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타 발전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는 일본 에히메현에 위치한 가압수형 경수로(PWR) 원자력 발전소로, 총 3기의 원자로를 갖추고 있다. 1호기와 2호기는 해체되었으며, 3호기는 1994년 상업 운전을 시작하여 2022년에 재가동되었다. 발전소는 난카이 트로프 지진의 예상 진원역과 중앙구조선 단층대에 인접해 있어 지진 및 쓰나미 위험에 대한 안전 대책이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는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반대 운동과 소송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시코쿠 전력 원자력 본부는 2011년 마쓰야마시로 이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카타 발전소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일본 |
좌표 | 33 |
운영자 | 시코쿠 전력 회사 |
건설 시작일 | 1973년 9월 1일 |
가동 시작일 | 1977년 9월 30일 |
상태 | 운영 중 |
냉각원 | 이요나다 해 |
웹사이트 | 이카타 발전소 |
부지 면적 | 86 헥타르 |
발전소 정보 | |
원자로 형식 | PWR (가압 경수로) |
가동 중인 유닛 | 1 x 566 MW, 1 x 890 MW |
폐쇄된 유닛 | 1 x 566 MW |
전기 용량 | 1,456 MW |
연간 발전량 | 603.4 GWh |
설비 이용률 | 4.73% |
연료 종류 | 저농축 이산화 우라늄 |
연료 사용량 | 49 톤 (1, 2호기), 74 톤 (3호기) |
원자로 정보 (1호기) | |
착공일 | 1973년 6월 |
상업 운전 시작일 | 1977년 9월 30일 |
냉각수 사용량 | 38 톤 |
냉각 방식 | 심층 취수 |
원자로 정보 (2호기) | |
착공일 | 1978년 2월 |
상업 운전 시작일 | 1982년 3월 19일 |
냉각수 사용량 | 38 톤 |
냉각 방식 | 심층 취수 |
원자로 정보 (3호기) | |
착공일 | 1986년 11월 |
상업 운전 시작일 | 1994년 12월 15일 |
연료 | 저농축 이산화 우라늄, 우라늄・플루토늄 혼합 산화물 |
냉각수 사용량 | 65 톤 |
냉각 방식 | 심층 취수 |
2. 발전 설비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는 3기의 가압수형 경수로(PWR)로 구성되어 있다. 1호기와 2호기는 미쓰비시 중공업이 시공한 2루프 방식이며, 3호기는 미쓰비시 중공업과 웨스팅하우스가 함께 시공한 3루프 방식이다.[4]
호기 | 원자로 형식 | 정격 전기 출력 | 최초 임계 | 상업 운전 개시 | 시공·형식 | 현황 |
---|---|---|---|---|---|---|
1호기 | 가압수형 경수로 | 56.6만kW | 1977년 2월 17일 | 1977년 9월 30일 | 미쓰비시·2 루프 | 폐로 작업 중 |
2호기 | 1981년 8월 19일 | 1982년 3월 19일 | ||||
3호기 | 가압수형 경수로 | 89.0만kW | 1994년 3월 29일 | 1994년 12월 15일 | WH, 미쓰비시·3 루프[25] | 2022년 1월 24일부터 운전 재개[26] |
3기가 모두 가동되었을 당시, 이카타 원전은 시코쿠 전체 전력의 약 40% 이상을 공급한다고 홍보되었으나, 실제로는 시코쿠 전력 설비 용량의 약 20% 정도를 차지했다.[24] 하지만, 정기 점검 등으로 다른 발전소가 멈추는 경우도 있어, 실제 발전량 기준으로 40%를 넘는 경우도 있었다.
2. 1. 1호기
1977년 9월 30일 운전을 시작했으며, 2016년 5월 10일 폐로되었다. 정격 전기 출력은 56.6만kW이며, 미쓰비시 중공업이 시공을 맡았다. (2루프 방식) 원자로는 가압수형 경수로이다.[4]
2. 2. 2호기
1981년 8월 19일 최초 임계에 도달하였고, 1982년 3월 19일 운전을 시작하였다. 정격 전기 출력은 56.6만kW이며, 미쓰비시 중공업이 시공한 2루프 방식의 가압수형 경수로이다. 2018년 5월 23일 폐로되었다.
2. 3. 3호기
1994년 12월 15일 운전을 시작하여 현재 가동 중이다.[4] 정격 전기 출력은 89.0만kW이며, 웨스팅하우스와 미쓰비시 중공업이 3루프 방식으로 시공하였다.[25] 2022년 1월 24일부터 운전을 재개했다.[26]
1972년 11월, 1호기 원자로 설치가 허가되었고, 1977년 9월 30일 운전이 개시되었다.[49] 1977년 1월 1호기가 최초 임계에 도달했으며, 같은 해 3월에는 2호기 원자로 설치가 허가되었다. 1982년 3월 19일에는 2호기 운전이 개시되었다.[50] 1994년 12월 15일, 3호기 운전이 개시되었다.[51]
3. 주요 연혁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영향으로 2012년 1월 13일부터 이카타 발전소의 송전은 전면 중단되었다. 이후, 원자력 규제 위원회의 신규제 기준에 대한 적합성 확인 신청 및 승인 과정을 거쳐 2016년 8월 22일, 3호기가 정격 열출력으로 재가동되었다.
2016년 5월 10일 1호기 운전이 종료되었고, 2017년 6월 28일 원자력 규제 위원회는 1호기 폐지 조치 계획을 인가했다. 같은 해 9월 8일, 에히메현 및 이카타정은 1호기 폐지 조치 계획을 승인했다. 2018년 5월 23일에는 2호기가 폐로되었다.
