마하비야흐르티(mahāvyāhṛti)
옴( ॐsa)과 "위대한 (신비로운) 외침"으로 알려진 ''''(भूर् भुवः स्वःsa) 공식은 ''마하비야흐르티''라고 불린다.[6] 이는 ''타이티리야 아란야카'' (2.11.1-8)에 설명되어 있으며, 음절 ''옴''과 함께 암송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6] 그 뒤에 세 개의 Vyahrtis와 가야트리 구절이 따른다.
데바나가리 문자와 IAST 표기는 다음과 같다.
| ॐ भूर्भुवः॒ स्वः । | oṃ bhūr bhuvaḥ svaḥ |
| तत्स॑वि॒तुर्वरेण्यं॒ । | tat savitur vareṇyaṃ |
| भर्गो॑ दे॒वस्य॑ धीमहि । | bhargo devasya dhīmahi |
| धियो॒ यो नः॑ प्रचो॒दया॑त् ॥ | dhiyo yo naḥ pracodayāt |
4. 해석 및 의미
가야트리 만트라는 다양한 방식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옴'''
: (우주의 시작의 소리)
'''부르 부와 스와하'''
: 물질계, 마음의 세계, 인과의 세계에 가득 차 있다.
'''탓 사비투르 바레냐암'''
: 지고한 사비트리의 실존을 찬양합니다.
'''바르고 데바스야 디마히'''
: 궁극의 정신의 빛, 성스러운 진리를 깊이 명상합니다.
'''디오 요 나 프라쵸다야트'''
: 저 지혜로 우리에게 빛이 주어지고, 절대의 진리를 깨달을 수 있기를.
기본적으로 이와 같으며, 문헌에 따라서 의미는 조금씩 다를 수 있다.[56]
데바나가리 문자와 로마자 표기는 다음과 같다.
| ॐ भूर्भुवः॒ स्वः । | oṃ bhūr bhuvaḥ svaḥ |
| तत्स॑वि॒तुर्वरेण्यं॒ । | tat savitur vareṇyaṃ |
| भर्गो॑ दे॒वस्य॑ धीमहि । | bhargo devasya dhīmahi |
| धियो॒ यो नः॑ प्रचो॒दया॑त् ॥ | dhiyo yo naḥ pracodayāt |
다음은 여러 학자들의 번역이다.
- 스와미 비베카난다: "우리는 이 우주를 창조하신 그 존재의 영광을 명상합니다. 그분께서 우리의 마음을 밝혀주시기를."[11]
- 모니어 모니어-윌리엄스 (1882): "신성하고 생명력을 부여하는 태양의 훌륭한 영광을 명상합시다. 그분께서 우리의 이해력을 밝혀주시기를."[12][13]
- 랄프 T.H. 그리피스 (1896): "우리가 신 사비타르의 훌륭한 영광을 얻게 하소서: 그분께서 우리의 기도를 자극하시기를."[14]
- S. 라다크리슈난:
- (1947): "우리는 신성한 빛의 찬란한 영광을 명상합니다. 그분께서 우리의 이해력을 고취시켜주시기를."[34]
- (1953): "우리는 빛나는 태양의 숭고한 영광을 명상합니다. 그분께서 우리의 지성을 고취시켜주시기를."[15]
- 스리 오로빈도: "우리는 신성한 태양의 최상의 빛을 선택합니다. 우리는 그것이 우리의 마음을 움직이기를 열망합니다."[16]
- 스테파니 W. 제미슨과 조엘 P. 브레레톤: "우리가 우리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기를, 우리 통찰력을 일깨울 신 사비타르의 바람직한 광채를."[17]
각 단어의 직역은 다음과 같다.(산스크리트어 산드히 분리 후)[18]
- ''oṃ'' - 신성한 음절, 원초적인 소리
- ''bhūr'' - 육체/물리적 영역
- ''bhuvaḥ'' - 생명력/정신적 영역
- ''svaḥ'' - 영혼/영적 영역
- ''tat'' - 그 (신)
- ''savitur'' - 사비트리(태양, 창조주, 모든 생명의 근원)의
- ''vareṇyam'' - 숭배하다, 존경할 만한
- ''bhargo'' - 광채, 찬란함, 신성한 빛
- ''devasya'' - 최고 주님
- ''dhīmahi'' - 우리가 명상하기를
