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푹쭈 (6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쭈는 1691년부터 1725년까지 응우옌 주의 군주였다. 그는 응우옌푹타이의 장남으로, 17세에 즉위하여 '천종도인'이라는 호를 사용했다. 통치 초기 참파의 반란을 진압하고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메콩강 유역의 자딘, 하띠엔 지역을 얻었으며, 가톨릭 선교사를 박해했다. 1720년에는 참파의 최후 영토인 판두랑가를 병합했다. 1725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효명왕으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즈엉
응우옌푹즈엉은 응우옌푹하오의 아들이자 응우옌푹코앗의 손자로 현명하고 덕이 있다는 평을 받았으나, 떠이선 반란으로 1777년 처형당했으며 후에 자롱 황제에 의해 효혜왕으로 추존되었다. - 1725년 사망 -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는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이자 러시아 제국의 초대 황제로, 서구화 정책과 부국강병책을 통해 러시아를 근대화하고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대북방 전쟁 승리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1725년 사망 - 아라이 하쿠세키
에도 시대 유학자이자 정치가인 아라이 하쿠세키는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측근으로 쇼토쿠의 치 개혁을 주도하고 외교 및 경제 정책을 펼쳤으며, 실각 후에도 저술 활동으로 일본 역사, 정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675년 출생 - 히가시야마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은 레이겐 천황의 아들로 1687년부터 1709년까지 재위하며 겐로쿠 문화의 전성기와 조정과 막부의 원만한 관계, 황실 재정 안정 등 안정적인 시기를 보낸 후 천연두로 사망했다. - 1675년 출생 - 루이 드 루브루아 드 생시몽 공작
루이 드 루브루아 드 생시몽 공작은 프랑스의 귀족이자 작가로, 루이 14세 치세와 섭정 시대의 궁정 생활을 기록한 《회고록》을 통해 당대 사회와 인물들을 묘사했으며, 프랑스 문학에 기여했다.
응우옌푹쭈 (6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응우옌푹쭈 (Nguyễn Phúc Chu/阮福淍/완복주) |
다른 이름 | 응우옌푹뚱 (Nguyễn Phúc Tùng/阮福松/완복송) |
별명 | 조장후 (Tộ Trường Hầu/祚長侯) |
별명 | 조군공 (Tộ Quận Công/祚郡公) |
별명 | 천종도인 (Thiên Tung Đạo Nhân/天縱道人) |
별명 | 국주 (Quốc Chúa/主國) |
별명 | 명주 (Chúa Minh/主明) |
묘호 | 현종 (Hiển Tông/顯宗) |
시호 | 도원수총국정관자인서조명왕 (Đô Nguyên Soái Thống Quốc Chính Khoan Từ Nhân Thứ Tộ Minh Vương/都元帥總國政寬慈仁恕祚明王) |
시호 (변경 후) | 영모웅략성문선달관자인서효명왕 (Anh Mô Hùng Lược thánh Văn Tuyên Đạt Khoan Từ Nhân Thứ Hiếu Minh Vương/英謨雄略聖文宣達寬慈仁恕孝明王) |
시호 (최종) | 영모웅략성문선달관자인서효명황제 (Anh Mô Hùng Lược thánh Văn Tuyên Đạt Khoan Từ Nhân Thứ Hiếu Minh Hoàng Đế/英謨雄略聖文宣達寬慈仁恕孝明皇帝) |
능호 | 장청릉 (Trường Thanh Lăng/長淸陵) |
신상 정보 | |
출생일 | 1675년 6월 11일 |
사망일 | 1725년 6월 1일 |
부친 | 홍국공 응우옌푹타이 (阮福溙) |
모친 | 자절헌비 똥티린 (宋氏領) |
배우자 | 자혜경비 똥티드억 (宋氏特) |
자녀 | 응우옌푹쭈 (阮福澍) |
통치 정보 | |
작위 | 응우옌 왕조 황제 (추존) |
작위 | 응우옌 주 군주 |
재위 기간 | 1691년 2월 7일 ~ 1725년 6월 1일 |
전임자 | 홍국공 응우옌푹타이 (阮福溙) |
후임자 | 정국공 응우옌푹쭈 (阮福澍) |
묘호 | 현종 (顯宗) |
기타 정보 | |
종교 | 불교 |
2. 생애
응우옌푹타이의 장남으로, 찐호아 12년(1691년 2월 7일)에 아버지 응우옌푹타이가 죽자 17세의 나이로 뒤를 이었다. 호는 '''천종도인'''(Thiên Tung Đạo Nhân|천종도인vie)이었다. 찐호아 23년(1702년), 청나라에 자신을 국왕(國王)으로 책봉해 달라고 요청하였으나 청나라 조정에서 거부하였다.[2]
응우옌푹쭈는 통치 기간 동안 참파 및 캄보디아와 관계를 맺었으며, 가톨릭을 박해하였다.