2017년 12월 13일, 히로시마 고등법원은 3호기 운전 중단을 결정했으나, 2021년 3월 18일 이의를 인정하여 재가동을 용인하는 결정을 내렸다.
2021년 6월 24일, 발전소 중대 사고에 대응하는 요원이 숙직 근무 중 무단 외출한 것이 발각되어 3호기 재가동이 연기되기도 했다. 2022년 1월 24일, 3호기는 정기 검사를 마치고 정상 운전을 재개했다.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유치 및 운영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반대 운동도 있었다. 1969년 10월 13일,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유치 반대 공투위원회가 결성되었고,[49] 1970년 10월에는 이카타 정 원자력 발전소 유치 반대 공투 회의가 결성되었다.[50] 1982년과 1985년에는 3호기 증설 관련 공개 청문회 저지 투쟁이 벌어지기도 했다.[51]
3. 1. 건설 및 초기 운영
伊方原子力発電所일본어 1호기는 1972년 11월에 원자로 설치 허가를 받고, 1973년 6월에 건설을 시작하여 1977년 9월 30일에 운전을 개시했다.[49] 2호기는 1977년 3월에 원자로 설치 허가를 받고, 1978년 2월에 건설을 시작하여 1982년 3월 19일에 운전을 개시했다.[50] 3호기는 1986년 5월에 원자로 설치 허가를 받고, 같은 해 11월에 건설을 시작하여 1994년 12월 15일에 운전을 개시했다.[51]
각 원자로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호기 | 원자로 방식 | 정격 전기 출력 | 시공사 | 운전 개시일 |
---|---|---|---|---|
1호기 | 가압수형 경수로 | 56.6만 킬로와트 | 미쓰비시중공업 (2루프) | 1977년 9월 30일 |
2호기 | 가압수형 경수로 | 56.6만 킬로와트 | 미쓰비시중공업 (2루프) | 1982년 3월 19일 |
3호기 | 가압수형 경수로 | 89.0만 킬로와트 | 웨스팅하우스, 미쓰비시중공업 (3루프) | 1994년 12월 15일 |
1976년 3월에는 시코쿠 전력, 에히메현, 이카타정이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안전 확보 및 환경 보전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1985년 4월과 2013년 8월에 일부 개정되었다.
3. 2.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이후, 일본 정부는 모든 원자로에 대해 안전 점검 (스트레스 테스트)을 요구했다.[7] 이카타 발전소도 안전 점검을 위해 가동이 중단되었다.- 2011년 9월 4일, 1호기가 정기 점검을 위해 가동을 중단했다.[7]
- 2012년 1월 13일, 모든 발전기의 송전이 중단되었다.
- 에히메현 정부는 안전성 검사 결과가 나온 후에 가동 재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7]
- 시코쿠 전력은 3호기 가동이 재개되지 않으면 전력 수요가 높은 겨울철에 전력 공급이 매우 빠듯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7]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가 재가동 되기까지의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 2016년 4월 19일, 3호기는 원자력규제위원회(NRA)로부터 재가동에 대한 최종 승인을 받았다.[10]
- 2016년 6월 27일, 시코쿠 전력은 157개의 연료 집합체를 장전했으며, 이 중 16개는 우라늄-플루토늄 혼합 산화물(MOX) 연료였다.[11]
- 2016년 8월 12일, 3호기는 재가동되어, 8월 13일에 핵임계에 도달, 9월 7일에 상업 운전을 재개했다.[12]
- 2016년 5월 10일, 1호기가 폐로되었다.
- 2017년 12월 13일, 히로시마 고등 법원은 하급 법원의 결정을 뒤집고, 2018년 9월 말까지 해당 원전의 가동 중단을 명령했다. 시코쿠 전력은 항소할 계획이었다. 이 분쟁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더 엄격해진 규제 하에서 지진 위험 평가를 중심으로 벌어졌다.[13]
- 2018년 5월 23일, 2호기가 폐로되었다.
- 2020년 1월, 고등 법원은 3호기 운영에 대한 추가적인 금지 명령을 내렸는데, 그 이유 중 일부는 인근의 활성 단층에 대한 전면적인 지질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활성 단층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4]
- 2021년 3월, 히로시마 고등법원은 발전소 운영 측의 항소를 받아들여 가처분 결정을 취소하고, 가동 재개를 허용했다. 법원은 주민들이 원자력 발전소로 인한 위험에 대한 입증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15]
- 2021년 12월 2일, 3호기는 재가동되었다.[16]
원전 가동 중단으로 인해 야와타하마시와 이카타정은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작업원 수 감소로 여관, 음식점 등이 어려움을 겪자, 야와타하마시와 이카타정은 경기 부양책으로 버스 투어 보조금 지급, 여관 할인권 발행 등을 시행했다.
2013년 6월, 야마시타 가즈히코 이카타 정장은 원전에 크게 의존한 지역 진흥책을 재검토하고 관광을 새로운 경제 진흥책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2014년부터 약 2억엔의 관련 사업비를 예산에 포함, 온천 시설 및 페리 터미널 정비, 감귤·어개류 직매소 설치, 가메가이케 온천 숙박 시설 신설, 동양 의학 여행 플랜 포함, 사다미사키 등대 (시코쿠 최서단) 관광 거점화 (카페, 바비큐장 정비) 등을 추진했다.
하지만, 이카타정은 접근성이 좋지 않아 과제 극복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았다. 이카타정 세입의 약 30%는 전원 3법 교부금 및 고정 자산세 등 "원전 머니"로, 정장은 신산업 창출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도 "탈원전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2018년 4월 등대 100주년까지 관광 관련 사업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었다.
