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상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주의는 국가들이 전쟁을 피하고 지속적인 평화와 안보를 추구하는 합리적인 행위자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 관계 사상이다. 1880년대 이후 알프레드 짐머만 경, 우드로 윌슨 대통령 등이 이상주의를 체계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상주의는 국제법과 국제기구의 역할을 강조하며, 민주주의 국가 간에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민주평화론을 핵심 원리로 제시한다. 윌슨의 이상주의는 좌우 정치 스펙트럼을 초월하며, 인권과 신보수주의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상주의는 현실주의와 대립되기도 하지만, 신보수주의처럼 두 사상이 반드시 상충하는 것은 아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의 실패로 위기를 겪었지만, 자유주의와 신보수주의에 영향을 미치며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학 이론 - 경제고통지수
    경제고통지수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의 합으로 계산되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지표이며, 직관적인 이해를 돕지만 경제의 복잡성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다양한 변형된 지표들이 존재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정치학 이론 - 놀란 차트
    놀란 차트는 개인의 자유와 경제적 자유를 기준으로 정치적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표로, 자유지상주의, 좌파, 우파, 국가주의, 중도주의 다섯 영역으로 구분되어 정치적 입장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되지만, 사회 정책과 경제 정책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국가안전보장 - 파이브 아이즈
    파이브 아이즈는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5개국 간의 정보 동맹으로, 각국의 정보기관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며 냉전 시기부터 현재까지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감시 및 정보 공유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 국가안전보장 - 반역죄
    반역죄는 역사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정의가 변화해 온 군주나 국가에 대한 충성 의무 위반 범죄로, 국가 안보 위협 행위, 정부 전복 시도 등을 포함하며, 각국 법률은 국가별로 상이하게 규정되어 있다.
  • 국제관계론 - 다자주의
    다자주의는 여러 국가가 특정 원칙에 따라 협력하는 것으로, 강대국을 구속하고 소국에게 영향력을 부여하며 국제연합과 세계무역기구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지만, 최근 일방주의와 포퓰리즘 강화로 도전에 직면해 있다.
  • 국제관계론 -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상을 기반으로 자본주의적 세계화가 국제 체제 불안정을 심화시킨다고 보며, 유물사관을 통해 국제 체제의 구조와 경제 역할을 강조하고, 다양한 갈래로 발전하여 주류 이론을 비판하며 불평등과 권력 구조 분석 및 사회 정의 실현을 모색한다.
이상주의
국제 관계 이론
학파이상주의
주요 특징
핵심 가치평화, 정의, 진보
세계관국제 관계는 협력과 조화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주요 관심사국제법, 국제기구, 민주주의 확산, 군비 축소
주요 주장국제 관계에서 도덕과 윤리의 중요성 강조
전쟁은 피할 수 있고, 국제 협력을 통해 평화로운 세계 질서를 만들 수 있다고 믿음
주요 방법론국제법과 국제기구의 강화
민주주의와 인권 확산
군비 축소와 평화 교육
관련 이론
주요 이론자유주의
민주 평화론
기능주의
영향 받은 사상계몽주의 사상, 칸트의 영구 평화론
주요 인물
주요 학자알프레드 짐머른
필립 노엘베이커
데이비드 미트래니
제임스 T. 숏웰
파커 T. 문
역사적 맥락
등장 배경제1차 세계 대전의 참혹한 경험에 대한 반성
전성기1920년대와 1930년대, 국제연맹의 설립과 활동
쇠퇴 원인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
현실주의의 대두
비판
주요 비판현실주의로부터 지나치게 이상적이라는 비판을 받음
국제 정치의 힘의 역학을 간과한다는 비판
국제 관계에서 이익과 권력의 중요성을 무시한다는 비판
현대적 의미
영향현대 국제 관계 이론에서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국제 협력, 인권, 민주주의 등 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촉구

2. 역사

1980년대 이후, 노먼 앤젤, 존 메이너드 케인스[16], 레스터 피어슨 등 국제 관계론에서 이상주의적 전통의 주요 학자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알프레드 짐머먼 경[2], 노먼 앤절, 존 메이너드 케인스[3], 존 A. 홉슨, 레너드 울프, 길버트 머레이, 플로렌스 스테웰(멜리안 스테웰), 필립 헨리 커, 로시안 후작 11대 , 아놀드 J. 토인비, 레스터 피어슨, 데이비드 데이비스 등 1880년대 이후 국제 관계 사상에서 이상주의 전통의 주요 저술가들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저술의 상당 부분은 이상주의 작가들을 E. H. 카와 같은 현실주의자 전통과 대조하고 있다. E. H. 카는 저서 ''20년간의 위기''(1939)에서 '이상주의자'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전간기 이상주의자들을 비판했다. 이상주의는 국가들이 전쟁 대신 지속적인 평화와 안보를 보장할 수 있는 합리적인 행위자라는 개념에 기반한다.

