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민족은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사용된 민족주의적 개념으로,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 시기에 다민족 국가를 지향하며 시작되었다. 청나라,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을 거치며 그 의미와 범위가 변화해 왔으며, 현재는 한족과 55개 소수 민족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중화민족 개념은 중국의 역사 재해석, 주변국과의 관계, 대만 및 홍콩 문제 등 다양한 쟁점을 야기하며, 소수 민족의 정체성 훼손 및 한족 중심의 동화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 정체성 - 범유럽주의
범유럽주의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유럽 통합을 추구하며 등장한 사상으로, 유럽의 공유된 역사와 가치에서 정체성을 찾고 유럽 통합 운동과 유럽 연합 결성에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지만, 역사적 분열과 정체성 정의에 대한 과제를 안고 있다. - 국민 정체성 - 국가 브랜드
국가 브랜드는 외국인 투자 유치, 관광 활성화, 무역 증진, 정치적 관계 개선 등을 목표로 국가의 이미지와 평판을 관리하고 개선하는 전략적 노력이며, 다양한 지표를 통해 측정된다. - 중국 국민주의 - 중화사상
중화사상은 중국을 세계의 중심으로 간주하고 주변 민족을 야만으로 구분하는 화이 이분법에 기반하여 동아시아 국제 관계를 지배했던 위계적 체제로, 조공 체제를 통해 정치·경제적 관계를 형성하며 유지되었으나 19세기 이후 쇠퇴하였고, 다양한 용어와 분류, 문화적 해석으로 나타나 주변 국가와 중국 내부에서 여러 반응과 비판을 야기했다. - 중국 국민주의 - 오족공화
오족공화는 중국의 다섯 민족의 조화와 통합을 의미하는 역사적 개념으로, 오행 사상에서 기원하여 깃발의 색깔로 각 민족을 상징했으며,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에서 민족 통합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 민족학 - 아미노 요시히코
아미노 요시히코는 중세 일본 사회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로 알려진 일본의 역사학자로, 농경 중심의 시각을 넘어 비농업민을 조명하고 '니혼진론'을 해체한 그의 연구는 일본 중세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학계뿐 아니라 일본 문화 전반에도 영향을 미쳤다. - 민족학 - 민족 형성
민족 형성은 공통된 문화, 역사, 언어, 종교 등을 공유하는 집단이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의도적인 노력을 통해 만들어지며, 민족주의 운동, 정치·경제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 중화민족 | |
|---|---|
| 개요 | |
| 유형 | 정치적 개념, 민족적 개념 |
| 정의 | 중국 국민, 중국 민족, 중국 인종 |
| 표기 | |
| 중국어 간체 | 中华民族 |
| 중국어 정체 | 中華民族 |
| 병음 | Zhōnghuá Mínzú |
| 로마자 표기 | Chung-hua min-tsu (웨이드-자일스) Jonghwa Mintzwu (국어라마자) Jhong-huá Mín-zú (통용병음) |
| 간어 | Zung1 fa4 min4 zuk6 |
| 객가어 | zhung24 fa11 min11 zuk5 |
| 민난어 | Tiong-hôa bîn-cho̍k |
| 오어 | tson 평 gho 평 min 평 zoh 입 |
| 광둥어 | zung1 waa4 man4 zuk6 |
| 한국어 | 중화민쭈 |
| 역사적 맥락 | |
| 관련 개념 | 중국인 (Zhōngguó Rénmín) 화하족 한족 (Hànzú) |
| 관련 용어 | 중국 (Zhōngguó) |
| 기원 | 20세기 초, 중화민국 시기 |
| 초기 이념 | 오족공화 (Wǔzú gònghé) - 한족, 몽골족, 만주족, 위구르족, 티베트족의 연합 |
| 현대적 의미 | |
| 강조점 | 중화민족의 부흥/재건 (Fùxīng) |
| 구성 | 중국 내 56개 민족 (공식적으로 인정) |
| 논쟁점 | 한족 중심주의적 시각, 소수민족 정체성 문제, "중국 민족은 하나"라는 주장에 대한 학문적 논쟁 |
| 상징 | |
![]() | |
| 같이 보기 | |
| 관련 항목 | 중국 국적법 중국인 중국의 민족 화이동조론 범중국주의 중국몽 하나의 중국 대중화권 |
2. 역사적 배경
'중화 민족' 개념의 직접적인 기원은 오늘날 중국 북동부 지역에 만주족 아이신 교로 가문이 세운 청나라에서 찾을 수 있다.[7] 청나라 이전에는 화하(Huaxia)와 같은 초기 민족주의적 용어가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사용되었다.