2016년 8월 12일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 이후, 이카타정에서는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4. 안전 대책 및 기술적 성과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는 시코쿠 섬 최서부 사다미사키 반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재해와 중대 사고에 대비하여 다양한 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 중대 사고 대책: 긴급 상황 발생 시 대응 거점으로서 긴급시 대책소를 설치하고, 격납 용기 내 수소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수소 처리 장치를 설치하였다. 또한, 대형 방수포와 대형 펌프차를 배치하여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대비하고 있다.[23]
3기가 가동되었을 당시, 이카타 원전은 "시코쿠 전체 전력의 약 40% 이상을 공급한다"라고 홍보되었지만, 실제 요시코 전력의 설비 용량 합계는 20% 남짓이었다.[24] 그러나 정기 점검 등으로 휴지하는 경우가 있고, 통상 출력 100%로 정기 운전하기 때문에 실제 발전량 기준으로는 40%를 넘는 경우도 있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영향으로 2012년 1월 13일부터 모든 발전기가 정기 검사에 들어가 송전이 중단되기도 했다.[54] 이후 2016년 8월 12일, 3호기가 재가동되었으나[55], 각지에서 소송이 이어졌다. 2019년 12월 26일부터 정기 점검에 들어갔으며[44], 2020년 1월 16일, MOX 연료 16개를 포함한 원자로 내 모든 연료 157개의 반출을 완료했다.[56] 2021년 12월에 재가동되었다.[58]

이카타 원전 근처에는 거대한 활단층대 (중앙구조선 단층대)가 있으며, 이 활단층대에 포함된 해저 활단층이 대지진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는 주장이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소송에서 제기되었다. 그러나 당시 국내 지진학계에서는 지진의 활단층설에 부정적인 의견이 지배적이어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64]
2011년 2월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중앙구조선 단층대의 장기 평가[65]에서 이카타 원전 근처 활단층이 활동하면 규모 8.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향후 30년 이내에 지진 발생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고 발표했다.
2012년에는 1596년 9월 1일에 일어난 게이초 지진 (중앙구조선 단층대가 진원) 발생 시 이카타 원전 부근에 10~15m의 대쓰나미가 도달했을 가능성이 발표되었다.[66] 도시 요시노리 (전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는 분고 지진이 이요 지진과 연동하여 발생하여 지진 및 쓰나미 규모가 예상보다 컸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카타 원전은 10m 높이에 있고, 시코쿠 전력은 14m 강도의 쓰나미에도 대비하고 있지만, 직하형 지진 후 10m 이상 쓰나미로 침수되면 예상 밖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67] 시코쿠 전력은 이카타 원전 부근에 당시 대쓰나미 흔적이 없고, 벳푸만에서 단층이 세로로 어긋나 대쓰나미를 일으켰지만 이카타 원전 앞바다 단층은 가로로 어긋나 쓰나미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사한 지진 발생 시에도 이카타 원전 내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68]
4. 1. 지진 및 쓰나미 대책
시코쿠 섬 최서부 사다미사키 반도에 있는 이카타 발전소는 지진 및 쓰나미에 대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진 대책: 난카이 해구 거대 지진과 중앙구조선 단층에 의한 지진 등을 고려하여 최대 규모의 지진(650갈[74][76])을 상정하고 있다. 주요 건물은 튼튼한 암반 위에 설치되어 지진의 영향을 줄였다.
- 침수 대책: 최대 8.1m의 쓰나미가 예상되지만, 발전소는 해발 10m에 있어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밀문(두께 35cm) 설치 및 해수 펌프 침수 방지 대책을 통해 침수에 대비하고 있다.
- 냉각 수단 확보: 냉각식 비상용 발전 장치, 복수의 전원차, 중형 펌프차 및 수중 펌프를 분산 배치하여 냉각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배전선은 해발 95m의 변전소에서 2개 루트로 부설되어 있다.
내각부는 난카이 트로프 거대 지진 발생 시 이카타정에 최대 21m의 쓰나미가 도달할 수 있다고 예상했지만[71], 시코쿠 전력은 이카타 원전 부근에서는 최대 3m의 수위 상승을 예상했다[72]。
원자력규제위원회는 3호기 심사에서 기준 지진동을 570갈에서 650갈로 상향했고[74][76], 시코쿠 전력은 약 1000갈의 지진동에 대응할 수 있는 내진성 향상 공사를 했다[75]。
하지만, 오카무라 마코토(고치 대학)는 활단층이 진원이 될 경우 제어봉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고[76], 이시바시 가쓰히코(고베 대학)는 액상화 현상, 지반 침하, 전 교류 전원 상실 가능성을 지적했다[77]。
4. 2. 기술적 성과
2003년 8월 13일, 사용후 핵연료의 최대 연소도를 48,000 MWd/톤에서 55,000 MWd/톤으로 향상시켰다.[5]2006년 1월 미쓰비시 중공업은 1호기 원자로 내부 구조물 교체를 완료했는데, 이는 PWR 원자로의 노심 내부 구조물을 한 번에 추출하고 교체하는 세계 최초의 사례였다. 더 많은 제어봉을 수용하고 더 높은 핵연료 연소도를 허용하기 위해 원자로의 상부 및 하부 내부 구조물이 교체되었다.[5]
2010년에는 부분적인 MOX 연료 노심이 3호기에 장전되었다.[6]
