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아리아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아리아어군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고대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중세 프라크리트어군에서 기원하여 오늘날 다양한 언어로 분화되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미탄니 왕족도 인도아리아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언어군은 원시 인도아리아어, 고대 인도아리아어(베다 산스크리트어, 서사 산스크리트어, 고전 산스크리트어, 미탄니 인도아리아어), 중기 인도아리아어(프라크리트어), 초기 근대 인도아리아어로 구분되며, 10세기 이후 신 인도아리아어 문헌이 나타났다.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친 이슬람 세력의 확대는 인도어파에 큰 영향을 주었고,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 이후 힌두스탄어는 힌디어와 우르두어로 분리되었다. 인도아리아어군은 언어와 방언의 구분이 모호하며, 다양한 분류 이론이 존재한다. 주요 분류로는 다르드어군, 북인도아리아어군, 북서인도아리아어군, 서인도아리아어군, 중앙인도아리아어군, 동인도아리아어군, 남인도아리아어군이 있다. 음운론적으로 다양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사회언어학적으로 언어와 방언의 구분,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아리아어군 - 베다 산스크리트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1500년경 리그베다를 포함하는 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이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5개의 층위로 구분되며, 유성 역행 치경 접근음과 고저 억양 등의 특징을 갖는다.
  • 인도아리아어군 - 앙기카어
    앙기카어는 인도와 네팔에서 약 1,50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독특한 문화와 요리를 지니고 있으며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고 자르칸드 주에서는 제2주 언어로 인정받았다.
  • 인도이란어파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이란어파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인도아리아어군
개요
유형어족
사용 지역남아시아
사용 인구약 8억 명에서 15억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 인도이란어파
언어 코드
ISO 639-2inc
ISO 639-5inc
Glottologindo1321
하위 어족
주요 하위 어족남부 인도아리아어군
동부 인도아리아어군
북부 인도아리아어군
서북부 인도아리아어군
중동부 인도아리아어군
중부 인도아리아어군
다르드어군
도서 인도아리아어군
지도
주요 인도아리아어군 언어들의 현재 지리적 분포
주요 인도아리아어군 언어들의 현재 지리적 분포. 롬어, 도마리어, 홀로시어, 루와티어, 로마브렌어는 지도 범위 밖에 있음.
관련 항목
관련 항목인도의 언어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2. 역사

인도아리아어군은 역사적으로 고대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중세 프라크리트어군 등의 형태로 기록되었다.[30] 이들은 오늘날 다양한 언어로 분화되어 사멸하였으나, 산스크리트어팔리어 같은 고전 문어 형태로 전해져 사용되고 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상류에 존재하던 미탄니 왕족 등 지배층도 인도아리아어 계통의 고대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0]

인도아리아어군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베다에서 사용된 베다어이다. 베다어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부분은 아베스타어 등 고대 이란어와 매우 흡사하다. 기원전 14세기 소아시아의 미탄니 왕국 관련 문서에서도 인도아리아어 어휘가 나타난다.

기원전 5세기경, 파니니에 의해 산스크리트어가 표준화되었다. 이것이 기원전 2세기경 고전 산스크리트어로 완성된다. 그러나 파니니 시대에도 이미 베다어로부터 변화가 컸으며, 파니니의 산스크리트는 동시대 인도 제어의 영향도 받았다.

산스크리트어 외의 언어는 프라크리트어라고 불린다. 프라크리트어의 가장 빠른 기록은 기원전 3세기 아쇼카왕 비문이다. 프라크리트어는 산스크리트어보다 새로운 어형·문법을 가지지만, 일부 어휘는 더 오래된 기원을 가진다.

10세기 이후 '''신 인도아리아어''' 문헌이 나타난다. 힌디어의 가장 오래된 책은 데바세나의 스라바카차르(930년경)로 여겨진다.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친 이슬람 세력의 확대로 페르시아어가 지배적이었으나, 힌두스탄어로 대체되었다. 현대 힌디어 어휘의 많은 부분은 페르시아어아랍어에서 유래했다.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 시기, 힌두교도의 힌두스탄어힌디어인도공용어가 되었고, 산스크리트화가 이루어졌다. 무슬림의 우르두어파키스탄의 공용어가 되었고, 아랍어페르시아어 어휘가 더 추가되었다. 현재 우르두어는 아랍-페르시아화를, 힌디어는 산스크리트화를 거치고 있지만, 문법은 동일하여 연속체로 볼 수 있다. 구어에서는 힌두스탄어가 사용된다.

2. 1. 고대 인도아리아어

역사적으로 고대의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중세의 프라크리트어군 등의 형태로 기록된 바 있다. 이들은 오늘날 다양한 언어로 분화되어 사멸하였으나 여전히 각각 산스크리트어, 팔리어라는 고전 문어로서 전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여러 증거에 의해 고대 메소포타미아 상류에 존재하던 미탄니의 왕족 등 지배층도 인도아리아어 계통의 고대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0]

인도아리아어군의 분류도


대략적인 연대는 다음과 같다.

