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사소통은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정보, 감정, 의도 등을 전달하고 공유하는 과정으로, 신호는 다양한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개인적 의사소통, 대인 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적 의사소통, 시각적 의사소통 등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수사학적 접근과 관계적 접근의 두 가지 연구 범주가 존재한다. 대면 의사소통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고, 매개 의사소통은 기술을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선다. 자크 데리다, 마셜 매클루언, 칼 로저스, 노버트 위너 등 여러 학자들이 의사소통 연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커뮤니케이션학 - 여론
여론은 개인이나 집단의 믿음, 태도, 의견의 집합체로서, 정치, 사회,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며, 대중매체, 오피니언 리더,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잘못된 정보는 여론을 왜곡하여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커뮤니케이션학 - 방송
방송은 전파, 케이블, 위성,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음성 및 영상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기술 및 서비스로, 1920년대 상업용 라디오 방송의 등장 이후 대중 매체로 자리 잡았으며 디지털 방송 전환과 통신 기술 융합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 의사소통 - 번역
번역은 출발어 텍스트를 목표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직역과 의역 등의 방식을 통해 완역 또는 축약역으로 나뉘며, 기계 번역과 인간 번역의 차이, 그리고 문화와 사상의 교류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의사소통 -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은 인간과 컴퓨터 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설계, 구현, 평가하는 학제간 분야로, 사용자 중심 설계 원칙을 통해 사용성, 효율성,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인공지능, 감정 컴퓨팅,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그리고 보안 상호작용 등의 새로운 연구 영역이 발전하고 있다. - 통신 - 무선 통신
무선 통신은 전선 없이 전자기파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마르코니의 무선 전신 실험 성공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 통신 - 메이데이
메이데이는 심각한 위험에 처한 선박, 항공기 등이 즉각적인 구조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국제적인 구조 신호로, 1923년 프레더릭 스탠리 맥포드가 프랑스어 "m'aidez"에서 착안하여 고안되었으며, 허위 호출은 범죄로 간주된다.
의사소통 | |
---|---|
지도 정보 | |
주요 개념 | |
정의 | 의사소통은 일반적으로 기호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
연구 분야 | 언어학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 인지과학 신경과학 |
관련 개념 | 언어, 기호학 |
주요 특징 | 상징적 상호작용 정보 교환 사회적 상호작용 문화적 맥락 |
의사소통의 유형 | |
언어적 의사소통 | 구두 의사소통 (말하기, 듣기) 서면 의사소통 (쓰기, 읽기) |
비언어적 의사소통 | 몸짓 표정 눈맞춤 자세 공간 관계 음성적 특징 (어조, 강세, 억양) 촉각 |
매체에 따른 분류 | 대면 의사소통 매개 의사소통 (전화, 편지, 이메일, 메신저, 소셜 미디어 등) 매스 커뮤니케이션 (방송, 신문, 영화 등) |
의사소통 모델 | |
선형 모델 | 송신자 → 메시지 → 수신자 |
상호작용 모델 | 송신자 ↔ 메시지 ↔ 수신자 (피드백 포함) |
거래 모델 | 참여자들이 동시에 송신자와 수신자의 역할을 수행 |
의사소통의 기능 | |
정보 제공 | 지식, 사실, 의견 전달 |
설득 | 타인의 태도, 행동 변화 유도 |
사회적 관계 형성 | 친목 도모, 관계 유지 |
정서 표현 | 감정 전달 |
협력 | 공동 목표 달성 |
의사소통의 역사 | |
초기 형태 | 몸짓, 소리, 그림 |
문자 발명 | 정보 기록 및 전달 방법 변화 |
인쇄술 발달 | 정보 확산 가속화 |
전자 통신 시대 | 실시간 정보 교환 및 접근성 확대 |
의사소통 장애 | |
언어 장애 | 실어증, 발음 장애, 유창성 장애 |
청각 장애 | 난청, 농아 |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
기타 | 신경학적 문제, 심리적 요인 |
기타 정보 | |
관련 학문 | 커뮤니케이션학, 인지과학, 심리학 |
연구 주제 | 언어 습득 의사소통 전략 문화 간 의사소통 정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
참고 자료 | 인간 의사소통의 기원 언어 사용 |
2. 의사소통의 정의 및 유형
의사소통은 발신자와 수신자 간에 정보, 감정, 의도 등을 전달하고 공유하는 과정이다. 이때 사용되는 신호는 수신자의 행동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이며, 발신자의 의도를 포함한다. 그러나 신호는 의도하지 않은 정보나 제3자의 반응을 통해 비용과 이익 사이의 균형을 유발하는 큐(Que) 정보의 성질도 동시에 가진다.[34][35] 신호는 행동, 형태, 소리, 색깔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져 전달될 수 있다.