- '''참파와의 관계''': 응우옌푹쭈의 통치 초기에 참파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고, 이후 참파와 평화 협정을 맺었다. 그러나 1720년 참파를 병합하였다.
- '''캄보디아와의 전쟁''': 1714년부터 1717년까지 캄보디아 왕위 계승 분쟁에 개입하여 메콩강 유역의 일부 지역을 획득하였다.
- '''종교 정책''': 가톨릭 선교사를 박해하고, 기독교인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하였다.
응우옌푹쭈는 바오타이 6년 4월 21일(1725년 6월 1일)에 49세의 나이로 서거하였다.
2. 1. 통치 초기: 참파와의 관계
응우옌푹타이의 장남으로, 찐호아 12년(1691년 2월 7일)에 아버지 응우옌푹타이가 죽자 17세의 나이로 뒤를 이었다. 호는 '''천종도인'''(Thiên Tung Đạo Nhân|천종도인vie)이었다.응우옌푹쭈의 통치 초기에, 판두랑가(현재의 닌투언성)를 점유하고 있던 참파의 군주 포 소트(婆爭, Po Sot)가 병사를 일으켜 응우옌 주의 통치에 저항하였다. 이 봉기는 실패하였고, 응우옌 주의 군대에게 진압되었다. 이후 판두랑가 지역에 페스트가 발생하였다. 3년 뒤, 참파의 귀족 오크냐 다트(屋牙撻, Oknha Dat)가 장군 아 반(阿班, A Ban)의 도움을 얻어 1695년에 함께 응우옌 주를 공격해 패배시켰다. 포 소트의 동생이자 참파의 새로운 국왕인 포 사크티라이 다 파티흐(繼婆子, Po Saktiray Da Patih)는 응우옌푹쭈에게 담판을 벌일 것을 요구하였다. 담판의 최종 결과로 참파의 왕은 진왕(鎮王, Trấn Vương)으로 봉해졌으며, 참파가 응우옌 왕조의 민망 황제에게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이 칭호는 이후 135년 동안 유지되었다. 그러나 참파의 국왕은 사방이 베트남인의 영토인 상황에서 실제 권력을 지니지는 못하였다.
2. 2. 캄보디아와의 전쟁 (1714년 ~ 1717년)
1714년, 응우옌푹쭈는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께오 파 3세를 지원, 왕위에 올리고 이미 캄보디아 왕이었던 톰모 레아쩨아 3세에 대항하게 하였다. 타이의 아유타야 왕조 또한 군대를 캄보디아로 보내 톰모 레아쩨아 3세를 도와 베트남에 대항하였다. 응우옌 주의 군사는 현재의 캄포트 주를 포함한 지역에서 벌어진 최초의 전투에서 승리하였으나, 1717년 말까지 계속해서 패배하였다. 전쟁은 담판을 벌인 뒤 종결되었고, 그 결과로 응우옌 주는 메콩강 유역의 자딘, 하띠엔 지역을 획득하였다.[2]2. 3. 종교 정책
응우옌푹쭈는 재위 기간 동안 가톨릭 선교사를 박해하였고, 기독교인에게는 징수하는 세금을 3배로 높이도록 하였다.[2]2. 4. 참파 병합 (1720년)
1720년 응우옌푹쭈는 정식으로 참족의 최후 영토인 판두랑가를 지배하게 되었다. 이는 25년 전에 참파와 맺은 평화 조약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시비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의문으로 남아 있다.[2]2. 5. 사망
응우옌푹쭈는 바오타이 6년 4월 21일(1725년 6월 1일)에 서거하였으며, 향년 49세였다.[2] 1720년, 통치 말년에 응우옌푹쭈는 참족의 최후 영토인 판두랑가를 지배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25년 전에 참파와 맺은 평화조약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시비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의문으로 남아 있다.[2]3. 봉호, 시호, 능호
