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국은 1918년 러시아 혁명 이후 파울로 스코로파드스키가 쿠데타를 통해 수립한 단명한 국가이다.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원을 받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을 대체했으며, 친독 보수 정권으로 운영되었다. 스코로파드스키는 헤트만으로 추대되어 토지 개혁을 시행했지만, 농민들의 반발과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으로 인한 독일의 지원 상실, 반(反) 헤트만 봉기로 인해 1918년 12월 붕괴되었다. 우크라이나국은 드니프로강 중하류, 흑해 및 아조프해 연안을 포함하는 영토를 가졌으며, 정교회가 주요 종교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8년 우크라이나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은 1918년 러시아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기 위해 독일 등 동맹국과 체결한 강화 조약으로, 러시아는 막대한 영토를 상실하고 배상금을 지불했으며, 이후 연합국의 승리로 무효화되었다. - 1918년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헤트만
우크라이나 헤트만은 역사적으로 우크라이나 지역을 통치했던 지도자 직위로, 자포로지 코사크 헤트만과 1918년 파울로 스코로파츠키에 의해 부활된 직위를 포함하며, 164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에 의해 시작되어 18세기 말 러시아에 의해 폐지되었고, 1918년 파울로 스코로파츠키가 우크라이나국을 수립했으나, 망명하면서 직위를 잃었다. - 옛 군주국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17세기 후반 남슬라브인 왕국 건설을 목표로 시작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 공산주의 정권 수립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거쳐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붕괴되었다. - 옛 군주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 왕국을 중심으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등을 통합하여 건국되었으나 민족 갈등, 독재,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붕괴된 국가이다. - 우크라이나 독립운동 - 우크라이나 반란군
우크라이나 반란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및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활동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무장 조직으로, 우크라이나 독립을 목표로 독일, 폴란드, 소련 등에 맞서 싸웠으나, 홀로도모르, 독일 협력, 폴란드인 학살, 소련 저항 등으로 논란이 있으며, 로만 슈케비치의 지휘하에 조직되어 소련에 의해 궤멸되었지만 우크라이나 독립 후 재평가되고 있다. - 우크라이나 독립운동 -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우크라이나 지역에 수립되었으나 폴란드와 소련의 침략, 내부 분열로 1920년 멸망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기반의 독립 국가이다.
우크라이나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기타 상징 | 국가 봉인: [[File:Seal of the Ukrainian State.svg|120px]] [[File:Ukrainian State seal.svg|120px]] |
표어 | Слава Україні! Гетьманові слава! (슬라바 우크라이니! 헤트마노비 슬라바!) |
표어 (번역) | 우크라이나에 영광을! 헤트만에게 영광을! |
국가 | (셰 네 브메를라 우크라이니) |
국가 (번역) | 우크라이나는 아직 죽지 않았다 |
수도 | 키이우 |
정치 | |
정치 체제 | 임시 반(半)입헌군주제 아래 권위주의 군사 독재 |
헤트만 | 파울로 스코로파드스키 |
재상-장관 | 미콜라 바실렌코 (1918년 4월-5월) 페디르 리조후브 (1918년 5월-11월) 세르히 헤르벨 (1918년 11월-12월) |
입법부 | 없음 (포고령에 의한 통치) / 우크라이나 세임 (금지됨) |
역사 | |
성립 | 수립 (1918년 4월 29일) |
멸망 | 반헤트만 봉기 (1918년 12월 14일) |
지리 | |
현재 국가 | 우크라이나 |
인구 | |
민족 | 우크라이나인 |
