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유랑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의 유랑민은 특정 민족이나 직업을 가지고 이동하며 생활하는 집단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여기에는 네덜란드, 노르웨이,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등 각 지역의 고유한 유랑민 집단과 롬인(집시) 계열, 그리고 유원지 유랑민과 같은 직업적 유랑민이 포함된다. 이들은 각기 다른 기원, 언어, 문화를 가지며, 때로는 정착민과의 차별과 갈등을 겪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인구 - 세르비아의 인구
2011년 이후 출산율 감소, 사망률 증가, 해외 이민 등으로 인구가 감소 추세에 있는 세르비아는 2022년 기준 6,690,887명의 인구를 가지며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세르비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다민족, 다종교 국가이다. - 소요유랑민 - 롬인
롬인은 인도 북서부 기원을 두고 로마니어를 사용하며, 역사적으로 차별과 박해를 겪었지만 가족 중심적인 사회와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며 예술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유랑 민족이다. - 소요유랑민 - 하카 (민족)
하카는 중국 남부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한족의 한 분파로, 이주 역사를 거쳐 주변 민족과의 교류를 통해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중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에도 참여했다. - 유럽의 민족 - 이탈리아인
이탈리아인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이어져 온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며 다양한 민족 집단의 융합체로 이루어진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민을 가리킨다. - 유럽의 민족 - 로망스족
로망스족은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을 통칭하며, 유럽의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루마니아 등과 중남미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미국에서는 히스패닉 또는 라티노라고도 불린다.
유럽의 유랑민 | |
---|---|
개요 | |
정의 | 유럽에서 전통적으로 유랑 생활을 하는 집단 |
구성원 | 로마인 (집시) 예니셰 킨칼레 여행자 (아일랜드) 기타 유랑 집단 |
역사 | |
기원 | 인도 아대륙 |
유럽으로의 이주 | 중세 시대 |
박해 | 역사적으로 차별과 박해를 받음 |
문화 | |
언어 | 자신들의 고유 언어 또는 방언 사용 |
전통 | 수공예 음악 점술 유랑 생활 방식 |
사회 | |
법적 지위 | 국가별로 다름 |
사회 통합 | 사회 통합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음 |
차별 | 여전히 사회적 차별에 직면 |
관련 연구 | |
연구 분야 | 역사학 인류학 사회학 언어학 |
2. 원주민 계열 유랑민
유럽 각 지역에는 해당 지역의 정주민 사회와는 구별되는 고유한 문화와 생활 방식을 가진 원주민 계열 유랑민 집단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집단은 다음과 같다.
- 네덜란드 유랑민: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유랑민 집단이다.
- 노르웨이 유랑민: 노르웨이 남서부 해안 지역을 따라 주로 이동하며 생활한다.
- 아일랜드 유랑민: 아일랜드에 기원을 둔 고유한 유랑민 집단이다.
- 스코틀랜드 유랑민: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유랑민이다.
- 예니셰인: 독일어권 유럽, 프랑스, 왈롱 지역 등 넓은 지역을 이동하며 생활하는 집단이다.