후 레 왕조에서 받은 초기 봉호는 좌병영부장(左柄營副將) 겸 '''조장후'''(祚長侯)이며, 즉위 후에 받은 봉호는 절제수보제영(節制水步諸營) 겸 총내외평장군국중사(總內外平章軍國重事) 겸 태보(太保) 겸 '''조군공'''(祚郡公)으로 진봉하였다. 찐호아(正和) 14년(1693년)에 태부(太傅) 겸 조국공(祚國公)으로 진봉하였다.[1]
사후 도원수총국정 관자인서'''조명왕'''(都元帥總國政 寬慈仁恕祚明王)으로 추존되었고, 까인흥(景興) 5년(1744년) 칭왕이 된 후 시호를 영모웅략성문선달관자인서'''효명왕'''(英謨雄略聖文宣達寬慈仁恕孝明王)으로 재추존되었다. 응우옌 왕조 건국 및 칭제 후 자롱(嘉隆) 5년(1806년)에 묘호 '''현종'''(顯宗), 시호 영모웅략성문선달관자인서'''효명황제'''(英謨雄略聖文宣達寬慈仁恕孝明皇帝)로 재추존하였다.[1]
능호는 장청릉(Trường Thanh Lăng)이다.[1]
4. 가족 관계
배우자 | 이름(성씨) | 생몰년도 | 비고 |
---|---|---|---|
소의 (昭儀) | 똥 티 드억 (宋氏特|송씨특vi)[3] | 1680년 ~ 1716년[4][5][6] | |
우궁빈 (右宮嬪) | 응우옌 티 란 (阮氏蘭|완씨란vi) | ? ~ 1714년[7] | |
좌궁빈 (左宮嬪) | 응우옌 티 비엔 (阮氏卞|완씨변vi) | 1685년 ~ 1725년 | |
수용 (修容) | 쩐 티 응이 (陳氏儀|진씨의vi) | ||
우궁빈 (右宮嬪) | 레 티 뚜옌 (黎氏宣|여씨선vi) | ||
우궁빈 (右宮嬪) | 레 티 호아 (黎氏花|여씨화vi) | ||
우궁빈 (右宮嬪) | 똥 티 르엉 (宋氏量|송씨량vi) | ||
호앙 티 주옌 (黃氏緣|황씨연vi) | |||
똥 티 상 (宋氏創|송씨창vi) | |||
응우옌 티 자 (阮氏嘉|완씨가vi) | |||
쯔엉 티 쿠에 (張氏圭|장씨규vi) | |||
응우옌 티 타 (阮氏他|완씨타vi) | |||
레 티 비엔 (黎氏員|여씨원vi) | |||
레 티 찐 (黎氏正|여씨정vi) | |||
똥 티 (宋氏|송씨vi) |
순서 |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자식 | 비고 |
---|---|---|---|---|---|---|
1 | 정국공 (鼎國公) | 응우옌 푹 쭈 (阮福澍) | 1697년 ~ 1738년 | 똥 티 드억 | 3남 6녀 | 응우옌 주 제7대 군주.[8] |
2 | 응우옌 푹 테 (阮福體) | 1689년 ~ 1762년 | 쩐 티 응이 | 7남 | ||
3 | 요절함. | |||||
4 | 응우옌 푹 롱 (阮福龍) | 1693년 ~ 1743년 | 레 티 뚜옌 | 4남 | ||
5 | 응우옌 푹 하이 (阮福海) | 2남 | ||||
6 | 요절함. | |||||
7 | 응우옌 푹 리엠 (阮福濂) | 2남 | ||||
8 | 윤국공 (倫國公) | 응우옌 푹 뚜 (阮福泗) | 1700년 ~ 1754년 | 똥 티 드억 | 5남 | [9] |
9 | 훈무후 (訓武侯) | 응우옌 푹 트 (阮福泚) | 1699년 ~ 1763년 | 호앙 티 주옌 | 7남 | [10] |
10 | 응우옌 푹 란 (阮福麟) | 1남 | ||||
11 | 응우옌 푹 짠 (阮福振) | ? ~ 1738년 | 6남 | |||
12 | 윤국공 (胤國公) | 응우옌 푹 디엔 (阮福沺) | 1700년 ~ 1739년 | 응우옌 티 란 | 4남 1녀 | |
13 | 응우옌 푹 당 (阮福登) | 1702년 ~ 1763년 | 레 티 호아 | 2남 | ||