의사소통은 '비용과 이익의 효율적인 조정'이라는 주요 원리하에 집단 형성, 충돌 해결, 환경 신호 등의 상황에서 필요하다.
인간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는 크게 수사학적 접근과 관계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3] 수사학적 접근은 영향력 연구에 초점을 맞추며, 설득의 개념에 기반한다. 반면 관계적 접근은 거래적 관점에서 의사소통을 검토하며, 둘 이상의 사람들이 상호 작용하여 합의된 관점에 도달하는 것을 중시한다.[3]
인간의 의사소통은 공유된 상징적 상호작용으로 정의될 수 있다.[6]
- 공유된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의사소통 과정은 의미 체계(코드)를 필요로 하며, 암호화가 참여자 모두에게 알려져 있지 않으면 이해되지 않아 의사소통 자체가 실패한다.
- 상징적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메시지 전달을 위한 의미 표현 또는 기호가 필요하다.
-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두 명 이상의 사람들이 참여하여 상호작용하는 모든 사람들의 지식이 증가한다.
2. 1. 개인 간 의사소통
자기 자신과의 대화인 개인적 의사소통은 모든 의사소통의 기본이자 표준이다.[7] 우리 자신과의 의사소통은 이전과 현재 행동에 대해 생각하는 과정일 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의사소통과 사건으로부터 이해하기로 선택한 것을 보여준다. 우리의 개인적 의사소통은 단순한 몸짓과 표정을 통해 특정 결과에 대한 우리의 반응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지고 표현될 수 있다.[7]두 명 이상의 사람들 사이의 대인 의사소통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 자신이 처한 과정과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인 의사소통은 사람이 의사소통을 선택하는 방언, 형식 및 내용을 통해 사람의 성격과 특성을 반영한다. 대인 의사소통은 관련된 두 사람 모두 인간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인간이라는 것의 의미에 대해 유사한 특성을 공유하는 경우에만 올바르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는 신뢰와 개방성, 그리고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는 것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포함된다.[8]
2. 2.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인간의 의사소통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다.언어적 의사소통은 단어를 사용하여 느끼고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10] 목소리를 사용하여 단어를 만들고 문장으로 구성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대화 형태로 다른 사람에게 직접적인 생각을 전달한다.[10]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말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9] 얼굴 표정, 팔과 손, 목소리 톤, 심지어 외모만으로도 특정 유형의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다.[9]
2. 3.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
인간의 의사소통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개인적 의사소통(자기 자신과의 의사소통): 모든 의사소통의 표준이자 기반이다. 우리 자신과의 의사소통은 이전과 현재 행동에 대해 생각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의사소통과 사건으로부터 이해하기로 선택한 것을 보여준다. 우리의 개인적 의사소통은 단순한 몸짓과 표정을 통해 특정 결과에 대한 우리의 반응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지고 표현될 수 있다.[7]
- 대인 의사소통(두 명 이상의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자신이 처한 과정과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인 의사소통은 사람이 의사소통을 선택하는 방언, 형식 및 내용을 통해 사람의 성격과 특성을 반영한다. 여기에는 신뢰와 개방성, 그리고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는 것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포함된다.[8]
- 비언어적 의사소통: 우리가 서로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말로 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행동은 얼굴 특징과 표정, 팔과 손, 목소리의 톤을 사용하거나 심지어 외모만으로도 특정 유형의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다.[9]