청나라 이전에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도시 국가, 봉건 영지 및 그 영주, 또는 중국의 경우 왕조 국가에 충성을 다했다.[37] 그러나 청나라 통치자들은 한족 제국 모델을 채택하고 자신들의 국가를 ''중국''(t=中國|p=Zhōngguó|w=Chung1-kuo2중국어)으로 간주했다.[38]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일부 한족 민족주의자들은 처음에는 만주족을 "외국 침략자"로 묘사하고,[39] 독일과 일본을 모델로 한 한족 국가를 건설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러한 민족 국가에 대한 제한적인 관점이 제국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잃게 될 것을 우려하여 이 개념을 버렸다. 청나라 황제의 퇴위는 티베트와 몽골의 영토 지위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는데, 몽골인과 티베트인들은 청나라 군주에게 충성했을 뿐, 새로운 중국 국가에는 충성할 의무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는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해 거부되었다.
이러한 중국 사상의 발전은 '중화 민족'이라는 용어의 의미 확대에 반영되었다. 원래 청나라 말기 언어학자 량치차오가 처음 사용한 '중화 민족'은 초기에는 한족만을 지칭했지만, 이후 청나라의 민족 범주에 따라 오족공화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화 민족' 개념은 소련 민족 정책의 영향을 받았다.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은 한족이 압도적으로 가장 큰 56개의 민족 집단으로 구성된 단일 국가이며, '중화 민족' 개념은 중화인민공화국 국경 내의 사람들을 포괄하는 범주로 간주된다.
이 용어는 21세기에도 중국에서 강력한 개념으로 남아있다. 중국 본토에서는 중국 지도자들이 매우 다양한 민족 및 사회 집단을 하나의 정치적 실체로 통합하고 중국 발전에 대한 해외 화교의 지지를 동원해야 하기 때문에 계속 사용되고 있다. 이 용어는 중국 공산당 통일전선공작 조례 제22조에 포함되어 있으며,[26] 5가지 동일시 중 하나이기도 하다.
타이완에서는 마잉주 전 총통이 타이완과 중국 본토의 사람들을 포함하는 통일 개념으로 사용해 왔으며, 타이완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라는 해석을 배제한다.[40]
2. 1. 청나라 시기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는 스스로를 "중국"(中國, দুলিম্বাই গুরুন|Dulimbai Gurunmnc)으로 칭하며 다민족 국가를 지향했다.[13] 청나라 황제는 한족에게는 유교적 통치자, 몽골족에게는 보그다 칸, 티베트 불교도에게는 차크라바르틴으로 자신을 묘사하며 다양한 민족을 통합하려 했다.[8] 청나라는 "중외일가(中外一家)" 또는 "내외일가(內外一家)"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민족이 하나의 가족임을 강조했다.[17]
만주족 관료 투리센은 토르구트 몽골 지도자 아유카 칸과의 만남에서 만주족을 "중앙 왕국의 사람들"이라고 칭하며, 토르구트인들이 러시아인들과 다르다고 언급했다.[22]
2. 2. 중화민국 시기
