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르는 고대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활과 스키의 신으로 묘사된다. 이름은 '영광'을 의미하는 고대 게르만어에서 유래했다. 문헌에는 활과 스키의 신, 오딘이 부재 시 그의 자리를 대신하는 신으로 등장하며, 스키, 활, 방패와 관련된 케닝(kenning, 은유적 표현)으로도 나타난다. 지명에서도 울르의 흔적이 발견되며, 특히 노르웨이와 스웨덴 지역에 관련 지명이 많다. 학자들은 울르가 고대 게르만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을 것으로 추정하며, 스키어의 수호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르 | |
|---|---|
| 울 | |
![]() | |
| 신화 | 노르드 신화 |
| 역할 | 사냥의 신 |
| 옛 노르드어 | Ullr |
| 거주지 | 위달 |
| 무기 | 활 |
| 부모 | 시브 또는 오딘 |
| 거주지 | 유다릴 |
| 로마자 표기 | Ul |
| 아이슬란드어 | Ullur |
2. 어원 및 명칭
"울르"(''Ullr'')라는 이름은 고대 영어의 ''wuldor'', 고트어의 ''wulþus''와 어원이 같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두 말은 "영광"을 뜻한다. 복원된 게르만 조어 형태는 *''Wulþuz''이다.
토르스베르크 이탄지에서 발견된 토르스베르크 물림쇠에 푸타르크가 새겨져 있는데, 이 물건은 기원후 200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고대 노르드어의 신격 '울르(Ullr)'는 원시 게르만어(*PGmc) 형태인 "*Wulþuz"('영광')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복합어 "owlþu-þewaz"(ᛟᚹᛚᚦᚢᚦᛖᚹᚨᛉ)에서 증명된다. 이 단어는 '울투즈(Owlþuz)의 종' (신격으로 해석될 경우) 또는 '영광스러운 종을 가진 자' (형용사로 해석될 경우)를 의미하며, 토르스베르그 모자 (서기 3세기)에서 발견된다. 이는 고트어 명사 "wulþus"('영광, 부')의 동족어 (동일한 기원에서 파생된 언어적 형제)이다. 궁극적으로 이들은 원시 인도 유럽어 (PIE) 명사 "*wul-tus"('시야, 응시, 외모')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뿌리 "*wel"-('보다')에서 유래되었다.
PGmc 용어 "*wulþuz"는 라틴어 "vultus"와 정확히 동족어로, '얼굴 표정, 외모'를 의미한다. 이는 켈트어에서 고대 아일랜드어 "filed"('예언자, 시인'), 중세 웨일스어 "gwelet"('보다'), 중세 브르타뉴어 "guelet"('시야')와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원시 켈트어 어간 "*wel-ēt-"에서 파생되었다. PIE "*wul-tus"에서 고트어 "wulþus"로의 발전은 '시야, 외모'에서 '영광, 부'로의 의미 변화를 보여주며, 이는 크로아티아어에서 "ugled"('존경')과 "gledati"('보다')의 관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어간 "*wulþ-"는 또한 고대 영어 "Wuldwine", 고대 고지 독일어 "Wuldberth", "Wuldhart", "Wuldrât" 및 고트어 "Wulþuwulfs"를 포함한 일부 게르만어 인명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이는 신의 이름이라기보다는 '영광'을 의미하는 명사로 사용되었다. 고대 영어 명사 "wuldor"('영광')은 *''wuldraz''로 재구성된 관련 PGmc 용어에서 유래했으며 (PIE *''wul-trós''에서 파생됨). 비록 고유명사로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wuldor"는 앵글로색슨 문학에서 "wuldres cyning"('영광의 왕'), "wuldorfæder"('영광의 아버지') 및 "wuldor alwealda"('영광스러운 모든 통치자')와 같은 고대 영어 시에서 신의 이름에서 자주 나타난다.
관련된 고대 노르드어 형태인 "Ullinn"은 원래 "울르(Ullr)"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 "오드르–오딘"과 같은 쌍에서), 언어학자 얀 데 브리스는 분노의 신 오드르–오딘이 베다의 바루나와 미트라 사이의 대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영광스러운 위엄의 신 울르–울린에 반대한다고 제안했다.
3. 고고학적 발견
''owlþuþewaz / niwajmariz''
처음의 ''owlþu''는 곧 ''wolþu-''로, "영광" 또는 "영광스러운 존재"를 뜻하며, Ullr/울르non, wuldor/울도르ang라 한다. 두 번째 ''-þewaz''는 "노예, 종"을 뜻하며, 합치면 "영광스러운 존재의 종", "울르를 섬기는 자(신관)"이 된다. ''Niwajmariz''란 "명예로운"이라는 뜻이다.