- 언어적 의사소통: 사람들이 느끼고 표현하는 것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목소리를 사용하여 단어를 만들고 문장으로 만들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대화로 다른 사람에게 직접적인 생각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10]
- 대화: 많은 사람들이 서로에게 의미 있는 리듬인 대화를 이루는 단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사람, 팀 또는 그룹 간의 아이디어를 정의한다. 대화를 통해 중요한 메시지든 간단한 메시지든 다른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11]
- 시각적 의사소통: 눈을 사용하여 단어나 구절, 또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보여주고 설명하는 그림이 있는 간판, 차트, 그래프 및 그림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유형이다. 시각적 의사소통을 사용하면 끊임없이 말할 필요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시각적 의사소통은 적절하게 수행되면 다양한 이점이 있다. 시간이 제한적인 정보 시대와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시각적 의사소통은 아이디어를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그것은 즉각적인 전달, 이해의 용이성, 문화 간 의사소통 및 즐거움 생성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12]
- 글쓰기: 단어는 사람들이 이해하고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단어를 변형하는 함께 놓인 문자이다. 글쓰기는 손과 종이를 사용하여 단어와 문자를 형성하여 메시지나 대화의 흐름을 만드는 것을 요구한다. 글쓰기는 컴퓨터에서 단어를 함께 형성하는 타이핑 형태로도 수행될 수 있다. 글쓰기는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생각과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기호(알파벳 문자, 구두점 및 공백)를 사용하는 과정이다.[13]
- 우편: 편지나 소포 형태의 우편이다. 누군가가 연필과 종이로 쓴 편지를 보내는 데 우체국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주 외에 있는 누군가에게 물건을 보내는 데 우편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당신 옆에 살거나 20분 거리 내에 살지 않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메시지나 물건을 보내는 더 쉬운 과정을 만든다.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이 군에 있고 주 외에 있다면, 당신의 삶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려주고 그들이 어떻게 지내는지 묻기 위해 우편 서비스를 통해 편지를 보내 그들의 위치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우체국 직원들은 주와 국가를 가로질러 편지와 소포를 전달한다.[14]
- 대중매체: 영화, 라디오, 책, 음악 또는 텔레비전과 같은 특정 채널을 통해 국가 인구와 같은 많은 사람들에게 도달하는 의사소통 수단으로, 소비자 참여는 대화형 네트워크 플랫폼과 비교하여 수동적으로 유지된다.[15] 텔레비전을 통해 몇 분 만에 여러 지역의 많은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가장 빠른 의사소통 기술이다.
- 통신: 인간이 기술을 통해 대화, 연설 또는 시각적 의사소통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스타일이다. 라디오를 듣든, 텔레비전을 보든, 이메일의 단어를 읽든 그것은 통신이다. 이러한 유형의 의사소통은 어디에 있든 다른 사람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더 빠르고 효율적인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의 전송 매체는 봉화 및 기타 시각적 신호(연기 신호, 세마포어 전신, 신호기, 광학 헬리오그래프)에서 전기 케이블 및 전자기 방사(빛 포함)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술 단계를 거쳐 발전해 왔다. 이러한 전송 경로는 종종 통신 채널로 나뉘며, 여러 동시 통신 세션의 다중화의 이점을 제공한다. ''통신''은 종종 복수형으로 사용된다.
- 조직 의사소통(조직 내 의사소통): 구조와 계획에 의해 정의되며, 단어, 구절 및 이미지를 방향과 의미로 흘러가게 한다. 조직 의사소통 구조의 구성은 관계, 실체, 맥락, 구성 및 시간적 안정성의 5가지 주요 차원으로 정의된다.[16] 서로 다른 문화와 생각의 그룹으로 작업하기가 더 쉬워진다.
