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웨어 (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어(粵語)는 중국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광저우 방언을 지칭하기도 하며, 광둥어, 백화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난링 산맥 이남 지역에서 시작되어 중국 왕조 시대의 이주를 거치며 발전했다. 광저우는 주강 삼각주의 경제 중심지로, 해금 해제 이후 대외 무역의 중심지가 되면서 광둥어의 영향력이 커졌다. 홍콩과 마카오에서 널리 사용되며, 광둥 팝, 홍콩 영화 등의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해 중국 및 아시아 전역에 알려졌다. 월어는 광둥성, 광시성, 홍콩, 마카오 등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음운론적으로 중고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어휘적으로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카오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마카오의 언어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홍콩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홍콩의 언어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영향력을 지니며, 다양한 방언과 표기법을 갖고 일상 대화, 지방극, 대중가요 등에서 사용된다.
웨어 (언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월어 (粤語)
다른 이름광둥어 (廣東話)
자칭粵語 (번체)
粤语 (간체)
자칭 (광둥어)Yuhtyúh
다른 이름광둥어
다른 이름 (광둥어)Gwóngdūng wá
언어 종류언어
사용 지역광둥성
광시좡족 자치구
서부 하이난성
홍콩
마카오
사용자 민족광둥인
타이산인
언어 통계
제1 언어 사용자8613만 3890명 (2021–2022년)
제2 언어 사용자51만 3000명 (2021년)
총 사용자8664만 6890명 (2021–2022년)
순위16위
언어 계통
어족중국티베트어족
어파중국어
조상 언어원시 중국티베트어
고대 중국어
동한 시대 중국어
중세 중국어
방언
종류월해 방언 (광둥어 포함)
사읍 방언 (타이산어 포함)
고양 방언
용심 방언
구루 방언
흠렴 방언
오화 방언
나광 방언
언어 코드
ISO 639-3yue
Glottologyuec1235
Linguasphere79-AAA-m
문자 체계
문자한자
사용 국가
국가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홍콩, 마카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브루나이
캐나다
미국
호주
뉴질랜드
크리스마스섬
참고
관련 정보중국어

2. 명칭

"광둥어"는 영어에서 보통 광저우의 월어 방언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지만,[2] 월어 전체를 가리키기도 한다.[3] 학술적인 글에서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표준 중국어를 기반으로 한 병음 체계를 따라 더 큰 분파를 "월어"라고 부르며,[4] "광둥어"를 광저우 방언으로 제한하거나, 아예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광저우 방언과 월어를 구분하기도 한다.

홍콩마카오 출신 사람들과 해외에 거주하는 광둥 이민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들의 언어를 廣東話|광둥와yue라고 부른다. 광둥성광시성에서도 粵語|월위yue와 白話|바악와yue (평범한/구어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3. 역사

월어는 난링 산맥 이남의 링난 지역에서 기원했으며, 이곳은 원래 백월족의 고향이었다. 기원전 214년 진나라가 이 지역을 정복한 이후[6] 한족의 대규모 이주가 시작되었고, 이후 한나라, 당나라, 송 등 북중국에서 격변이 일어날 때마다 이주가 이어졌다.[8]

진나라 멸망 후 링난 지역은 독립 국가인 남월의 일부였다가 한나라에 편입되었고, 당나라 멸망 후에는 남한의 일부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월어는 한족과 월족 원주민의 언어적 요소가 융합되어 형성되었다.[8]

19세기 중반 이후, 광둥성 출신 이민자들이 동남아시아북아메리카로 이주하면서 월어가 해외로 확산되었다. 특히 홍콩마카오영국포르투갈의 식민 지배를 거치면서 광둥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었고, 광둥어 미디어와 대중문화가 발전하면서 광둥어의 위상이 더욱 높아졌다. 2010년 광저우 텔레비전의 광둥어 프로그램 축소 시도는 대규모 시위를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광둥어의 중요성과 지역 정체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2]

3. 1. 광둥어의 부상

광저우는 주강 삼각주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강, 베이강, 동강을 통해 내륙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교통의 요지였다. 진나라 시대부터 링난 지역의 경제 중심지였으며, 중요한 조선 중심지였다.[1] 660년경에는 아라비아까지 뻗어 있는 무역 네트워크의 일부인 중국 최대의 항구였다.[2] 남송 시대에는 이 지역의 문화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3] 광둥어는 ''Yuèōu'', ''Mùyú'' 및 ''Nányīn'' 민요 장르뿐만 아니라 광둥 오페라에서도 사용되었다.[4]