- ''dhiyo'' - 지성
- ''yo'' - 이 빛이
- ''naḥ'' - 우리
- ''prachodayāt'' - 밝히다/고취시키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사비트르라는 태양신에게 바쳐진다.[9] 이 만트라는 리그베다 제3만달라의 저자로도 여겨지는 현자 비슈와미트라에게 귀속된다. 아리아 사마지 등 힌두교 일신교 종파들은 가야트리 만트라가 《야주르베다》 40:17에 언급된 옴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하나의 최고 창조주를 찬양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0]
원칙적으로 ''gāyatrī'' 만트라는 각각 8음절로 된 세 개의 ''pāda''s를 명시하지만, 삼히타에 보존된 구절은 7음절로 하나가 짧다. 운율 복원을 위해 3음절 ''vareṇyaṃ''을 4음절 ''vareṇiyaṃ''으로 수정하기도 한다.[7]
4. 1. 힌두교 전통
옴(ॐsa)과 "위대한 (신비로운) 외침" ''भूर् भुवः स्वः|부르 부바하 스바하sa''라는 공식이 앞에 붙는 가야트리 만트라는 힌두교 경전에 널리 인용된다.[6]가야트리 만트라는 Śrauta 전례의 만트라 목록과 브라만, Srauta-sutras에 여러 번 인용된다.[27] 또한, 여러 grhyasutras에도 인용되며, 대부분 우파나야나 의식[29]과 관련되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야트리 만트라는 주요 우파니샤드에서 난해한 해석과 설명을 다루는 주제이며, Jaiminiya Upanishad Brahmana와 같은 다른 작품에서도 언급된다. 이 텍스트는 Surya Upanishad와 같은 작은 우파니샤드에도 나타난다.
다른 신들에게 바쳐진 파생 "gāyatrī" 연절의 영감이 되기도 하였으며, ''vidmahe - dhīmahi - pracodayāt|비드마헤 - 디마히 - 프라초다야트la''[30] 공식을 따르는 형태로 Shatarudriya 리터니의 일부 판본에 삽입되었다.[31]
힌두교 젊은이에게 가야트리 만트라를 전수하는 것은 전통적인 우파나야나 의식의 중요한 부분이며, 이는 베다 연구의 시작을 알린다.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은 이를 의식의 본질로 묘사했으며,[34] 이는 때때로 ''"가야트리 딕샤"'', 즉 가야트리 만트라에 대한 입문이라고 불린다.[35] 그러나 전통적으로는 RV.3.62.10 구절은 브라만에게만 전수된다.
가야트리 자파는 프라야시치타(속죄)의 방법으로 사용된다. 수행자들은 만트라를 암송하는 것이 우주의 근원이자 영감의 원천을 나타내는 태양(사비트리)을 통해 지혜와 깨달음을 부여한다고 믿는다.[34]
1827년 라 모한 로이는 여러 우파니샤드의 맥락에서 분석한 가야트리 만트라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37] 로이는 브라만교도가 가야트리 만트라의 시작과 끝에 항상 '옴'을 발음하도록 규정했다.[38] 1830년부터 가야트리 만트라는 브라모 신자들의 개인적인 신앙을 위해 사용되었다. 1843년, 브라모 사마지의 첫 번째 서약은 신성한 예배를 위해 가야트리 만트라를 요구했다. 1848년에서 1850년까지, 아디 다르마 브라만교도들은 베다를 거부하면서 개인적인 신앙에서 가야트리 만트라를 사용했다.[39]
이 시구는 원래 『리그베다』 3.62.10에 나타나는 태양신 사비트리(Savitṛ)에 대한 찬가이다. "가야트리"는 이 찬가에 사용된 운율로, 8음절의 구를 3개 나열한 것을 말한다. 『리그베다』에서 가장 유명한 시구이며[51], 사비트리 신에 대한 찬가이기 때문에 "사비트리"라고도 하며, 운율에서 유래하여 "가야트리"라고도 불린다.