  • '''고대 인도아리아어''' (기원전 1500년–기원전 300년)
  • * 초기 고대 인도아리아어: 베다 산스크리트어 포함 (기원전 1500년~기원전 500년)
  • * 후기 고대 인도아리아어: 서사 산스크리트어, 고전 산스크리트어 (서기 200년~서기 1300년)
  • * 미탄니 인도아리아어 (기원전 1400년)


후기 청동기 시대 상 메소포타미아의 미탄니 문명의 몇몇 신명, 고유 명칭 및 기타 용어는 인도아리아어 상층언어를 나타낸다. 미탄니가 남긴 몇 안 되는 기록은 후리어 (왕국의 지배적인 언어였던 것으로 보임) 또는 아카드어 (후기 청동기 시대 근동의 주요 외교 언어)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인도아리아어 계열 이름들은 인도아리아어 엘리트 계층이 후리족 위에 자리 잡았음을 시사하며, 이는 인도아리아인 이동 과정에서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히타이트와 미탄니 간의 조약에는 신들인 미트라, 바루나, 인다라, 아슈빈 (나사티야)이 소환된다. 키쿨리의 말 훈련 텍스트에는 ''aika'' (cf. 산스크리트어 ''eka'', "하나"), ''tera'' (''tri'', "셋"), ''panza'' (''panca'', "다섯"), ''satta'' (''sapta'', 일곱), ''na'' (''nava'', "아홉"), ''vartana'' (''vartana'', "돌다", 말 경주에서 원형으로 돌다)와 같은 기술 용어가 포함되어 있다. 숫자 ''aika'' "하나"는 인도-이란어 일반 또는 초기 이란어(''aiva''를 가짐)가 아닌 인도아리아어에 가까운 상층언어를 위치시킨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하다.[30] 또 다른 텍스트에는 ''babru'' (''babhru'', "갈색"), ''parita'' (''palita'', "회색"), pinkara|핑갈라mis (''pingala'', "빨간색")가 있다. 그들의 주요 축제는 동지 축제(''vishuva'')였으며, 이는 고대 세계의 대부분의 문화에서 흔했다. 미탄니 전사들은 산스크리트어로 "전사"를 뜻하는 ''marya''라고 불렸으며, ''mišta-nnu'' (= ''miẓḍha'', ≈ 산스크리트어 ''mīḍha'') "도망자를 잡은 대가"와 같은 용어도 사용되었다.

미탄니 왕족 이름에 대한 산스크리트어 해석은 다음과 같다.

  • 아르타슈마라(''artaššumara'') → ''Ṛtasmara'' "Ṛta를 생각하는 자"
  • 비리다슈바 (''biridašṷa, biriiašṷ''a) → ''Prītāśva'' "말이 소중한 자"
  • 프리야마즈다 (''priiamazda'') → ''Priyamedha'' "지혜가 소중한 자"
  • 치트라라타 → ''Citraratha'' "수레가 빛나는 자"
  • 인다루다/엔다루타 → ''Indrota'' "인다라의 도움을 받은 자"
  • 샤티바자를 (''šattiṷaza'') → ''Sātivāja'' "경주에서 승리한 자"
  • 슈반두 → ''Subandhu'' "좋은 친척을 가진 자" (팔레스타인 지역의 이름)
  • 투슈라타 (''tṷišeratta, tušratta'' 등) → *tṷaiašaratha, 베다 트바스타르 "수레가 맹렬한 자"


인도아리아어군의 가장 초기의 증거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인도 아대륙의 고대 보존 문헌에서 사용되었으며, 힌두교 경전인 베다의 언어이다. 미타니의 인도아리아어 상층 언어는 리그베다의 언어와 비슷한 시기이지만, 이에 대한 증거는 몇몇 고유명사와 전문 차용어뿐이다.[31]

고대 인도아리아어는 인도아리아어군의 가장 초기 단계이며, 이후 단계인 중세 및 신 인도아리아어의 모든 알려진 언어가 여기에서 파생되었다. 그러나 일부 기록된 중세 인도아리아어 변종은 기록된 형태의 고대 인도아리아어(베다 산스크리트어와 고전 산스크리트어를 기반으로 함)에서 완전히 파생될 수 없으며, 기록되지 않은 다른 고대 인도아리아어 방언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특징을 나타낸다.[32]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산스크리트어"(문자 그대로 '함께 모아지고, 완성되고, 정교해진')는 문화, 과학, 종교, 궁정, 극장 등의 권위 있는 언어로 발전했다. 후기 베다 텍스트의 산스크리트어는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비교할 수 있지만, 베다 산스크리트어와는 대부분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33]

인도아리아어군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베다에서 사용된 베다어이다. 베다어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부분은 아베스타어 등의 고대 이란어와 매우 흡사하다. 그 외에 기원전 14세기의 소아시아에 있던 미탄니 왕국의 왕명과 신명, 그리고 미탄니인 키크리의 문서 속에 인도아리아어라고 생각되는 어휘가 나타난다.

이어서 기원전 5세기경에 산스크리트어가 문법학자 파니니의 손에 의해 표준화·성문화되었다. 이것이 기원전 2세기경에 고전 산스크리트어로 완성된다. 그러나 파니니 시대에 이미 베다어로부터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또한 파니니가 확립한 산스크리트는 오래된 베다로 회귀한 것이 아니라, 동시대에 이미 분화되어 있던 인도 제어에도 영향을 받았다.