광저우는 해금이 해제된 후 급속도로 확장되는 대외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고,[5] 1842년 홍콩이 영국에 할양된 후 홍콩 한족 인구의 대부분은 광저우 출신이었다. 그 결과, 홍콩 광둥어는 홍콩과 마카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으며,[6] 광둥어 미디어, 광둥 팝 및 홍콩 영화의 인기는 중국과 아시아 전역에 광둥어를 널리 알리는 결과를 낳았다. 중국 본토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장려하는 것이 국가 정책이지만,[7] 지역 광둥어와 문화의 위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4. 지리적 분포

월어는 주강 삼각주의 광저우 시가 문화적, 경제적으로 지배해 온 광둥성광시성 남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홍콩마카오에서도 사용되는 광둥어는 월어의 주요 방언이다.[5]

광저우의 영향력은 주강 유역을 따라 서쪽으로 확산되어, 광시성의 상류 190km 지점에 있는 우저우시의 방언은 광저우에서 더 가깝지만 분리된 해안 지역의 방언보다 광저우의 방언과 훨씬 더 유사하다. 이러한 해안 언어 중 하나인 타이산어는 해외 커뮤니티에서 가장 흔한 월어 방언이다.[5] 월어 방언은 서로 완전히 상호 이해가 되지 않는다.

월어는 광둥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방 언어이다. 모국어 사용자는 인구의 약 절반(47%)을 차지한다. 나머지 절반은 객가어와 민어, 주로 조주어와 뢰저우어로 동일하게 분할된다.[5]

월어는 또한 광시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니트어이며, 한족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사용한다. 나머지 절반은 서남 관화, 객가어, 핑화어로 거의 동일하게 나뉘며, 상당한 수의 샹어 사용자 인구와 소수의 민난어 사용자가 있다. 월어는 광시 전체 인구의 35%가 사용하며, 좡어와 함께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언어이다.[5]

2004년 기준으로 중국에서 모든 월어 사용자의 60%가 광둥성에, 28.3%가 광시성에, 11.6%가 홍콩에 거주했다.[5]

시이 유에 중국어 화자가 시이 유에와 광둥어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예시


19세기 중반 중국 정부가 이민 금지령을 해제하면서 푸젠성과 광둥성 해안 지역의 많은 사람들이 동남아시아와 북미로 이주했다. 20세기 후반까지 북미로 이주한 중국 이민자의 대다수는 쓰이(4개 현) 출신으로, 광저우 남서부에 위치해 있었다. 이 지역의 방언, 특히 타이산 방언은 따라서 이 지역에서 가장 흔한 유에 방언이다.[5] 광둥어 화자는 이를 부분적으로만 이해한다.

중국계 미국인의 상당수는 타이산 출신이었다.[8] 타이산의 방언은 광둥어의 쓰이읍(타이산, 신후이, 카이핑, 언핑) 방언에 속하며, 광둥어의 유기음 t가 h로, ts가 t로 변화하는 등 성모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초기 미국 지명의 한자 음역에는 맨해튼을 '민철오'라고 표기하는 등, 기묘한 문자가 사용되기도 했다.[9]

5. 하위 방언

월어는 다양한 하위 방언으로 나뉘며, 크게 광부, 고우-로우, 용-순, 사읍, 고-양, 오-화, 친-련 방언 등으로 분류된다. 중국어 방언 지도에서는 월어 방언을 7개 그룹으로 나누었다.[5]


  • 광부 방언군(廣府): 광저우, 홍콩, 마카오를 포함한 주강 삼각주 지역과 광시성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 고우-로우 방언군(勾漏): 광둥성 서부 및 광시성 동부 내륙 지역에서 사용된다.
  • 용-순 방언군(邕浔): 광시성 난닝을 중심으로 용강-위강-순강 유역에서 사용된다.
  • 사읍 방언군(四邑): 장먼의 해안 현에서 사용되며, 타이산어를 포함한다.
  • 고양 방언군(高阳): 광둥성 남서부 양장롄장 등지에서 사용된다.
  • 오-화 방언군(吴化): 광둥성 서부 우촨화저우 주변에서 사용된다.
  • 친-련 방언군(钦廉): 광시성 남부 베이하이, 친저우, 팡청 등지에서 사용된다.


