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벽을 허무시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 장벽을 허무시오"는 1987년 6월 12일,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브란덴부르크 문 앞에서 베를린 장벽을 허물 것을 촉구하며 한 연설이다. 이 연설은 냉전 시대의 상징인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릴 것을 소련 지도자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직접적으로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연설문 작성 과정에서 문구의 포함 여부를 두고 논쟁이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레이건 대통령이 직접 결정하여 연설에 포함되었다. 이 연설은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 소련 해체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7년 국제 관계 - 마티아스 루스트
마티아스 루스트는 1987년 경비행기로 소련 영공을 침범해 붉은 광장에 착륙한 독일인으로, 이 사건은 소련 방공 체계의 허점을 드러내고 군부 숙청을 야기했으며 냉전 종식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장벽을 허무시오 | |
---|---|
연설 정보 | |
제목 | 이 벽을 허무시오 |
원제 | Tear down this wall |
날짜 | 1987년 6월 12일 |
장소 | 서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근처 현재 3월 18일 광장 |
연설자 | 로널드 레이건 |
관련 링크 | Ronald Reagan's Berlin Wall Speech |
2.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4개국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 이념 대립 심화와 냉전 격화로 1949년 서독과 동독이 각각 수립되었고, 1961년 동독은 서베를린으로의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베를린 장벽을 건설했다. 베를린 장벽은 동서독 분단과 냉전의 상징이 되었다.[6][7]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강한 미국'을 내세우며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 칭하며 강경 정책을 펼쳤다. 데탕트는 종식되고 제2차 냉전 시대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군비 경쟁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미국과 소련 모두에게 압박으로 작용했다. 1985년 소련의 새 지도자가 된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등 개혁 정책을 추진하고, 신사고 외교를 통해 서방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1985년 11월에는 7년 만에 미소 정상 회담이 개최되기도 했다.[26]
1987년 레이건 대통령은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열린 G7 정상회담 참석 후 베를린을 방문했다.[26] 레이건의 방문 전날, 5만 명의 사람들이 미국 대통령의 방문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방문 당일에는 이러한 시위대가 철저히 배제되었고, 특히 크로이츠베르크 지구가 집중 감시 대상이 되어 베를린 지하철 1호선이 폐쇄되기도 했다.[27]
"이 장벽을 허무시오"라는 문구는 레이건 대통령이 베를린 장벽에 대해 처음 언급한 것은 아니었다. 레이건 대통령은 1982년과 1986년에도 연설을 통해 장벽 문제에 대한 언급을 한 적이 있다.[26]
2. 1. 연설문 작성 과정
"이 장벽을 허무시오"라는 연설문 초안은 작성 단계부터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레이건 행정부 내 일부 고위 참모와 보좌관들은 이 문구가 동서 간의 긴장을 고조시키거나, 당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을 곤란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했다.[10]반면, 연설문 작성자였던 피터 로빈슨은 서독을 방문하여 현지 여론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서베를린 시민들이 베를린 장벽에 반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10] 이러한 여론을 바탕으로 로빈슨은 레이건 대통령에게 장벽 철거를 요구하는 문구를 연설문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지만, 큰 지지를 얻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빈슨은 이 문구를 연설문에 유지했다.[10]
1987년 5월 18일, 레이건 대통령은 연설문 작성자들과의 회의에서 초안에 대해 "훌륭하고 탄탄하다"라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10] 그러나 하워드 베이커 백악관 비서실장은 이 문구가 "극단적"이고 "대통령답지 않다"며 반대했고, 콜린 파월 국가안보 부보좌관도 이에 동의했다.[10]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레이건 대통령은 이 문구를 마음에 들어 하며 "이대로 두도록 하겠다"라고 결정했다.[10]
한편, 수석 연설문 작성자였던 앤서니 돌란은 이 문구가 레이건 대통령이 직접 생각해 낸 것이라고 주장하며 로빈슨과는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11] 2009년 11월 월스트리트 저널 기사에서 돌란은 로빈슨의 초안 작성 이전 대통령 집무실 회의에서 레이건 대통령이 이 문구를 떠올렸다고 설명하며, 당시 자신과 로빈슨의 반응을 상세히 기록했다.[11] 이처럼 로빈슨과 돌란은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치며 월스트리트 저널을 통해 반론을 제기하기도 했다.[12][13]
3. 연설
1987년 6월 12일, 레이건 대통령은 브란덴부르크 문 앞에서 연설을 했다. 동베를린의 저격수를 경계하여 설치된 방탄 유리 앞에 서서, 서독 대통령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헬무트 콜 총리, 에버하르트 디프겐 서베를린 시장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연설을 진행했다.[32] 레이건 대통령은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외쳤다.