2. 1. 네덜란드 유랑민 (Woonwagenbewoner)
Woonwagenbewonersnl라고 불리는 네덜란드 원주민 유랑민은 1879년 인구 조사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나, 19세기 전반 산업 기계화가 시작된 이후부터 존재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주로 일자리를 찾아 네덜란드 전역을 이동하며, 의자 바닥 제작, 양철 세공, 빗자루 묶기, 상업, 행상, 공예 등 전통적인 직업에 종사했다.[1]2018년 기준으로 네덜란드에는 약 3만 명에서 6만 명의 유랑민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되며,[2] 이들 대부분은 네덜란드 남부에 거주하는 가톨릭 신자이다.[3] 많은 유랑민들은 은어의 일종인 Bargoensnl를 사용했으며, 여기서 파생된 사회 방언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4]
네덜란드 유랑민들은 주로 트레일러 공원이나 캐러밴 캠프에서 생활하는데, 이 때문에 이들을 비하하는 용어인 Kampersnl(캠프 거주자)라는 말이 생겨났다. 유랑민 자신들은 스스로를 Reizigersnl(여행자)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 반대로 유랑민들은 일반 주택에 사는 정주민들을 비하하는 용어로 burgernl(시민)나 kaffernl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네덜란드와 플랑드르의 유랑민들은 독일어권의 예니셰인과 혼혈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2. 2. 플랑드르 유랑민 (Voyageurs)
Voyageurs|보야저nl는 네덜란드 여행자와 관련된 토착 플랑드르인 집단이다. 초기 Voyageurs|보야저nl는 길을 따라 시골의 마구간이나 헛간에서 잠을 자며 생활했다. 이후 타폴린으로 덮은 간단한 카트 형태의 덮개 있는 마차를 만들어 사용했으며, 직접 끌거나 개를 이용해 끌었다. 시간이 흘러 말을 이용하게 되면서 덮개 달린 마차는 오늘날의 캐러밴과 유사한 형태로 발전했다.이들 Voyageurs|보야저nl는 주로 신티족의 유랑 생활 방식에서 영향을 받았다. 서로의 관습을 일부 받아들였으며, 신티족과의 결혼도 드물지 않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로마니(신티족)와 서구 문화의 혼합 속에서 Voyageurs|보야저nl만의 독특한 하위 문화가 형성되었다.
현재는 많은 Voyageurs|보야저nl가 정착하여 생활하고 있어 그들의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일부는 정착 사회에 깊이 동화되어 자신이 Voyageurs|보야저nl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모르거나 부인하기도 하며, 과거 유랑 생활을 했던 조상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현재 Voyageurs|보야저nl의 인구는 약 8,000명으로 추정되지만, 실제로는 더 많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플랑드르 지역 전역에 흩어져 살고 있다.[5]
2. 3. 노르웨이 유랑민 (Skøyere/Fantefolk)
노르웨이 원주민 여행자(더 일반적으로는 Fanter|판테르no, Fantefolk|판테폴크no 또는 Skøyere|스코예레no로 알려짐)는 스스로를 Reisende|라이젠데de라고 부르는 유랑 집단이다. 혼란스럽게도 이 용어는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롬인(Romani) 집단인 Romanisæl|로마니샐rmg에 의해서도 사용된다. Romanisæl|로마니샐rmg 여행자와 달리, 노르웨이 원주민 여행자는 문화와 기원이 비(非)롬인 계열이며, 어떠한 형태의 롬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그들은 노르웨이어 방언인 로디어(Rodi)를 사용한다.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원주민 여행자와 유사하게, 노르웨이 원주민 여행자는 예니셰인(Yenish, 독일 여행자) 혼혈일 가능성이 있으며, 아마도 그들의 후손일 수 있다는 이론이 있다. 노르웨이어 로디어에는 예니셰어에서 온 차용어의 많은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로디어는 또한 Romanisæl|로마니샐rmg 여행자와 노르웨이 원주민 여행자가 서로 가까운 곳에 살고 있기 때문에 소수의 스칸도 로마니 차용어를 가지고 있다.
노르웨이 원주민 여행자는 항상 해안선을 따라 남부 및 남서부 노르웨이 주변에 집중되어 왔으며(산으로 인해 노르웨이의 나머지 지역과 분리됨), Romanisæl|로마니샐rmg 여행자는 항상 중부 노르웨이(특히 트론헤임시 주변의 트뢰넬라그주) 주변에 집중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두 집단은 모두 전국을 여행했으며, 종종 서로의 전통적인 지역으로 겹쳐 들어갔다.