이 외에도 관보 방언군, 단가어, 그리고 지역 구분에 논쟁이 있는 방언들(용문 본지화, 담주화, 평화)이 존재한다.

5. 1. 광부 방언군 (廣府)

월해 방언군은 광저우, 홍콩, 마카오 등 주강 삼각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정통 광둥어를 포함한다. 월어 사용자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중산 방언, 남번순 방언 등이 포함된다.[10]

  • 광저우 방언 (광저우어, 광부화, 성청화)
  • 홍콩 광동어 (광동어)
  • 남번순 방언 (남해화, 번우화, 순덕화)
  • 중산 방언 (중산화, 석기화)

5. 2. 고우-로우 방언군 (勾漏)

방언군은 광둥성 서부 및 광시성 동부의 내륙 지역에서 사용된다. 위린(보바이) 방언 등이 이에 포함된다.[10]

5. 3. 용-순 방언군 (邕浔)

옹순 방언군은 광시성 용강-위강-순강 유역, 특히 난닝에서 주로 사용된다.[10] 옹순 광동어(남녕화)가 이에 속한다.

5. 4. 사읍 방언군 (四邑)

타이산어를 포함하는 사읍 방언군은 광저우 남서쪽 장먼의 해안 현에서 사용된다.[8] 19세기 중반 중국 정부가 이민 금지령을 해제하면서 광둥성 해안 지역의 많은 사람들이 동남아시아와 북미로 이주했는데, 20세기 후반까지 북미로 이주한 중국 이민자의 대다수는 쓰이('4개 현') 출신이었다. 이 때문에 타이산 방언은 과거 미국 차이나타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9] 사읍 방언은 광둥어 사용자와 부분적으로만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10] 타이산 방언은 광둥어의 쓰이읍(타이산, 신후이, 카이핑, 언핑) 방언에 속하며, 광둥어의 유기음 t가 h로, ts가 t로 변화하는 등 성모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5. 5. 고양 방언군 (高阳)



고양 방언군은 광둥성 남서부 양장 및 롄장 등지에서 사용된다. 양강화라고도 불린다.

5. 6. 오-화 방언군 (吴化)





오화 방언군(오천화, 화주화)은 광둥성 서부 우촨 및 화저우 주변에서 주로 사용된다.[10]

5. 7. 친-련 방언군 (钦廉)



흠렴 방언(欽廉話)은 광시성 남부 베이하이, 친저우, 팡청 등지에서 사용된다.[10]

5. 8. 관보 방언군


  • 동관화
  • 보안 광동 방언(위두화)[10]

5. 9. 기타 방언


  • 지역 구분을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하위 방언
  • * 용문 본지화(객가어에 포함시키기도 함)
  • * 담주화
  • * 평화(광동어와 동등한 대방언으로 보기도 함)[10]
  • * 단가어(수상어)

6. 음운

월어는 중고 중국어의 종성 자음과 성조 범주를 가장 보수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중국어 방언 중 하나이지만, 다른 중국어 방언들이 유지해 온 초성 자음과 중간 모음의 여러 구분은 잃었다.

동아시아의 위(Yue)어 및 기타 중국어 방언 그룹 분포 지도


월어의 음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광둥어 음운론 및 태산어 문서를 참고.

6. 1. 성모 (음절 첫 자음)

중고 중국어의 유성 초성은 오어와 옛 샹어를 제외하고는 월어와 대부분의 다른 현대 중국어 방언에서 사라졌다.[7] 광부, 사읍 및 고양 방언군에서 이러한 초성은 평성과 상승조에서 유기 자음을, 거성 및 입성조에서 무기 자음을 낳았다. 이러한 초성은 구루 방언에서는 균일하게 무기음이고, 오화 방언에서는 균일하게 유기음이다.[7]

광동어를 포함한 많은 월어 방언에서 중세 중국어 는 대부분의 단어에서 또는 가 되었고, 타이산어에서는 도 로 바뀌었다.[7] 예를 들어, 이 방언의 고유어 이름인 "Hoisan"에서 그렇다. 사읍 및 동부 고양에서는 중세 중국어 가 무성 설측 마찰음 이 되었다.[7]

대부분의 월어 방언은 중세 중국어의 권설음 치찰음을 치경음 치찰음과 합병했는데, 이는 구별을 일반적으로 유지해 온 관화 방언과는 대조적이다.[7] 예를 들어, 단어 과 은 관화에서 구별되지만, 현대 광동어에서는 둘 다 으로 발음된다.