언어 | |
공용어 | 우크라이나어 |
종교 | |
주요 종교 | 동방 정교회 및 동방 가톨릭교 |
2. 역사적 배경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중앙 라다가 정부 역할을 수행했다. 중앙 라다는 볼셰비키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 제국 및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협력했다. 1918년 2월 9일, 우크라이나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통해 중앙 동맹과 동맹을 맺었다.[11] 독일군은 우크라이나 내 볼셰비키 세력을 몰아내고, 키이우에 육군 집단 키이우를 주둔시켰다.[11] 그러나 중앙 라다는 경험이 부족하고 식량 조달 능력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1918년 4월 독일군에 의해 해산되었다.[11]
2. 1. 헤트만 추대와 우크라이나국 수립
1918년 4월, 독일군은 중앙 라다가 경험이 부족하고 식량 조달 능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신뢰하지 않고 해산시켰다.[11] 4월 29일, 키이우 서커스 건물에서 열린 제빵 생산자 당 회의에서 파울로 스코로파드스키가 우크라이나 헤트만으로 추대되었다.[11] 그는 성 소피아 광장에서 니코딤 키이우와 갈리치아 대리 주교의 축복을 받았다.[11] 그날 밤, 스코로파드스키 지지자들은 군사 및 내무 행정부와 국립 은행을 장악했고, 다음 날 시치 소총병은 무장 해제되었다.스코로파드스키는 "우크라이나 전 국민에게"라는 선언문(''hramota'')과 임시 국가 시스템에 관한 법률을 발표하며 우크라이나국 수립을 선포했다.[12] 그는 과거 코사크 헤트만의 후손임을 자처하며 '전 우크라이나의 헤트만'을 칭했다. 우크라이나국은 트리주브(문장)와 국기 등 국가 상징을 유지했지만, 디자인을 노란색 위에 파란색으로 변경했다.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안정성을 기대하며 쿠데타를 환영했다. 그러나 스코로파드스키는 친독, 보수적인 정책을 추진하여 많은 우크라이나 농민들의 반발을 샀다. 중앙 라다가 농민에게 분배했던 농지를 지주에게 반환한 것은 특히 큰 반발을 샀다.
2. 2. 반(反) 헤트만 봉기
스코로파츠키 정부는 지주들에게 농지를 반환하고 강제적인 식량 징발을 실시하여 농민들의 반발을 샀다.[13] 1918년 7월, 우크라이나 주둔 독일군 사령관 헤르만 폰 아이히호른이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3]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시몬 페트류라를 중심으로 한 우크라이나 지도국(디렉토리야)이 결성되었다. 1918년 11월, 빌라 체르크바에서 시작된 봉기는 헤트만 정부에 대한 반란으로 확산되었다.[13] 스코로파드스키는 러시아 백군 장교들에게 의존했으나, 지도국의 군대를 막을 수 없었다.[13]
1918년 12월 14일, 스코로파드스키는 헤트만 직에서 물러나 독일로 망명했고, 우크라이나국은 붕괴되었다.[9]
3. 정치
스코로파드스키 정부는 친독, 보수적인 성향을 띠었으며, 러시아인과 구 제국 귀족(지주)들의 지지를 받았다. 중앙 라다가 시행했던 토지 개혁을 번복하고, 농민들에게 분배된 토지를 지주에게 반환했다.[1]
우크라이나국은 독일 제국의 전쟁 수행을 위한 지원 국가로 성립되었으며, 주된 목표는 독일로의 식량 공급이었다. 헤트만 정부는 전적으로 독일의 군사력을 배경으로 성립되었기 때문에, 실제 권력은 독일군 수장인 아이히호른 원수와 그뢰너 장군에게 있었다. 농촌에서는 대규모 식량 징발이 이루어졌고, 독일인의 우크라이나인에 대한 멸시가 심해 시민과 농민들의 반발이 컸으며, 각지에서 불복종과 반란이 일어났다. 7월에는 아이히호른 원수가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
4. 행정 구역
우크라이나국은 동유럽에 위치하며 드니프로강 중하류, 흑해 및 아조프해 연안에 걸쳐 있었다. 우크라이나국의 영토는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서우크라이나, 부자크, 크림반도는 제외되었다. 그러나 그 영토는 오늘날의 러시아, 벨라루스, 몰도바, 폴란드까지 확장되었다.
북동쪽으로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과 예비 경계선을 설정했고, 동쪽으로는 돈 공화국과 국경을 접했으며, 남쪽으로는 흑해와 아조프해가 있었다. 크림 지역 정부가 통제하는 크림반도는 술케비치의 지배하에 있었다. 남서쪽 드네스트르강을 따라 루마니아 왕국과 국경을 접했고, 서쪽으로는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다. 북쪽에는 독일이 점령한 오베르 오스트 영토와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이 있었다.