14 | 응우옌 푹 티엔 (阮福繕) | 1703년 ~ 1749년 | 응우옌 티 타 | 2남 | ||
15 | 응우옌 푹 카인 (阮福慶) | 1704년 ~ 1748년 | 쯔엉 티 쿠에 | 3남 | ||
16 | 응우옌 푹 까오 (阮福杲) | 1706년 ~ 1762년 | 6남 | |||
17 | 응우옌 푹 빈 (阮福平) | 1남 | ||||
18 | 수군공 (秀郡公) | 응우옌 푹 뚜 (阮福秀) | 응우옌 티 자 | 3남 | ||
19 | 전군공 (傳郡公) | 응우옌 푹 쭈옌 (阮福傳) | 호앙 티 주옌 | 5남 2녀 | [11] | |
20 | 응우옌 푹 삼 (阮福旵) | 1707년 ~ 1765년 | 2남 | |||
21 | 응우옌 푹 꾸언 (阮福郡) | 1남 | ||||
22 | 응우옌 푹 루언 (阮福倫) | 1708년 ~ 1748년 | 3남 | [12] | ||
23 | 응우옌 푹 빈 (阮福柄) | 1708년 ~ 1765년 | 레 티 비엔 | 4남 | ||
24 | 응우옌 푹 똥 (阮福宗) | 1남 | ||||
25 | 응우옌 푹 응이엠 (阮福曮) | 레 티 비엔 | 2남 | [13] | ||
26 | 응우옌 푹 쑤언 (阮福椿) | 1남 | ||||
27 | 성군공 (晟郡公) | 응우옌 푹 퐁 (阮福灃) | 1709년 ~ 1754년 | 응우옌 티 비엔 | 2남 | [14] |
28 | 응우옌 푹 하오 (阮福昊) | 1남 | ||||
29 | 응우옌 푹 끼 (阮福紀) | ? ~ 1743년 | 호앙 티 주옌 | 2남 | ||
30 | 응우옌 푹 뚜옌 (阮福䀬) | 1남 | ||||
31 | 응우옌 푹 하인 (阮福亨) | 1남 | ||||
32 | 응우옌 푹 록 (阮福祿) | 1712년 ~ 1774년 | 레 티 비엔 | 2남 | ||
33 | 응우옌 푹 찌엠 (阮福霑) | 1725년 ~ 1788년 | 3남 | |||
34 | 응우옌 푹 키엠 (阮福謙) | 1남 | ||||
35 | 요절함. | |||||
36 | 요절함. | |||||
37 | 응우옌 푹 도 (阮福度) | 1725년 ~ 1752년 | 똥 티 | 1남 | ||
38 | 응우옌 푹 따이 (阮福財) | 2남 |
순서 |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비고 |
---|---|---|---|---|---|---|
1 | 송산군군정부인 (Tống Sơn Quận Quân Trinh Phu Nhân) | Nguyễn Thị Ngọc Sáng|응우옌 티 응옥상vi (阮氏玉創) | ? ~ 1721년 | 똥 티 르엉 | [15] | |
2 | 송산군주서부인 (Tống Sơn Quận Chúa Tự Phu Nhân) | Nguyễn Thị Ngọc Phụng|응우옌 티 응옥풍vi (阮氏玉鳳) | ? ~ 1722년 | 똥 티 르엉 | [16] | |
3 | Nguyễn Thị Ngọc Nhật|응우옌 티 응옥녓vi (阮氏玉日) | [17] | ||||
4 | Nguyễn Thị|응우옌 티vi (阮氏) | 기록 미상. |
4. 1. 후비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생몰년도 | 비고 |
---|---|---|---|---|
소의 (昭儀) | 자혜경비 (慈惠敬妃) | 똥 티 드억 (宋氏特|송씨특vi)[3] | 1680년 ~ 1716년[4][5][6] | |
우궁빈 (右宮嬪) | 자덕경비존서부인 (慈德敬妃尊序夫人) | 응우옌 티 란 (阮氏蘭|완씨란vi) | ? ~ 1714년[7] | |
좌궁빈 (左宮嬪) | 소비열부인 (昭妃列夫人) | 응우옌 티 비엔 (阮氏卞|완씨변vi) | 1685년 ~ 1725년 | |