그들은 정착한 다수 인구에게 fant|판트no 또는 fanter|판테르no로 알려져 있지만, reisende|라이젠데de ('여행자')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이 용어는 또한 Romanisæl|로마니샐rmg 여행자(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가장 큰 로마니족 인구)에 의해 사용되지만, 두 집단은 다르다. 독일어를 사용하는 국가에도 스스로를 reisende|라이젠데de라고 부르는 집단이 있는데, 이는 '여행자'를 의미하는 독일어이다. 19세기 사회학자 에일레르트 순트는 원주민 여행자를 småvandrer|스모반드레르no 또는 småvandringer|스모반드링에르no ('작은 여행자')라고 칭하여, 더 멀리 여행하는 Romanisæl|로마니샐rmg (타터) 여행자(순트가 storvandrer|스토르반드레르no 또는 storvandringer|스토르반드링에르no ('위대한 여행자')라고 부름)와 대조했다.
2. 4. 아일랜드 유랑민 (Pavees)
DNA 분석에 따르면, 파비(Pavee)족은 아일랜드인이지만, 정착한 아일랜드인과는 다른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6] 그들은 주로 아일랜드 공화국, 영국, 미국에 거주한다.[7] 여행자들은 그들 자신의 언어로, 또는 아일랜드어로 "걷는 사람들"을 뜻하는 an Lucht Siúil|안 루흐트 술ga이라고 부르며, 자신들을 Mincéirí 또는 Pavees라고 부른다. 아일랜드 여행자들의 언어인 쉘타어는 주로 아일랜드어 어휘와 영어 문법을 기반으로 한다. 이 언어에는 Gammon (또는 Gamin)과 Cant라는 두 가지 방언이 있다. 이 언어는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더 오래되었을 수도 있다.[8] 아일랜드 여행자들의 대다수는 로마 가톨릭교 신자이며, 가족 중심의 긴밀한 공동체 내에서 그들의 전통과 문화를 유지한다.2011년, 40명의 여행자 DNA 분석 결과, 아일랜드 여행자들은 최소 1,000년 전에 정착한 아일랜드 공동체와 분리된 독특한 토착 아일랜드 소수 민족임이 밝혀졌다. 이는 아이슬란드인이 노르웨이인과 구분되는 것만큼이나 정착한 공동체와 구분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
다른 유랑 집단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과거에 종종 민족적으로 차별을 받았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차별을 받고 있다. 이러한 오랜 차별의 역사 끝에, 그들은 2017년 3월 1일에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공식적인 민족 집단으로 인정받았다.
2. 5.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유랑민 (Ceardannan)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유랑민은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Ceàrdannan|케아르다난gd('장인'이라는 뜻)이라고도 불린다. 영어로는 비하적인 표현인 '검은 땜장이'(Black Tinkers영어) 또는 시적인 표현인 '여름 산책자'(Summer Walkers영어)로 불리기도 한다.하이랜드 유랑민 공동체는 스코틀랜드에서 적어도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이들은 마을과 마을 사이를 이동하며 마을 변두리의 거친 땅에 활 모양의 천막을 치고 살았다. 생계는 주로 양철공, 행상인, 말 거래상, 또는 진주 어업 등으로 꾸렸다. 많은 이들이 열매를 따거나 수확하는 시기에 농장에서 계절 노동자로 일하기도 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하이랜드 유랑민은 정비된 캠프장이나 일반 주택에 정착하여 살고 있다.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유랑민에게는 스코틀랜드 게일어에 기반한 고유의 언어인 Beurla Reagaird|베울라 레가르드gd가 있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라진 상태이다.
하이랜드 유랑민은 그들의 고향인 하이랜드 지역 및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사용하는 원주민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하거나 특정 지역에 정착하여 살았다. 하이랜드 유랑민은 전통적인 게일 문화, 특히 고대의 생생한 게일 노래, 이야기, 민속 전통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10]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는 하이랜드 유랑민은 약 2,000명 정도로 추산된다.