단위 | 중심 도시 | 스타로스타 |
---|---|---|
볼히니아 현 | 지토미르 | 드미트로 안드로 |
예카테리노슬라프 현 | 예카테리노슬라프 | 이반 체르니코프 |
키예프 현 | 키이우 | 이반 차르토리즈키 |
포돌리아 현 | 카미야네츠 | 세르히 키셀로프 |
폴타바 현 | 폴타바 | 세르히 이바넨코 |
하르키우 현 | 하르키우 | 페트로 잘레스키 |
헤르손 현 | 헤르손 | 세멘 피시체비치 |
홀름 현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 올렉산드르 스코로피스-욜투호프스키 |
체르니히우 현 | 체르니히우 | 미콜라 사비츠키 |
폴리시아 오크루하 | 모지르 | |
타브리아 오크루하 | 베르댠스크 | |
크림 지역 정부a | 심페로폴 | |
쿠반 인민 공화국a | 예카테리노다르 |
a. 우크라이나국의 영토 주장이 있었던 지역.
5. 군사
우크라이나군은 이전의 러시아 제국군과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군의 장비를 계승하는 동시에 독일군으로부터도 장비 공급을 받았다. 그중에는 고타사제 중형 폭격기 GL.VII, LVG C.V, 러시아 제국 항공 함대에서 편입된 대형 폭격기 일리야 무로메치와 같은 고도화된 장비도 포함되었지만, 지상 부대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장비는 구식이었다. 부대 편성은 코사크 민병 부대, 학생 부대 등 임시로 징집된 것들이 주를 이루었고, 구 중앙 라다 군의 강력한 세치 사수대를 중심으로 한 페트류라 군에 비해 열세였다. 해군 조직은 흑해에서 적군과의 전투에 대비하고 있었지만, 해군의 근거지 세바스토폴을 둘러싼 전투가 몇 차례 벌어졌다. 우크라이나 해군은 독일 해군의 흑해 함대 역할을 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붕괴 후, 영국·프랑스 연합의 반혁명 간섭군에 의해 접수되었다.
6. 종교
정교가 우크라이나국의 주요 종교였다.[14] 다른 종교를 믿는 시민들은 자신의 종교와 의식을 따를 자유가 보장되었다.
러시아 정교회와 우크라이나 자치 정교회가 중부 우크라이나와 동부 우크라이나를 지배했다. 그러나 서부 우크라이나에서는 정교회, 그리스 가톨릭 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 유대인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 우크라이나국 정부와 각료 회의는 정교회 성직자들을 재정적, 도덕적으로 지원했다.
정부는 우크라이나국에 합병된 볼히니아, 홀름 지방, 그로드노, 포돌리아, 폴레시아 지역으로 이주한 사제들을 돕기 위해 300만러시아 루블을 할당했다.[15] 또한 홀름시치나, 포들라치아, 폴레시아 지역의 정교회 성직자 유지를 위해 12만러시아 루블이 할당되었다.[15]
참조
[1]
웹사이트
У Стамбулі випадково знайшли документ з підписом українського гетьмана: фото унікальної знахідки
https://www.rbc.ua/u[...]
2024-05-28
[2]
웹사이트
За культурою народу й особами своїх правителів Україна була європейською державою
https://gazeta.ua/ar[...]
2024-05-28
[3]
웹사이트
Магія печатки
https://antikvar.ua/[...]
2024-05-28
[4]
웹사이트
Знак Державної скарбниці УД вартістю 100 карбованців. 1918 р.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Знак Державної скарбниці УД вартістю 100 карбованців. 1918 р.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Знак Державної скарбниці УД вартістю 1000 карбованців.
https://web.archive.[...]
1918-11-13
[7]
웹사이트
Знак Державної скарбниці УД вартістю 1000 карбованців.
https://web.archive.[...]
1918-11-13
[8]
서적
A History of Ukraine: The Land and Its People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0-06-18
[9]
서적
Eastern Europe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1999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10]
서적
Ukraine: Birth of a Modern N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2]
뉴스
Закони про тимчасовий державний устрій України
http://zakon3.rada.g[...]
2022-11-15
[13]
간행물
The Army and Independence
http://ukrainianweek[...]
2022-04-29
[14]
논문
http://www.irbis-nbu[...]
2022-11-15
[15]
논문
http://www.history.o[...]
2022-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