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략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침략 전쟁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영토 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을 침해하는 무력 사용을 의미하며, 1919년 베르사유 조약 논쟁에서 그 개념이 시작되었다. 국제연맹은 만주사변 당시 무력했고, 1930년대 이탈리아, 독일의 침략을 막지 못했다. 1933년 런던에서 침략의 정의에 관한 협약이 체결되었고, 1974년 유엔 총회 결의 3314호는 침략의 범죄를 정의했지만, 국제법적 구속력은 제한적이다. 뉘른베르크 원칙과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은 침략 전쟁을 국제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2010년 캄팔라 수정 조항을 통해 국제형사재판소는 침략 범죄에 대한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침략범죄 -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 규정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 규정은 국제형사재판소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국제 조약으로, 집단살해죄, 인도에 반한 죄, 전쟁범죄, 침략범죄 등 가장 심각한 범죄에 대한 ICC의 관할권을 규정하며, 1998년 로마에서 채택되어 2002년에 발효되었다. - 침략범죄 - 유엔 헌장
유엔 헌장은 제2차 세계대전 후 국제 평화와 안보 유지를 목표로 1945년에 제정된 국제연합의 기본 규약으로서 회원국의 권리와 의무, 유엔 주요 기관의 기능과 권한, 국제 분쟁 해결 절차, 평화에 대한 위협 대응 방안 등을 규정하며 국제법의 근간을 이룬다. - 법 - 재판
재판은 피고와 원고의 공방과 판사 또는 배심원의 판단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이며, 민사, 형사, 행정 재판 등으로 구분된다. - 법 - 조약
조약은 국제법 주체들이 국제법에 따라 법적 구속력을 갖도록 체결하는 공식적인 서면 합의이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채택, 인증, 구속 동의 등의 절차를 거쳐 효력이 발생하며, 당사국 간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침략 전쟁 | |
---|---|
지도 정보 | |
개요 | |
명칭 | 침략 전쟁 |
다른 이름 | 공격 전쟁 정복 전쟁 |
정의 | 자위의 정당성이 없는 군사적 충돌 |
설명 | 군사적 충돌은 자위나 방어가 아닌 침략을 목적으로 수행됨 |
관련 법률 | |
국제법 | 국제 연합 헌장 위반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 침략 범죄로 분류 |
뉘른베르크 재판 | 나치 독일의 침략 전쟁을 주요 범죄로 규정 |
전쟁과의 구분 | |
일반 전쟁 | 자위권 인정 여부, 전쟁의 목적 등에서 차이 발생 |
침략 전쟁 | 명확한 침략 의도를 가지고 수행,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 |
역사적 사례 | |
나치 독일 |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유럽 침공 |
일본 제국 | 태평양 전쟁, 동아시아 침략 |
기타 | 다양한 역사적 사례 존재 |
2. 정의
유엔 헌장 제2조 4항은 모든 회원국이 다른 국가의 영토 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대해 무력을 사용하거나 위협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6] 이 개념은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제231조 논쟁에서 비롯되었는데, 독일은 "독일과 그 동맹국의 침략"으로 인한 모든 손실과 피해에 대한 책임을 인정했다.[7]
만주사변은 국제연맹의 도덕적 힘과 영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제연맹은 일본과 같은 국가가 노골적인 침략을 저지를 수 있게 했다. 아돌프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도 이를 알고 이웃 국가들을 공격했다.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1935~1937)와 알바니아(1939)를, 독일은 체코슬로바키아(1938~1939)와 폴란드(1939)를 침공했다.[8] 1935년 11월, 국제연맹은 에티오피아에 대한 이탈리아의 침략을 규탄하고 경제 제재를 가했다.[9]
1947년 미주 상호 원조 조약 제9조는 침략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다른 국가의 영토, 국민 또는 육·해·공군에 대한 국가의 무력 공격, 조약, 사법 결정 또는 중재 판정에 따라 획정된 경계를 넘어서거나, 이러한 경계가 획정되지 않은 경우 다른 국가의 유효한 관할권 하에 있는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침략을 통한 미주 국가의 영토에 대한 국가의 무장 세력의 침입.[21]
유엔에서 공격 행위의 정의에 대한 논의는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시작되었다. 국제법위원회는 1951년 6월 4일 공격 행위에 대한 잠정적인 정의를 다음과 같이 채택했다.