2. 2. 중기 인도아리아어

기원전 300년경부터 서기 1500년경까지 사용된 '''중기 인도아리아어'''는 '''프라크리트어'''라고도 불린다. 산스크리트어의 학문적 영역 밖에서, 토착 방언인 프라크리트어는 계속해서 진화했다. 가장 오래된 프라크리트어는 불교자이나교의 경전 언어인 팔리어와 아르다마가디 프라크리트어이다. 아쇼카 프라크리트어의 비문 또한 이 초기 중기 인도 아리아어 단계의 일부였다.[15]

중세 시대에 이르러 프라크리트어는 다양한 중기 인도 아리아어로 다양화되었다. ''아파브람사''는 대략 6세기에서 13세기에 걸쳐 후기 중기 인도 아리아어와 초기 현대 인도 아리아어를 연결하는 과도기적 방언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이 방언 중 일부는 상당한 문학 작품을 보여주었다. 데바세나의 ''Śravakacāra''(930년대)는 현재 최초의 힌두어 책으로 여겨진다.[15]

프라크리트어의 가장 빠른 각문은 기원전 3세기의 아쇼카왕 비문에 나타난다. 프라크리트어는 전체적으로 산스크리트어보다 새로운 어형·문법을 가지지만, 어휘에 따라서는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베다어보다 오래된 기원을 가진 것도 있다.[15]

2. 3. 현대 인도아리아어

도마리어는 중동 지역에 흩어져 거주하는 돔족의 노년층이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어이다. 북쪽으로는 아제르바이잔에서 남쪽으로는 수단 중부까지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0] 언어학자들은 음운 변화의 체계성을 바탕으로, 민족명인 '도마리'와 '로마니'가 인도아리아어 단어 'ḍom'에서 유래했다고 결론지었다.[41]

로마브렌어는 로마브렌인들이 사용하는, 로마니어와 도마리어 관련 언어와 아르메니아어 사이의 언어 접촉으로 발생한 거의 사멸된 혼성 언어이다.[42]

파리아어는 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에서 인도 아대륙 출신의 이주민 후손들이 사용한다. 펀자브어 및 서부 힌디어 방언과 유사한 많은 특징을 유지하고 있으며, 타지크 페르시아어의 영향도 일부 받았다.[43]

로마니 어는 일반적으로 서부 인도아리아어군에 포함된다.[44] 주로 유럽 전역에서 사용되는 로마니 방언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격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간 인도아리아어 현재 시제 인칭 일치 표지를 유지하며, 명사 격을 위한 자음 종결을 함께 사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대부분의 다른 현대 중앙 인도아리아어에서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로마니 어는 카슈미르어, 시나어와 같은 다르드어와 일치하는 혁신적인 과거 시제 인칭 패턴을 공유한다. 이는 원시 로마니어 화자들이 원래 아대륙 중앙 지역에 위치해 있다가 북서부 지역으로 이주했다는 추가적인 증거로 여겨진다. 그러나 인도 내에서 로마니 어의 발전에 관한 알려진 역사적 자료는 없다.

19세기 학자 포트(1845)와 미클로시치(1882–1888)의 연구는 로마니 어가 중간 인도아리아어(MIA)가 아닌 새로운 인도아리아어(NIA)로 가장 적절하게 지정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원시 로마니어 화자들이 서기 1000년보다 훨씬 일찍 인도를 떠났을 수 없다는 것을 입증했다.

NIA로의 전환 기간 동안 또는 그 이후에 이주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주요 논거는 명사 격의 오래된 시스템이 손실되고, 이 시스템이 2가지 형태의 주격-사격 체계로 축소되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논거는 로마니 어가 남성 및 여성의 두 가지 성만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 성 차별화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중간 인도아리아어(MIA)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성(남성, 여성, 중성)을 사용했으며, 일부 현대 인도아리아어에서는 오늘날에도 이러한 측면을 유지하고 있다.

중성성의 상실은 NIA로의 전환까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이 시사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중성 명사는 남성으로, 일부는 여성으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프라크리트어의 중성 ''aggi'' "불"은 힌디어의 여성형 ''āg''로, 로마니 어의 ''jag''로 변형되었다. 로마니 어와 다른 NIA 언어 간의 문법적 성의 진화에서의 유사점은 로마니 어의 선구자가 10세기까지 인도의 아대륙에 남아 있었다는 증거로 추가 인용되었다.

콜로시, 자드가리, 루와티는 해상 이주를 통해 페르시아만 지역에 정착한 인도아리아어군 신드어 하위 분파이다. 이들은 로마 및 돔 이주보다 늦게 시작되었으며, 로마 및 돔은 인도아리아어군의 다른 부분을 나타낸다.

영국 동인도 회사가 계약 노동자를 고용하면서 전 세계로 인도아리아어가 이식되었고, 피지 힌디어와 카리브 힌두스탄어와 같이 원어에서 갈라져 나온 지역적 영향을 받은 방언이 생겨났다.

10세기 이후 현대와 연결되는 '''신 인도아리아어'''의 문헌이 출현한다. 데바세나의 스라바카차르(930년경)가 힌디어에서는 가장 오래된 책으로 여겨진다.