개정주의적 서술에 따르면,[11][12]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사이에 단일한 '큰 논쟁'은 결코 없었다. 루시안 M. 애슈워스는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사이에 실제 논쟁이 있었다는 개념의 지속성은 당시의 실제 논의보다는 전후 시대 국제 관계에서 자유주의적이고 규범적인 사고의 소외에 대해 더 많이 말해준다고 주장한다.[12] 리처드 데베탁은 그의 국제 관계 교과서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카의 걸작의 구조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이분법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사실, 그는 새롭게 설립된 학문이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사이의 논쟁에 의해 지배된다는 인상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이것은 이후 '제1차 큰 논쟁'으로 알려지게 되었지만, 안드레아스 오시안더(1998), 피터 윌슨(1998), 루시안 애슈워스(1999), 퀴크와 비그네스와란(2005)이 보여주었듯이, 현실주의자와 자유주의자 사이의 일련의 교류를 의미한다면 실제 논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실제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학문의 역사를 일련의 '큰 논쟁'으로 서술한다는 아이디어 자체가 의문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학문이 자신에 대해 이야기해 온 이야기를 배우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나는 이러한 서술을 고수한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참화 이후 이상주의가 자주 등장하게 되었지만, 카에 따르면 평화는 각국의 세력 균형 정책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며, 이상주의에 대해 기득권을 가지지 못한 국가는 강대국에 의한 “평화의 기만”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가지고 이상주의를 비판하는 경향이 강하다(테러리즘을 대조하면 상황이 명확해진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이상주의는 실패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 핵심적인 사상은 자유주의에도 영향을 미쳤다.

2. 1. 이상주의의 핵심 원칙

제1차 세계 대전의 피해로 인해 국제 관계에서 이상주의가 종종 제기되었지만, 힘에 따른 평화는 각국의 세력균형 정책으로 유지된다는 주장이 있었다. 이상주의에 대해 기득권을 가지지 않은 나라는 대국에 따른 "평화의 기만"이라는 불만을 가지는 경향이 강했고, 이상주의를 비판하였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에 따라 이상주의는 실패했다고 여겨졌다.

현대 이상주의는 국제 정책 형성에서 국제법국제기구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한다. 현대 이상주의 사상의 가장 잘 알려진 원리 중 하나는 민주평화론으로, 이는 비슷한 민주적 통치 방식을 가진 국가들은 서로 전쟁을 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우드로 윌슨의 이상주의적 사상은 그의 14개 조항 연설과 국제 연맹 창설에 구현되었다.

이상주의는 좌파-우파 정치적 스펙트럼을 초월한다. 이상주의자는 인권 운동가와 미국 신보수주의 지지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2. 2.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이상주의는 국가의 국가 이익이 윤리적 또는 도덕적 고려 사항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현실주의와 대립할 수 있지만, 반드시 상충되는 것은 아니다. 신보수주의는 두 가지가 합쳐진 예시이다. 현실주의 사상가로는 한스 모겐소, 니콜로 마키아벨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 조지 F. 케넌 등이 있다. 미국의 최근 이상주의 실천자로는 로널드 레이건조지 W. 부시가 있다.[4]

2. 3. 윌슨의 이상주의와 그 영향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대외 정책 맥락에서 이상주의를 체계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널리 여겨진다.


