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바네 자바키슈빌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조지아의 역사, 문화,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170편 이상의 저서를 남긴 조지아의 역사가이다. 그는 1899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동양학부를 졸업하고, 베를린 대학교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스승 니코 마르와 함께 시나이산에서 중세 조지아어 필사본을 연구했다. 1908년과 1914년 사이에 출판된 그의 대표작 《조지아 민족의 역사》는 조지아와 코카서스 역사, 법률, 고문서, 외교, 음악, 연극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 획기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1918년 트빌리시에 조지아 최초의 정규 대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며, 트빌리시 국립대학교의 총장을 역임했다. 스탈린주의 대숙청 시기에도 학문 활동을 지속했으나, 1938년 대학교에서 물러나 조지아 국립박물관 역사 부서의 관리자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박물관을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역사가 - 이라클리 체레텔리
    이라클리 체레텔리는 1881년 조지아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 두마 의원, 러시아 임시 정부 장관을 역임하고 조지아 독립 운동에 참여했으며, 망명 후 회고록을 집필하다가 1959년에 사망한 사회주의 정치인이다.
  • 조지아의 역사가 -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는 (본문 내용 부족으로 추가 정보 필요) 인물이다.
  • 스탈린상 수상자 - 라술 감자토프
    다게스탄 공화국 출신 아바르인 시인 라술 감자토프는 캅카스 산맥의 자연과 풍속, 사랑, 우정을 소재로 시를 썼으며, 소련과 러시아에서 여러 훈장을 받으며 문학적 업적과 사회적 공로를 인정받았다.
  • 스탈린상 수상자 - 스뱌토슬라프 크누셰비츠키
    스뱌토슬라프 크누셰비츠키는 러시아의 첼리스트이자 교육자이며, 오이스트라흐 트리오를 결성하여 활동했고,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다가 알코올 중독으로 사망했다.
이바네 자바키슈빌리
기본 정보
이바네 자바키슈빌리
원어 이름ივანე ჯავახიშვილი
출생일1876년 4월 23일
출생지트빌리시, 러시아 제국
사망일1940년 11월 18일
사망지트빌리시, 그루지야 SSR, 소련
안장 장소트빌리시 국립 대학교 공원
국적러시아 제국→조지아 민주 공화국→소비에트 연방
직업작가, 역사학자, 출판인, 언어학자
알려진 이유트빌리시 국립 대학교 설립자
서명

2. 생애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러시아 제국의 티플리스(현 트빌리시)에서 알렉산드레 자바키슈빌리의 상류 계층 가문에서 태어났고, 트빌리시 체육관에서 교육자로 있었다. 그가 1899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의 동양학부를 졸업했을 때, 그의 모교에서 아르메니아와 조지아어학과의 학과정의 객원 강사가 되었다. 1901년부터 1902년까지, 그는 베를린 대학교의 객원 교수 학자였다. 1902년에, 그는 그의 성실한 조언자인, 니코 마르를 따라 시나이산으로 갔다. 그들은 그곳에서 중세 조지아어 원고들을 연구했다. 자바키슈빌리의 기념이 되는 첫 번째 책이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은, ''카르트벨리 에리스 이스토리아''(조지아의 국가의 역사) 1908년과 1914년에 나타났고, 그 젊은 학자는 스스로 조지아와 코카서스 역사, 조지아의 법률, 고문서, 외교, 음악, 극, 그리고 유적을 연구를 하는 다른 분야들에서 탁월한 권위를 빨리 확립시켰다.[12]