> 공격이란 어떤 무기를 사용하든, 공개적으로 하든 그렇지 않든, 개별적 또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위한 경우나 유엔의 유능한 기관의 결정 또는 권고에 따른 경우를 제외하고, 어떤 이유나 목적으로든 국가 또는 정부가 다른 국가 또는 정부에 대해 무력을 사용하는 것이다.[24]
로마규정(국제형사재판소)은 침략 범죄를 “국제 사회에 대한 가장 심각한 범죄”로 규정하고, 국제형사재판소(ICC)의 관할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형사재판소가 침략 범죄에 대한 관할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범죄를 정의하고 관할권 행사 조건을 규정하는 조항이 채택되어야 하며, 그러한 조항은 유엔 헌장의 관련 조항과 일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었다. 2010년 6월 11일 캄팔라 재검토 회의에서 총 111개의 법정 조약국이 해당 범죄의 정의와 이 범죄에 대한 관할권 행사 조건을 수용하는 결의를 채택하는 데 합의했다. 그리고 관련 규정의 수정이 35개 조약국에 의해 비준된 후, 2018년 7월 17일에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
2. 1. 침략의 정의에 관한 협약 (1933)
1933년 7월 3일과 4일, 런던에서 '''침략의 정의에 관한 협약''' 두 건이 체결되었다. 첫 번째 협약은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소련, 터키, 유고슬라비아가 서명했고, 1934년 2월 17일 발효되었다.[11] 두 번째 협약은 아프가니스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페르시아, 폴란드, 루마니아, 소련, 터키가 서명했다.[11] 핀란드는 1934년 1월 31일 두 번째 협약에 가입했다.[11] 리투아니아는 폴란드를 포함하는 조약에 서명을 거부하여, 1933년 7월 5일 소련과 별도 조약으로 침략의 정의에 서명했다.[11]이 협약들은 침략을 금지하는 켈로그-브리앙 조약의 연장선에서, 침략의 명확한 정의를 내리고자 했다. 특히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는 소협상 회원국으로서, 불가리아의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지원을 경고하는 의미를 담았다.[12] 이 협약들은 1933년 3월 24일 안전 보장 질문 위원회의 "폴리티스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며, 그리스 정치인 니콜라오스 폴리티스는 "무장 봉기 세력 지원"을 침략으로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3] 협약의 초안은 주로 소련 대표 막심 리트비노프가 작성했다.[14]
협약은 다음과 같은 행위를 침략으로 정의했다.
- 다른 국가에 대한 선전포고
- 선전포고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국가 영토 침략
- 다른 국가의 영토, 선박, 항공기에 대한 공격
- 다른 국가의 해안 또는 항구 봉쇄
- 자국 영토에서 결성된 무장 봉기 세력의 타국 침략 지원, 또는 침략받은 국가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지 않는 것
이 협약에 따라 국제연맹 회원국이 침략으로 유죄 판결을 받으면 추방될 수 있었는데, 이 조항은 1939년 12월 14일 소련의 핀란드 침공 이후 소련에 대해 단 한 번 사용되었다.[15][16]
2. 2. 뉘른베르크 원칙 (1950)
1950년, 뉘른베르크 재판소는 평화에 대한 범죄를 원칙 VI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여 유엔 총회에 제출했다.[17][18]:i. 침략전쟁 또는 국제 조약, 협정 또는 보장을 위반하는 전쟁의 계획, 준비, 개시 또는 수행.
:ii. (i)항에서 언급된 행위를 달성하기 위한 공동 계획 또는 음모에의 참여.