이 시구를 외는 것은 브라만의 드비자(스승에게 배우는 것으로 얻는 두 번째 탄생) 의식으로 시작되는 학생 기간에 특히 중요하며, 스승은 아버지, 가야트리는 어머니로 여겨진다.[52]
이후 가야트리는 그 자체가 신격화되어 여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여신으로서의 가야트리는 보통 5개의 머리를 가진다.[54]
4. 2. 신비적 해석
가야트리 만트라는 원래 자신의 사고에 사비트리 신이 영향을 주기를 바라는 문구였으나, 신비적인 해석이 이루어졌다. 사비트리 우파니샤드(영어)에서는 세계를 구성하는 것을 사비트리(남성)와 사비트리(여성)로 이분하고, 양자의 교감에 의해 만물이 생성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성스러운 소리 옴과 세 개의 발성(bhūr|부르sa, bhuvaḥ|부바흐sa, svar|스바르sa)에 이어 사비트리 시구를 외도록 하고 있다.[53]이후 가야트리는 그 자체가 신격화되어 여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여신으로서의 가야트리는 보통 5개의 머리를 가진다.[54]
또한, 불전(수타니파타 3장)에도 사비트리 시구에 대해 언급된 부분이 있는데, 이는 같은 음절 수(8음절 3구)를 가진 삼귀의 문을 가리킨다고 한다.[55]
4. 3. 불교에서의 언급
맛지마 니까야 92에서, 부처는 사비트리(팔리어: ''사빗띠'') 만트라를 시가(詩歌)의 가장 뛰어난 형식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마치 왕이 인간 중 으뜸이고, 태양이 빛 중 으뜸인 것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었다.[32]숫타니파타 3.4에서, 부처는 사비트리 만트라를 바라문 지식의 전형적인 지표로 사용했다.[33]
또한, 불전(수타니파타 3장)에도 사비트리 시구에 대해 언급된 부분이 있는데, 이는 같은 음절 수(8음절 3구)를 가진 삼귀의 문을 가리킨다고 한다.[55]
5. 가야트리 여신
이후 가야트리는 그 자체가 신격화되어 여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여신으로서의 가야트리는 보통 5개의 머리를 가진다.[54]
6. 현대적 의의
현대 사회에서 가야트리 만트라는 여러 방면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힌두교에서는 젊은이에게 가야트리 만트라를 전수하는 우파나야나 의식을 중요하게 여긴다.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은 이를 의식의 본질로 묘사했으며,[34] ''가야트리 딕샤''(가야트리 만트라 입문)라고도 불린다.[35] 그러나 전통적으로는 브라만에게만 전수되며, 크샤트리아나 바이샤에게는 다른 구절이 사용된다.[36]
가야트리 만트라는 프라야시치타(속죄)의 방법으로도 사용되며,[34] 수행자들은 만트라를 통해 지혜와 깨달음을 얻는다고 믿는다.[34]
19세기 라 모한 로이는 가야트리 만트라를 분석하고, 브라만교도가 만트라 전후에 '옴'을 발음하도록 규정했다.[37][38] 브라모 사마지는 가야트리 만트라를 신앙에 사용했고,[39] 19세기 후반 힌두교 개혁 운동은 만트라를 널리 퍼뜨렸다.[40] 스와미 비베카난다는 비브라만 계급에게도 신성한 실 의식과 가야트리 만트라를 행했다.[40] 20세기 후반, 올 월드 가야트리 파리바르(All World Gayatri Pariwar)는 가야트리 야즈나(yajña, 제사)를 통해 만트라를 대중화했다.[42]
인도네시아 힌두교에서는 가야트리 만트라가 트리산디야 푸자 기도의 첫 부분을 형성하며, 매일 세 번씩 외워진다.[43][44]

대중문화에서도 가야트리 만트라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비틀즈의 조지 해리슨 조각상 벨트에는 가야트리 만트라가 새겨져 있다.
- TV 시리즈 ''배틀스타 갈락티카''(2004) 오프닝 테마곡에 등장한다.[45]
- 케이트 부시의 노래 "Lily" 도입부에 사용되었다.