13세기부터 16세기에 걸친 이슬람 세력의 확대는 인도어파에 큰 영향을 주었다. 무굴 제국의 번영 아래 이슬람 궁정의 권위에 의해 페르시아어가 지배적이 되었다. 그러나 페르시아어의 지위는 현지어 문법을 바탕으로 아랍어페르시아어 어휘를 대량으로 도입한 힌두스탄어로 대체되었다. 현대 힌디어(특히 구어)에서도 많은 어휘가 페르시아어·아랍어에서 유래되었다.

이 언어 상황은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 시기에 변화했다. 힌두교도가 사용하는 힌두스탄어힌디어인도공용어로 채택되었고, 더 "인도적"인 언어를 목표로 하여 산스크리트화, 즉 툴시 다스 시대에의 회귀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이루어졌다. 우르두어와도 공통되는 페르시아어·아랍어에서 유래한 전문 용어는 산스크리트어의 것으로, 때로는 대규모로, 또한 복합어도 사용하여 대체되었다. 한편 무슬림의 우르두어파키스탄의 공용어가 되었고, 더 많은 아랍어, 페르시아어의 어휘가 추가되었다. 현재 우르두어는 아랍-페르시아화를, 힌디어는 산스크리트화를 받고 있다. 그러나 문법은 여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연속체라고 해도 좋다. 한편 구어에서는 대다수의 주민이 두 언어가 혼합된 힌두스탄어를 사용하고 있다.

3. 분류

인도아리아어군은 인접한 언어들 간에 과도적인 유사성을 보여 방언 연속체를 이루기 때문에, 언어방언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55] 하위 분류에 대해서도 여러 이론이 존재하며, 특히 과도적 지대의 언어 분류에 있어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다. 가지치기 방식의 트리 모델(tree model)은 현대 인도아리아어군의 분류에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56]

인도아리아인의 점진적 확산과 관련하여 어군을 층(stratum)에 따라 내부(핵)어군과 외부어군으로 나누는 가설도 있다.[57]

인도아리아어군 하위 그룹
모델오디아어벵골-
아삼어
비하르어E. 힌디어W. 힌디어라자스탄어구자라트어파하리어E. 펀자브어W. 펀자브어신드어다르드어마라티-
콘칸어
신할라어–
디베히어
로마니족 언어
호른레 (1880)EE~WWNWWS
그리슨 (−1927)EC~ECNWnon-IASnon-IA
차터지 (1926)EMidlandSWNNWnon-IASNW
그리슨 (1931)EInter.MidlandInter.NWnon-IASnon-IA
카트레 (1968)ECNW다르드어S
니감 (1972)ECC (+NW)CNWNS
카르도나 (1974)EC(S)WNW(S)W
터너 (−1975)ECSWC (C.)~NW (W.)NWSWC
카우젠 (2006)ECWNNW다르드어S로마니
코간 (2016)ECC~NWNWC~NWCNWnon-IASInsularC
Ethnologue (2020)[16]EECCWEC (E.)~W (C., W.)WNWSW
Glottolog (2024)[17]EMidlandNNW다르드어S디베히-신할라Midland



2016년 안톤 I. 코간은 100단어 스와데시 목록을 기반으로 신 인도아리아어의 어휘통계학적 연구를 수행했다. 이는 언어 연대기 학자이자 비교 언어학자인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이 개발한 기술을 사용했다.[15] 코간은 인도아리아어에 대한 어휘 유사성이 낮고(43.5%) 이란어와의 유사성과 거의 차이가 없다는(39.3%) 이전 연구를 근거로 다르드어를 인도아리아어에서 제외했다.[18] 그는 또한 신할라-디베히어를 가장 다른 인도아리아어 분파로 계산했다. 그러나 현대 인도아리아어 언어학자들은 형태학적 및 문법적 특징을 기반으로 다르드어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3. 1. 주요 분류

인도아리아어군은 인접한 언어들 간에 과도적인 유사성을 보여 방언 연속체를 이루기 때문에, 언어방언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55] 하위 분류에 대해서도 여러 이론이 존재하며, 특히 과도적 지대의 언어 분류에 있어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다. 가지치기 방식의 트리 모델(tree model)은 현대 인도아리아어군의 분류에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56]

인도아리아인의 점진적 확산과 관련하여 어군을 층(stratum)에 따라 내부(핵)어군과 외부어군으로 나누는 가설도 있다.[57]

다음은 주요 분류이다.

에서 확장된 제안과 그 이후의 분류 제안을 포함한 표는 다음과 같다. 이 표는 일부 현대 인도아리아어만을 나열한다.

인도아리아어군 하위 그룹
모델오디아어벵골-
아삼어
비하르어E. 힌디어W. 힌디어라자스탄어구자라트어파하리어E. 펀자브어W. 펀자브어신드어다르드어마라티-
콘칸어
신할라어–
디베히어
로마니족 언어
호른레 (1880)EE~WWNW W S  
그리슨 (−1927)EC~ECNWnon-IASnon-IA
차터지 (1926)EMidlandSWNNWnon-IASNW
그리슨 (1931)EInter.MidlandInter.NWnon-IASnon-IA
카트레 (1968)ECNW다르드어S 
니감 (1972)ECC (+NW)C NWNS 
카르도나 (1974)EC(S)WNW(S)W 
터너 (−1975)ECSWC (C.)~NW (W.)NWSWC
카우젠 (2006)ECWNNW다르드어S로마니
코간 (2016)E CC~NWNWC~NWCNWnon-IASInsularC
Ethnologue (2020)[16]EECCWEC (E.)~W (C., W.)WNWSW
Glottolog (2024)[17]EMidlandNNW다르드어S디베히-신할라Midland