뉘른베르크 재판은 "재판소의 관할권에 대한 법적 근거는 독일 항복 문서에 의해 정의된 것으로, 독일의 정치 권력이 연합군 통제 위원회로 이전되었고, 독일의 주권을 가진 연합군 통제 위원회는 국제법 및 전쟁법 위반을 처벌할 수 있었다. 재판소는 전쟁법 위반으로 제한되었기 때문에 1939년 9월 1일 전쟁 발발 이전에 발생한 범죄에 대한 관할권은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이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뉘른베르크 재판소는 제2차 세계 대전을 시작한 데 책임이 있는 여러 사람들에게 형을 선고했다. 이로 인해 무력 충돌을 시작하는 국가들은 이제 자위권, 집단적 자위권 또는 – 보이는 바와 같이 – ''강행규범''의 형법 집행을 주장해야 한다. 이는 1945년 이후 공식적인 선전포고를 드물게 만들었다.
재판소의 최종 판결을 낭독하면서, 영국 대리 판사인 노먼 버킷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피고들이 공격적인 전쟁을 계획하고 수행했다는 기소장의 혐의는 매우 중대한 것입니다. 전쟁은 본질적으로 악한 것입니다. 그 결과는 교전국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침략전쟁을 시작하는 것은 국제범죄일 뿐만 아니라, 다른 전쟁범죄와는 달리 그 자체에 모든 악의 축적된 것을 포함하고 있는 최고의 국제범죄입니다."[1]
대법원 협의 판사 윌리엄 더글러스는 연합국이 뉘른베르크에서 "원칙을 대신하여 권력을 사용했다"고 비난했다. "나는 당시 그리고 지금도 뉘른베르크 재판이 원칙에 어긋난다고 생각합니다. 당시의 열정과 소란에 맞춰 법이 사후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19]
2. 3. 유엔 총회 결의 3314 (1974)
1974년 12월 14일, 유엔 총회는 침략의 범죄를 정의한 결의안 3314를 채택했다.[28] 이 정의는 국제법상 그 자체로 구속력이 없지만, 관습 국제법을 반영할 수 있다.이 정의는 "국제적 책임을 발생시키는" ''침략''과 "국제 평화에 대한 범죄"인 ''침략 전쟁''을 구분한다. 침략 행위는 무장 침입 또는 공격, 폭격, 봉쇄, 영토에 대한 무장 침범, 다른 국가가 자국의 영토를 사용하여 침략 행위를 저지르도록 허용하는 행위, 그리고 침략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무장 비정규군 또는 용병의 고용 등으로 정의된다. 침략 전쟁은 지속적인 의도로 저질러진 일련의 행위이다. 이 정의에서 ''행위''와 ''전쟁''을 구분함으로써 모든 침략 행위가 평화에 대한 범죄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한다. 오직 침략 전쟁만이 그렇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는 침략 행위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된다.
이 정의의 표현은 많은 논평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무장 비정규군의 사용에 관한 조항은 특히 모호하여 어느 정도의 "관여"가 국가 책임을 수반하는지 불분명하다. 또한 침략 행위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는 행위자로 국가만을 간주한다는 점에서 매우 국가 중심적이다. 시에라리온 내전과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참여한 것과 같은 국내 또는 초국가적 반군 집단은 비국가 당사자임에도 불구하고 각 분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들은 이 정의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을 것이다.

