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용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용각은 평안북도 녕변군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정치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전에 경제연구소에서 근무했으며, 전쟁 발발 후 조선인민군 문관으로 복무했다. 1958년 동해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해상경비 상태를 정탐하다 울릉도 인근에서 체포되어 간첩방조죄로 기소되었으며, 1959년 대법원에서 무기형을 확정받고 서울교도소 등에서 40년 7개월간 수감 생활을 했다. 전향을 거부하여 비전향 장기수가 되었고, 1999년 김대중 정부의 특별사면으로 가석방된 후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에 따라 북한으로 송환되어 가족과 재회했다. 그는 송환 당시 판문점과 평양에서 송환 장기수 대표로 인사말을 했고, 조국통일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된 비전향 장기수 - 신광수 (1929년)
신광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으로, 일본에서 태어나 한국 전쟁 참전 후 루마니아에서 유학했으며, 1970년대부터 일본에서 대남 공작 활동을 하다 일본인 납치 사건에 연루되어 대한민국에서 체포, 복역 후 북송되었으나 일본 정부는 그의 송환을 요구하고 북한은 거부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된 비전향 장기수 - 리두균
한국 전쟁 당시 체포되어 31년간 수감 생활을 한 비전향 장기수 리두균은 출소 후 탕제원을 운영하다 6·15 남북 공동선언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되어 조국통일상을 수상하고 《로동신문》에 글을 발표하며 조선로동당과 김정일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 녕변군 출신 - 이윤영 (1890년)
3·1 운동 참여, 신사참배 저항 등의 활동을 한 일제강점기 목사이자 교육자이며 해방 후 조선민주당 창당, 제헌 국회의원, 무임소장관, 사회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신흥대학 학장을 지낸 정치인이다. - 녕변군 출신 - 길옥윤
한국 대중음악사에 큰 영향을 끼친 작곡가이자 색소폰 연주자인 길옥윤은 미군 클럽에서 재즈를 접한 후 일본에서 '기요야 준'으로 활동하다 1962년 "내 사랑아"로 데뷔, 패티 김과의 결혼과 이혼, 혜은이 발굴, 아시안 게임 및 올림픽 음악감독, 마셜 제도 국가 작곡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수많은 히트곡을 남겼고 문화훈장을 추서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 - 문세광
문세광은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와 육영수 여사 살해를 저지른 범인으로, 조총련의 영향을 받아 좌익 사상에 심취하여 범행을 계획했으며 사형 집행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 - 신광수 (1929년)
신광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으로, 일본에서 태어나 한국 전쟁 참전 후 루마니아에서 유학했으며, 1970년대부터 일본에서 대남 공작 활동을 하다 일본인 납치 사건에 연루되어 대한민국에서 체포, 복역 후 북송되었으나 일본 정부는 그의 송환을 요구하고 북한은 거부하고 있다.
우용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29년 11월 29일 |
사망일 | 2012년 12월 7일 |
출생지 | 녕변군, 일본령 조선 |
국적 | 북한 |
직업 | 코만도 |
2. 생애
우용각은 평안북도 녕변군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에 흡수된 경제연구소 정치경제학과를 졸업한 지식인이었다. 한국 전쟁 전에는 경제연구소에서 근무했고, 전쟁 발발 후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여 문관으로 복무하였다.
1958년 동해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해상경비 상태를 정탐하다 울릉도 인근에서 체포되었는데, 대한민국 해군은 간첩 행위로 판단했지만 우용각은 상륙 계획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후 간첩방조죄로 기소되어 1959년 12월 대법원에서 무기형이 확정, 서울교도소와 대전교도소 등에서 수감 생활을 하였다. 수감 중 전향을 거부하여 비전향 장기수가 되었다.
총 40년 7개월 동안 수감 생활을 한 우용각은 초장기수로 인권단체와 언론의 관심을 받았다. 1999년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 취임 1주년 기념 특별사면으로 가석방되었고,[24] 출감 후 서울 은평구에서 다른 장기수들과 함께 생활하였다.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되어 가족과 다시 만났으며, 판문점과 평양에서 송환 장기수를 대표하여 인사말을 했다.[25] 이후 조국통일상을 받았고, 그의 일생을 소재로 한 소설 《푸른 언덕》이 창작되기도 했다.