2016년 안톤 I. 코간은 100단어 스와데시 목록을 기반으로 신 인도아리아어의 어휘통계학적 연구를 수행했다. 이는 언어 연대기 학자이자 비교 언어학자인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이 개발한 기술을 사용했다.[15] 코간은 인도아리아어에 대한 어휘 유사성이 낮고(43.5%) 이란어와의 유사성과 거의 차이가 없다는(39.3%) 이전 연구를 근거로 다르드어를 인도아리아어에서 제외했다.[18] 그는 또한 신할라-디베히어를 가장 다른 인도아리아어 분파로 계산했다. 그러나 현대 인도아리아어 언어학자들은 형태학적 및 문법적 특징을 기반으로 다르드어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3. 2. 내부-외부 가설

인도아리아어군은 인접한 언어들 간에 과도적인 유사성을 보여 방언 연속체를 이루기 때문에, 언어방언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55] 이에 따라 하위 분류 설정에 여러 이론이 존재하며, 특히 과도적 지대의 언어 분류에 이견이 많아 트리 모델(tree model) 방식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다.[56]

인도아리아인의 점진적 확산과 관련하여 어군을 층(stratum)에 따라 내부(핵)어군과 외부어군으로 나누는 가설도 있다.[57]

'''내부-외부 가설'''은 인도아리아어군의 핵심과 주변부, 즉 외부 인도아리아어(주로 동부 및 남부 인도아리아어, 때로는 북서부 인도아리아어, 다르드어, 파하리어)가 내부 인도아리아어라는 새로운 계층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혼합된, 더 오래된 층위의 고대 인도아리아어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1880년 루돌프 횔레가 제안하고 조지 그리슨이 다듬은 이후, 여러 수정과 논쟁을 거쳤으며, 최근에는 프랭클린 사우스워스와 클라우스 페터 촐러가 강력한 언어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개정했다. 수니티 쿠마르 채터지와 콜린 P. 마시카 등은 이 이론에 회의적이다.

인도아리아어군의 분류는 어려우며, 방언과 언어 차이를 구분하기도 쉽지 않다. 이는 인도 대부분의 언어가 고립되지 않고 서로 교류하며 발전했고, 많은 화자가 다중 언어 사용자이기 때문이다. 인도아리아어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방언연속체로 볼 수도 있다.

4. 음운론

신 인도아리아어군의 파열음은 조음 위치 5개(순음, 치경음, 권설음, 구개음, 연구개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산스크리트어와 동일하다. "권설음" 위치는 혀를 말거나 뒤로 젖혀서 혀끝 아랫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접촉점은 치경음 또는 후치경음일 수 있으며, 특징적인 소리는 혀의 위치보다는 모양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구개 파열음은 파찰음으로, 전통적으로 혀 위치(경구개와 접촉하는 설단)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Masica (1991)는 대신 가 더 정확하다고 주장한다.[45]

일부 언어와 방언은 구개 파열음 대신 치경 파찰음 를 가지지만, 그중 일부는 특정 위치(예: 전설 모음 앞, 앞, 쌍자음화될 때)에서 를 유지한다. 치경음은 마라티어, 콘칸어에서 조음 위치의 ''추가'' 형태로 나타나며, 일부 서파하리 방언과 카슈미르어에서도 나타난다. 다르드어군의 일부 언어에는 무성 권설 파찰음이 추가되어 파열음 위치의 수가 최대 7개이다. 반면, 아삼어, 치타공어, 신할라어, 남부 메와리어에서는 *ts > 변화가 일어났다.[45]

아삼어와 로마니어는 치경음/권설음의 대립을 잃었고, 치타공어는 순음 및 연구개음 조음을 잃을 수 있다(> ).[45] /q x ɣ f/는 대부분의 인도아리아어에서 페르소-아랍 차용어에 제한되지만, 코와르어에서는 고유하게 나타난다. Masica (1991)에 따르면 파샤이어의 일부 방언은 /θ/를 가진다. 도마리어는 /q ħ ʕ ʔ/와 차용어에서 강조된 자음을 가진다.

산스크리트어는 5개의 비음 파열음 조음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언어 중 도그리, 카치, 칼라샤, 루다리, 시나, 사우라슈트리, 신드어는 음소를 가진다.[47]

대부분의 인도아리아어는 대립적인 유기음(예: )을 가지며, 일부는 유성음 유기음(예: )을 유지한다. 대립적인 유기음을 허용하는 조음 위치와 방법은 언어에 따라 다르다. 신디어는 음소 을 허용하지만, 힌디어에서 이 소리의 음소적 지위는 불확실하며, 많은 "다르드어군" 언어는 유기음화되지 않은 대응 음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기음화된 권설 마찰음을 갖지 않는다.[48]

유성음 유기음을 잃은 언어에서는 대립이 종종 성조로 대체되었다.