5. 지역 경제에 대한 영향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건설로 많은 작업자들이 이카타정에서 일하면서 건설업과 서비스업(숙박업 등)에서 수요가 크게 늘었다. 하지만 건설업과 숙박업은 대규모 공사나 정기 검사 시기에만 수요가 급증하고, 그 외 시기에는 일이 줄어들어 경영이 불안정했다. 이카타정에는 상점이나 유흥 시설이 부족하여, 야와타하마시나 호나이정에 숙박하는 작업자도 많았다. 건설업도 현지 업체는 하청이 대부분이었고, 건설비는 주로 마을 밖으로 유출되었다. 1984년 상공업 협동조합이 결성되어 시코쿠 전력과 관련 회사에 현지 상품 구입, 지역 주민 우선 고용, 노동자의 현지 숙박을 요구했지만, 시코쿠 전력 측은 따를 의무가 없어 큰 효과는 없었다. 농업은 임금이 높은 원전 작업에 노동력을 빼앗기고, 고령화와 후계자 부족으로 쇠퇴했다.[59]
원전 가동 후에도 이카타정의 인구는 감소했다. 건설 당시 잠시 증가했지만, 1965년 9,924명에서 2003년 6,746명으로 줄었다. 지역 산업이 빈약하고, 원전 관련 고용도 제한적이어서 젊은층의 유출이 심했다. 다만, 인구 감소 정도는 같은 사다미사키 반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완만했다.[59]
이카타정의 재정력 지수는 1966년부터 1973년까지 평균 0.13으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시코쿠 전력의 마을 세와 전원개발3법 교부금 등으로 1983년 이후에는 지방 교부세(보통 교부세)를 받지 않는 단체가 되는 등 재정이 좋아졌다. 1966년 마을 보통 회계 세입은 2억 7,183만 엔이었으나, 1974년에는 16억 1,415만 엔, 2003년에는 71억 8,454만 엔으로 크게 증가했다. 시코쿠 전력의 마을 세는 고정 자산세, 주민세, 전기세(1989년까지)였으며, 이는 전원 개발 3법 교부금보다 훨씬 컸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소는 감가상각으로 시간이 지나면 고정 자산세가 감소한다. 이카타정에는 하코모노가 많아 건설비와 유지비에 많은 경비가 투입되었고, 주민들에게는 원자력 발전 시설 등 주변 지역 교부금(전기 요금 할인)이 지급되었다.[59]
고이즈미 내각은 지방 교부세 제도를 개편하고 헤이세이 대합병을 추진하여, 많은 시정촌이 합병했다. 지방 교부세 감소로, 원래 재정이 좋지 않았던 세토정(瀬戸町)과 미사키정(三崎町)의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5. 1. (구) 이카타정
1955년 쇼와 대합병으로 이카타촌과 마치미촌이 합병하여 탄생한 (구)이카타정은 "일본에서 가장 가늘고 긴 반도"인 사다미사키 반도의 기저 부분에 위치해 있었다. 마을 대부분은 해안에서 30도 전후의 급경사지에 있어 평야가 적고 수자원도 부족한 지역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건설 전까지는 계단식 밭을 이용한 감귤류 재배와 연안 어업으로 유지되었다.[59]제1차 산업 중심이라 수입이 적어 한신 지역으로의 출가도 많았고, 의료・교육 등의 주민 서비스도 미비한 상황이었다. 지역 경제와 주민 생활은 인접한 호나이정(현・야와타하마시)에 의존하고 있었지만 철도가 없고, 1987년에 국도 197호선이 정비되기 전까지는 접근성이 매우 좋지 않은 지역이었다. 고도 경제 성장에 들어가면서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구가 유출되고, 과소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그래서 1969년에 정장, 지주, 어업 관계자들이 시코쿠 전력에 대해 원전 유치를 진정했다. 당시 원자력 개발에 힘썼지만 주민 반대 운동으로 원전 입지를 확보하지 못했던 시코쿠 전력은 이 진정을 받아들여 1973년부터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시작했다. 이렇게 이카타정은 원전 중심 경제로 이행했다.[59]
5. 2. 신 이카타정
2005년, 헤이세이 대합병으로 (구) 이카타정(伊方町), 세토정(瀬戸町), 미사키정(三崎町)이 합병하여 신 이카타정이 탄생했다.[60] 합병 당시, 이카타정 지역 진흥 기금 31억 1680만 8000엔의 사용처는 구 이카타정에 한정되었고, 구 이카타정의 각 세대는 구 세토·미사키정보다 많은 원자력 발전 시설 등 주변 지역 교부금을 받았다.[60]합병 후, 이카타정은 구조 조정을 통해 인건비를 삭감했지만, 재정력 지수는 1.259에서 0.570으로 악화되어 보통 교부세 교부 단체가 되었다.[60] 사용 후 핵연료세 도입을 검토했으나, 에히메현의 핵연료세율 인상으로 보류했다.[60] 인구 유출과 고령화는 계속되었고, 이카타정은 풍력 발전과 관광업 진흥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 노력했다.[60]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영향으로 2012년부터 이카타 발전소 가동이 중단되면서, 이카타정은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2013년, 이카타정은 원전 의존적인 지역 진흥책을 재검토하고 관광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종합 전략을 수립했다. 오이타현과의 페리 터미널 근처에 직매소를 만들고, 가메가이케 온천에 숙박 시설을 신설하며, 사다미사키 등대를 관광 거점으로 정비하는 등의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이카타정은 마쓰야마시에서의 접근성이 좋지 않아, 주민들로부터 아이디어를 모아 과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이카타정은 세입의 약 3할을 원전 관련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지만, 신산업 창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2016년 8월 12일,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3호기가 재가동되면서, 이카타정은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6. 반대 운동 및 논란
이카타 원전은 중앙구조선 단층대와 난카이 트로프라는 두 가지 주요 지진 위험 요소에 인접해 있어, 대지진 발생 시 영향이 우려된다.
