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오십칠각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이백오십칠각형은 257개의 변과 꼭짓점을 가진 다각형이다. 중심각과 외각은 약 1.4°, 내각은 약 178.6°이며, 한 변의 길이가 a일 때 면적은 약 5255.75062a²이다. 정이백오십칠각형은 자와 컴퍼스를 사용하여 작도할 수 있으며, 이는 257이 페르마 소수이기 때문이다. 1832년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리셸로와 슈베덴바인은 작도 방법을 발표했다. 정이백오십칠각형은 Dih₂₅₇ 이면각 대칭을 가지며, 257-그램이라는 별 다각형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가우스 법칙
가우스 법칙은 전기장과 전하 분포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자기학의 기본 법칙으로, 폐곡면을 통과하는 전기장의 플럭스는 그 곡면 내부의 알짜 전하량에 비례하며, 맥스웰 방정식의 일부로 고전 전자기학의 기초를 이룬다.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작도가능한 다각형 - 정삼각형
정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이 60°인 삼각형으로, 이등변삼각형의 특수한 형태이며 내심, 외심, 무게중심이 일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작도가능한 다각형 - 오각형
다섯 변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인 오각형은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정오각형을 포함하며, 정오각형은 컴퍼스와 자로 작도할 수 있고 자연에서도 발견된다. - 유클리드 평면기하학 -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정리로, a² + b² = c²으로 표현되며,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여러 지역에서 알려졌으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진다. - 유클리드 평면기하학 - 스튜어트 정리
스튜어트 정리는 삼각형의 변과 체바 선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하학 정리이며, 아폴로니우스 정리를 포함하고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이백오십칠각형 | |
---|---|
다각형 정보 | |
종류 | 정다각형 |
변의 수 | 257 |
꼭짓점의 수 | 257 |
슈플리 기호 | {257} |
성질 | 볼록 |
각도 | |
내각의 합 | 45900° |
한 내각 | 약 178.599° |
한 외각 | 약 1.401° |
작도 가능성 | |
작도 가능 | 작도 가능함 |
이유 | 257은 페르마 소수임 |
기타 정보 | |
관련 항목 | 다각형, 기하학 |
2. 성질
정이백오십칠각형의 중심각과 외각은 약 1.4°이며, 내각은 약 178.6°이다.
정이백오십칠각형은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작도할 수 있는 다각형이다. 일반적으로 홀수 소수 ''p''에 대해 정''p''각형이 작도 가능하려면, ''p''가 페르마 소수여야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페르마 소수는 3, 5, 17, 257, 65537 다섯 개뿐이며[6][7], 이에 해당하는 정다각형은 정삼각형, 정오각형, 정십칠각형, 정이백오십칠각형, 정육만오천오백삼십칠각형이다.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이백오십칠각형의 면적(A)은 다음과 같다.
전체 정이백오십칠각형은 시각적으로 원과 구별하기 어려우며, 둘레는 외접원의 둘레와 약 24 ppm 차이가 난다.
3. 작도 가능성
257은 223 + 1 형태로 표현되는 페르마 소수이기 때문에 정이백오십칠각형은 작도가 가능하다. 이러한 작도 가능성은 수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삼각함수에서 각이 2π/257 rad일 때 그 함수의 값이 유리수와 제곱근의 조합만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과 의 값은 128차 대수적 수이며, 다른 모든 작도 가능 수와 마찬가지로 제곱근만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가우스는 1801년에 이미 정이백오십칠각형의 작도 가능성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 구체적인 작도 방법은 1832년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리셸로와 슈베덴바인에 의해 발표되었다.[2][6][7]
3. 1. 작도 방법
정이백오십칠각형은 자와 컴퍼스만으로 작도가 가능한 다각형이다. 일반적으로 홀수 소수 ''p''에 대해 정''p''각형이 작도 가능하려면, ''p''가 페르마 소수여야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페르마 소수는 3, 5, 17, 257, 65537뿐이며, 이에 따라 작도 가능한 정다각형은 정삼각형, 정오각형, 정십칠각형, 정이백오십칠각형, 정육만오천오백삼십칠각형 다섯 가지뿐이다.
정이백오십칠각형이 작도 가능하다는 사실은 수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는 삼각함수에서 각이 2π/257 rad일 때, 그 값이 유리수와 제곱근만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6][7] 예를 들어, cos(π/257)과 cos(2π/257)의 값은 128차 대수적 수이며, 모든 작도 가능 수와 마찬가지로 제곱근만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가우스는 1801년에 이미 정이백오십칠각형이 작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작도 방법을 명시적으로 제시한 것은 1822년 마그누스 게오르그 파우커가 처음이었다.[1] 이후 1832년에는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리셸로와 슈베덴바인이 자와 컴퍼스만을 이용한 구체적인 작도 방법을 발표했다.[6][7][2]
리셸로 등이 제시한 방법 외에도 다른 작도법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총 150개의 원을 사용하는 방법인데, 이 중 24개는 칼라일 원이다. 이 방법은 이차 방정식 ''x''2 + ''x'' − 64 = 0의 해를 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3]
아래는 칼라일 원을 이용한 작도 과정의 단계별 예시이다.
4. 대칭성
정이백오십칠각형은 Dih257 대칭, 차수 514를 갖는다. 257은 소수이므로, 한 개의 이면각 부분군: Dih1, 그리고 두 개의 순환군 대칭: Z257 및 Z1이 존재한다.
5. 257-그램
257-그램은 257개의 변을 가진 별 다각형이다. 257은 소수이므로, 슐래플리 기호 {257/''n''}으로 표현되는 정규 257-그램은 정수 ''n''이 2부터 128까지일 때 총 127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257/128}은 257개의 거의 방사형인 모서리를 가지며, 각 별 꼭짓점에서의 내각 크기는 180°/257 (약 0.7°)이다.
참조
[1]
논문
Das regelmäßige Zweyhundersiebenundfunfzig-Eck im Kreise.
https://books.google[...]
2015-12-08
[2]
논문
De resolutione algebraica aequationis x257 = 1, ...
http://gdz.sub.uni-g[...]
2015-12-08
[3]
논문
Carlyle circles and Lemoine simplicity of polygon constructions
http://apollonius.ma[...]
2011-11-06
[4]
논문
De resolutione algebraica aequationis X257 = 1, sive de divisione circuli per bisectionem anguli septies repetitam in partes 257 inter se aequales commentatio coronata
http://www.digizeits[...]
[5]
서적
Introduction to Geometry
Wiley
[6]
저널
De resolutione algebraica aequationis Xsup257/sup = 1, sive de divisione circuli per bisectionem anguli septies repetitam in partes 257 inter se aequales commentatio coronata
http://www.digizeits[...]
[7]
서적
Introduction to Geometry
Wi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