  • '''내파음''': 신드어군, 사라키어, 서부 마르와리어 방언, 일부 구자라트어 방언은 내파음을 발달시켰다. 신드어는 를 가진다. 와디야리 콜리어에도 치경 내파음이 있다고 주장된다.
  • '''비음화 자음''': 신할라어와 몰디브어(디베히어)는 를 가진다.
  • '''구개음화''': 카슈미르어와 일부 로마니 방언은 대조적인 구개음화를 가진다.
  • '''무성 설측 마찰음''': 가와르바티어, 일부 파샤이어 방언, 부분적으로 바슈카릭어, 일부 시나어 방언은 /ɬ/를 가진다.
  • '''측음 파찰음''': 바다르와히어는 를 가진다.


인도아리아어군의 모음 체계는 언어마다 다양하며, 이는 공시적 융합, 분열, 그리고 언어학자들의 서로 다른 설명 방식 때문이다. Masica (1991)에 따르면,[48] 많은 언어가 음소 비모음을 가지고 있다.

실레티어는 펀자브어 및 일부 다르드어와 함께 성조를 가진 몇 안 되는 인도아리아어 중 하나이다.[49]

4. 1. 자음

신 인도아리아어군의 파열음은 조음 위치 5개(순음, 치경음, 권설음, 구개음, 연구개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산스크리트어와 동일하다. "권설음" 위치는 혀를 말거나 뒤로 젖혀서 혀끝 아랫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접촉점은 치경음 또는 후치경음일 수 있으며, 특징적인 소리는 혀의 위치보다는 모양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구개 파열음은 파찰음으로, 전통적으로 혀 위치(경구개와 접촉하는 설단)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로 널리 표기되지만, Masica (1991)|Masica (1991)영어는 가 더 정확하다고 주장한다.[45]

일부 언어와 방언은 구개 파열음 대신 치경 파찰음 를 가지지만, 그중 일부는 특정 위치(예: 전설 모음 앞, 앞, 쌍자음화될 때)에서 를 유지한다. 치경음은 마라티어, 콘칸어에서 조음 위치의 ''추가'' 형태로 나타나며, 일부 서파하리 방언과 카슈미르어에서도 나타난다. 다르드어군의 일부 언어에는 무성 권설 파찰음이 추가되어 파열음 위치의 수가 최대 7개이다. 반면, 아삼어, 치타공어, 신할라어, 남부 메와리어에서는 *ts > 변화가 일어났다.[45]

아삼어와 로마니어는 치경음/권설음의 대립을 잃었고, 치타공어는 순음 및 연구개음 조음을 잃을 수 있다(> ).[45] /q x ɣ f/는 대부분의 인도아리아어에서 페르소-아랍 차용어에 제한되지만, 코와르어에서는 고유하게 나타난다. Masica (1991)에 따르면 파샤이어의 일부 방언은 /θ/를 가진다. 도마리어는 /q ħ ʕ ʔ/와 차용어에서 강조된 자음을 가진다.

파열음언어
~~
코와르어, 시나어, 바슈카리크어, 칼라샤어
가와르바티어, 팔루라어, 슈마슈티어, 칸야왈리어, 파샤이어
마라티어, 콘칸어, 특정 서파하리 방언(바드라와히어, 발레시어, 만델리어, 파다리어, 심라어, 사트레지어, 아마도 쿨루어), 카슈미르어, 벵골어의 동부 및 북부 방언(다카, 마이멘싱, 라지샤히 일부)
힌두스탄어, 펀자브어, 도그리어, 신디어, 구자라트어, 신할라어, 오디아어, 표준 벵골어, 라자스탄어 방언(라마니어, 서북부 메와리어 제외), 산스크리트어,[46] 프라크리트어, 팔리어, 마이틸리어, 마가히어, 보지푸리어
로마니어, 도마리어, 콜로시어
네팔어, 라자스탄어 방언(라마니어 및 서북부 메와리어), 북부 란다어의 카가니어, 쿠마우니어, 많은 서파하리 방언(참바 만델리어, 자운사리어 또는 시르마우리어 제외)
라자스탄어의 남부 메와리어
아삼어
치타공어
실레티어



산스크리트어는 5개의 비음 파열음 조음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언어 중 도그리, 카치, 칼라샤, 루다리, 시나, 사우라슈트리, 신드어는 음소를 가진다.[47]

비음언어
도그리, 카치, 칼라샤, 루다리, 시나, 사우라슈트리, 신드어, 사라이키
싱할라어
힌디어, 산스크리트어, 네팔어, 칼라미, 오디아어, 둔다리, 파샤이, 마르와리어
디베히어
구자라트어, 카슈미르어, 마라티어, 펀자브어, 라자스탄어 (마르와리어)
우르두어, 네팔어, 실레티어, 아삼어, 벵골어
로마니, 도마리어



대부분의 인도아리아어는 대립적인 유기음(예: )을 가지며, 일부는 유성음 유기음(예: )을 유지한다. 대립적인 유기음을 허용하는 조음 위치와 방법은 언어에 따라 다르다. 신디어는 음소 을 허용하지만, 힌디어에서 이 소리의 음소적 지위는 불확실하며, 많은 "다르드어군" 언어는 유기음화되지 않은 대응 음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기음화된 권설 마찰음을 갖지 않는다.[48]

유성음 유기음을 잃은 언어에서는 대립이 종종 성조로 대체되었다.