일부 월어 화자, 예를 들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태어난 많은 홍콩 광동어 화자는 을 과 합병하지만,[7] 타이산어와 대부분의 다른 월어 방언은 이 구별을 유지한다.[7] 젊은 광동어 화자도 과 영 초성을 구별하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7] 이 구별은 대부분의 월어 방언에서 유지된다.[7]

6. 2. 운모 (음절말 자음)

중고 중국어의 음절말 자음 /m/, /n/, /ŋ/과 /p/, /t/, /k/의 구별이 잘 보존되어 있다. 관화 방언에서 사라진 종결 파열음과 -m/-n 구별이 유지된다.

6. 3. 성조

월어는 8개 또는 그 이상의 성조 범주를 유지하며, 이는 중고 중국어의 4성에서 분화된 것이다. 광동어는 양상성이 양거성과 합류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입성은 모음의 길이에 따라 분화되기도 한다.

7. 어휘

대부분의 중국어 방언은 수식어가 수식 대상을 따르는 구조로 복합어를 형성하지만, 월어 방언은 그 반대 순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와 널리 사용되는 광동어에서 "손님"이라는 단어는 客人(kèrén, 손님-사람)이지만, 동일한 형태소가 광동어 , 태산어 , 그리고 텅셴어 에서는 반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수식어가 일반적으로 명사 뒤에 오는 타이어의 영향으로 추정된다.[1] 하지만 '유부녀'를 뜻하는 표준 중국어 단어(人妻) 또한 동일한 구조를 따른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다른 남부 방언과 마찬가지로, 명사의 성(性) 표지 또한 접미사로 붙는다.[1]

광동어를 포함한 일부 월어 방언은 '누구'와 '어느 것' 모두에 동일한 단어 (어느 것)를 사용할 수 있다. 태산어를 포함한 다른 방언은 '누구'에 (참고: 표준 중국어 誰|shéi중국어)를 사용하고, '어느 것'에는 '어느 것'을 의미하는 단어를 사용한다.[2]

8. 현대적 의의 및 한국의 관점

광둥어는 홍콩(영어와 함께)과 마카오(포르투갈어와 함께)의 사실상 공식 언어이다.[1] 홍콩과 마카오의 중국어 학교에서는 구두 교육 언어로 사용되며, 광둥어를 사용하는 가정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1] 광둥어 미디어(홍콩 영화, 텔레비전 연속극 및 광둥 팝)는 중국의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지역적 정체성과 홍콩 및 해외의 비 만다린어 사용 광둥 디아스포라(diaspora)에서 자체적인 정체성을 부여한다.[1]

대한민국은 홍콩, 마카오와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하며, 광둥어는 이러한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홍콩 영화와 광둥 팝은 한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광둥어 학습에 대한 관심도 높다. 더불어민주당은 문화 다양성과 지역 정체성을 존중하는 입장에서 광둥어의 보존과 발전을 지지하며, 한국과 광둥어 사용 지역 간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본다.

참조

[1] 논문 Mutual Intelligibility of Sinitic Languages http://languagelog.l[...] 2009
[2] 서적 Cantonese OED
[3] 웹사이트 Cantonese language, pronunciation and special characters http://www.omniglot.[...] 2017-03-05
[4] 문서 Yue Chinese Ethnologue
[5] 간행물 Language atlas of China (2nd edition)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6] 서적 Studies in Yue Dialects 1: Phonology of Canto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7] 문서 辻(1980) p.134
[8] 서적 中国の諸言語 大修館書店
[9] 간행물 美國地名中譯的華夏情 http://ocacmacroview[...] 宏観電子報
[10] 간행물 Language Atlas of China Longm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