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병길은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자이다. 그는 이완용의 손자이며, 1905년에 태어나 부유한 환경에서 자랐다. 일본 유학 후 재산을 모았으며, 1937년 동요회 이사장을 지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국방헌금을 헌납하고,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등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다. 광복 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1950년에 사망했다. 2004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인정되었고, 2007년에는 재산 환수 결정이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후작 - 이해창 (조선귀족)
이해창은 조선 후기 왕족이자 대한제국 관료, 조선귀족으로, 창산군에 봉해졌으며 한일 병합 후 후작 작위를 받았으나 친일 행적으로 비판받고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조선후작 - 이달용
이달용은 대한제국 시기 관료를 지내고 한일 병합 후 조선총독부 관료로 근무하며 남작 작위를 받았고, 조선생명보험 부사장, 한성은행 대주주 등으로 재산을 축적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된 인물이다. - 우봉 이씨 - 이병린
이병린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변호사로 활동하며 서울변호사회 부회장, 대한변호사협회 회장을 역임했고, 6.3 사태 당시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구속되었으며,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공동대표와 유신헌법 철폐 운동을 주도하며 인권 운동에도 힘썼고, 법치주의 확립과 사법권 독립을 강조하며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인물이다. - 우봉 이씨 - 이어령
이어령은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소설가, 언론인, 교수, 국어학자이자 초대 문화부 장관을 역임한 공무원으로, 사회 비평, 교육 활동, 올림픽 기획, 저술 활동 등을 통해 한국과 일본, 디지털 시대 문명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고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 가계도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 가계도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이병길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병길 |
한글 | 이병길 |
한자 | 李丙吉 |
가타카나 | 이 비ョン길 |
2. 생애
이병길은 1905년 이항구의 장남으로 태어나 이완용의 장손으로 입적되었다. 부유한 환경에서 성장하여 일본 유학을 다녀왔으며, 재산 관리에도 능숙했다.[3] 1926년 이완용이 사망하자 후작 작위를 물려받았다. 조선총독부 학무국 편집 촉탁을 거쳐,[1] 1934년 궁내성 식부직 어용계에 임명되었다.[1] 1939년부터 국민정신총동원 조선 연맹 참사를 겸임했고,[1] 1941년 퇴관 후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에 임명되었다.
1940년 조선생명보험 주식회사 이사, 동아합동목재 주식회사 이사에 취임했으며, 1941년에는 강원약업 주식회사 이사, 경성건물 주식회사 대표이사에 취임했다.[1] 1943년 국민총력조선연맹 평의원에 임명되었고, 북청철산 주식회사, 강원생약 주식회사, 강원임업 주식회사 이사를 겸임했다.[1] 1945년 조선생명징병보험 주식회사 이사에 취임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이병길은 1905년 이항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이완용의 차남 이항구의 장남이었으나, 이완용의 장남 이승구가 젊어서 사망하자 이승구의 호적에 입적되어 이완용의 장손이 되었다.[3] 이병길은 부유한 환경에서 성장하여 일본으로 유학을 갔으며, 학습원 고등과를 졸업하고[1] 1927년 교토 제국대학에 입학했다.[1] 1931년 대학교를 졸업했다.[1]2. 2. 친일 활동
이완용의 차남 이항구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나, 젊어서 사망한 백부 이승구의 호적에 입적되어 이완용의 장손이 되었다. 부유한 환경에서 자라 일본에 유학했고, 재산 관리에도 밝아 많은 재산을 모았다.[3] 1937년 조선귀족들로 구성된 동요회 이사장이 되었고, 같은 해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국방헌금을 모아 헌납하였다.[4] 1938년에는 조선총독부가 전쟁 지원을 위해 결성한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에 발기인이자 참사로 가담하였고, 배영동지회 이사, 조선임전보국단 이사,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 등을 역임했다.[5] 광복 후 반민족행위처벌법에 의해 체포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 실종되었다.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에서 발표한 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할아버지 이완용, 아버지 이항구와 함께 3대가 모두 선정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는 이병길과 이완용의 재산을 국가로 환수하기로 결정했다.[6]
2. 3. 광복 이후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어 징역 2년, 집행유예 5년, 전라북도 소유 임야의 2분의 1을 몰수당하는 판결을 받았다.[1] 한국 전쟁 중 실종되었으며, 1950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에서 발표한 반민족행위자에 할아버지 이완용, 아버지 이항구와 함께 3대가 모두 선정되었다. 2004년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인정되었으며,[1]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는 이병길과 이완용의 재산을 국가로 환수하기로 결정했다.[6]
3. 가족 관계
4. 수상
참조
[1]
백과사전
이병길(李丙吉)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2]
간행물
官報 第4438号・付録「辞令二」
1941-10-23
[3]
서적
한국사 이야기 20 (우리 힘으로 나라를 찾겠다)
한길사
2004-05-01
[4]
서적
해방전후사의 인식 (1)
한길사
2004-05-20
[5]
뉴스
친일파 이병길 토지 18필지 환수결정
http://www.kukinews.[...]
쿠키뉴스
2007-05-03
[6]
뉴스
재산 환수되는 친일파 9인은 누구? - 권중현·이완용 등 을사오적 중 일부 포함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7-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