4. 문헌상의 출전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쓴 《데인인의 사적》에는 에우헤메리즘적으로 해석된 노르만의 신들이 등장하는데, 여기서 울르는 "올레루스"(''Ollerus'')라는 이름의 교활한 마법사로 묘사된다.[3] 올레루스는 마법의 뼈다귀를 배처럼 타고 바다를 건너는 능력을 지녔다.[3]
오딘이 추방당했을 때, 올레루스는 10년 동안 오딘을 참칭하며 그 자리를 대신했다. 진짜 오딘이 돌아오자 올레루스는 스웨덴으로 도망갔다가 그곳에서 데인인들에게 살해당했다.
울르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신들 각각을 열거할 때 언급된다. "위달리르"(Ýdalir)란 "주목나무 골짜기"라는 뜻인데, 주목나무는 활을 만드는 데 중요한 재료였고, "위"(''ýr'')는 곧 활을 가리키는 환유법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울르의 궁전 이름이 위달리르라는 것은 울르가 활의 신이라는 것과 연관지을 수 있다.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의 다른 절에서 울르가 또 언급된다. 이 구절의 내용은 다소 애매하지만 어떤 종교적 의식을 묘사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르면 울르는 신들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 에다》에서 울르가 세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언급되는 것은 〈아틀리의 서사시〉이다. 〈아틀리의 서사시〉와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은 현존하는 에다 시가들 중 가장 오래된 축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서도 울르는 어떤 의식과 관계되어 있는데, 그 의식은 반지를 가지고 무슨 맹세를 서약하는 것이다. 보다 후기의 문헌들에서는 이 의식을 토르의 이름으로 행하고 있다.
겨울의 신인 울르는 오딘 다음으로 여겨졌으며, 일 년 중 겨울 동안 오딘이 부재할 때 오딘의 자리를 대신했다.[4] 이 기간 동안 그는 아스가르드와 미드가르드를 완전히 지배했다.[4]
〈길피의 속임수〉 제31장에서 울르는 시프의 아들이자 시프의 남편 토르의 의붓아들이라고 한다.[5] 울르의 친아버지가 누구인지는 언급되지 않는다. 울르는 탁월한 명사수이자 따를 자가 없는 스키 주자였다. 그는 외모가 아름다웠으며 전사로서의 풍모를 모두 갖추고 있었다. 싸움에 있어 그에게 부탁하는 것도 좋았다.[5]
〈시어법〉에서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케닝을 논하면서 울르를 다시 언급한다. 스노리는 독자들에게 울르가 스키-신, 활-신, 사냥-신, 방패-신 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 방패를 ‘울르의 배’라고 부를 수도 있다고 한다. 이렇게 감질나는 토막 사실들을 제외하면 스노리는 울르에 관한 신화를 전혀 기록하지 않았다. 스노리에게 울르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었거나, 또는 잊어버렸던 것으로 보인다.
스칼드 시가를 살펴보면 "아스크 울라르"(''askr Ullar''), "파르 울라르"(''far Ullar''), "쿌 울라르"(''kjóll Ullar'') 등의 케닝들이 발견된다. 이는 모두 ‘울르의 배’라는 뜻이고, 방패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6] 이 케닝의 기원은 불명이나 울르가 스키의 신이라는 것과 관계지어 생각해볼 수도 있다. 초기의 스키 또는 썰매는 마치 방패를 눈 위에 엎어놓고 타고 다니는 것을 연상시킨다. 보다 후대의 아이슬란드어 문헌인 《라우파의 에다》에서는 울르의 배를 "스쿌드"(''Skjöldr''), 곧 "방패"라고 바로 부른다.[6]
울르의 이름은 싸움꾼, 전사를 가리키는 케닝으로도 발견되는데, 이는 다른 남신들의 이름이 그렇게 사용된 것과 별다르지 않다.[6]
: 울르 브란드스(''Ullr brands''): 검-전사, 검사[6]
: 란드울르(''rand-Ullr''): 방패-전사, 방패수[6]
: 울르 알름시마(''Ullr almsíma''): 활시위-전사, 궁수[6]
〈토르의 송가〉, 〈기나긴 가을〉 등의 스칼드 시가와 에위스테인 발다손의 시가 파편에서 토르를 울르의 의붓아버지라고 하는데, 이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서술한 정보와 일치한다.[6]
4. 1. 데인인의 사적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쓴 《데인인의 사적》에는 에우헤메리즘적으로 해석된 노르만의 신들이 등장하는데, 여기서 울르는 "올레루스"(''Ollerus'')라는 이름의 교활한 마법사로 묘사된다.[3] 올레루스는 마법의 뼈다귀를 배처럼 타고 바다를 건너는 능력을 지녔다.[3]오딘이 추방당했을 때, 올레루스는 10년 동안 오딘을 참칭하며 그 자리를 대신했다. 진짜 오딘이 돌아오자 올레루스는 스웨덴으로 도망갔다가 그곳에서 데인인들에게 살해당했다.