1918년 초반에, 그는 트빌리시에 조지아의 정규 종합 대학교를 설립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와같이 오랜 꿈의 실현은 조지아의 지성을 가진 세대들에게 소중히 여겨 졌지만, 러시아 제국의 권위에 의해 끊임없이 좌절되었다.[13] 트빌리시 대학교(오늘날 그의 이름이 남겨진 I. 자바키슈빌리 트빌리시 국립 대학교)는 자바키슈빌리가 교수가 되었고 조지아 역사학부의 학과장이 된 곳으로, 신속하게 조지아의 교육 생활의 중요한 위치를 맡았다. 1919년에, 자바키슈닐리는 저명한 화학자 페트레 멜리키슈빌리의 뒤를 이어 대학교의 두 번째 총장이 되었다. 1924년에는 그에게 반소비에트 8월의 반란의 여파가 있었고, 마르크시스트가 아닌 지성인들의 관용으로 반란이 축소되기 시작하였다. 그는 1926년 6월까지 총장직을 수행했다.[14] 그는 1935~1937년에 스탈린 스탈린주의자들의 대숙청의 희생자들에 둘러싸여 있었다. 그는 책의 출판과 제자를 가르침이 허락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숨겼다. 그러함은 아마도 그 대학교에서 그의 후계자가 나올때까지, 그가 목숨을 보존하려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15] 그는 1938년에 대학에서 물러나기를 강요받았지만, 곧바로 조지아 국립박물관의 역사 부서의 관리자로 임명되었다. 그는 1940년에 트빌리시에서 그가 죽을 때까지 그 박물관을 이끌었다. 그는 트빌리시 국립대학교의 묘지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러시아 제국 티플리스(현 트빌리시)에서 귀족 알렉산드레 자바키슈빌리의 아들로 태어났다.[12][1][7] 트빌리시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받은 후,[12][1][7] 1899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동양학부를 졸업하고, 모교에서 아르메니아어조지아어 문헌학과의 사강사가 되었다.[12][1][7] 1901년부터 1902년까지 베를린 대학교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12][1][7] 1902년, 스승인 니콜라이 마르를 따라 시나이산으로 가서 중세 조지아어 필사본을 연구했다.[12][1][7]

1908년과 1914년 사이에 기념비적인 저서 ''카르트벨리 에리스 이스토리아''(조지아 민족의 역사)의 첫 번째 권을 출판하여 조지아와 코카서스 역사, 조지아 법, 고문서학, 외교, 음악,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권위자로 빠르게 자리매김했다.[12][1][7]

2. 2. 학문적 활동과 업적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러시아 제국 티플리스(현 트빌리시)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1899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동양학부를 졸업하고 모교에서 아르메니아어와 조지아어 문헌학과의 사강사가 되었다.[12][1][7] 1901년부터 1902년까지 베를린 대학교에서 객원 교수 학자로 연구했다.[12][7] 1902년에는 스승인 니코 마르를 따라 시나이산으로 가서 중세 조지아어 원고들을 연구했다.[12][1][7]

1908년과 1914년 사이에 출판된 그의 기념비적인 저서 ''카르트벨리 에리스 이스토리아''(조지아 민족의 역사)는 조지아와 코카서스 역사, 법률, 고문서, 외교, 음악, 극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 획기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12][1][7]

1918년 초, 자바키슈빌리는 트빌리시에 조지아 최초의 정규 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3][2][8] 이는 조지아 지식인들의 오랜 꿈이었으나, 러시아 제국 당국에 의해 지속적으로 좌절되어 왔다.[13][2] 이바네 자바키슈빌리 트빌리시 국립 대학교는 그가 교수로 재직하며 조지아 역사학부 학과장을 역임한 곳으로, 조지아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13] 1919년, 자바키슈빌리는 페트레 멜리키슈빌리의 뒤를 이어 대학교의 두 번째 총장이 되었고, 1926년 6월까지 재직했다.[14][4][9]

1938년 조지아 국립박물관 역사 부서의 관리자로 임명되어 1940년 사망할 때까지 박물관을 이끌었으며, 트빌리시 국립대학교 묘지에 안장되었다.[15][5][10]

2. 3. 소련 시기와 박해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1918년 트빌리시에 조지아 최초의 정규 대학교를 설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8] 이는 조지아 지식인들의 오랜 꿈이었으나, 러시아 제국 당국에 의해 지속적으로 좌절되었다.[2] 1919년, 자바키슈빌리는 페트레 멜리키슈빌리의 뒤를 이어 트빌리시 대학교(오늘날 그의 이름이 남겨진 I. 자바키슈빌리 트빌리시 국립 대학교)의 두 번째 총장이 되었다.[4][9] 1924년 8월 봉기 이후, 비마르크스주의 지식인에 대한 관용이 줄어들면서 어려움을 겪었다.[4][9] 1926년 6월까지 총장직을 수행했다.[4]

1936년, TSU 총장 K. 오라그벨리제가 그의 과학적 연구를 비판하는 논문을 역사 학부에 제출하면서 자바키슈빌리에 대한 탄압이 심화되었다. 소련의 억압 위협 아래, 자바키슈빌리의 대부분의 동료와 학생들은 지지를 표명하지 못했다.[3]

스탈린주의 대숙청(1936–7) 시기에도 학문 활동은 지속했지만,[5] 1938년 대학교에서 물러나야 했다.[5][10] 그는 곧바로 조지아 국립박물관의 역사 부서의 관리자로 임명되어 1940년 사망할 때까지 그 박물관을 이끌었다.[10] 그는 트빌리시 국립대학교의 묘지에 묻혔다.

