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종국민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종 민족주의는 인종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의 한 형태이다. 중국은 중화민족 개념을 기반으로 한 다민족 민족주의를 표방하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이를 인종 민족주의로 언급한다. 독일은 나치즘과 민족주의 운동의 역사적 배경을 가지며, 일본은 우세한 민족 중심주의를 특징으로 한다. 한국의 경우, 민족 개념과 관련이 깊으며, 많은 한국 민족주의자들이 민족을 인종과 구분하지만, 외부 관찰자들은 '순수 한국 혈통'을 강조하는 경향을 인종적 의미로 인식하기도 한다. 페루에서는 민족주의적 극우주의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와 인종 -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 종교, 민족이 공존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정치철학적 입장이자 사회운동으로, 자유주의적 이상에서 출발하여 문화적 차이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사회적 갈등과 통합의 어려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국가별로 성공과 실패 사례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 정치와 인종 - 민족주의
    민족주의는 민족 공동체의 자결권을 핵심으로 하는 이념으로, 세계대전 이후 국제 정치의 주요 동력이 되었으나, 최근에는 배타적 토착주의 확산과 사회 갈등 심화, 극단적 형태의 집단 학살 및 민족 청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 내셔널리즘 - 국수주의
    국수주의는 외국인 혐오를 기반으로 하며 과거의 영광을 신화화하는 이데올로기이며, 정치적 폭력, 인종차별, 사회적 분열을 야기하며 테러리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역시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해야 한다.
  • 내셔널리즘 - 조국
    조국은 개인의 혈통, 역사, 국적, 성장 배경, 조상의 삶과 관련된 국가를 의미하며, 가족적 유대감과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민족주의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종국민주의
인종적 민족주의
정의국가 정체성을 인종적으로 정의하는 이념
관련 주제
관련 주제인종
식민주의
나체와 식민주의
민족 집단
인간 피부색
사회 계층
백인 우월주의
관련 지표인종 관계
인종화
인종차별 (과학적 인종차별)
인종 평등
인종 정치
인종 사회학
인종과...범죄 (영국, 미국)
유전학
건강 (미국)
공포 영화
지능 (역사)
신경 과학

사회
스포츠
비디오 게임
지역별인구 조사에서의 인종 및 민족
브라질
콜롬비아
라틴 아메리카
미국
역사
역사적 개념역사적 개념
인종에 대한 성경적 용어
특징
특징'피와 흙'이라는 개념에 기반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함
국가 정체성을 인종적으로 정의
용어
독일어Volk (폴크)
일본어민족 (민조쿠)
중국어민족 (민주)
한국어민족 (민족)

2. 각국의 인종 민족주의

인종 민족주의는 민족 또는 인종적 동질성을 국가 정체성의 핵심으로 삼는 민족주의의 한 형태로, 특정 인종 집단의 우월성을 내세우거나 다른 집단에 대한 배타성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이념은 세계 각국의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현되어 왔다.

독일나치즘아리아인 우월주의와 반유대주의를 기반으로 홀로코스트라는 비극을 낳았으며, 일본 제국 역시 자민족 중심주의를 내세워 침략과 식민 지배를 정당화했다. 중국에서는 중화민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 국가 통합 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한국의 경우, '민족'이라는 개념이 서구의 '인종'과 유사하게 해석될 여지가 있어 인종 민족주의 논의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외에도 페루 등 여러 국가에서 민족주의적 극우주의와 결합된 인종 민족주의적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각국의 인종 민족주의는 그 형태와 강도는 다를지라도, 종종 사회 내부의 차별과 갈등을 심화시키고 국제 관계에 긴장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2. 1. 중국

중국 본토의 중국 공산당이 주장하는 중국 민족주의(中国民族主义 또는 中华民族主义)는 “중화민족”(中华民族)이라는 개념에 기반한 다민족 민족주의이다. 중화민족은 “중국 민족”, “중국인”, “중국 민족”, “중국 인종” 등으로 번역된다.[9][10][11] 일부 비평가들은 중국 민족주의를 “인종 민족주의”라고 언급하기도 한다.[2]

한편, 중화민족이라는 용어가 한족(汉族 또는 汉民族)[3] 중심의 “동화주의”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파이낸셜 타임스의 편집자인 자밀 안덜리니(Jamil Anderlini)는 “중국 인종”이라는 개념이 명목상으로는 중국 내 공식적으로 인정된 56개의 민족(티베트인과 위구르족 포함)을 모두 포괄하지만, 실제로는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한족 다수 민족을 의미하는 것으로 거의 보편적으로 이해된다”고 지적했다.[10]

2. 2. 독일

독일의 인종국민주의는 특히 나치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났다. 이는 19세기부터 존재했던 민족주의 운동을 배경으로 하여,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극단적인 형태로 발전했다.[1]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당은 아리아인의 인종적 우월성을 내세우고 반유대주의를 핵심 이념으로 삼아, 다른 민족에 대한 차별과 배제를 정당화했다.[2] 이러한 극단적인 인종주의 사상은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중 홀로코스트라는 유대인 및 소수 민족에 대한 조직적인 집단살해로 이어지는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다.[3] 독일의 사례는 민족주의가 인종주의와 결합했을 때 얼마나 위험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역사적 교훈으로 남아있다.