1987년 10월과 1988년 2월, 2호기에서 출력 조정 운전 실험이 실시되었다.[47]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의 2011년 발표에 따르면, 이카타 원전 근처의 중앙구조선 단층대가 활동하면 규모 8.0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2~3m 정도의 오른쪽 가로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단층대는 향후 30년 이내에 지진 발생 가능성이 일본의 주요 활단층 중에서 비교적 높은 그룹에 속한다.[65]
2012년에는 1596년 9월 1일에 일어난 게이초 대지진 발생 시 이카타 원전 부근에 10~15m의 쓰나미가 도달했을 가능성이 발표되었다. 이 지진은 에히메현에서 오이타현에 걸쳐 약 170km를 진원역으로 하는 거대 지진으로 추정된다.[66] 도시 요시노리 (전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에 따르면, 분고 지진이 이요 지진과 연동하여 발생하여 지진 및 쓰나미 규모가 예상보다 컸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시코쿠 전력은 쓰나미 대책을 마련했지만, 전문가들은 직하형 지진 후 10m 이상 쓰나미 발생 시 예상 밖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67] 그러나 시코쿠 전력은 당시 쓰나미 흔적이 없고, 이카타 원전 앞바다 단층은 가로로 어긋나 쓰나미 발생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한다.[68]
내각부 난카이 트로프 거대 지진 대책 검토 워킹 그룹의 2012년 8월 29일 보고서에 따르면, 쓰나미 발생 46분 후 이카타정 해안에 최대 21m의 쓰나미가 도달하고,[71] 이카타 원전 부근에서는 최대 3m의 수위 상승이 예상되었다.[72] 2013년 5월 24일, 지진조사연구본부 지진조사위원회는 난카이 트로프 지진 예상 진원역을 더 넓게 제시하여, 이카타 원전 근처도 진원역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경우 M9.1의 거대 지진이 예상된다.[73]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새로운 기준 적합 심사에 따라, 시코쿠 전력은 기준 지진동(최대 규모의 지진동으로 예상)을 570갈에서 650갈로 상향했다.[74][76] 또한, 에히메현의 요구에 따라 약 1000갈의 지진동에 대응할 수 있는 내진성 향상 공사를 실시했다.[75] 그러나 오카무라 마코토 (고치 대학)는 활단층이 진원이 되면 제어봉 작동 불능으로 원자로 긴급 정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76] 이시바시 가쓰히코 (고베 대학)는 액상화 현상, 지반 침하, 전력 상실 등의 위험성을 지적한다.[77]
6. 1. 반대 운동
1969년부터 이카타 원전 유치 반대 운동이 지역 주민, 시민 단체, 일본공산당, 사회민주당 등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95]2010년 1월 18일,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플루서멀 계획의 중지를 요구하는 에히메 현민 공동의 모임"은 경제산업성 원자력·안전보장원에 3호기 플루서멀 계획 중지, 발전소 주변 해저 활단층 조사, 발전소 내진 안전성 재평가를 요청했다.[95]
2011년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반대 운동은 더욱 확산되었다.
6. 2. 이카타 원전 소송
2010년 1월 18일, 에히메 현의 주민 단체와 일본공산당, 사민당 등으로 구성된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플루서멀 계획의 중지를 요구하는 에히메 현민 공동의 모임"(伊方原発プルサーマル計画の中止を求める愛媛県民共同の会|이카타 겐바쓰 푸루사마루 케이카쿠노 추시오 모토메루 에히메켄민 쿄도노 카이일본어)은 3호기 플루서멀 계획 중지와 발전소 주변 해저 활단층 정밀 조사, 발전소 내진 안전성 재평가를 경제산업성 원자력·안전보장원에 요청했다.[95]2016년 4월 19일, 3호기는 원자력규제위원회(NRA)의 재가동 최종 승인을 받았다.[10] 6월 27일, 시코쿠 전력은 157개 연료 집합체(16개는 우라늄-플루토늄 혼합 산화물(MOX) 연료)를 장전, 8월 13일 핵임계 도달, 9월 7일 상업 운전을 재개했다.[11][12] 그러나 2017년 12월 13일, 히로시마 고등 법원은 2018년 9월 말까지 원전 가동 중단을 명령했다(시코쿠 전력은 항소).[13] 이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강화된 규제 하 지진 위험 평가를 중심으로 한 분쟁이었다. 2020년 1월, 고등 법원은 인근 활성 단층 전면 지질 조사 미비를 이유로 3호기 운영 금지 명령을 내렸다.[14]
2021년 3월, 히로시마 고등법원은 발전소 운영 측 항소를 받아들여 가처분 결정을 취소, 가동 재개를 허용하며 원자력 발전소 위험 입증 책임을 주민에게 부여했다. 발전소 운영 측은 10월 원자로 재가동 계획을 세웠고,[15] 3호기는 2021년 12월 2일 재가동되었다.[16]
6. 3. 위험 요소
이카타 원전은 중앙구조선 단층대와 난카이 트로프라는 두 가지 주요 지진 위험 요소에 인접해 있다.중앙구조선 단층대이카타 원전 근처에는 길고 거대한 활단층인 중앙구조선 단층대가 있다. 이 단층대 중 이카타 원전에서 5~6km 떨어진 해저 활단층이 대지진을 일으킬 위험이 제기되었다.[64] 2011년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이 단층대가 활동하면 규모 8.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향후 30년 내 지진 발생 가능성이 일본 주요 활단층 중 비교적 높은 그룹에 속한다고 평가했다.[65]
2012년에는 1596년 게이초 대지진 발생 시 이카타 원전 부근에 10~15m의 쓰나미가 도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66] 시코쿠 전력은 쓰나미 대책을 마련했지만, 전문가들은 직하형 지진 후 10m 이상 쓰나미 발생 시 예상 밖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67] 그러나 시코쿠 전력은 당시 쓰나미 흔적이 없고, 이카타 원전 앞바다 단층은 가로로 어긋나 쓰나미 발생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한다.[68]