- 대중 의사소통: 이 유형의 의사소통에는 기술이나 다른 매체를 사용하여 알려진 및 알려지지 않은 청중과 의사소통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청중이 메시지를 보낸 사람에게 직접 응답할 기회는 거의 없으며,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분열/분리가 있다. 대중 의사소통 과정에는 일반적으로 네 명의 참여자가 있으며, 이들은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 메시지 자체, 메시지가 전송되는 매체, 메시지를 받는 사람이다. 이 네 가지 구성 요소는 우리가 보고 매일 미디어가 이러한 메시지를 전 세계에 배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의사소통의 일부가 된다.[7]
- 집단 역학(그룹 내 의사소통): 사람들의 그룹 내에서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도록 하여 많은 마음이 함께 생각하여 의미를 형성하고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이나 우연한 상황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그룹화될 때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 작용이다.[17]
- 문화 간 의사소통(문화 간 의사소통):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지역, 성별 및 문화권의 사람들이 그룹에서 서로의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훨씬 더 크고 더 나은 것을 형성할 수 있다. 문화는 그룹의 다른 구성원이 가르치고 강화하는 일련의 태도, 가치관, 규범 및 신념을 선택하는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이다.[18]
세 개인 간의 대면 상호 작용 예시
3. 의사소통의 접근 방식
인간 의사소통 연구는 크게 수사학적 접근과 관계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수사학적 접근은 영향력 연구에 초점을 맞추며, 설득 개념에 기반한다.[3] 관계적 접근은 거래적 관점에서 의사소통을 검토하며, 둘 이상의 사람들이 상호 작용하여 합의된 관점에 도달하는 것을 말한다.[3]
인간 의사소통의 분류는 직장, 특히 그룹 작업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동료들은 프로젝트에 대한 최상의 해결책을 얻기 위해 서로 논쟁해야 하지만, 협업을 유지하기 위해 관계를 키워야 한다. 예를 들어, 그룹 작업에서 "체면을 세우는" 의사소통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구어는 주로 인간이 습득하는 언어적 의사소통을 포함한다. 침팬지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친척이지만 말을 할 수 없다. 침팬지는 유전적 및 진화적 관점에서 고릴라나 다른 유인원보다 인간과 더 가깝다. 침팬지가 인간 가정에서 자라도 말을 배우지 못한다는 사실은 우리 종의 생물학을 고찰할 때 직면하는 중심적인 수수께끼 중 하나이다. 1910년대부터 시작된 반복적인 실험에서 인간과 긴밀한 접촉 속에서 자란 침팬지는 다른 많은 지적 및 운동 영역에서 빠른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으로 말을 하거나 말하려고 시도하지 못했다. 각 정상적인 인간은 명시적인 가르침이나 코칭이 거의 없이 모국어를 빠르고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반대로, 비인간 영장류는 지역 언어의 단어조차 자발적으로 생성한 적이 없다.[5]
3. 1. 수사학적 접근
수사학적 접근은 주로 영향력 연구에 초점을 맞추며, 설득이라는 개념에 기반한다.[3] 초기 단계에서 수사학은 일반인들이 법정에서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는 설득이 이러한 형태의 의사소통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효과적인 수사학이 논증에 기반한다고 말했다. 수사학적 접근은 서구 사회에서 비롯되었는데, 지배적인 당사자와 복종적인 당사자, 또는 가장 지배적인 당사자에게 굴복하는 당사자가 존재한다. 반면, 관계적 접근은 동양 사회에서 비롯되었으며, 동양 사회는 협력에 대한 기준이 더 높아 관계적 접근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 "소중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통제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집니다."[4]3. 2. 관계적 접근
동양 사회는 상호 작용과 합의를 중시하여 관계적 접근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 "소중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통제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4]4. 대면 의사소통과 매개 의사소통
정보를 매개체로 하는 의사소통에서 신호는 수신자의 행동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이자 발신자의 의도를 포함한다. 신호는 행동, 형태, 소리, 색깔 등 다양하게 만들어져 전달될 수 있다.[34][35]
'''대면 상호작용'''은 매개 기술 없이 다른 개인들과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의사소통이다.[19] 역사적으로 매개된 의사소통은 대면 의사소통보다 훨씬 드물었다.[25] 인류는 문자와 같이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었지만, 세계 인구의 대다수는 읽고 쓰는 능력이 부족했다.[25]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활판 인쇄술 발명 이후 15세기부터 유럽에서 인쇄물이 확산되고 읽고 쓰는 능력이 향상되면서, 대면 상호 작용은 매개된 의사소통에 점차 자리를 내주기 시작했다.[25]
대면 의사소통은 시간과 지리적 거리가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는 매개된 의사소통보다 덜 바람직하다고 설명되어 왔다. 예를 들어, 장거리 우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대면 의사소통은 전화,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다음으로 네 번째로 흔한 방법이었다.
4. 1. 대면 의사소통의 중요성
사회적 의사소통의 한 형태인 '''대면 상호작용'''은 매개 기술 없이 현재 함께 있는 다른 개인들과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이다. 이는 개인의 직접적인 물리적 존재와 그들의 신체 언어 및 구어적 언어의 상호 영향으로 정의된다.[19] 대면 상호작용은 사회 시스템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이며, 개인의 평생에 걸쳐 사회화와 경험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그러한 개인들로 구성된 집단과 조직의 발전에도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대면 상호작용은 사람들이 더 직접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고 우울증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인터넷 발달로 대규모 다국적 기업에서 가상 의사소통이 증가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상호 작용은 여전히 직원들 간의 의사소통에 있어 중요한 도구이다. 특히 언어와 문화적 차이가 있는 경우, 직접적인 상호 작용은 감정과 신체 언어(바디 랭귀지)를 통해 표현되는 숨은 진실을 이해하는 데 유익하다.