4. 2. 고 에다
울르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신들 각각을 열거할 때 언급된다. "위달리르"(Ýdalir)란 "주목나무 골짜기"라는 뜻인데, 주목나무는 활을 만드는 데 중요한 재료였고, "위"(''ýr'')는 곧 활을 가리키는 환유법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울르의 궁전 이름이 위달리르라는 것은 울르가 활의 신이라는 것과 연관지을 수 있다.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의 다른 절에서 울르가 또 언급된다. 이 구절의 내용은 다소 애매하지만 어떤 종교적 의식을 묘사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르면 울르는 신들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 에다》에서 울르가 세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언급되는 것은 〈아틀리의 서사시〉이다. 〈아틀리의 서사시〉와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은 현존하는 에다 시가들 중 가장 오래된 축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서도 울르는 어떤 의식과 관계되어 있는데, 그 의식은 반지를 가지고 무슨 맹세를 서약하는 것이다. 보다 후기의 문헌들에서는 이 의식을 토르의 이름으로 행하고 있다.
겨울의 신인 울르는 오딘 다음으로 여겨졌으며, 일 년 중 겨울 동안 오딘이 부재할 때 오딘의 자리를 대신했다.[4] 이 기간 동안 그는 아스가르드와 미드가르드를 완전히 지배했다.[4]
4. 3. 신 에다
〈길피의 속임수〉 제31장에서 울르는 시프의 아들이자 시프의 남편 토르의 의붓아들이라고 한다.[5] 울르의 친아버지가 누구인지는 언급되지 않는다. 울르는 탁월한 명사수이자 따를 자가 없는 스키 주자였다. 그는 외모가 아름다웠으며 전사로서의 풍모를 모두 갖추고 있었다. 싸움에 있어 그에게 부탁하는 것도 좋았다.[5]〈시어법〉에서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케닝을 논하면서 울르를 다시 언급한다. 스노리는 독자들에게 울르가 스키-신, 활-신, 사냥-신, 방패-신 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 방패를 ‘울르의 배’라고 부를 수도 있다고 한다. 이렇게 감질나는 토막 사실들을 제외하면 스노리는 울르에 관한 신화를 전혀 기록하지 않았다. 스노리에게 울르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었거나, 또는 잊어버렸던 것으로 보인다.
4. 4. 스칼드 시가
스칼드 시가를 살펴보면 "아스크 울라르"(''askr Ullar''), "파르 울라르"(''far Ullar''), "쿌 울라르"(''kjóll Ullar'') 등의 케닝들이 발견된다. 이는 모두 ‘울르의 배’라는 뜻이고, 방패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6] 이 케닝의 기원은 불명이나 울르가 스키의 신이라는 것과 관계지어 생각해볼 수도 있다. 초기의 스키 또는 썰매는 마치 방패를 눈 위에 엎어놓고 타고 다니는 것을 연상시킨다. 보다 후대의 아이슬란드어 문헌인 《라우파의 에다》에서는 울르의 배를 "스쿌드"(''Skjöldr''), 곧 "방패"라고 바로 부른다.[6]울르의 이름은 싸움꾼, 전사를 가리키는 케닝으로도 발견되는데, 이는 다른 남신들의 이름이 그렇게 사용된 것과 별다르지 않다.[6]
: 울르 브란드스(''Ullr brands''): 검-전사, 검사[6]
: 란드울르(''rand-Ullr''): 방패-전사, 방패수[6]
: 울르 알름시마(''Ullr almsíma''): 활시위-전사, 궁수[6]
〈토르의 송가〉, 〈기나긴 가을〉 등의 스칼드 시가와 에위스테인 발다손의 시가 파편에서 토르를 울르의 의붓아버지라고 하는데, 이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서술한 정보와 일치한다.[6]
5. 지명
울르의 이름은 스칸디나비아, 특히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여러 지명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울르가 문헌상의 언급보다 더 큰 종교적 중요성을 가졌음을 시사한다.[7] 울르를 언급하는 지명은 뇨르드나 프레이르를 언급하는 지명 근처에서 자주 발견된다는 점도 중요하다.[7]
노르웨이 지명 중 일부는 'Ullinn'이라는 변형된 형태를 가지는데, 이는 신성한 쌍둥이의 흔적이거나,[8] 피오르귄과 피오르긴과 같은 모델을 따라 여성형인 '''울린'''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9]
노르웨이에는 다음과 같은 울르 관련 지명이 있다.