- 가수 셰어는 공연에서 가야트리 만트라를 불렀다.
- 영화 ''모하바테인''(2000)에서는 아미타브 밧찬이 만트라를 암송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47]
- 게임 Homeworld: Deserts of Kharak (2016)에 등장한다.
- HBO 쇼 ''화이트 로터스''(2021) 시즌 1에서 여러 번 등장한다.[48][49]
6. 1. 우파나야나 의식
힌두교에서 젊은이에게 가야트리 만트라를 전수하는 것은 전통적인 우파나야나 의식의 중요한 부분이며, 이는 베다 연구의 시작을 알린다.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은 이를 의식의 본질로 묘사했으며,[34] 이는 때때로 ''"가야트리 딕샤"'', 즉 가야트리 만트라에 대한 입문이라고 불린다.[35] 그러나 전통적으로 RV.3.62.10 구절은 브라만에게만 전수된다. 우파나야나 의식에서 사용되는 다른 가야트리 구절은 다음과 같다. 크샤트리아를 위한 트리스투브 운율의 RV.1.35.2, 그리고 바이샤를 위한 자가티 운율의 RV.1.35.9 또는 RV.4.40.5.[36]이 시구를 외는 것은 브라만의 드비자(스승에게 배우는 것으로 얻는 두 번째 탄생) 의식으로 시작되는 학생 기간에 특히 중요하며, 스승은 아버지, 가야트리는 어머니로 여겨진다.[52]
6. 2. 대중화
가야트리 자파는 프라야시치타(속죄)의 한 방법으로 사용된다.[34] 수행자들은 만트라를 외는 것이 우주의 근원이자 영감의 원천인 태양(사비트리)을 통해 지혜와 깨달음을 준다고 믿는다.[34]1827년 라 모한 로이는 여러 우파니샤드의 맥락에서 가야트리 만트라를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37] 그는 브라만교도가 가야트리 만트라의 시작과 끝에 항상 '옴'을 발음하도록 규정했다.[38] 1830년부터 가야트리 만트라는 브라모 신자들의 개인적인 신앙을 위해 사용되었고, 1843년 브라모 사마지의 첫 번째 서약은 신성한 예배를 위해 가야트리 만트라를 요구했다. 1848년에서 1850년 사이, 아디 다르마 브라만교도들은 베다를 거부하면서도 개인적인 신앙에서 가야트리 만트라를 사용했다.[39]
19세기 후반, 힌두교 개혁 운동은 가야트리 만트라를 널리 퍼뜨렸다. 1898년 스와미 비베카난다는 베다와 ''바가바드 기타''에 따르면 출생이 아닌 구루로부터의 배움을 통해 브라만 계급이 된다고 주장하며, 라마크리슈나 미션에서 비브라만 계급에게 신성한 실 의식과 가야트리 만트라를 행했다.[40] 이 힌두교 만트라는 펜던트, 오디오 녹음, 가짜 두루마리 등으로 제작되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41] 20세기 후반에는 올 월드 가야트리 파리바르(All World Gayatri Pariwar)가 조직한 다양한 가야트리 야즈나(yajña, 제사)가 [https://www.saregama.com/song/gayatri-mantra_89069 가야트리 만트라]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42]
6. 3. 인도네시아 힌두교
가야트리 만트라는 발리 힌두교도와 많은 인도네시아의 힌두교도가 사용하는 기도인 트리산디야 푸자(산스크리트어로 "세 부분"을 의미)의 7개 부분 중 첫 번째 부분을 형성한다. 이 기도는 매일 세 번, 즉 오전 6시, 정오, 오후 6시에 외워진다.[43][44]6. 4. 대중문화
- 조지 해리슨(비틀즈): 2015년 리버풀에서 공개된 그의 실물 크기 조각상 벨트에는 그의 삶의 중요한 사건을 상징하는 가야트리 만트라가 새겨져 있다.
- 가야트리 만트라의 한 버전은 TV 시리즈 ''배틀스타 갈락티카''(2004)의 오프닝 테마곡에 등장한다.[45]
- 윌리엄 콴 저지 번역의 변형은 케이트 부시의 1993년 앨범 ''The Red Shoes''에 수록된 "Lily"라는 노래의 도입부로 사용된다.