2. 4. 말년과 죽음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1938년 트빌리시 국립대학교에서 강제로 물러나야 했지만,[15][5][10] 곧바로 조지아 국립박물관 역사 부서의 관리자로 임명되었다.[15][10] 그는 1940년 사망할 때까지 그 박물관을 이끌었으며, 트빌리시 국립대학교 묘지에 안장되었다.[15][10]

3. 유산과 작품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조지아의 정치, 문화,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170편이 넘는 저서를 남겼다.[16][11] 1908년에 초판이 출간된 그의 대표작 《조지아 민족의 역사(1908년~1949년)는 근대 이전 조지아 역사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고 영향력 있는 저서 중 하나로 평가받지만, 다른 언어로는 번역되지 않았다.[16][11] 《조지아 민족의 역사》를 포함한 자바키슈빌리의 주요 저작들은 1977년부터 1998년까지 12권으로 구성된 전집에 재수록되었다.[16][11]

3. 1. 주요 저서와 논문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조지아의 정치, 문화,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170편이 넘는 저서를 남겼다.[16][11] 1908년에 초판이 출간된 그의 대표작 《조지아 민족의 역사(1908년~1949년)는 근대 이전 조지아 역사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고 영향력 있는 저서 중 하나로 평가받지만, 다른 언어로는 번역되지 않았다.[16][11] 《조지아 민족의 역사》를 포함한 자바키슈빌리의 주요 저작들은 1977년부터 1998년까지 12권으로 구성된 전집에 재수록되었다.[16][11]

3. 2. 학문적 영향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조지아의 정치, 문화, 사회, 경제 역사의 다양한 해석을 다룬 170권이 넘는 작품을 저술했다.[16] 1908년 초판이 출간된 그의 주된 작품은 ''조지아의 나라의 역사''(1908년과 1949년 사이에 완성본이 출판됨)이며, 전근대 조지아의 역사의 가장 포괄적이고 감동적인 대우를 받는 작품 중 하나로 남아있다. 유감스럽게도, 그 작품은 어떤 다른 언어들로도 번역되지 않고있다.[16] 『조지아 민족의 역사』를 포함한 자바키슈빌리의 가장 영향력 있는 여러 논문과 책들은 1977년부터 1998년까지 그의 12권의 전집에 재수록되었다.[11][16]

3. 3. 재평가와 기념

이바네 자바키슈빌리는 조지아의 정치, 문화, 사회, 경제 역사의 다양한 측면을 다룬 170편이 넘는 저서를 저술했다.[16] 1908년 초판이 출간된 그의 주요 저서 《조지아 민족의 역사》(1908~1949년 완성)는 근대 이전 조지아 역사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고 영향력 있는 연구 중 하나로 남아있지만, 다른 언어로는 번역되지 않았다.[11] 1977년부터 1998년까지 그의 작품은 12권으로 다시 출판되었다.[16]

4. 한국 역사학과의 비교 연구

4. 1. 일제강점기 한국 역사학과의 유사점

4. 2. 일제강점기 한국 역사학과의 차이점

4. 3. 비교 연구의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Javakhishvili, Ivane http://www.georgianb[...] 2007-07-03
[2] 서적 A Modern History of Georgia Weidenfeld and Nicolson
[3]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tsu.edu.g[...] 2023-02-06
[4]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5] 서적
[6]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7] 웹사이트 Javakhishvili, Ivane http://www.georgianb[...] 2007-07-03
[8] 서적 A Modern History of Georgia Weidenfeld and Nicolson
[9]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0] 서적
[11]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12] 웹사이트 Javakhishvili, Ivane http://www.georgianb[...] 2007-07-03
[13] 서적 A Modern History of Georgia Weidenfeld and Nicolson
[14]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5] 서적
[16]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