수용 (修容) | 쩐 티 응이 (陳氏儀|진씨의vi) | |||
우궁빈 (右宮嬪) | 레 티 뚜옌 (黎氏宣|여씨선vi) | |||
우궁빈 (右宮嬪) | 레 티 호아 (黎氏花|여씨화vi) | |||
우궁빈 (右宮嬪) | 똥 티 르엉 (宋氏量|송씨량vi) | |||
호앙 티 주옌 (黃氏緣|황씨연vi) | ||||
똥 티 상 (宋氏創|송씨창vi) | ||||
응우옌 티 자 (阮氏嘉|완씨가vi) | ||||
쯔엉 티 쿠에 (張氏圭|장씨규vi) | ||||
응우옌 티 타 (阮氏他|완씨타vi) | ||||
레 티 비엔 (黎氏員|여씨원vi) | ||||
레 티 찐 (黎氏正|여씨정vi) | ||||
똥 티 (宋氏|송씨vi) |
4. 2. 공자
순서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자식 | 비고 |
---|---|---|---|---|---|---|---|
1 | 정국공 (Đỉnh Quốc Công /鼎國公) | 응우옌 푹 쭈 (Nguyễn Phúc Chú /阮福澍 /완복주) | 1697년 ~ 1738년 | 자혜경비 똥 티 드억 | 3남 6녀 | 응우옌 주 제7대 군주.[8] | |
2 | 응우옌 푹 테 (Nguyễn Phúc Thể /阮福體 /완복체) | 1689년 ~ 1762년 | 수용 쩐 티 응이 | 7남 | |||
3 | 요절함. | ||||||
4 | 응우옌 푹 롱 (Nguyễn Phúc Long /阮福龍 /완복룡) | 1693년 ~ 1743년 | 우궁빈 레 티 뚜옌 | 4남 | |||
5 | 응우옌 푹 하이 (Nguyễn Phúc Hải /阮福海 /완복해) | 2남 | |||||
6 | 요절함. | ||||||
7 | 응우옌 푹 리엠 (Nguyễn Phúc Liêm /阮福濂 /완복렴) | 2남 | |||||
8 | 윤국공 (Luân Quốc công /倫國公) | 응우옌 푹 뚜 (Nguyễn Phúc Tứ /阮福泗 /완복사) | 1700년 ~ 1754년 | 자혜경비 똥 티 드억 | 5남 | [9] | |
9 | 훈무후 (Huấn Vũ Hầu /訓武侯) | 응우옌 푹 트 (Nguyễn Phúc Thử /阮福泚 /완복자) | 1699년 ~ 1763년 | 호앙 티 주옌 | 7남 | [10] | |
10 | 응우옌 푹 란 (Nguyễn Phúc Lân /阮福麟 /완복린) | 1남 | |||||
11 | 응우옌 푹 짠 (Nguyễn Phúc Chấn /阮福振 /완복진) | ? ~ 1738년 | 6남 | ||||
12 | 윤국공 (Dận Quốc Công /胤國公) | 응우옌 푹 디엔 (Nguyễn Phúc Điền /阮福沺 /완복전) | 1700년 ~ 1739년 | 경비 응우옌 티 란 | 4남 1녀 | ||
13 | 응우옌 푹 당 (Nguyễn Phúc Đăng /阮福登 /완복등) | 1702년 ~ 1763년 | 우궁빈 레 티 호아 | 2남 | |||
14 | 응우옌 푹 티엔 (Nguyễn Phúc Thiện /阮福繕 /완복선) | 1703년 ~ 1749년 | 응우옌 티 타 | 2남 | |||
15 | 응우옌 푹 카인 (Nguyễn Phúc Khánh /阮福慶 /완복경) | 1704년 ~ 1748년 | 쯔엉 티 쿠에 | 3남 | |||
16 | 응우옌 푹 까오 (Nguyễn Phúc Cảo /阮福杲 /완복고) | 1706년 ~ 1762년 | 6남 | ||||
17 | 응우옌 푹 빈 (Nguyễn Phúc Bình /阮福平 /완복평) | 1남 | |||||
18 | 수군공 (Tú Quận Công /秀郡公) | 응우옌 푹 뚜 (Nguyễn Phúc Tú /阮福秀 /완복수) | 응우옌 티 자 | 3남 | |||