  • '''내파음''': 신드어군, 사라키어, 서부 마르와리어 방언, 일부 구자라트어 방언은 내파음을 발달시켰다. 신드어는 를 가진다. 와디야리 콜리어에도 치경 내파음이 있다고 주장된다.
  • '''비음화 자음''': 신할라어와 몰디브어(디베히어)는 를 가진다.
  • '''구개음화''': 카슈미르어와 일부 로마니 방언은 대조적인 구개음화를 가진다.
  • '''무성 설측 마찰음''': 가와르바티어, 일부 파샤이어 방언, 부분적으로 바슈카릭어, 일부 시나어 방언은 /ɬ/를 가진다.
  • '''측음 파찰음''': 바다르와히어는 를 가진다.


다음은 주요 신 인도 아리아어의 자음 체계이다.

{|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center;"

|

로마니



|

시나어



| colspan="2"|

카슈미르어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center;"

|

사라이키어



|

펀자브어



|

네팔어



|

실헤티어[50]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center;"

|

신디어[51]



|

마르와리어



|

힌두스탄어



|

아삼어
|
|
|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center;"

|

벵골어



|

구자라트어



|

마라티어



|

오디아어



|

신할라어



|}

4. 2. 모음

인도아리아어군의 모음 체계는 언어마다 다양하며, 이는 공시적 융합, 분열, 그리고 언어학자들의 서로 다른 설명 방식 때문이다. 마시카(Masica, 1991)에 따르면,[48] 많은 언어가 음소 비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주요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모음 수모음언어
16카슈미르어
14마이틸리어
13신할라어
10힌두스탄어, 펀자브어, 신디어, 카치어, 힌드코어, 라자스탄어(대부분의 방언)
9서 파하리어 (도그리어, 루드하리어, 만데알리어, 팡왈리어, 카샬리어, 추라히어), 사라이키어
서 파하리어 (쇼도치어, 수르쿨리어)
서 파하리어 (자운사리어, 쇼라촐리어, 쿨루이어)
8구자라트어
아삼어
할비어, 바트리어, 서 파하리어 (가르왈리어, 차메알리어, 가디어)
7벵골어
6오리야어, 비슈누프리야 마니푸리어
마라티어, 네팔어, 람바디어, 사드리어/사다니어
5롬어(유럽 방언)



실레티어는 펀자브어 및 일부 다르드어와 함께 성조를 가진 몇 안 되는 인도아리아어 중 하나이다.[49] 실레티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모음 수모음언어
5실레티어


5. 사회언어학

인도아리아어군은 서로 가까운 언어들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방언 연속체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무엇을 언어로 보고 무엇을 방언으로 볼지는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55]

남아시아에서 '언어'와 '방언'이라는 용어 선택은 어려운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언어는 표준화되고, 문어 전통을 가지며, 사회적 위신을 누리는 "발달된" 방언을 의미한다. 그러나 발달 정도에는 차이가 있어, 언어와 방언 사이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으며, 중간 지대가 존재하여 논쟁의 여지가 있다. 언어적 유사성에 기반하여 언어를 구분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지만, 상호 이해도와 같은 방법을 실제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인도아리아어군의 분류가 복잡하고, 방언과 언어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운 이유는 인도 대부분의 언어가 고립되어 발전하지 않고 서로 교류하며 발전해 왔고, 많은 화자가 다중 언어 사용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도아리아어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방언 연속체로 간주할 수 있다.

많은 인도아리아어에서 문어체는 더 고풍스럽고, 구어체와 다른 어휘(산스크리트어 또는 페르시아-아랍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벵골어의 고문어체인 사두 바샤는 현대적인 찰리토 바샤와 대조되며, 이는 이중 언어 사용에 가깝다.

5. 1. 언어와 방언

오늘날의 인도아리아어군은 인접한 언어들 간에 과도적인 유사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어 전체적으로 볼 때 방언 연속체를 이룬다고 여겨지므로, 무엇이 언어이고 무엇이 방언인지는 단정짓기 쉽지 않은 사안이다.[55] 이에 따라 하위의 분류를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론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과도적 지대의 언어를 분류하는 데에 있어 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한 편으로, 단순히 가지를 쳐나가는 방식의 트리 모델(tree model)은 현대 인도아리아어군의 분류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하는 학자들도 있다.[56]

특히 인도아리아인 인구의 점진적 확산이라는 역사적 사실과 연관지어 어군을 층(stratum)에 따라 크게 내부(핵)어군과 외부어군으로 나눌 수 있다고 주장하는 가설도 역사가 깊다.[57] 남아시아의 맥락에서, "언어"와 "방언"이라는 명칭 사이의 선택은 어려운 문제이며,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여 구별하는 것은 모호성으로 인해 불분명해진다. 일반적인 구어적 의미에서 언어는 "발달된" 방언, 즉 표준화되고, 문어 전통을 가지며, 사회적 위신을 누리는 언어이다. 발달의 정도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정의된 언어와 방언 사이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으며, 할당에 논쟁의 여지가 있는 광범위한 중간 지대가 있다.

이 용어에는 두 번째 의미가 있는데, 여기서는 언어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구별이 이루어진다. 이는 "적절한" 언어학적 의미인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문제가 있다. 차이를 정량화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예: 상호 이해도에 기반한 방법)은 실제로는 심각하게 적용되지 않았다.