량치차오는 초기에는 한족 중심의 '중화 민족' 개념을 제시했으나, 이후 '오족공화'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했다.[23][24] 신해혁명 이후, 쑨원은 "중국 내 모든 민족을 하나의 중화 민족으로 통합해야 한다"라고 주장하며,[25] 한족 중심의 동화주의적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57][47] 위안스카이는 외몽골의 독립 움직임에 대해 "외몽골은 중화 민족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영토 통합을 강조했다.2. 3.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중국 공산당 정권은 "중화 민족"을 "한족과 55개 소수 민족의 총칭"으로 규정하고 있다.[43][45][51]만주족이 세운 청나라 말기(20세기)에는 군주제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혁명파가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합중 정부를 창립하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신해혁명을 일으켰다. 신해혁명 성공 후, 한족 혁명파는 입헌파와 보황파가 혁명파의 배만론에 대항하여 제창한 오족 불가분론인 "오족 공화"를 채택했고[52][53][54][55], 1912년 1월 1일 쑨원은 임시 대총통 취임 선언에서 "한, 만, 몽, 회, 장의 여러 지역을 합쳐 한 국가로 만들고, 한, 만, 몽, 회, 장의 여러 민족을 합쳐 한 사람과 같게 하려 한다"라고 하며[56] 청나라 지배하에 있던 지역을 통합하려 했다. 1921년 쑨원은 삼민주의의 구체적인 방책에서 "한족을 중심으로 삼고, 만, 몽, 회, 장 4족을 전부 우리에게 동화시키겠다"라고 하며[57] 만주족, 몽골족, 위구르족, 티베트족을 동화시킬 것을 제창했다.[47] 1925년 쑨원은 외래 민족은 천만 명밖에 되지 않으며, 4억 명의 대부분이 한족이므로 중국인은 완전한 단일 민족이라고 연설하여[47] 한족에 의해 중화 민족이라는 개념이 형성되었다.[47]
"중화 민족"이라는 단어가 처음 공식적으로 등장한 것은 1900년 11월, 청나라 정치가 우팅팡의 강연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청나라 시대 저널리스트인 량치차오 등이 사용하게 된다. 량치차오의 저작에서는 1905년에 쓰여진 역사상 중국 민족의 관찰에서는 만주족, 몽골족, 티베트족은 중화 민족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했지만, 1922년 "중국 역사상 민족의 연구"에서는 만주족을 중화 민족에 포함시키고 있다. 1988년 페이샤오퉁이 발표한 "중화 민족 다원 일체 구조"론에서는 중국에 사는 여러 민족이 수천 년의 역사를 거쳐 형성된 일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58] 이 "중화 민족 다원 일체 구조"는 현재 중국의 민족 정책의 기본 노선을 이룬다고 한다.[59]
3. 중화 민족 개념의 함의와 쟁점
중화 민족 개념의 직접적인 기원은 오늘날 중국 북동부 지역에 만주족 아이신 교로 가문이 세운 청나라에 있다.[7] 청나라 황제들은 스스로를 한족을 위한 이상적인 유교 통치자, 몽골족을 위한 보그다 칸, 티베트 불교도를 위한 차크라바르틴 왕으로 묘사하려 했다.[8]
''둘림바이 구룬''()은 중국을 지칭하는 만주어 이름이다. 이는 중국어 이름 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10][11][12] 청나라는 스스로의 국가를 "중국"(Zhongguo)으로 식별했으며, 만주어로는 ''둘림바이 구룬''으로 불렀다. 청나라는 오늘날의 만주, 신장, 몽골, 티베트 등 지역을 포함한 청나라의 영토를 중국어와 만주어 모두에서 "중국"으로 동일시하여, 중국을 다민족 국가로 정의하고, 중국이 한족 지역만을 의미한다는 생각을 거부하며, 한족과 비한족 모두 중국의 일부라고 선언하고, 공식 문서, 국제 조약, 외교에서 청나라를 지칭하기 위해 "중국"을 사용했으며, '중국어'(''둘림바이 구룬 이 비테'')는 중국어, 만주어, 몽골어를 지칭했으며, ''중국 지 런''(; ''둘림바이 구룬-이 니얄마'' '중국인')은 청나라의 모든 한족, 만주족, 몽골족 신민을 지칭했다.[13]