19 | 전군공 (Truyền Quận Công /傳郡公) | 강단 (Cương Đoán /剛斷) | 응우옌 푹 쭈옌 (Nguyễn Phúc Truyền /阮福傳 /완복전) | 호앙 티 주옌 | 5남 2녀 | [11] | |
20 | 응우옌 푹 삼 (Nguyễn Phúc Sảm /阮福旵 /완복참) | 1707년 ~ 1765년 | 2남 | ||||
21 | 응우옌 푹 꾸언 (Nguyễn Phúc Quận /阮福郡 /완복군) | 1남 | |||||
22 | 응우옌 푹 루언 (Nguyễn Phúc Luân /阮福倫 /완복륜) | 1708년 ~ 1748년 | 3남 | [12] | |||
23 | 응우옌 푹 빈 (Nguyễn Phúc Bính /阮福柄 /완복병) | 1708년 ~ 1765년 | 레 티 비엔 | 4남 | |||
24 | 응우옌 푹 똥 (Nguyễn Phúc Tông /阮福宗 /완복종) | 1남 | |||||
25 | 응우옌 푹 응이엠 (Nguyễn Phúc Nghiễm /阮福曮 /완복엄) | 레 티 비엔 | 2남 | [13] | |||
26 | 응우옌 푹 쑤언 (Nguyễn Phúc Xuân /阮福椿 /완복춘) | 1남 | |||||
27 | 성군공 (Thạnh Quận Công /晟郡公) | 응우옌 푹 퐁 (Nguyễn Phúc Phong /阮福灃 /완복풍) | 1709년 ~ 1754년 | 소비 응우옌 티 비엔 | 2남 | [14] | |
28 | 응우옌 푹 하오 (Nguyễn Phúc Hạo /阮福昊 /완복호) | 1남 | |||||
29 | 응우옌 푹 끼 (Nguyễn Phúc Kỷ /阮福紀 /완복기) | ? ~ 1743년 | 호앙 티 주옌 | 2남 | |||
30 | 응우옌 푹 뚜옌 (Nguyễn Phúc Tuyền /阮福䀬 /완복전) | 1남 | |||||
31 | 응우옌 푹 하인 (Nguyễn Phúc Hanh /阮福亨 /완복형) | 1남 | |||||
32 | 응우옌 푹 록 (Nguyễn Phúc Lộc /阮福祿 /완복록) | 1712년 ~ 1774년 | 레 티 비엔 | 2남 | |||
33 | 응우옌 푹 찌엠 (Nguyễn Phúc Triêm /阮福霑 /완복점) | 1725년 ~ 1788년 | 3남 | ||||
34 | 응우옌 푹 키엠 (Nguyễn Phúc Khiêm /阮福謙 /완복겸) | 1남 | |||||
35 | 요절함. | ||||||
36 | 요절함. | ||||||
37 | 응우옌 푹 도 (Nguyễn Phúc Độ /阮福度 /완복도) | 1725년 ~ 1752년 | 똥 티 | 1남 | |||
38 | 응우옌 푹 따이 (Nguyễn Phúc Tài /阮福財 /완복재) | 2남 |
4. 3. 공녀
순서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별칭 | 비고 |
---|---|---|---|---|---|---|---|---|
1 | 송산군군정부인 (Tống Sơn Quận Quân Trinh Phu Nhân) | 자의 (Từ Ý) | Nguyễn Thị Ngọc Sáng|응우옌 티 응옥상vi (阮氏玉創) | ? ~ 1721년 | 우궁빈 똥 티 르엉 | [15] | ||
2 | 송산군주서부인 (Tống Sơn Quận Chúa Tự Phu Nhân) | 자아 (Từ Nhã) | Nguyễn Thị Ngọc Phụng|응우옌 티 응옥풍vi (阮氏玉鳳) | ? ~ 1722년 | 우궁빈 똥 티 르엉 | [16] | ||
3 | Nguyễn Thị Ngọc Nhật|응우옌 티 응옥녓vi (阮氏玉日) | [17] | ||||||
4 | Nguyễn Thị|응우옌 티vi (阮氏) | 기록 미상. |
5. 연표
현종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