난카이 트로프 거대 지진이카타 원전은 난카이 트로프 거대 지진 예상 진원역에도 가까워 대지진 발생 시 영향이 우려된다.[69] 내각부는 쓰나미 발생 46분 후 이카타정에 최대 21m 쓰나미가 도달하고,[71] 이카타 원전 부근에 최대 3m 수위 상승을 예상했다.[72] 2013년 지진조사위원회는 난카이 트로프 지진 예상 진원역을 더 넓게 제시하여, 이카타 원전 근처도 진원역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경우 M9.1의 거대 지진이 예상된다.[73]
시코쿠 전력은 기준 지진동을 상향하고,[74][76] 내진성 향상 공사를 실시했다.[75] 그러나 전문가들은 활단층, 액상화 현상, 지반 침하, 전력 상실 등의 위험성을 지적한다.[76][77]
피난 계획 및 안정 요오드제원자력 사고 발생에 대비해 에히메현은 광역 피난 계획을 수립했다.[78] 그러나 악천후 시 선박 이용 불가 등 대체 방법 부족 문제가 지적된다.[69] 훈련 참가자들은 실제 피난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했다.[83][84]
이카타정은 원전 반경 5km 내 주민에게 안정 요오드제 배포를 추진 중이나, 2015년 11월 기준 약 30%에게 배포하지 못했다.[85] 2018년 11월 기준 배포율은 약 70%이다.[86]
7. 문화적 참조
1995년에 개봉한 일본 영화 ''고지라 대 데스트로이야''에서 고질라는 핵 용해로 고통받으며 에너지를 얻기 위해 분고 수도 아래에서 나타나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로 접근한다.[17] 자위대는 고질라를 저지하고 시설을 방어하기 위해 배치되었는데, 고질라를 직접 공격하면 핵폭발이 일어나 지구를 파괴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17] 다행히 슈퍼 X-III 항공기가 나타나 발전소 공격을 시작하기 전에 고질라를 일시적으로 얼려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를 구출했다.[17]
8. 시코쿠 전력 원자력 본부 이전
2011년 3월,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계기로 나카무라 토키히로 에히메현 지사가 시코쿠 전력에 원자력 본부 이전을 요청했다.[91] 이에 시코쿠 전력은 본점에 있던 원자력 본부를 2011년 6월을 목표로 에히메현 마쓰야마시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92] 이전 후에는 마쓰야마시에 있던 에히메 원자력 대책실과 통합하여, 원자력 본부장(이사 부사장) 이하 총 25명 정도의 인원으로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다.[93]
2011년 6월 29일, 원자력 본부가 다카마쓰시에서 마쓰야마시로 이전하면서, 원자력 본부장(이사 부사장) 이하 30명으로 구성되었다. 2019년에는 원자력부와 원자력 연료부를 통합하는 조직 개편을 실시했다.
마쓰야마시 (원자력 본부)에서 이카타 발전소까지는 직선 거리로 65km이며, 자동차로도 고속도로를 이용하더라도 1시간 30분이 소요된다.[94]
참조
[1]
웹사이트
Ikata nuclear plant's No. 3 reactor begins generating power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6-08-15
[2]
간행물
Energy for Tomorrow
https://web.archive.[...]
Yonden
[3]
간행물
Yonden Activities to Protect the Environment
http://www.yonden.co[...]
Yonden
[4]
웹사이트
Nuclear Power Plants - Japan
http://www.nuclearto[...]
2017-02-07
[5]
웹사이트
World's First All-In-One-Piece Extraction And Replacement Work Of PWR Reactor Internals
http://www.mhi.co.jp[...]
Mitsubishi Heavy Industries
2006-01
[6]
웹사이트
NucNet
https://web.archive.[...]
2010-01-14
[7]
간행물
Another Japanese reactor stops for regular checks
http://www.jaif.or.j[...]
Jaif
2011-09-04
[8]
뉴스
Nuclear evacuation drill held in Ehime Prefecture
http://www3.nhk.or.j[...]
NHK-world
2012-02-16
[9]
간행물
Earthquake-report 349
https://web.archive.[...]
JAIF
2012-02-16
[10]
웹사이트
Completion of the 3-step conformity review on the New Regulatory Requirements for Ikata Power Station Unit 3
https://www.nsr.go.j[...]
Nuclear Regulation Authority
2016-04-20
[11]
웹사이트
Ikata-3 Fuel Loading Completed, with Commercial Operation to Resume in August
http://www.jaif.or.j[...]
2016-06-28
[12]
웹사이트
Ikata 3 back in commercial operation
http://www.world-nuc[...]
2017-02-07
[13]
뉴스
Japanese court orders Ikata 3 to close
http://www.neimagazi[...]
Nuclear Engineering International
2017-12-15
[14]
뉴스
Second injunction keeps Ikata reactor offline
https://www.world-nu[...]
World Nuclear News
2020-01-17
[15]
뉴스
High Court drops injunction against Ikata nuclear plant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2021-03-19
[16]
웹사이트
Japan restarts nuclear reactor after 2 years
https://www.aa.com.t[...]
2021-12-02
[17]
웹사이트
Godzilla vs. Destoroyah (1995) -- Full Movie Review!
http://www.millionmo[...]
2017-02-07
[18]
웹사이트
伊方発電所1号機の廃止について
http://www.yonden.co[...]
四国電力
2016-03-25
[19]
뉴스
伊方2号機の再稼働判断、18年以降の可能性 四国電社長が示唆
https://www.nikkei.c[...]