청나라가 1759년 준가리아를 정복했을 때, 그들은 새로운 땅이 만주어 기념물에서 중국(''둘림바이 구룬'')으로 흡수되었다고 선언했다.[14][15][16] 청나라는 몽골족과 티베트인과 같은 "외부" 비한족을 "내부" 한족과 함께 청나라 국가에서 통합하는 이념을 설명하며, 청나라의 다양한 신민들이 모두 하나의 가족의 일원임을 보여주기 위해 또는 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민족의 통합을 나타냈다.[17] 러시아 제국과의 범죄 관할권을 다룬 조약의 만주어 버전에서는 청나라 사람들을 "중앙 왕국의 사람들(''둘림바이 구룬'')"이라고 불렀다.[18][19][20][21] 만주 관료 투리센이 토르구트 몽골 지도자 아유카 칸과의 만주어 기록에서, 토르구트인들은 러시아인들과 달리 "중앙 왕국의 사람들"(''둘림바-이 구룬'')은 토르구트 몽골인들과 같고, "중앙 왕국의 사람들"은 만주족을 지칭한다고 언급했다.[22]
민족주의가 부상하기 전에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도시 국가, 봉건 영지 및 그 영주, 또는 중국의 경우 왕조 국가에 충성을 다했다.[37] 청나라 통치자들은 한족 제국 모델을 채택하고 자신들의 국가를 ''중국''(, 표준 중국어로 중국을 지칭하는 용어)으로 간주했으며, "중국"이라는 명칭은 난징 조약과 같은 국제적 소통과 조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38] 쑨원과 같은 일부 한족 민족주의자들은 처음에는 만주족을 몰아내야 할 "외국 침략자"로 묘사했고,[39] 독일과 일본을 모델로 한 한족 국가를 건설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러한 민족 국가에 대한 제한적인 관점이 제국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잃게 될 것을 우려하여 중국 민족주의자들은 이러한 개념을 버렸다. 청나라 황제의 퇴위는 필연적으로 티베트와 몽골의 영토 지위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황제가 공식적으로 모든 청나라 영토를 새로운 공화국에 물려주었지만, 몽골인과 티베트인들은 그들의 충성이 청나라 군주에게 있었고, 청나라의 퇴위로 인해 새로운 중국 국가에 충성을 빚지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중국 사상의 발전은 ''중화 민족''이라는 용어의 의미 확대에 반영되었다. 원래 청나라 말기의 언어학자 량치차오가 처음 사용한 ''중화 민족''은 초기에는 한족만을 지칭했다. 이후 청나라의 민족 범주에 따라 오족공화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23][24]
''중화 민족''의 개념은 청나라가 전복되고 중화민국이 건국된 직후인 1912년 위안스카이 총통에 의해 처음으로 공적으로 옹호되었다. 위안스카이는 중국에서 외몽골의 독립이 임박하자 "외몽골은 ''중화 민족''[중국 민족]의 일부이며 수백 년 동안 한 가족이었다"()라고 말했다.
쑨원은 1920년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이 개념을 더 자세히 설명했다.[25]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화 민족''의 개념은 소련 민족 정책의 영향을 받았다.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은 한족이 압도적으로 가장 큰 56개의 민족 집단으로 구성된 단일 국가이다. ''중화 민족''의 개념은 중화인민공화국 국경 내의 사람들을 포괄하는 범주로 간주된다.
이 용어는 21세기에도 중국에서 강력한 개념으로 남아있다. 중국 본토에서는 중국 지도자들이 매우 다양한 민족 및 사회 집단을 하나의 정치적 실체로 통합하고 중국 발전에 대한 해외 화교의 지지를 동원해야 하기 때문에 계속 사용되고 있다. 이 용어는 중국 공산당 통일전선공작 조례 제22조에 포함되어 있다: "...국가 통일과 진보를 촉진하고 모든 민족의 대중이 위대한 조국, 중화 민족, 중국 문화, 중국 공산당, 중국 특색 사회주의에 대한 동일시를 강화한다."[26] ''중화 민족''은 또한 5가지 동일시 중 하나이다.