인도아리아어군의 분류는 어렵다. 또한, 어디까지를 방언 차이로 보고, 어디까지를 언어 차이로 볼지도 결정하기 어렵다. 이는 다른 언어와 달리, 인도의 대부분의 언어가 고립되어 발전한 것이 아니라, 서로 교류하면서 발전해 왔고, 많은 화자가 다중 언어 사용자이기 때문이다. 인도아리아어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방언 연속체로 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조지 에이브러햄 그리슨의 인도 언어 조사에 따른 분류를 기본적으로 따르지만, 학자에 따라 펀자브어나 서 파하리어를 북서어군에, 비하르어를 중앙어군에, 구자라트어를 남부어군에 포함시키는 등의 차이가 있다.

5. 2. 문어체와 구어체

많은 인도아리아어에서 문어체는 종종 더 고풍스러우며, 구어체와 다른 어휘(산스크리트어 또는 페르시아-아랍어)를 사용한다. 한 예로 벵골어의 고문어체인 사두 바샤는 더 현대적인 찰리토 바샤 (Cholito-bhasha)와 대조된다. 이러한 구분은 이중 언어 사용에 가깝다.

참조

[1] 웹사이트 Development team http://epgp.inflibne[...] 2024-03-09
[2] 서적 Language in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0-04
[3]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4] 간행물 Overview of Indo-Ary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8-07-08
[5] 문서 Various counts depend on where the line is drawn between a "dialect" and a "language".
[6] 서적 Rituals, Mantras, and Science: An Integr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004
[7]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7-26
[8] 서적 Chamber's Encyclopaedia, Volume 7 International Learnings Systems 1968
[9] 서적 Between East and West: The Moluccas and the Traffic in Spices Up to the Arrival of Europeans https://archive.org/[...]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03
[10] 문서 'Standard Hindi first language: 260.3 million (2001), as second language: 120 million (1999). Urdu L1: 68.9 million (2001–2014), L2: 94 million (1999): ''Ethnologue'' 19.'
[11] 문서 Bengali or Bangla-Bhasa, L1: 242.3 million (2011), L2: 19.2 million (2011), ''Ethnologue''
[12] 웹사이트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10 http://www.ne.se/spr[...] Government of Sweden 2013-08-30
[13] 웹사이트 Punjabi speaking countries https://www.worlddat[...]
[14] 서적 The Indo-Aryan Controversy: Evidence and Inference in Indi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논문 Genealogical classification of New Indo-Aryan languages and lexicostatistics https://www.jolr.ru/[...] 2016
[16]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17] Glottolog Indo-Aryan
[18] 서적 Dardskie yazyki. Geneticheskaya kharakteristika Vostochnaya literatura 2005
[19] 서적 Linguistic archaeology of South Asia Routledge
[20] 논문 Outer and Inner Indo-Aryan, and northern India as an ancient linguistic area https://journals.uio[...] 2016
[21] 문서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1994
[22]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23]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3
[24]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2007
[25] 문서 The prehistorical spread of Austro-Asiatic in South Asia 2017
[26] 논문 Indo-Aryan – a house divided? Evidence for the east–west Indo-Aryan divide and its significance for the study of northern South Asia 2020-09-01
[27] Glottolog Tharuic
[28] Glottolog Kuswaric
[29] Glottolog Chinali–Lahul Lohar
[30] 문서 The 'Aryan' Gods of the Mitanni Treaties 1960
[31] 서적 The Roots of Hinduism: The Early Aryans and The Indus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33] 서적 Theravada Buddhism: A Social History from Ancient Benares to Modern Colomb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4-14
[34] 서적 Dialect Accent Features for Establishing Speaker Identity: A Case Stud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03-24
[35] 서적 The Cultural Landscape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36] 웹사이트 Urdu and its Contribution to Secular Values http://india_resourc[...] South Asian Voice 2008-02-26
[37] 웹사이트 Hindi/Urdu Language Instruction http://mesa.ucdavis.[...]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015-01-03
[38]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Hindi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08-02-26
[39] 서적 Portuguese Missionary Grammars in Asia, Africa and Brazil, 1550–1800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1
[40] 문서 A grammar of Domari De Gruyter Mouton 2012
[4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omani language http://romani.humani[...] 2016-07-16
[42] 웹사이트 GYPSY ii. Gypsy Dialects – Encyclopaedia Iranica https://www.iranica.[...] Encyclopædia Iranica 2015-03-25
[43] 서적 Tajuzbeki https://archive.org/[...] National Publishing House
[44] 웹사이트 Romani (subgroup)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3-09-15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간행물 Tonal polarity in Sylheti in the context of noun faithfulness https://www.scienced[...] 2018-09-01
[50] conference An Acoustic Analysis of Sylheti Phonemes https://www.internat[...] 2022-11-11
[51] 웹사이트 Proposal to Encode the Sindhi Script in ISO/IEC 10646 http://std.dkuug.dk/[...] 2010-09-10
[52] 서적 世界言語概説 研究社
[53] 문서
[54] 문서
[55]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간행물 Genealogical classification of New Indo-Aryan languages and lexicostatistics https://www.jolr.ru/[...] 2016
[57] 간행물 Outer and Inner Indo-Aryan, and northern India as an ancient linguistic area https://journals.uio[...]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