2017-09-09
[20]
뉴스
「ぎりぎりまで検討」四国電力 伊方2号の再稼働判断は年度内に
https://news.ksb.co.[...]
KSBニュース
2018-02-28
[21]
뉴스
「苦渋の決断…」四国電力 伊方原発2号機の廃炉を決定
https://news.ksb.co.[...]
KSBニュース
2018-03-27
[22]
뉴스
伊方2号機廃炉を決定 四国電、地元愛媛県に報告
https://www.nikkei.c[...]
2018-03-27
[23]
웹사이트
伊方発電所の安全対策について
https://www.yonden.c[...]
四国電力
[24]
뉴스
伊方原発きょう全基停止 四国の電力不足せず
http://www.kochinews[...]
2012-01-13
[25]
웹사이트
Nuclear Power Plants - Japan
http://www.nuclearto[...]
The Virtual Nuclear Tourist
2011-04-15
[26]
웹사이트
伊方発電所3号機 通常運転再開について
https://www.yonden.c[...]
2022-01-24
[27]
웹사이트
안전협정
https://www.town.ika[...]
伊方町
2016-04-01
[27]
웹사이트
안전협정서
https://www.town.ika[...]
伊方町
2013-08-08
[28]
웹사이트
伊方原発停止、電力綱渡り 4県回顧2011年(上)
https://www.nikkei.c[...]
2011-12-27
[29]
웹사이트
四国電力株式会社伊方発電所第3号機の工事の計画を認可
http://www.nsr.go.jp[...]
原子力規制委員会
2016-03-23
[30]
웹사이트
四国電力、伊方1号機の廃止を決定
https://www.jaif.or.[...]
日本原子力産業協会
2016-03-25
[31]
웹사이트
伊方発電所3号機の新規制基準への適合性に係る使用前検査の受検申請について
http://www.yonden.co[...]
四国電力
2016-03-25
[32]
웹사이트
伊方原発3号機の状況及び1号機の廃炉方針の報告について
https://www.pref.ehi[...]
愛知県庁
2016-03-25
[33]
뉴스
伊方原発、3号機は7月下旬再稼働へ…四国電力
https://web.archive.[...]
2016-03-25
[34]
웹사이트
四国電力、伊方廃止措置研究で産学官連携の検討会立ち上げ
https://www.jaif.or.[...]
日本原子力産業協会
2016-05-12
[35]
웹사이트
伊方3号の燃料装荷が開始、8月の営業運転復帰に向け
https://www.jaif.or.[...]
日本原子力産業協会
2016-06-24
[36]
웹사이트
伊方3号が定格熱出力一定運転に、9月7日にも通常運転復帰
https://www.jaif.or.[...]
日本原子力産業協会
2016-08-22
[37]
웹사이트
【短信】伊方発電所1号機 廃止措置計画了承
https://www.jaif.or.[...]
日本原子力産業協会
2017-09-08
[38]
뉴스
伊方原発、運転差し止め認めず 松山地裁、仮処分申請を却下
https://www.nikkei.c[...]
2017-07-21
[39]
뉴스
伊方3号機:停止認めず、住民の申し立て却下 松山地裁
https://mainichi.jp/[...]
2017-07-21
[40]
뉴스
伊方原発の運転差し止め 広島高裁が仮処分
https://www.nikkei.c[...]
2017-12-13
[41]
뉴스
伊方原発1基体制に 2号機廃炉 四国電、経済性で選別
https://www.nikkei.c[...]
2018-03-27
[42]
PDFlink
四国電力 伊方発電所2号機の廃止に係る発電事業変更届出書の提出について
http://www.yonden.co[...]
2018-05-23
[43]
웹사이트
【短信】山口地裁岩国支部、伊方3号機運転差止仮処分申立てを却下
https://www.jaif.or.[...]
日本原子力産業協会
2019-03-15
[44]
웹사이트
伊方発電所3号機 第15回定期検査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yonden.c[...]
2012-12-12
[45]
웹사이트
伊方原発、10月末にも再稼働 高裁が四国電の異議認め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3-18
[46]
웹사이트
再発防止策は「妥当」 伊方原発の保安規定違反で愛媛県の専門部会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10-13
[47]
웹사이트
四国電力伊方発電所2号機の出力調整運転試験について
https://atomica.jaea[...]
高度情報科学技術研究機構
1998-05
[48]
웹사이트
伊方発電所第3号機 充てんポンプ3C主軸の損傷の原因と対策について
http://www.yonden.co[...]
四国電力
2004-04-05
[49]
웹사이트
退職後に考える45年間の出来事
http://www.rri.kyoto[...]
京都大学原子炉実験所
2003-05-16
[50]
웹사이트
原発の来た町 - 原発はこうして建てられた/伊方原発の30年
http://www.hangenpat[...]
南海日日新聞社
2002-05-27
[51]
웹사이트
第二部 労働運動 VII 公害反対闘争 9 原発反対闘争
http://oohara.mt.tam[...]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2001-08-28
[52]
웹사이트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第四部 労働組合と政治・社会運動 II 社会運動の動向 4 反原発運動の活発化
http://oohara.mt.tam[...]
2000-02-22
[53]
뉴스
伊方原発:「プルサーマル中止を」 市民団体が四電に申し入れ /愛媛
http://mainichi.jp/a[...]
2010-01-15
[54]
간행물
伊方発電所2号機第23回定期検査の実施について
http://www.yonden.co[...]
四国電力
2012-01-06
[55]
웹사이트
伊方原発、運転差し止め認めず 松山地裁、仮処分申請を却下
https://www.nikkei.c[...]