2. 1. 체포 이전
평안북도 녕변군 출신이다. 후에 김일성종합대학에 흡수된 경제연구소 정치경제학과를 수료한 지식인이었다. 한국 전쟁 전에는 경제연구소에서 근무했고,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여 문관으로 복무하였다.1958년 동해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해상경비 상태를 정탐하다가 울릉도 인근 바다에서 해군 함정에 체포되었다. 대한민국 해군 측은 간첩 행위로 판단하였고 우용각은 무장력 강화 상태를 통상적으로 알아보는 정도였으며 상륙할 계획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해군본부에서 조사 받은 뒤 간첩방조죄로 기소되었다.[24]
2. 2. 체포 및 수감 생활
1958년 동해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해상경비 상태를 정탐하다가 울릉도 인근 바다에서 해군 함정에 체포되었다.[24] 대한민국 해군 측은 간첩 행위로 판단하였고, 우용각은 무장력 강화 상태를 통상적으로 알아보는 정도였으며 상륙할 계획도 없었다고 주장했다.[24] 해군본부에서 조사 받은 뒤 간첩방조죄로 기소되었다.[24]국제앰네스티 보고서에 따르면, 그는 체포된 후 지하 시설에서 고문을 받았으며 강제로 자백을 했다고 주장했다.[10]
1959년 12월 대법원에서 무기형이 확정되었고,[24] 서울교도소와 대전교도소 등 여러 곳에서 수감 생활을 하였다. 우용각은 북한을 위한 간첩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아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7] 대한민국은 그가 간첩단을 이끌었다고 주장했다.[8] 수감 중 전향을 권유받았으나 거부하여 비전향 장기수가 되었다.[24] 그는 투옥 기간 동안 북한에 대한 친북 성향을 드러내거나 표현하는 것을 금지하는 대한민국 국가보안법에 대한 복종 서약 서명을 거부했다.[9]
대한민국 법률은 간첩에게 신체적 위협이 없더라도 독방 감금을 규정하고 있다.[11] 우용각은 북한 선박에서 체포된 이후 12피트 x 12피트 크기의 독방에 수감되었다.[12] 그의 수감 조건은 다른 수감자들과 함께 하루 30분간 운동을 허용했다.[9] 1998년, 그는 "수년간의 고문, 부실한 식사, 부적절한 의료 처치로 인해 이가 모두 빠진 상태"라고 전해졌다.[13] 1999년, 석방되기 전에 그는 뇌졸중으로 인한 근육 마비 증세를 겪고 있다고 보도되었다.[14]
2. 3. 석방 및 송환
우용각은 1999년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 취임 1주년 기념 특별사면으로 가석방되었다.[24] 대전교도소 정문에서 70세의 나이로 자유의 몸이 되었다.[16]출감 후 서울 은평구에서 다른 장기수들과 함께 생활하다가,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에 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되어 헤어졌던 가족과 다시 만났다.[25] 송환될 때 판문점과 평양에서 송환 장기수를 대표하여 인사말을 하였다.[25] 그는 북한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제안받았으며,[17] 이는 남한 포로(POW)와의 교환 조건이었다.[18] 2000년 9월 초에 북한으로 돌아갔지만, 어떤 남한 포로와 교환된 것은 아니었다.[19][20] 송환 이후 곧바로 민족통일상을 수상했다.[21]
3. 평가 및 영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해당 소스를 바탕으로 '평가 및 영향' 섹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간행물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to Be Repatriated to N. Korea on 2 Sep.
https://web.archive.[...]
Chongryon
2010-06-27
[2]
뉴스
South Korea Frees A 41-Year Captive
https://select.nytim[...]
Reuters
1999-02-25
[3]
뉴스
Seoul Journal; Out at Last, Prisoner 3514 Catches Up on 40 Years
https://select.nytim[...]
New York Times
1999-04-29
[4]
뉴스
Seoul Frees Political Prisoners
https://www.cbsnews.[...]
1999-02-25
[5]
뉴스
Solitary: Tough test of survival instinct
http://news.bbc.co.u[...]
1999-02-25
[6]
뉴스
Kim's Decree Benefits Millions; Some Dissidents Are Left Out : South Korea Grants Sweeping Amnesty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1998-03-14
[7]
웹사이트
Amnesty International, 1998 South Korea country report
http://web.amnesty.o[...]
[8]
뉴스
North Korean ends 41 years in solitary
http://findarticles.[...]
Milwaukee Journal Sentinel
1999-02-26
[9]
웹사이트
BBC News Asia-Pacific Solitary: Tough test of survival instinct
http://news.bbc.co.u[...]
2022-07-29
[10]
웹사이트
1998 Amnesty International South Korea country report
http://web.amnesty.o[...]
[11]
웹사이트
BBC News Asia-Pacific 'Happy to see the light'
http://news.bbc.co.u[...]
2022-07-29
[12]
뉴스
Seoul Frees Political Prisoners
https://www.cbsnews.[...]
CBS News
1999
[13]
웹사이트
Indianexpress.com report of 14 March 1998 from Seoul
http://www.indianexp[...]
1998-03-14
[14]
웹사이트
1999 Amnesty International report for South Korea
https://www.amnesty.[...]
[15]
웹사이트
BBC News Asia-Pacific 'Happy to see the light'
http://news.bbc.co.u[...]
2022-07-29
[16]
웹사이트
BBC News Asia-Pacific 'Happy to see the light'
http://news.bbc.co.u[...]
2022-07-29
[17]
뉴스
North Korean ends 41 years in solitary
http://findarticles.[...]
Milwaukee Journal Sentinel
1999-02-26
[18]
뉴스
Happy to see the light
http://news.bbc.co.u[...]
1999-02-25
[19]
웹사이트
BBC News ASIA-PACIFIC Korean communists go home
http://news.bbc.co.u[...]
2022-07-29
[20]
웹사이트
1 September 2000 correspondent report by Alisha Ryu,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report for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fas.org/news[...]
[21]
간행물
National reunification prizes awarded to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https://web.archive.[...]
2012-09-13
[22]
뉴스
'[장기수 초청 토론회]"북가면 국군포로 해결 힘써달라"'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0-08-22
[23]
뉴스
김정일총비서 비전향장기수 장호, 우용각동지에게 생일 여든돐, 일흔돐상
조선중앙통신
2000-11-29
[24]
뉴스
가석방되는 비전향 장기수 우용각씨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8-08-20
[25]
뉴스
“언제 통일되느냐, 이게 문제다” - <현지 대담> 송환 비전향장기수 우용각, 최선묵, 최하종 선생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08-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