2. 6. 예니셰인 (Yeniche)

예니셰인(Jenische|예니셰deu, Yeniche|예니슈fra)은 독일어권 유럽, 프랑스, 그리고 벨기에의 왈로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유랑하는 민족이다. 이들에 대한 기록은 1793년 요한 울리히 쇨의 저술에서 처음으로 찾아볼 수 있다.
3. 롬인 (집시) 계열 유랑민
유럽의 유랑민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집단은 롬인(집시) 계열이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인도 지역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유럽 전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하위 그룹으로 나뉘었다.
대표적인 롬인 계열 유랑민으로는 중앙유럽의 신티인과 영국, 스칸디나비아 등지에 거주하는 북부 로마니 유랑민 그룹 등이 있다. 이들 외에도 노르웨이와 스웨덴 국경 지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타테르인, 아제르바이잔 등지에서 유랑 생활을 하는 가라치인 등 여러 롬인 계열 집단이 존재한다. 각 그룹은 거주 지역의 문화와 상호작용하며 독특한 정체성과 언어적 특징을 발전시켜왔다.
3. 1. 신티인 (Sinti)
신티인은 롬인(집시)의 한 갈래로 분류되는 유랑민 집단이다. 이들은 주로 중앙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유랑 생활을 이어왔다.롬인 계열에 속하는 만큼, 인도아리아어 계통의 뿌리를 가지며 로마니어를 사용하는 특징을 공유한다.

3. 2. 북부 로마니 유랑민
북부 로마니 유랑민 그룹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그룹 | 주요 거주 지역 |
---|---|
로마니찰 유랑민 (Romanichal Travellers영어) | 잉글랜드 (웨일스 북동부, 남부 웨일스, 스코틀랜드 변경 지역 포함), 미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뉴질랜드 등 |
웨일스 켈레 유랑민 (Welsh Kale Travellers영어) | 웨일스 북서부 웨일스어 사용 지역 |
스코틀랜드 로우랜드 유랑민 (Scottish Lowland Travellers영어) | 스코틀랜드 로우랜드 |
로마니살 유랑민 (Romanisæl Travellers영어) | 노르웨이 중부, 스웨덴 |
핀란드 켈레 (Finnish Kale영어) | 핀란드, 스웨덴 일부 지역 |
이들 북부 로마니 유랑민 그룹은 수세기에 걸쳐 각 지역의 토착 유랑민이나 비유랑민과 섞이면서 유럽계 혈통을 많이 갖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영국의 로마니찰 유랑민은 아일랜드 유랑민,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유랑민, 유원지 유랑민 등과 교류했으며, 스칸디나비아의 로마니살 유랑민은 노르웨이 토착 유랑민과 섞였다. 이러한 혼혈의 결과로, 이들 그룹은 외형상 백인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이들 그룹이 순수한 로마니어 대신 각 지역 언어와 로마니어가 혼합된 언어를 사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룹 | 사용하는 언어 | 구성 |
---|---|---|
로마니찰 유랑민 | 앵글로로마니 (Angloromani영어) | 영어 + 로마니어 |
로마니살 유랑민 | 스칸드로마니 (Scandoromani영어) |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 로마니어 |
스코틀랜드 로우랜드 유랑민 | 스코틀랜드 칸트 (Scottish Cant영어) | 스코트어 + 로마니어 |
웨일스 켈레 유랑민 | 칼라 (Kalá영어) | 웨일스어, 영어 + 로마니어 |
핀란드 켈레 | 칼로 (Kalo영어) | 핀란드어 + 로마니어 |
3. 3. 기타 롬인 계열 유랑민
가장 잘 알려진 유랑 공동체는 로마니족(또는 ''로마니'', ''로마니족'', ''치가니'', ''롬마니''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이다.
로마니족은 인도아리아인 계통의 뿌리와 유산을 가지고 있으며, 약 천 년 전에 중동을 거쳐 처음 유럽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그들은 15세기와 16세기에 유럽 전역으로 더 퍼져 나가면서 다양한 하위 집단으로 나뉘었다.