2017-07-21
[56]
웹사이트
伊方原発MOX燃料取り出し完了 定期検査で16体、全国初
https://www.tokyo-np[...]
2020-01-16
[57]
웹사이트
伊方原発3号機、運転差し止め命じる 広島高裁決定
https://www.nikkei.c[...]
2020-01-17
[58]
웹사이트
四国電力、伊方原発3号機の運転再開
https://www.nikkei.c[...]
2021-12-02
[59]
논문
伊方町における原発立地と地域経済・地方財政
https://hdl.handle.n[...]
財政学研究会
[60]
논문
原発立地地域の合併と地域経済・地方財政の変化について : 愛媛県伊方町を中心に
https://matsuyama-u-[...]
松山大学総合研究所
2010-08
[61]
뉴스
毎日新聞 2013年1月13日
[62]
뉴스
伊方原発訴訟と地震問題
http://www.47news.jp[...]
null
[63]
뉴스
「新しい産業もない。原発と歩んでいく」 人口1万人の伊方町、原発と再び向き合う住民
https://www.sankei.c[...]
2016-08-12
[64]
웹사이트
伊方原発訴訟と地震問題
http://www.rri.kyoto[...]
荻野晃也(京大、伊方原発原告証人)
2008-07-22
[65]
웹사이트
中央構造線断層帯(金剛山地東縁-伊予灘)の長期評価(一部改訂)について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2011-02-18
[66]
뉴스
慶長地震で伊方に10メートル超津波襲来か
http://www.ehime-np.[...]
2012-07-30
[67]
뉴스
伊方安全性議論に一石 都司元東大准教授指摘 1596年 津波10メートル超か 中央構造線 再評価も
2012-07-31
[68]
웹사이트
トピックス:1596年に発生した地震の伊方発電所周辺への影響について
http://www.yonden.co[...]
四国電力
[69]
뉴스
社説 伊方原発/「南海トラフ」に不安残し
http://www.kobe-np.c[...]
2015-07-18
[70]
웹사이트
防災対策推進検討会議 南海トラフ巨大地震対策検討ワーキンググループ
https://www.bousai.g[...]
内閣府
2012-08-29
[71]
뉴스
死者最悪1万2千人 伊方に津波最大21m 愛媛
http://www.asahi.com[...]
2016-04-04
[72]
웹사이트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第二次報告) 追加資料 各原子力発電所付近の最高水位
https://www.bousai.g[...]
内閣府
2012-09-05
[73]
웹사이트
南海トラフ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 概要資料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地震調査委員会
2013-05-24
[74]
뉴스
伊方原発3号機、審査合格 原発新規制基準で3例目
https://web.archive.[...]
2016-04-03
[75]
웹사이트
伊方3号機のさらなる揺れ対策に係る四国電力からの報告について
https://www.pref.ehi[...]
愛知県
2015-07-24
[76]
뉴스
判断「あまりに危険」 近くに活動性高い断層
https://www.oita-pre[...]
2016-04-02
[77]
뉴스
伊方安全対策は脆弱 石橋克彦・神戸大名誉教授に聞く
https://www.oita-pre[...]
2016-04-04
[78]
웹사이트
愛媛県広域避難計画の修正について(平成27年6月)
https://www.pref.ehi[...]
愛媛県
2015-06-16
[79]
웹사이트
愛媛県広域避難計画(平成27年6月修正)
https://www.pref.ehi[...]
愛媛県
2015-06-16
[80]
웹사이트
原子力緊急時支援・研修センターの活動(平成25年度)
https://jopss.jaea.g[...]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2020-08-09
[81]
웹사이트
伊方地域の緊急時対応
https://www8.cao.go.[...]
内閣府
2015-10-06
[82]
뉴스
伊方原発訓練、5千人避難想定なのに住民参加70人
http://www.asahi.com[...]
2016-04-04
[83]
뉴스
防災訓練終了、避難計画疑問の声 伊方原発
https://www.oita-pre[...]
2016-04-04
[84]
뉴스
「伊方原発事故」で2割が「避難困難」…愛媛県が防災訓練検証の中間とりまとめ
https://www.sankei.c[...]
2016-04-04
[85]
뉴스
再稼働前に危機感 ヨウ素剤伊方町3割未配布
https://www.oita-pre[...]
2016-04-04
[86]
웹사이트
PAZ内住民に対する安定ヨウ素剤の事前配布
https://www8.cao.go.[...]
内閣府
2020-08-09
[87]
뉴스
伊方原発重大事故想定の防災訓練 愛媛県が14日に
https://www.nikkei.c[...]
2020-08-09
[88]
뉴스
愛媛伊方原発の防災訓練、複数のドローン活用
https://www.sankei.c[...]
2020-08-09
[89]
뉴스
伊方原発、地震想定し訓練 ドローンで「医薬品」運搬 (写真=共同)
https://www.nikkei.c[...]
2020-08-09
[90]
뉴스
四国電力 原子力本部の松山市への移転を決定
http://ncs2.rnb.co.j[...]
南海放送
2011-04-15
[91]
뉴스
中村知事が四電社長に原子力本部移転要請
http://www.47news.jp[...]
47NEWS
2011-04-15
[92]
뉴스
四国電力、原子力本部を松山に移転 6月に
https://www.nikkei.c[...]
2020-08-22
[93]
웹사이트
原子力本部の組織整備について
http://www.yonden.co[...]
四国電力
2011-04-25
[94]
웹사이트
所在地
https://www.yonden.c[...]
四国電力
2020-08-09
[95]
뉴스
「プルサーマル中止を」 市民団体が四電に申し入れ /愛媛
http://mainichi.jp/a[...]
마이니치 신문
2010-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