- 가수 겸 배우 셰어는 2002-2005년 Living Proof: The Farewell Tour에서 기계 코끼리를 타면서 가야트리 만트라를 불렀다. 그녀는 2017-2020년 Classic Cher 콘서트와 2018-2020년 Here We Go Again Tour에서 이 공연을 다시 선보였다.
- 스위스 아방가르드 블랙 메탈 밴드 Schammasch는 앨범 "Triangle"의 "The Empyrean" 곡의 아웃트로로 만트라를 그레고리 성가로 각색했다.[46]
- 아디티야 초프라 감독의 영화 ''모하바테인''(2000)에서 아미타브 밧찬이 신성한 가야트리 만트라를 신발을 신은 채 암송하여 논란이 되었는데, 일부 바라나시의 베다 학자들은 이것이 힌두교 모독이라고 불평했다.[47]
- Homeworld: Deserts of Kharak (2016) 게임의 캠페인 마지막 미션인 카-토바에서 갈시안 기함인 사주크의 손 파괴 시 가야트리 만트라가 불리는 것을 들을 수 있다.
- HBO 쇼 ''화이트 로터스''(2021) 시즌 1에서는 여러 번 가야트리 만트라의 버전을 부르는 캐릭터가 등장한다.[48][49]
7. 다양한 가야트리 만트라
가야트리라는 용어는 고전적인 가야트리 만트라와 동일한 베다 운율을 따르는 만트라의 한 종류이기도 하다. 고전적인 가야트리가 가장 유명하지만, 다양한 힌두교 신들과 여신들과 관련된 다른 많은 가야트리 만트라들도 있다.[3]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50]
- 비슈누 가야트리:
oṃ nārāyaṇāya vidmahe
vāsudēvāya dhīmahī
tannō viṣṇuḥ pracōdayāt
- 크리슈나 가야트리:
oṃ devakīnandanaya vidmahe
vāsudevāya dhīmahī
tannō kṛṣṇa pracōdayāt
- 시바 가야트리:
om tatpuruṣāya vidmahe
mahādevāya dhīmahi
tannō rudraḥ pracōdayāt
- 가네샤 가야트리:
oṃ ekadantāya vidmahe
vakratuṇḍāya dhīmahi
tannō dantī pracōdayāt
- 두르가 가야트리:
oṃ kātyāyanyaya vidmahe
kānyākumāryaya dhīmahi
tannō durgā pracōdayāt
- 사라스와티 가야트리:
oṃ vāgdevyaya ca vidmahe
kāmarājāya dhīmahi
tannō devī pracōdayāt
- 락슈미 가야트리:
oṃ mahādevyāya ca vidmahe
viṣṇupatnyāya ca dhīmahi
tannō lakṣmīḥ pracōdayāt
참조
[1]
웹사이트
Rig Veda: Rig-Veda, Book 3: HYMN LXII. Indra and Others.
https://www.sacred-t[...]
2020-09-29
[2]
웹사이트
Gayatri Mantra
https://os.me/books/[...]
[3]
서적
Meditation and Mantras
Motilal Banarsidass Publ.
[4]
논문
The sound of religion
1986-06
[5]
논문
On the Buddha's Use of Some Brahmanical Motifs in Pali Texts
http://jocbs.org/ind[...]
2014-05
[6]
서적
Yoga: the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웹사이트
Rig Veda. A metrically restored text
http://www.utexas.ed[...]
Cambridge: Harvard Oriental Series
[8]
웹사이트
rv03.062
https://sanskrit-lex[...]
2024-04-13
[9]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Infobase Publishing
[10]
서적
The Religions of India: A Concise Guide to Nine Major Faiths
Penguin Books India
[11]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Swami Vivekananda
https://books.google[...]
Advaita Ashram
[12]
서적
The Place which the Ṛig-veda Occupies in the Sandhyâ, and Other Daily Religious Services of the Hindus
https://books.google[...]
