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만주는 15세기 중반 조선과 명나라 사이에서 세력을 떨친 건주위 지휘사였다. 세종의 사군 육진 개척 당시 조선의 주적이었으며, 아버지 석가노 사후 건주위 지휘사를 상속받아 회파강 방주에 거주하다가 파저강 유역으로 이주했다. 명나라 관직을 역임하며 세력을 키웠으나, 1467년 조선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이고납합 등과 함께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안씨 - 완안종한
완안종한은 금나라 초기에 금나라 건국에 기여하고 요나라 정벌과 멸망, 정강의 변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남송 공략을 주도하고 유예를 괴뢰 황제로 세웠으나 희종 옹립 후 권력 다툼에서 밀려나 병사했다. - 1467년 사망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1467년 사망 - 황수신
황수신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음서 출신임에도 세조의 측근으로 발탁되어 도승지,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까지 올랐으며, 세조 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고 『경국대전』 편찬 및 불경 언해에도 기여했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만주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출생 | 1932년 10월 18일 |
사망 | 2022년 9월 10일 (89세) |
배우자 | 김정자 |
자녀 | 2남 3녀 |
학력 | 전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
종교 | 개신교 |
경력 | |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주요 경력 | 제8대 국회의원 제9대 국회의원 제10대 국회의원 국회 재무위원장 민주정의당 정책위원회 의장 제12대 국회의원 제12대 국회 예산결산위원장 한미은행 은행장 학교법인 동원육영회 이사장 |
상세 이력 | |
8대 국회의원 | 전국구 (민주공화당) |
9대 국회의원 | 전국구 (민주공화당) |
10대 국회의원 | 전국구 (민주공화당) |
12대 국회의원 | 전국구 (민주정의당) |
상훈 | |
훈장 | 청조근정훈장 |
2. 생애
이만주는 15세기 중반 조선과 명나라 사이에서 조공과 약탈을 거듭하며 세력을 떨쳤으며, 세종의 사군 육진 개척 당시의 주적이었다.[3]
아버지 석가노 사후에 건주위 지휘사를 상속받아, 처음에는 "회파강"의 "방주"에 거주했다. "방주"는 "방주"라고도 불리며, 휘발하 유역의 봉주 (봉주라고도 하며, 현 길림성 통화시 매하구시 산성진) 과 같은 땅을 가리킨다. 그 후 홀랄온 야인과 달단의 소요를 겪고 영락 21년 (1424년, 조선 세종 6년) 음력 4월, 압록강 지류 중 하나인 파저강 (동가강이라고도 하며, 현 혼강) 의 다회평 등으로의 이주를 칙허받아, 지휘 심시리합, 심자라로, 성사달, 동소로 등 1,000여 호를 이끌고, 파저강 (현 혼강) 강변에 있는 올랄산성 (현 요녕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환인진 오녀산성 남쪽 기슭) 일대까지 남천했다.
정통 7년 (1442년), 도지휘첨사 (정3품)에서 도독첨사 (정2품)로 승진. 정통 12년 (1447년), 도독첨사에서 도독동지 (종1품)로 승진했다.
성화 3년 (1467년) 음력 4월, 동산 등은 명나라의 회유를 받아들이고, 이고납하 등을 파견하여 입공하게 했다. 같은 해 음력 8월, 동산이 광녕에서 살해당하고, 이고납하는 건주로 도망쳐 돌아갔다. 같은 해 음력 9월, 명나라는 정로장군 조보 등에게 50,000명의 대군을 분대하여, 건주의 대본영인 불아랍 (페아라)을 습격하게 했다. 그와 동시에, 명나라는 조선의 병사에게 건주를 협격하게 했다. 조선은 강순, 남이, 어유소 등이 이끄는 조선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이고납합, 이타비랄을 비롯한 286명과 함께 살해당했다. 강순 등에게 10,000명 이상의 병마를 이끌고 소탕에 나서게 했고, 같은 해 음력 9월 2일, 조선군은 압록강을 건너, 29일, 파저강 (현 혼강) 연안에 사는 이만주 등의 여러 집락을 습격했다. 30일, 올미부가 함락되어 이만주 및 아들 이고납하와 관하 286명이 살해, 피살되었고, 성화 4년 (1468년) 음력 정월, 포로는 성화제에게 넘겨졌다. 성화 5년 (1469년), 고납하의 아들 완자독이 도독 첨사를 상속받았다.