- ''울라르흐볼''("울의 언덕"): 오슬로의 옛 농장 이름이자 울레볼 스타디온의 이름.
- ''울레스타''("울의 장소"): 보스의 옛 농장 이름.
- ''울라르네스''("울의 곶"): 렌네스오이의 옛 농장 이름.
- ''울레뢰이''("울의 섬"): 스케베르그, 스핀드, 쇠르오달, 베스트레 몰란에 있는 네 개의 옛 농장 이름.
- ''울레른'' (''울라르빈'')("울의 목초지"): 홀, 오슬로, 울렌사케르, 쇠르오달 및 외브레 에이케르의 옛 농장 이름.
- ''울린삭르''("울린의 밭"): 헴세달과 토르파 (옛 교회 부지)에 있는 두 개의 옛 농장 이름.
- ''울린스호프''("울린의 호프"): 네스 (옛 교회 부지), 네스 및 울렌사케르 (옛 교회 부지)에 있는 세 개의 옛 농장 이름.
- ''울렌스방''("울의 밭"): 울렌스방 (옛 교회 부지)의 옛 농장 이름.
- ''울린스빈''("울린의 목초지"): 보고 (옛 교회 부지)의 옛 농장 이름.
- ''울스피요르덴''("울의 피요르드"): 트롬스주의 피요르드.
- ''울비크''("울의 만"): 호르달란주의 마을이자 피요르드.
마그누스 올센은 링사케르를 포함한 일부 노르웨이 지명의 이름이 울르의 별명 *''링기르''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했지만, 증거는 없다.
스웨덴에는 다음과 같은 울르 관련 지명이 있다.
- ''울레로케르(Ulleråker)'' ("울르의 밭"): 웁랜드
- ''울투나''(Ultuna) ("울르의 마을"): 웁랜드
- ''울라레드''(Ullared) ("울르의 빈터?"): 할란드
- ''울레비''(Ullevi) ("울르의 성소"): 베스테르예틀란드
- ''리라 울레비''(Lilla Ullevi): 브로, 스톡홀름. 숭배 장소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벤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암석 배열과 65개의 부적 고리가 발견되었다.[11]
- ''울비''(Ullvi) ("울르의 성소"): 베스트만란드
- ''울레네''(Ullene) ("울르의 초원"): 베스테르예틀란드
- ''울레르바드''(Ullervad) ("울르의 도보 장소"): 베스테르예틀란드
- ''울랑에르''(Ullånger) ("울르의 만"): 옹에르만란드
- ''울렌''(Ullen): 베름란드, 하고르스의 샘물 호수
- ''울브로''(Ullbro) ("울스의 다리"): 웁랜드, 옌셰핑
- ''울룬다''(Ullunda) ("울스의 숲"): 웁랜드, 옌셰핑
- ''울스태마''(Ullstämma) ("울스의 만남"): 웁랜드, 옌셰핑
- ''베름륀렌''(Värmullen): 베름란드, 하고르스
- ''울스베리''(Ullsberg) ("울스의 산"): 베름란드, 하고르스
올라fur 라루손은 ''Ullar-''의 아이슬란드 지명 중 일부, 특히 ''Ullarfoss''와 ''Ullarklettur''와 같이 ''Goða-''("신")의 유사한 지명과 가까운 지명들이 울르를 기리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12]
6. 학설
지명 증거와 *''wulþuz''* 관련 어휘는 많은 학자들이 울르가 더 오래된 북유럽 신들 중 하나였으며, 중세 고대 노르드 텍스트가 기록되기 훨씬 전인 노르웨이 북부 지역 정착 시점에 그 중요성이 약화되었다고 결론 내리게 했다.[13] 이는 ''Ullinn''이라는 이름에 대한 문학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점에서도 나타난다.[13] 일부 학자들은 그가 고대 게르만 하늘 신의 한 측면이었으며,[14] 아마도 덴마크의 튀르에 해당하는 북부 스칸디나비아의 신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14]
바니르 신들과 ''울르'' 및 ''울린'' 지명이 연관된 것에 근거하여, 에른스트 알프레드 필립손은 그가 에시르들 사이에 위치해 있다는 《산문 에다》와는 반대로 바니르 중 한 명이라고 제안했으며,[15] 그의 특성에 대한 《산문 에다》의 묘사와 스카디의 특성 사이의 유사성은 그와 스카디의 남편인 뇨르드르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음을 시사한다.[16]
빅토르 뤼드베리는 그의 《게르만 신화》에서 울르가 시프와 에길-외르반딜 사이의 아들이고, 스비프다그르-오드르의 이복 형제이며, 뵐룬드르의 조카이자 스카디의 사촌이며, 울르가 신화 속 최고의 궁수인 에길의 뒤를 이어 스비프다그르-에이리크가 거인으로부터 프레이야를 구하는 것을 도왔다고 추측한다. 뤼드베리는 또한 울르가 바니르와 에시르 간의 전쟁 동안 바니르가 아스가르드를 점령했을 때 바니르를 다스렸다고 주장하지만, 루돌프 시메크는 "이것은 출처에 전혀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17]