그는 또한 국회의사당에서 본 "이 벽은 무너질 것이다. 신념은 현실이 된다."라는 낙서를 인용하며, 자유와 신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33]
레이건 대통령은 소련이 배치했던 중거리 탄도 미사일인 SS-20을 언급하며, "군비 확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종류의 핵무기를 폐지할 가능성에 처음으로 도달했습니다."라고 말하며 군비 경쟁 중단을 촉구했다.[25]
레이건은 후년의 인터뷰에서, 동독 경찰이 연설을 들으려고 장벽에 모인 시민들을 쫓아냈다고 말했다.[38]
4. 반응과 평가
레이건 대통령의 "이 장벽을 허무시오" 연설은 당시 언론의 주목을 크게 받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지만,[38]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소련 언론사 타스는 레이건의 연설을 "공공연한 도발이며, 전쟁광의 연설"이라고 비난했다.[25] 반면, 전 서독 총리 헬무트 콜은 레이건 대통령의 연설을 "세계, 특히 유럽에게 행운이었다"라고 평가했다.[41]
라이스 대학교 역사학 교수 Douglas Brinkley|더글러스 브링클리영어는 이 연설을 냉전의 전환점으로 평가하며, 동독의 민주화 운동을 가속화했다고 보았다.[42] 하버드 대학교 역사학 교수 메리 앨리스 사로트는 이 연설이 존 F. 케네디의 "Ich bin ein Berliner" 연설과 함께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리는 화약이 되었다고 평가했다.[40]
연설 2년 후인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었고, 이는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와 소련의 붕괴로 이어졌다.
5. 유산
레이건 대통령의 연설은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을 상징하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연설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그 의미가 재조명되면서 현재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14][17] 2019년 11월에는 연설 현장 근처에 레이건의 청동 조각상이 공개되었다.[23]
2013년 베를린에서는 장벽 철거에 반대하는 "이 장벽을 허물지 마시오!"라는 시위가 열려,[44][45] 베를린 장벽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보여주었다.
2022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독일 연방 의회 연설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하며, 올라프 숄츠 총리에게 "이 장벽을 허물어 주십시오"라고 호소했다.[46][47] 이는 레이건 대통령의 연설을 차용하여 국제 사회의 연대와 지지를 촉구한 것이다.
5. 1. 평가와 논란
레이건 대통령의 연설이 베를린 장벽 붕괴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당시 언론의 보도는 비교적 적었고,[17] 동독 공산주의 정권은 이 연설을 "냉전 전사의 터무니없는 시위"로 일축했다.[18] 소련 언론사 타스는 레이건이 "노골적으로 도발적이고 전쟁을 부추기는 연설"을 했다고 비난했다.[15]전 서독 총리 헬무트 콜은 레이건이 고르바초프에게 베를린 장벽을 허물라고 외쳤을 때 그의 곁에 서 있었던 것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며, "그는 세계, 특히 유럽에게 행운이었다"라고 평가했다.[19]
피터 로빈슨은 연설 초안 작성 당시 서베를린의 잉게보르크 엘츠와의 대화에서 "고르바초프가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에 대해 진지하다면 이 장벽을 없애는 것으로 증명할 수 있다"라는 말을 듣고 "이 장벽을 허무시오"라는 문구를 떠올렸다고 밝혔다.[20]
디 애틀랜틱의 리암 호어는 2012년 기사에서 미국 언론이 이 연설의 중요성에만 집중하고 동독, 서독, 소련에서 일어난 복잡한 사건들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21]
작가 제임스 만은 2007년 뉴욕 타임스 기고문에서 레이건의 연설이 실질적인 영향이 없다는 비판과 소련의 자신감을 흔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칭찬 모두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이 연설이 레이건이 공산주의에 대해 여전히 강경하다는 우익 비평가들을 안심시키는 동시에 고르바초프에게 협력을 제안하는 방식이었다고 평가했다. 만은 레이건이 "소련 정권에 치명타를 가하려 한 것도, 단순한 정치적 연극을 한 것도 아니"라며, "냉전 종식의 조건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었다"라고 주장했다.[22]
참조
[1]
웹사이트
Ronald Reagan speech, Tear Down This Wall
https://web.archive.[...]
2015-10-27
[2]
웹사이트
Reagan challenges Gorbachev to 'tear down' Berlin Wall, June 12, 1987
https://www.politico[...]
2017-06-11
[3]
뉴스
Reagan Calls on Gorbachev to Tear Down the Berlin Wall
https://www.nytimes.[...]
2023-06-12
[4]
뉴스
Reagan Calls on Gorbachev to Tear Down the Berlin Wall
https://www.nytimes.[...]
2023-06-12
[5]
서적
Kennedy in Berl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Public Papers of 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Ronald Reagan, 1982
https://books.google[...]
Best Books on
1982
[7]
서적
Public Papers of 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Ronald Reagan, 1986
https://books.google[...]
Best Books on
1988
[8]
서적
Kennedy in Berlin
[9]
웹사이트
Cowboy und Indianer
http://www.tagesspie[...]
2015-01-23
[10]
뉴스
Seizing the Moment
https://web.archive.[...]
2007-06-27
[11]
뉴스
Four Little Words
https://www.wsj.com/[...]