타이완에서는, 마잉주 전 총통이 타이완과 중국 본토의 사람들을 포함하는 통일 개념으로 사용해 왔으며, 타이완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라는 해석을 배제한다. "중국인"과 같은 용어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일반적으로 "중국"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40]
중국 공산당 정권은 "중화 민족"을 "한족과 55소수 민족의 총칭"으로 규정하고 있다.[43][45][51]
만주족이 성립한 청나라 말기(20세기)에 군주제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혁명파가 "달로 구제, 중화 회복, 합중 정부 창립"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신해혁명이라고 불리는 공화제 국가 수립 운동을 벌였으며, 신해혁명이 성공하자 한족 혁명파는 입헌파와 보황파가 혁명파의 배만론에 대항하여 제창한 오족 불가분론인 "오족 공화"를 채택했고[52][53][54][55], 1912년 1월 1일 쑨원은 임시 대총통 취임 선언에서 "한, 만, 몽, 회, 장의 여러 지역을 합쳐 한 국가로 만들고, 한, 만, 몽, 회, 장의 여러 민족을 합쳐 한 사람과 같게 하려 한다" [56]라고 하여 청 왕조의 지배하에 있던 지역을 통합하려 했으며, 1921년 쑨원은 삼민주의의 구체적인 방책 속에서 "한족을 중심으로 삼고, 만, 몽, 회, 장 4족을 전부 우리에게 동화시키겠다" [57]라고 하여 만주족, 몽골족, 위구르족, 티베트족을 동화시킬 것을 제창했다.[47] 1925년에는 쑨원은 외래 민족은 천만 명밖에 되지 않으며, 4억 명의 대부분이 한족이므로 중국인은 완전한 단일 민족이라고 연설하여[47], 한족에 의해 중화 민족이라는 개념이 형성되었다.[47]
"중화 민족"이라는 단어가 처음 공식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1900년 11월, 청나라의 정치가 우팅팡의 강연으로 알려져 있다. 그 후, 청나라 시대의 저널리스트인 량치차오 등이 사용하게 된다. 량치차오의 저작에서는, 1905년에 쓰여진 역사상 중국 민족의 관찰에서는 만주족이나 몽골족, 티베트족은 중화 민족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했지만, 1922년의 "중국 역사상 민족의 연구"에서는 만주족을 중화 민족에 포함시키고 있다. 1988년, 페이샤오퉁이 발표한 "중화 민족 다원 일체 구조"론에서는, 중국에 사는 여러 민족은, 수천 년의 역사를 거쳐 형성된 일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58] 이 "중화 민족 다원 일체 구조"는 현재 중국의 민족 정책의 기본 노선을 이룬다고 한다.[59]
시진핑 지도부는 2012년 11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취임 이후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민족의 시조로 여겨지는 황제에 대한 숭배는 강해지고 있으며, 위구르나 티베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자신이 "중화민족"이라는 개념에 포함되는 것에 반감을 갖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51]。
미국에 거주하는 정치 사상가인 류중징은 중화민족은 정치적 조작이라고 주장하며 제하주의를 제창했다.
3. 1. 역사 재해석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는 정복 왕조 또는 비한족 정권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그러나 중화민족 개념의 채택 이후, 만주족을 중화민족의 일원으로 간주하면서 소수 민족이 세운 왕조라는 인식은 사라졌다.[41]이는 전통적인 영웅들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로 이어졌다. 악비와 정성공과 같은 영웅들은, 야만족이 아닌 중화민족의 다른 구성원인 여진족과 만주족에 맞서 싸운 '민족 영웅'으로 재해석되었다.[41] 동시에, 징기스칸과 같은 영웅은 중화민족의 일원으로서 국가 영웅으로 간주되었다.[42]
3. 2. 주변국과의 관계
중화민족 개념은 주변국과의 역사적, 영토적 문제와 관련하여 논쟁을 야기하기도 한다.몽골은 칭기즈 칸을 몽골 민족의 아버지로 명확히 규정하며, 중국의 '국가 영웅' 인식에 이의를 제기한다.[27] 일부 중국 학자들은 중국 내 몽골족(중국 내 몽골족) 인구가 몽골보다 많고, 현대 몽골국이 청나라 선통제 퇴위 조칙을 통해 몽골을 포함한 모든 청나라 영토를 계승할 법적 권리를 주장했던 중화민국으로부터 독립을 획득했다는 점을 들어 이러한 몽골의 주장에 반박한다.[28][29][30]
대한민국은 고구려, 발해 등 역사 귀속 문제를 둘러싸고 중화민족 개념이 중국 중심의 역사 해석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우려한다.[31] 더불어민주당은 중화민족 개념이 소수 민족의 자율성과 권리를 침해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포용성과 다양성을 강조한다. (요약 참조)
3. 3. 대만, 홍콩 문제
중화 민족 개념에 대한 반발은 대만 독립파와 홍콩 본토파에서 나타난다.[60][61] 홍콩 민족주의, 대만의 역사학자 스밍이 주장한 대만 민족주의 등은 이러한 중화 민족주의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다. 홍콩인을 하나의 민족으로 보는 홍콩 민족론도 그 영향을 받고 있다.[62]중화 민족 개념은 '중화 민족이 사는 땅은 하나의 국가에 의해 통치되어야 한다'[63]는 대중화주의(:zh:대중화주의)와 연결되어 영토 문제와 함께 거론되기도 한다. 홍콩에서는 대중화주의자를 비꼬는 말이 있다.[64]