다문화 팀에서의 협력에는 지식 공유가 필요하다. 다문화 팀에서는 서로 다른 언어 습관 때문에 모호한 지식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불가피하다. 모호한 정보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의사소통이 다른 가상 의사소통보다 낫다. 그 이유는 직접적인 의사소통이 몸짓(제스처), 시선 접촉, 접촉(터치), 신체 움직임을 포함한 비언어적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메일과 같은 가상 의사소통은 언어적 정보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팀 구성원들은 같은 단어에 대한 이해가 다르기 때문에 지식에 대한 오해가 더 많아질 수 있다. 반면, 전문적인 표준에 대한 이해는 직접적인 상호 작용과 가상 의사소통 간에 차이가 없다.
Van der Zwaard와 Bannink (2014)는 영어 원어민과 비원어민 간의 의미 협상에 대한 화상 통화와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효과를 조사했다. 직접적인 상호 작용은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영어로 대화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의도적이거나 무의식적인 행동을 제공한다. 화상 통화 중 비원어 화자의 체면 손상 가능성 때문에, 직접적인 상호 작용에서보다 화상 통화에서 개인들이 더 정직하게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직접적인 상호 작용은 화상 통화와 같은 가상 의사소통보다 의미 협상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4. 2. 매개 의사소통의 발달과 한계
역사적으로 매개된 의사소통은 대면 의사소통보다 훨씬 드물었다.[25] 인류는 수천 년 동안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술(예: 문자)을 가지고 있었지만, 세계 인구의 대다수는 읽고 쓰는 능력이 부족했다.[25] 이러한 상황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활판 인쇄술 발명으로 변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15세기부터 유럽에서 인쇄물의 확산과 읽고 쓰는 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졌다.[25] 그 이후로 대면 상호 작용은 매개된 의사소통에 점차 자리를 내주기 시작했다.[25]많은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대면 상호 작용은 여전히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인기가 많고 여러 분야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인다. Nardi와 Whittaker (2002)는 많은 이론가들, 특히 매체 풍부성 이론의 맥락에서 대면 의사소통이 매개된 기술들 중 여전히 황금 표준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대면 의사소통이 매개된 의사소통보다 더 많은 인간의 감각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각 의사소통 형태에는 장단점이 모두 있다. 대면 의사소통과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을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컴퓨터 매개 그룹은 아이디어 생성 작업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인 반면, 대면 그룹은 사회 정서적 교류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대면 그룹은 긴장 해소와 합의 진술이 더 많고, 컴퓨터 매개 그룹은 더 많은 제안, 의견 및 공식적인 표현을 하는 경향이 있었다.[26] 컴퓨터 매개 그룹에서는 참여의 평등성이 더 크지만, 자기 인식의 상실을 더 크게 유발하기 때문에 억제되지 않은 행동의 비율이 더 높았다.[27] 컴퓨터 매개 그룹에서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압력이 감소하지만, 대면 그룹에서는 이해에 대한 인식과 감각이 더 강했다.[28]
대면 소통은 미소, 몸짓, 자세 등 비언어적 신호를 통해 의사소통을 돕는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는 대면 소통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문자 메시지, 댓글, 메시지 주고받기 등 온라인 대화에서 맹목적인 의사소통에 적응했다.[29]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존재이며, 사회적 상호작용은 생존에 필수적이다. 인터넷, 인스턴트 메시징, 스마트폰과 같은 최근 기술 발전은 타인과 상호 작용하는 많은 채널과 방법을 만들어냈지만, 인간의 뇌는 이러한 엄청난 양의 의사소통 홍수에 적응하고 따라잡도록 진화했다.[30] 온라인 의사소통에는 전통적인 대면 의사소통만큼의 사회적 만족감을 증진시키는 능력을 제한하는 고유한 요소들이 있는데, 온라인과 대면 의사소통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이로 인해 온라인 의사소통은 대면 의사소통보다 정서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하고 충족되지 않는다.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비언어적 신호를 구별하기 매우 어렵게 만든다.[32]
5. 중요 인물
의사소통 연구에 기여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1]
- 콜린 체리: 인지 과학자이다.
- 웬델 존슨: 심리학자이자 언어 병리학자이다.