7. 현대의 울르


유럽의 겨울 크로스컨트리 스키 커뮤니티에서 울르는 스키어의 수호 수호성인 (Schutzpatron der Skifahrerde)으로 여겨진다. 스키를 탄 채 활과 화살을 든 울르를 묘사한 울르 메달 또는 스키 메달은 유럽 및 기타 지역의 레크리에이션 및 전문 스키어뿐만 아니라 스키 패트롤에서도 부적으로 널리 착용된다.
콜로라도주 브레켄리지는 1963년부터 매년 1월에 일주일 동안 "울르 페스트"를 개최하여 이 역사적인 스키 마을에 눈이 오도록 하기 위해 그의 호의를 얻기 위한 행사를 개최한다.[18]
울르는 비디오 게임 스마이트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이다.[19]
텔레비전 시리즈 ''전능한 존슨스''에서 울르는 팀 발메가 연기한 마이크 존슨으로 환생한 것으로 묘사된다.[20]
참조
[1]
문서
"in phrases denoting the Deity"
[2]
서적
An Anglo-Saxon Dictionary: based on the manuscript collections by the late Joseph Bosworth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3]
웹사이트
Saxo Grammaticus, Gesta Danorum, Liber 3, Caput 4
http://www.kb.dk/eli[...]
[4]
서적
Myths of the Norsemen - from the Eddas and Sagas
https://books.google[...]
Read Books Limited
2016-03-09
[5]
웹사이트
Gylfaginning 23-32
http://www.hi.is/~ey[...]
[6]
웹사이트
GLOSSARY: T - Ú (tafn - úrfræningr)
http://www.hi.is/~ey[...]
[7]
서적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Brewer
1993
[8]
서적
The chariot of the sun: and other rites and symbols of the northern bronze age
https://archive.org/[...]
Praeger
[9]
서적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0]
간행물
Hedenske kultminder i norske Stedsnavne
[11]
문서
Lilla Ullevi - historien om det fridlysta rummet: Vendeltida helgedom, medeltida by och 1600-talsgård : Uppland, Bro socken, Klöv och Lilla Ullevi 1:5, Jursta 3:3, RAÄ 145
[12]
문서
Kultminne i stadnamn 4. Island
[13]
서적
Farms and Fanes of Ancient Norway
Instituttet for Sammenlignende Kulturforskning
1928
[14]
서적
Myth and Religion of the North
[15]
서적
Die Genealogie der Götter in Germanischer Religion, Mythologie, und Theologie
Th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53
[16]
서적
Myth and Religion of the North
[17]
논문
The Vanir: An Obituary
https://www.helsinki[...]
University of Helsinki
2019-02-04
[18]
웹사이트
Breckenridge Ullr Fest
https://www.breckenr[...]
2020-03-22
[19]
웹사이트
SMITE
https://www.smitegam[...]
2018-02-23
[20]
웹사이트
The Almighty Johnsons
http://thealmightyjo[...]
[21]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4]
서적
『[[デンマーク人の事績]]』
[25]
문서
菅原
[2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8]
서적
『北欧の神話伝説(II)』
[29]
서적
『「詩語法」訳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