2012-06-10
[12]
뉴스
Looking Again at Reagan and 'Tear Down This Wall'
https://www.wsj.com/[...]
2012-06-10
[13]
뉴스
Speechwriters' Shouts of Joy in Reagan's Oval Office
https://www.wsj.com/[...]
2012-06-10
[14]
웹사이트
Ronald Reagan's Famous "Tear Down This Wall" Speech Turns 20
http://www.dw.de/rea[...]
2007-06-12
[15]
뉴스
Raze Berlin Wall, Reagan Urges Soviet
https://www.nytimes.[...]
2022-01-03
[16]
웹사이트
Remarks on East-West Relations at the Brandenburg Gate in West Berlin
https://www.reaganli[...]
Ronald Reagan Presidential Library
2011-05-29
[17]
간행물
20 Years After 'Tear Down This Wall'
http://content.time.[...]
2007-06-11
[18]
뉴스
Reagan's 'tear down this wall' speech turns 20
https://www.usatoday[...]
2007-06-12
[19]
뉴스
Reagan remembered worldwide for his role in ending Cold War division
https://www.usatoday[...]
2004-06-07
[20]
웹사이트
"'Tear Down This Wall': How Top Advisers Opposed Reagan's Challenge to Gorbachev – But Lost"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07-06-00
[21]
웹사이트
Let's Please Stop Crediting Ronald Reagan for the Fall of the Berlin Wall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9-20
[22]
뉴스
Tear Down That Myth
https://www.nytimes.[...]
2007-06-10
[23]
뉴스
President Reagan Returns to Berlin, this time in Bronze
https://www.nytimes.[...]
2019-11-10
[24]
뉴스
Reagan's 'tear down this wall' speech turns 20
http://www.usatoday.[...]
2007-06-12
[25]
뉴스
Raze Berlin Wall, Reagan Urges Soviet
https://www.nytimes.[...]
1987-06-13
[26]
뉴스
Tear Down That Myth
https://www.nytimes.[...]
2007-06-10
[27]
웹사이트
Cowboy und Indianer
http://www.tagesspie[...]
2007-06-10
[28]
뉴스
Seizing the Moment
http://www.usnews.co[...]
2007-06-00
[29]
뉴스
Four Little Words
http://online.wsj.co[...]
2009-11-00
[30]
뉴스
Looking Again at Reagan and 'Tear Down This Wall'
http://online.wsj.co[...]
2009-11-00
[31]
뉴스
Speechwriters' Shouts of Joy in Reagan's Oval Office
http://online.wsj.co[...]
2009-11-00
[32]
웹사이트
Ronald Reagan's Famous "Tear Down This Wall" Speech Turns 20
http://www.dw.de/rea[...]
Deutsche Welle
2007-06-12
[33]
웹사이트
Remarks on East-West Relations at the Brandenburg Gate in West Berlin
https://www.reaganli[...]
Ronald Reagan Presidential Library & Museum
2022-09-11
[34]
문서
국회의사당은 1933년에 화재에 遭い、東西分裂後は使用されていなかった。
[35]
웹사이트
Ronald Reagan Wartime Address Highlights: 5 Quotes From the Tear Down This Wall Speech
http://www.newsmax.c[...]
Newsmax
2015-05-19
[36]
웹사이트
This Day in Pictures: Remembering Reagan and His Famous Line, ‘Tear Down This Wall!’
http://dailysignal.c[...]
The Daily Signal
2015-06-12
[37]
웹사이트
What is Ronald Reagan's Tear down this wall" speech about?"
https://www.cliffsno[...]
2015-07-11
[38]
뉴스
20 Years After "Tear Down This Wall"
http://content.time.[...]
2022-09-11
[39]
웹사이트
From Reagan to Hasselhoff: 5 people who didn’t bring down the Berlin Wall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5-07-11
[40]
웹사이트
JFK, Reagan words helped bring down Berlin Wall
http://www.usatoday.[...]
USA Today
2015-07-11
[41]
뉴스
Reagan remembered worldwide for his role in ending Cold War division
http://www.usatoday.[...]
2015-07-11
[42]
웹사이트
Remembering Reagan's "Tear Down This Wall" speech 25 years later
http://www.cbsnews.c[...]
CBS News
2015-07-11
[43]
뉴스
Reagan Hailed for Taking the Evil Out of the Empire
https://www.nytimes.[...]
2015-07-11
[44]
웹사이트
「この壁を壊すな!」、ベルリンの壁撤去に怒りの抗議デモ
https://www.afpbb.co[...]
AFPBB
2015-07-12
[45]
웹사이트
Don't tear down this wall, Berliners urge developers
http://www.usatoday.[...]
USA Today
2015-07-12
[46]
웹사이트
ゼレンスキー氏、独を批判 経済一辺倒、「欧州に新たな壁」―議会演説:時事ドットコム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2-03-17
[47]
웹사이트
自由と束縛分ける壁を壊して ウクライナ大統領、独議会で演説
https://www.afpbb.co[...]
AFP
2022-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