- 폴 와츠라위크: 심리학자이자 의사소통 이론가이다.
- 앨버트 메라비안: 비언어적 의사소통 연구로 유명한 심리학자이다.
- 자크 데리다: 프랑스의 철학자로, 해체주의 이론을 통해 언어와 의미의 불확정성을 강조하였다.
- 마셜 매클루언: 캐나다의 미디어 이론가로,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명언을 통해 미디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칼 로저스: 미국의 심리학자로, 인간 중심 상담 이론을 통해 진솔하고 공감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노버트 위너: 미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사이버네틱스 이론을 창시하여 정보와 의사소통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5. 1. 자크 데리다
자크 데리다는 프랑스의 철학자로, 해체주의 이론을 통해 언어와 의미의 불확정성을 강조했다.5. 2. 마셜 매클루언
마셜 매클루언은 캐나다의 미디어 이론가로,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명언을 통해 미디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5. 3. 칼 로저스
칼 로저스는 미국의 심리학자로, 인간 중심 상담 이론을 통해 진솔하고 공감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칼 로저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자 노력하고 있다.5. 4. 노버트 위너
노버트 위너는 미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사이버네틱스 이론을 창시하여 정보와 의사소통의 관계를 연구했다.참조
[1]
웹사이트
Origins of Human Communication
https://mitpress.mit[...]
2016-02-09
[2]
서적
Using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Handbook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Rhetorical and Relational Perspectives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5-10-14
[4]
서적
An Integrated Approach to Communication Theory and Research
Routledge
[5]
서적
The Evolution of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Human Communication
https://www.academia[...]
ACADEMIA
2022-01-14
[7]
서적
Mass Communication: Living in a Media World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6-10-20
[8]
서적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ttp://dx.doi.org/10[...]
2002-01-04
[9]
서적
COMM3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01-01
[10]
웹사이트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entry: speech
https://www.ahdictio[...]
2022-04-20
[11]
웹사이트
Six Benefits of Better Conversation
https://web.archive.[...]
2022-04-20
[12]
웹사이트
Benefits of Visual Communication - Edraw
https://www.edrawsof[...]
2022-04-20
[13]
웹사이트
What Is Writing? Writing EnglishClub
https://www.englishc[...]
2022-04-20
[14]
웹사이트
Definition of MAIL
https://www.merriam-[...]
2022-04-20
[15]
웹사이트
What is Mass Media IGI Global
https://www.igi-glob[...]
2022-04-20
[16]
학술지
Approaches to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tructure
https://dx.doi.org/1[...]
1992-09-01
[17]
웹사이트
Definition of group dynamics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2-04-24
[18]
웹사이트
Cross Cultural Communication
https://www.communic[...]
2022-04-24
[19]
서적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Anchor Books: A Division of Random House, Inc.
1980
[20]
서적
The Relationship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80
[21]
서적
Organization of Behavior in Face-to-face Interactio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75
[22]
서적
Analytical Sociology and Social Mechanism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3-24
[23]
웹사이트
Symbolic Interactionism
https://www.research[...]
2015
[24]
서적
He-said-she-said: Talk as Social Organization Among Black Childre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25]
서적
The Collective Memory Read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6-05
[26]
학술지
Face-to-face vers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 synthesis of the experimental literature
https://go.gale.com/[...]
1997-01-01
[27]
학술지
Face-to-face vers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 synthesis of the experimental literature
https://go.gale.com/[...]
1997-01-01
[28]
학술지
Face-to-face vers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 synthesis of the experimental literature
https://go.gale.com/[...]
1997-01-01
[29]
웹사이트
How social media is changing the way people get to know one another Penn State University
https://www.psu.edu/[...]
2022-04-07
[30]
학술지
Future Brains: An Exploration of Human 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and beyond
https://journals.sag[...]
2009-06
[31]
학술지
Internet Communication Versus Face-to-face Interaction in Quality of Life
http://link.springer[...]
2011-02
[32]
웹사이트
Communication: Online vs. Face-to-Face Interactions
https://psychminds.c[...]
2022-04-07
[33]
학술지
8. Information processing in traditional, hybrid, and virtual teams: From nascent knowledge to transactive memory
http://dx.doi.org/10[...]
2001
[34]
학술지
Cheating Signals
https://doi.org/10.1[...]
1994-04-07
[35]
서적
Animal Signals
https://books.google[...]
Oxford Series in Ecology and Evolu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