2. 3. 일본

일본의 인종 민족주의는 자민족 중심주의적 성격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민족주의는 과거 제국주의 시대에 주변국에 대한 침략 전쟁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작동하였다.

2. 4. 한국

한국의 인종 민족주의는 영어권에서 종종 "인종"으로 번역되는 ''민족''이라는 개념과 깊은 관련이 있다. 20세기 대한민국에서는 단순히 우익 독재 정권뿐만 아니라, 이에 저항했던 자유주의자나 좌파를 포함한 거의 모든 정치적 스펙트럼에서 인종 민족주의적 정서가 공유되었다.[12][13] 실제로 2007년 대한민국의 국기에 대한 경례 문구에서 인종주의적인 함의를 가질 수 있는 표현이 수정되었을 때, 한국 통일을 지향하는 일부 좌익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반대가 나타나기도 했다.[14] 한편, 브라이언 레이놀즈 마이어스와 같은 학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종 민족주의가 체제 유지를 위한 핵심 이데올로기 중 하나라고 분석한다.[15]

많은 현대 한국 민족주의자들은 ''민족''의 의미를 "국가", "국민", 또는 "민족 집단"과 같은 개념으로 한정하며, 이것이 생물학적 "인종"과는 다르다고 주장한다.[19][16] 이는 한국어에서 ''민족''(民族, lit: "folk")과 ''인종''(人種, lit: race)이 서로 구별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16][17][18] 그러나 한국 외부의 많은 관찰자들은 여전히 "한국 민족"(한민족 또는 조선민족)이라는 개념이 '순수한 한국 혈통'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인종"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19][20][21][22][23]

2. 5. 페루

페루의 인종 민족주의는 민족주의적 극우주의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서적 Ethnic Nationalism in Korea: Genealogy, Politics, and Legac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2] 서적 The Meaning of Freedom: Yan Fu and Origins of Chinese Liberalism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08-03-15
[3] 웹사이트 More on Asian Multiculturalism: 5 Masters Theses to be Written https://robertedwink[...] 2024-02-10
[4] 서적 Changing Histories: Japanese and South African Textbooks in Comparison (1945–1995) V&R Unipress 2011
[5] 서적 Taiwans multi-ethnische Gesellschaft und die Bewegung der Ureinwohner: Assimilation oder kulturelle Revitalisierung? https://books.google[...] Lit 2003
[6] 서적 Tyranny of the Weak: North Korea and the World, 1950–1992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06-18
[7] 서적 Marxist History and Postwar Japanese Nationalism Routledge 2003-08-29
[8] 서적 How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Manages the Issue of Nationality: An Evolving Topic https://books.googl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5-11-30
[9] 웹사이트 Racial Thinking in Modern China: A Bridge to Ethnonationalism? https://sentinel.tw/[...] Taiwan Sentinel 2021-03-09
[10] 뉴스 The dark side of China's national renewal https://www.ft.com/c[...] 2021-03-09
[11] 서적 Securing China's Northwest Frontier: Identity and Insecurity in Xinjia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0
[12] 서적 A Representation of Nationhood in the Museu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0-01-20
[13] 서적 Ethnic Nationalism in Korea: Genealogy, Politics, and Leg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14] 웹사이트 North Korea's state-loyalty advantage. https://www.thefreel[...] 2018-05-20
[15] 서적 The Cleanest Race 2010
[16] 웹사이트 민족 (民族) https://krdict.korea[...] 2024-02-14
[17] 웹사이트 인종 (人種) https://krdict.korea[...] 2024-02-14
[18] 서적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ume 18, Number 1 (Spring 2013)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3
[19] 웹사이트 Nicholas Eberstadt Transcript http://conversations[...]
[20] 웹사이트 Why South Korea is So Obsessed with Japan http://www.realclear[...] 2016-03-24
[21] 웹사이트 South Korea: The Unloved Republic? http://asiasociety.o[...] 2013-05-19
[22] 웹사이트 Nicholas Eberstadt on Understanding North Korea http://conversations[...]
[23] 웹사이트 South Korea: The Unloved Republic? | Asia Society http://www.asiasocie[...] 2022-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