우드로 윌슨은 윌리엄 에워트 글래드스톤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 신념에 기초한 세계 질서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신의 전능함, 우주의 도덕성, 보상과 처벌 체계, 국가와 인간 모두 신의 법을 어기면 위험에 처한다는 개념을 믿었다.[5] 윌슨은 영국계 백인의 우월성과 그들이 세계를 자신들의 모습대로 만들어야 할 의무를 믿었다.[6] 그는 도덕적 원칙, 헌법주의, 신에 대한 믿음이 인간 갈등 완화의 전제 조건이라고 생각했다.[6]

윌슨은 인류의 미래 복지를 위해 민주주의, 자결권, 집단 안보, 국제법, 국제 연맹 등을 통해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했다. 그의 14개 조항은 이러한 원칙들을 담고 있으며, 국제 연맹 창설로 이어졌다.[8]

윌슨의 외교 정책은 20세기 세계 질서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외교사학자 월터 러셀 미드는 윌슨의 원칙이 베르사유 체제의 몰락을 극복하고 오늘날에도 유럽 정치를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9] 자결권, 민주 정부, 집단 안보, 국제법, 국제 연맹 등 윌슨의 비전은 20세기 분위기를 설정했으며, 오늘날 유럽 정책의 기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9]

프랭클린 D. 루즈벨트와 헨리 키신저로 대표되는 현실주의적 조정에도 불구하고, 1914년 이후 미국의 대외 관계는 윌슨주의 이상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데이비드 케네디는 윌슨 이후 모든 대통령이 윌슨주의의 핵심 원칙을 받아들였다고 주장하며, 심지어 닉슨도 백악관에 윌슨의 초상화를 걸었다고 언급했다. 9.11 테러 이후, 윌슨의 이상주의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10]

3. 이상주의의 계승 이론

이상주의는 제1차 세계 대전의 피해로 인해 종종 제기되었지만, 힘에 따른 평화는 각국의 세력균형 정책으로 유지되는 것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기득권을 가지지 못한 나라들은 강대국에 의한 "평화의 기만"이라는 불만을 품고 이상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이상주의는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6]

1980년대 이후, 노먼 에인절, 존 메이너드 케인스, 레스터 B. 피어슨 등 이상주의적 전통의 주요 학자들에 대한 연구가 이어졌다. 비록 이상주의는 짧은 수명을 가진 사상으로 여겨졌고, 특히 국제 연맹의 실패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지지자들은 큰 위기를 겪었지만, 이후 국제 관계 이론들은 윌슨식 이상주의의 요소들을 차용해왔고, 자신을 이상주의자라고 묘사하는 학자들은 국제 관계 연구에서 계속 활동해 왔다.

3. 1. 자유주의 (Liberalism)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유주의는 윌슨 이상주의의 온건한 형태로 나타났다. 국제 연맹의 실패와 세력 균형 관리의 한계를 인지한 자유주의 사상가들은 법치와 상호 작용에 기반한 국제기구들을 고안했다. 국제 연합(UN),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같은 국제 기구, 또는 브레튼우즈 체제와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과 같은 국제 체제는 세력 균형을 유지하고 국가 간 협력을 제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16]

3. 2. 신보수주의 (Neoconservatism)

조지 W. 부시(오른쪽)와 미국 상원 의원 존 매케인(왼쪽). 2008년 3월 백악관에서 만난 모습. 두 사람 모두 저명한 신보수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신보수주의는 민주주의, 인권, 자유무역, 여성의 권리소수 집단 보호와 같은 보편적 가치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역사적 자유주의와 유사하다. 그러나 신보수주의는 국제 기구와 조약의 존중에 덜 매달리는 대신, 도덕적으로 가치 있다고 여기는 단호하거나 공격적인 입장을 취하며, 필요하다면 일방적으로라도 힘이나 힘의 위협을 사용하여 목표를 추진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와 차이를 보인다.

참조

[1] 서적 John Maynard Keyn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Economic Paths to War and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Sir Alfred Zimmern Revisited: Fifty Years On
[3] 서적 John Maynard Keyn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Economic Paths to War and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4] 뉴스 Syndicated column:Realism and regime change - US solidarity could aid Iran's Green Revolution http://townhall.com/[...] Florida Today 2010-02-04
[5] 간행물 A Portrait of Wilson
[6] 서적 Woodrow Wilson and the Politics of Morality
[7] 서적 Wilsonian Idealism in America
[8] 서적 The World Transformed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Special Providence http://www.randomhou[...]
[10] 간행물 What 'W' Owes to 'WW': President Bush May Not Even Know It, but He Can Trace His View of the World to Woodrow Wilson, Who Defined a Diplomatic Destiny for America That We Can't Escape
[11] 간행물 The Myth of the “First Great Debate”
[12] 간행물 Did the Realist-Idealist Great Debate Really Happen? a Revisionist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간행물 Sir Alfred Zimmern Revisited: Fifty Years On
[15] 서적 John Maynard Keyn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Economic Paths to War and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John Maynard Keyn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Economic Paths to War and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