그들은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로마니어를 사용한다.
4. 직업적 유랑민
유럽에는 특정 직업을 중심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유랑 생활을 하는 집단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이동식 유원지나 서커스를 소유하고 운영하며 직업의 일환으로 이동하는 쇼맨(Showmen)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특정 민족 집단이라기보다는 직업적인 특성을 공유하는 공동체로, 유럽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시칠리아에는 역사적으로 유목 생활을 해 온 카미난티(Camminanti)라는 민족 집단도 존재한다.[13]
4. 1. 유원지 유랑민 (Showmen)
쇼맨(Showmen)은 '쇼피플'(showpeople), '쇼포크'(showfolk), '유원지 여행자'(funfair travellers), '여행 쇼피플'(travelling showpeople) 등으로 불리며, 때로는 경멸적으로 '카니'(carnie)라고도 한다. 이들은 특정 민족 집단이라기보다는 직업적인 여행자들로, 여러 세대에 걸쳐 가족 단위로 이동식 유원지나 서커스를 소유하고 운영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이 집단은 유럽 전역에서 형성되었으며, 자주 이동해야 하는 이동 시장, 유원지, 카니발, 서커스 관련 가족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보통 1년 주기로 정해진 패턴에 따라 이동하며 생활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다른 공동체의 사람들이 이 집단에 합류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영국과 아일랜드의 쇼피플 중에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본토 출신뿐만 아니라 로마니찰이나 아일랜드 여행자와 같은 여행자 집단의 혈통을 가진 사람들도 섞여 있다.
결과적으로 유원지 여행자는 특정한 공통된 특징을 보이고, 영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하나의 문화 집단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민족 집단으로 정의되지는 않는다. 문화 인류학이나 사회학적인 관점에서는 하위 문화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다.
유원지 여행자는 종종 자신들만의 독특한 문화와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공동체 내에서 결혼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1] 이로 인해 오랜 혈통과 강한 문화적 동질성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영국의 쇼맨 길드(Showmen's Guild)에 가입하려면 부모가 유원지 여행 공동체 출신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12]
유럽 전역의 유원지 및 서커스 사업에 종사하는 많은 유원지 여행자들은 로마니어를 상당 부분 사용했던 흔적을 통해 부분적으로 로마니 혈통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쇼맨 집단의 뿌리, 문화, 전통, 그리고 정체성은 로마니 집단과는 별개로 유지되어 왔다.
4. 2. 카미난티 (Camminanti)
카미난티는 14세기 말에 기원한 시칠리아의 민족 집단이다. 역사적으로 유목 생활을 해왔다.[13]참조
[1]
서적
Gypsies and Other Itinerant Groups: A Socio-Historical Approach
Palgrave Macmillan
1998-03-11
[2]
뉴스
Minister: 'Woonwagenbewoners mogen lege standplaatsen niet bezetten'
https://www.ad.nl/vo[...]
2023-10-21
[3]
뉴스
'Ontluisterend boek' over geschiedenis Brabantse woonwagenkampjes
https://www.bd.nl/s-[...]
2023-10-21
[4]
웹사이트
Bargoens
https://www.mokums.n[...]
2023-10-21
[5]
서적
Bargoens: taal der Voyageurs
[6]
문서
Ethnicity and the American cemetery
1993
[7]
문서
Questioning Gypsy identity: ethnic narratives in Britain and America
[8]
문서
[9]
뉴스
DNA study: Travellers a distinct ethnicity
http://www.irishexam[...]
Irish Examiner
2016-05-17
[10]
웹사이트
Travelling People — Highland Travellers
http://www.ambaile.o[...]
[11]
서적
The Travelling People
1971
[12]
웹사이트
National Fairground Archive
http://www.hrionline[...]
[13]
뉴스
Perspective {{!}} The 'walkers' of Sicily survive on the tradition of selling balloons
https://www.washingt[...]
2021-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