A. Asher & Company
[13]
서적
The Bibliophile Library of Literature, Art and Rare Manuscripts
https://books.google[...]
The International Bibliophile Society
[14]
서적
The Hymns of the Rigveda
https://books.google[...]
E.J. Lazarus
[15]
서적
The Principal Upanishads
[16]
서적
Evening talks with Sri Aurobindo
Sri Aurobindo Ashram, Publication Dept
[17]
서적
The Rigveda ––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Gayatri Mantra - A Universal Prayer
https://www.sathyasa[...]
2024-07-25
[19]
서적
Tantra of the Great Liberation (Mahānirvāna Tantra)
Dover Publications, Inc.
[20]
웹사이트
GAYATRI MANTRA
https://thepunchmaga[...]
2021-01
[21]
서적
Meditation on Gayatri mantra
http://www.awgp.org/[...]
AWGP Organization
[22]
서적
The works of Sir William Jones
https://books.google[...]
J. Stockdale and J. Walker
[23]
웹사이트
A COMMENTARY ON THE GAYATRI
http://www.blavatsky[...]
1893-01
[2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rahmo Samaj Vol. 1 : Sastri, Sivanath-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25]
웹사이트
MEDITATING ON GAYATRI MANTRA
http://www.aryasamaj[...]
[26]
서적
The Crown of Life
https://www.ruhanisa[...]
[27]
문서
VSM.36.3
[28]
문서
Dravida recension: 27.1; Andhra recension: 35.1; Atharva recension: 15.2
[29]
문서
Shankhayana grhyasutra: 2.5.12, 2.7.19; Khadira grhyasutra: 2.4.21; Apastambha grhyasutra: 4.10.9-12; Varaha grhyasutra: 5.26
[30]
문서
Ravi Varma(1956), p.460f, Gonda(1963) p.292
[31]
문서
Keith, Vol I. p.lxxxi
[32]
서적
Majjhima Nikaya translated by Bhikkhu Sujato
https://suttacentral[...]
2018
[33]
서적
To Sundarika-Bhāradvāja on Offerings
https://suttacentral[...]
2020
[34]
서적
Religion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Read Books
[35]
논문
Climactic Times in Indian Mythology and Relig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간행물
"The Indian mantra"
https://www.jstor.or[...]
1963-12-31
[37]
서적
Translation of Several Principal Books, Passages and Texts of the Veds, and of Some Controversial Works on Brahmunical Theology: and of some controversial works on Brahmunical theology.
https://archive.org/[...]
Parbury, Allen, & co.
[38]
서적
Prescript for offering supreme worship by means of the Gayutree, the most sacred of the Veds
https://archive.org/[...]
Kuntaline press
[39]
서적
History of the Brahmo Samaj
Sadharan Brahmo Samaj
[40]
서적
Bengal's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Academic Publishers
[41]
서적
Two men and music: nationalism in the making of an Indian class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Reviving the Vedic Culture of Yagya
Vedmata Gayatri Trust
[43]
서적
Island Secrets: Stories of Love, Lust and Loss in Bali
https://books.google[...]
[44]
서적
Renegotiating Boundaries: Local Politics in Post-Suharto Indonesia
https://books.google[...]
[45]
웹사이트
Battlestar Galactica's Cylon Dream Kit
https://web.archive.[...]
2017-08-28
[46]
웹사이트
Analysis: Schammasch - "Triangle"
http://metallifestyl[...]
2020-04-16
[47]
웹사이트
Amitabh Bachchan in Hot Water Over Gayatri Mantra with Shoes
https://www.hinduism[...]
2021-01-16
[48]
웹사이트
https://www.hindusta[...]
2024-08
[49]
웹사이트
Makers of HBO's 'White Lotus' Should Know Gayatri Mantra is Not Some New Age Energetic Warm Compress
https://americankaha[...]
2022-11-18
[50]
서적
Meditation and Mantras
Motilal Banarsidass Publ.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웹사이트
gayatri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55]
서적
ブッダのことば
岩波文庫
[56]
문서
ヴェーダテキスト 1
サティヤサイ出版協会
2016-10-03
[57]
서적
베다
동문선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