3. 4. 일본과의 관계
일부 중국 학자들은 류큐 독립 운동을 지지하면서 류큐인이 중화 민족의 후예라고 주장한다.[65][66]중화 민족 류큐 특별 자치구 준비 위원회의 자오둥은 류큐가 중화 민족의 영역이라고 주장했다.[67][68]
중화민국의 스파이였던 기유나 쓰구마사는 1948년 8월에 "우리는 중화 민족이며, 류큐 동포의 해방을 원조해야 한다"고 말했다.[69]
4. 비판적 관점
"중화 민족" 개념은 현실의 복잡한 민족 관계를 단순화하고 왜곡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소수 민족의 정체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훼손하고, 한족 중심의 동화주의를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미국에 거주하는 정치 사상가 류중징은 중화민족은 정치적 조작이라고 주장한다.[64]
또한, 중화 민족 개념이 중국의 패권주의적 야망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는 지적도 존재하며, 이는 대만 독립파와 홍콩 본토파의 반발을 야기했고, 홍콩 민족주의와 대만 민족주의를 생겨나게 했다.[60][61][62] 위구르나 티베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자신이 "중화민족"이라는 개념에 포함되는 것에 반감을 갖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51]
참조
[1]
서적
State and Society in 21st Century China: Crisis, Contention and Legitimat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4
[2]
뉴스
The dark side of China's national renewal
https://www.ft.com/c[...]
2017-06-21
[3]
서적
Securing China's Northwest Frontier: Identity and Insecurity in Xinjia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0
[4]
간행물
https://www.ixueshu.[...]
2019-10-29
[5]
서적
China Off Center: Mapping the Margins of the Middle Kingdo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6-10-13
[6]
서적
Prescriptions for saving China: Selected writings of Sun Yat-sen
https://archive.org/[...]
"[[Hoover Institution]] Press"
1994
[7]
서적
Culture, Music Education, and the Chinese Dream in Mainland China
Springer Nature Singapore
[8]
서적
China's Challenges and International Order Transitio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9]
문서
Chagatai is the predecessor of Uyghur
[10]
문서
Hauer 2007
https://books.google[...]
[11]
문서
Dvořák 1895
https://books.google[...]
[12]
문서
Wu 1995
https://books.google[...]
[13]
간행물
Reinventing China: Imperial Qing Ideology and the Rise of Modern Chinese National Identit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webspace.ute[...]
2006-01
[14]
문서
Dunnell 2004
https://books.google[...]
[15]
문서
Dunnell 2004
https://books.google[...]
[16]
문서
Elliott 2001
https://books.google[...]
[17]
문서
Dunnell 2004
https://books.google[...]
[18]
문서
Cassel 2011
https://books.google[...]
[19]
문서
Cassel 2012
https://books.google[...]
[20]
문서
Cassel 2011
https://books.google[...]
[21]
문서
Cassel 2012
https://books.google[...]
[22]
문서
Perdue 2009
https://books.google[...]
[23]
서적
Academic Nations in China and Japan
Taylor & Francis
[24]
서적
Afterlives of Chinese Communism
ANU Press
[25]
웹사이트
https://www.sunyat-s[...]
2020-11-04
[26]
웹사이트
http://www.gov.cn/zh[...]
2021-01-05
[27]
웹사이트
Modern Mongolia: Reclaiming Genghis Khan
https://www.penn.mus[...]
Penn Museum
2019-09-24
[28]
서적
Empire to Nation: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9]
서적
https://books.google[...]
City University of HK Press
[30]
서적
https://books.google[...]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31]
웹사이트
South Koreans Are Rethinking What China Means to Their Nation
https://fsi.stanford[...]