2. 1. 초기 활동과 이주
이만주는 아버지 석가노 사후 건주위 지휘사를 상속받아 초기에는 회파강 방주(房州)에 거주했다.[3] 방주는 휘발하 유역의 봉주(현 길림성 통화시 매하구시 산성진)와 같은 땅을 가리킨다.[3] 이후 홀랄온 야인과 달단의 소요를 겪고 1424년(세종 6년) 음력 4월, 명나라의 허가를 받아 압록강 지류 중 하나인 파저강(婆猪江, 현 혼강) 유역으로 이주했다.[3] 이주 당시 지휘 심시리합, 심자라로, 성사달, 동소로 등 1,000여 호를 이끌고 파저강 강변의 올랄산성(현 요녕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환인진 오녀산성 남쪽 기슭) 일대에 정착했다.[3]2. 2. 명과의 관계
2. 3. 조선과의 관계
이만주는 15세기 중반 조선과 명나라 사이에서 조공과 약탈을 거듭하며 세력을 떨쳤다. 특히 세종의 사군 육진 개척 당시 조선의 주적이었다. 조선은 이만주 세력을 진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군사적 노력을 기울였다. 1467년(세조 13년) 강순, 남이, 어유소 등이 이끄는 조선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이고납합, 이타비랄을 비롯한 286명과 함께 살해당했다.2. 4. 최후
15세기 중반 이만주는 조선과 명나라 사이에서 조공과 약탈을 거듭하며 세력을 떨쳤으며, 세종의 사군 육진 개척 당시의 주적이었다. 1467년(조선 세조 13년) 강순, 남이, 어유소 등이 이끄는 조선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이고납합, 이타비랄을 비롯한 286명과 함께 살해당했다.3. 연표
선덕 원년 음력 정월, 건주위의 사인[4]으로서 명나라에 입조하였다.[5][6] 선덕 4년 음력 3월, 명나라 조정에 시위직을 요청했으나 부곡 통솔 문제로 거부되었다.[7] 선덕 5년 음력 3월, 명나라에 입공하였고,[8] 같은 해 음력 4월, 조선 영내 무역을 희망했으나 조선이 불허, 명나라는 요동 변경 무역을 허가하였다.[10]
선덕 10년 음력 2월, 홀랍온(해서) 경내 야인 여진의 약탈을 명나라에 상소하였다.[11] 같은 해 음력 11월, 이만주가 홀랍온 야인 여진과 결탁하여 조선 변경을 침범한다는 세종의 주청이 있었으나, 명나라는 출병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였다.[13]
정통 원년 음력 윤 6월, 파저강(현 혼강) 거주지가 홀랍온 야인 여진의 소요를 받자 요양 초하로 이주를 청원하였다.[15] 정통 3년 음력 2월, 건주위 농민이 조선군에게 살해당한 사건으로 명나라에 중재를 요청하였다.[17]
정통 7년 음력 정월, 도지휘첨사에서 도독첨사로 승진하였다.[24][25] 정통 9년 음력 정월, 명나라는 이만주의 주청을 받아들여 안툭을 지휘동지에서 지휘사로, 황한을 천호에서 지휘첨사로 승격시키고, 조장가, 관음불화, 창탑[29] 등에게 백호를 수여했다.[30] 같은해 음력 10월, 오량합 (둬옌위)의 요동 침범을 사전에 명나라에 통보하였다.[28]
정통 12년 음력 정월, 도독첨사에서 도독동지로 승진하였다.[39] 경태 원년 음력 5월, 명나라는 이만주가 오이라트와 내통한다고 의심하였다.[45]
성화 3년 명나라에 입공사를 파견하였다.[53] 같은 해, 조선 세조 13년에 강순, 남이, 어유소 등이 이끄는 조선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이고납합 등과 함께 살해당했다.[53]
4. 가족 관계
아버지: 석가노(釋加奴)[16]
아들: 이고납합(李古納哈) - 건주위 제4대 위주, 도독동지(종1품). 이만주와 함께 조선군에 의해 살해되었다.[53]
아들: 도희(都喜) - 부천호(종5품).[33]
아들: 흭적합(亦的哈)[59]
손자: 완자독(完者禿) - 건주위 제5대 위주, 도지휘첨사(정3품).[56][57]
증손자: 불랍답(弗喇答) - 완자독의 아들, 도독첨사(정2품). 요절했다.[58]
5. 평가 및 영향
이만주는 15세기 중반 조선과 명나라 사이에서 조공과 약탈을 반복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며, 세종의 사군 육진 개척 당시 조선의 주적이었다.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건주여진의 세력을 확장했으나, 주변국과의 잦은 마찰과 갈등을 유발했다. 조선과 명나라 양국에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되었으며, 특히 조선과의 지속적인 적대 관계는 조선의 대규모 토벌을 초래했다. 1467년(조선 세조 13년) 강순, 남이, 어유소 등이 이끄는 조선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이고납합, 이타비랄을 비롯한 286명과 함께 살해당했다. 이만주의 죽음은 건주여진의 세력 확장을 억제하고, 조선과 명나라의 국경 안정에 기여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위키백과
维基百科
[2]
위키백과
维基百科
[3]
위키백과
维基百科
[4]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https://kotobank.jp/[...]
小学館
[5]
서적
明宣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6]
위키백과
维基百科
[7]
서적
明宣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8]
서적
明宣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9]
서적
明宣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0]
서적
明宣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1]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2]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3]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4]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5]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6]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7]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8]
위키백과
维基百科
[19]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0]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1]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2]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3]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4]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5]
위키백과
维基百科
[26]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7]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8]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9]
문서
授頭目趙章加官音不花昌塔俱為百戶
[30]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1]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2]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3]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4]
문서
…「今改爲二邑厚昌慈城」との記入があるが、これは1869年に厚州郡と茂昌郡が合併し…
[35]
간행물
日本に所蔵される19世紀朝鮮全図に関する書誌学的研究 -『大東輿地図』および関連地図を中心に -
http://hist-geo.jp/i[...]
歴史地理学会
[36]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37]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38]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39]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0]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1]
문서
維基百科
[42]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3]
문서
独自研究範囲
[44]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5]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6]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7]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8]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9]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0]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1]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2]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3]
서적
明憲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4]
서적
清史稿
https://zh.wikisourc[...]
清史館
[55]
서적
明憲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6]
서적
明武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7]
문서
清史稿
[58]
서적
明孝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9]
서적
明英宗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