서기 | 1692년 | 1693년 | 1694년 | 1695년 | 1696년 | 1697년 | 1698년 | 1699년 | 1700년 | 1701년 |
육십간지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갑술(甲戌) | 을해(乙亥)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기유(己卯) | 경진(庚辰) | 신사(辛巳) |
후 레 왕조 연호 | 찐호아 (正和)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현종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서기 | 1702년 | 1703년 | 1704년 | 1705년 | 1706년 | 1707년 | 1708년 | 1709년 | 1710년 | 1711년 |
육십간지 | 임오(壬午) | 계미(癸未) | 갑신(甲申) | 을유(乙酉) | 병술(丙戌) | 정해(丁亥) | 무자(戊子) | 기축(己丑) | 경인(庚寅) | 신묘(辛卯) |
후 레 왕조 연호 | 23년 | 24년 | 25년 | 26년 빈틴 (永盛)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현종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29년 | 30년 |
서기 | 1712년 | 1713년 | 1714년 | 1715년 | 1716년 | 1717년 | 1718년 | 1719년 | 1720년 | 1721년 |
육십간지 | 임진(壬辰) | 계사(癸巳) | 갑오(甲午) | 을미(乙未) | 병신(丙申) | 정유(丁酉) | 무술(戊戌) | 기해(己亥) | 경자(庚子) | 신축(辛丑) |
후 레 왕조 연호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바오타이 (保泰) 원년 | 2년 |
현종 | 31년 | 32년 | 33년 | 34년 | ||||||
서기 | 1722년 | 1723년 | 1724년 | 1725년 | ||||||
육십간지 | 임인(壬寅) | 계묘(癸卯) | 갑진(甲辰) | 을사(乙巳) | ||||||
후 레 왕조 연호 | 3년 | 4년 | 5년 | 6년 |
참조
[1]
서적
A Brief Chronology of Vietnam's History
2000
[2]
서적
무변잡록
[3]
문서
자혜명비열부인(Từ Huệ Minh Phi Liệt Phu Nhân/慈慧明妃列夫人)
[4]
문서
호 반 마이(Hồ Văn Mai/胡文梅)
[5]
문서
[6]
문서
[7]
문서
응우옌 흐우 히엡(Nguyễn Hữu Hiệp/阮有祫)
[8]
문서
정성후(Đỉnh Thịnh Hầu/鼎盛侯) / 운천도인(Vân Tuyền Đạo Nhân/雲泉道人) / 응우옌 푹 브엉(Nguyễn Phúc Vượng/阮福旺)
[9]
문서
응우옌 푹 단(Nguyễn Phúc Đán/阮福旦)
[10]
문서
응우옌 푹 드엉(Nguyễn Phúc Đường/阮福棠)
[11]
문서
전덕후(Truyền Đức Hầu/傳德侯)
[12]
문서
응우옌 푹 이엠(Nguyễn Phúc Yểm/阮福偃)
[13]
문서
응우옌 푹 마인(Nguyễn Phúc Mạnh/阮福孟)
[14]
문서
응우옌 푹 맛(Nguyễn Phúc Mạch/阮福脉)
[15]
문서
똥 반 쑤언(Tống Văn Xuân/宋文春)
[16]
문서
응우옌 끄우 테(Nguyễn Cửu Thế/阮久世)
[17]
문서
응우옌 끄우 주옛(Nguyễn Cửu Duyệt/阮久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