The Freeman Spogli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
2022-02-08
[32]
서적
Handbook of Ethnic Conflict: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0-13
[33]
간행물
Chinese Nationalism and Its International Orientations
[34]
간행물
The Nationaless State: The Search for a Nation in Modern Chinese Nationalism
1995-01
[35]
서적
China Since 1919: Revolution and Reform: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6-10-13
[3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enocide Stud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0-13
[37]
웹사이트
nationalism;Identification of state and people
http://www.britannic[...]
2010-03-09
[38]
서적
Empire to nation: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39]
웹사이트
French Centre for Research on Contemporary China (CEFC)
http://www.cefc.com.[...]
2008-03-21
[40]
웹사이트
President of Republic of China inauguration speech
http://www.president[...]
2008-05-20
[41]
웹사이트
What makes a national hero?
http://app1.chinadai[...]
2008-05-25
[42]
문서
The Chinese Cult of Chinggis Khan: Genealogical Nationalism and Problems of National and Cultural Integrity
http://www.smhric.or[...]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08-05-28
[43]
서적
Handbook of Ethnic Conflict: International Perspectives
Springer
2012-02-14
[44]
논문
Chinese Nationalism and Its International Orientations
2000
[45]
서적
China Since 1919: Revolution and Reform: a Sourcebook
Psychology Press
2004
[4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enocide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4-15
[47]
웹사이트
中国・中華は侵略用語である ― シナ侵略主義の論理構造 ―
http://sakainobuhiko[...]
日本ナショナリズム研究所
2010-11-21
[48]
웹사이트
チンギス・ハンは誰の英雄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9-09-24
[49]
문서
The Chinese Cult of Chinggis Khan: Genealogical Nationalism and Problems of National and Cultural Integrity
http://www.smhric.or[...]
City University of New York
[50]
웹사이트
チンギス・ハンは中華的英雄?奪われた陵墓の数奇な運命
http://www.newsweekj[...]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語版
2019-09-24
[51]
뉴스
中国で勢い増す「黄帝」崇拝 愛国心鼓舞、少数民族抑圧と紙一重
http://dd.hokkaido-n[...]
2014-05-18
[52]
논문
The Nationaless State: The Search for a Nation in Modern Chinese Nationalism
1995-01
[53]
문서
辛亥革命期の五族共和論をめぐって
国書刊行会
1984
[54]
문서
中華民族論の系譜
東京大学出版会
2009
[55]
서적
China Off Center: Mapping the Margins of the Middle Kingdom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2
[56]
서적
孫文全集
[57]
서적
孫文全集
[58]
뉴스
【キーワードで読む沸騰中国】ウイグルも「中華民族」?
http://sankei.jp.msn[...]
2014-05-06
[59]
웹사이트
中国の民族理論とその政策的実践の文化人類学的検証
http://www.cneas.toh[...]
東北大学
2014-05-06
[60]
웹사이트
大中華主義
https://evchk.fandom[...]
[61]
웹사이트
大中華膠的懺悔
https://thestandnews[...]
[62]
논문
雨傘運動とその後の香港政治- 一党支配と分裂する多元的市民社会
アジア政経学会
2017
[63]
웹사이트
論香港人之身份(戴毛畏) - 熱新聞 YesNews
https://www.yes-news[...]
[64]
웹사이트
大中華膠的懺悔 立場新聞
https://www.thestand[...]
[65]
Youtube
中国での琉球独立の宣伝 唐淳風
https://www.youtube.[...]
[66]
웹사이트
中露海軍日本一周の意図:北海道はロシア領、沖縄を中国領に ソ連による終戦後の北方四島侵攻は「米英ソの密約」で行われた 2021.11.9(火)池口 恵観 jbpress
https://jbpress.isme[...]
[67]
Youtube
中華民族琉球特別自治区準備委員会のインタビュー動画
https://www.youtube.[...]
[68]
웹사이트
【亞視清盤】又有白武士 內地電子商人趙東願注資六千萬
https://www.hk01.com[...]
[69]
논문
蔡璋と琉球革命同志会・1941年~1948年
http://id.nii.ac.jp/[...]
中央大学経済研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