침략의 정의는 국제기구의 행위도 다루지 않는다. 이 정의가 채택될 당시 두 개의 주요 군사 동맹인 NATO와 바르샤바 조약은 비국가 당사자였으므로 이 정의의 범위 밖에 있었다.[26] 또한, 이 정의는 침략 행위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다루지 않는다. 이는 개인 형사 기소의 근거로 삼기에는 불충분한 기초로 널리 인식된다.[27]
이 침략의 정의는 1999년 코소보 전쟁과 2003년 이라크 전쟁과 같은 분쟁의 반대자들에 의해 자주 인용되었지만, 국제법에는 구속력이 없다. ''법률 없이는 처벌 없다''라는 원칙은 침략 문제에 관한 구속력 있는 국제법이 없는 경우, 이 정의에 위배되는 행위를 저질렀다고 해서 처벌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야 세르비아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라이베리아의 찰스 테일러의 경우처럼 전시에 저지른 행위로 인해 국가 원수들이 기소되었다. 그러나 두 사람 모두 전쟁범죄, 즉 전쟁법 위반으로 기소되었지, 침략의 정의에서 상정한 것처럼 더 광범위한 "국제 평화에 대한 범죄"라는 혐의로 기소되지는 않았다.
이 정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구속력이 없다. 유엔 헌장은 총회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권고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지만, 총회는 이사회에 명령할 수 없다. 이 정의를 수반하는 결의안은 안전보장이사회가 "유엔 헌장에 따라 침략 행위의 존재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28] 안전보장이사회는 이 지침을 적용하거나 무시할 수 있다. 법률 해설가들은 침략의 정의가 안전보장이사회의 심의에 "눈에 띄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29]
2. 4. 국제형사재판소(ICC) 로마 규정 (1998) 및 캄팔라 수정 조항 (2010)
로마 규정은 침략죄를 국제 사회가 가장 우려하는 중대한 범죄 중 하나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 범죄에 대한 관할권이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속한다고 명시하고 있다.[30] 그러나 로마 규정 제5조 2항은 국제형사재판소가 침략죄에 대한 관할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범죄를 정의하고 관할권 행사 조건을 규정하는 조항이 제121조 및 제123조에 따라 채택되어야 하며, 그러한 조항은 유엔 헌장의 관련 조항과 일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30]유엔 헌장의 관련 조항은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조약 제5조 2항에 언급되어 있으며, 뉘른베르크 원칙을 포함하도록 규정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원칙 VI.a'' "평화에 대한 범죄"이며, 이는 1945년에 발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범죄 재판의 기초가 된 국제군사재판소 런던 헌장의 조항을 기반으로 한다.
국제형사재판소 당사국 총회는 2010년 우간다 캄팔라에서 열린 로마 조약 검토 회의에서 이러한 정의를 채택하였다.[31][32]
1998년 7월 17일 로마에서 열린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에 관한 유엔 전권 외교 사절 회의(일명 로마 회의)에서 채택된 로마규정(국제형사재판소)는 침략 범죄를 “국제 사회에 대한 가장 심각한 범죄”로 규정하고, 국제형사재판소(ICC)의 관할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로마 규정은 체약국(조약국)이 범죄의 정의에 동의하고 기소되는 조건을 설정할 때까지 ICC가 침략 범죄에 대한 관할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었다.
2010년 6월 11일 캄팔라 재검토 회의에서 총 111개의 법정 조약국이 해당 범죄의 정의와 이 범죄에 대한 관할권 행사 조건을 수용하는 결의를 채택하는 데 합의했다. 그리고 관련 규정의 수정이 35개 조약국에 의해 비준된 후, 2018년 7월 17일에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
3. 역사적 배경
침략 전쟁으로 법정에서 재판받은 최초의 사례는 1268년 시칠리아 왕 콘라딘이 일으킨 전쟁이다.[33]
만주사변은 국제연맹의 도덕적 힘과 영향력에 큰 타격을 주었다. 강대국이 다른 국가를 침략해도 국제연맹은 무력했고, 일본은 별다른 제재 없이 노골적인 침략을 자행할 수 있었다. 아돌프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를 이용하여 이웃 국가들을 공격했다.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1935~1937)와 알바니아(1939)를, 독일은 체코슬로바키아(1938~1939)와 폴란드(1939)를 침공했다.[8]
1935년 11월, 국제연맹은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략을 규탄하고 경제 제재를 가했다.[9] 한스 켈젠은 국제연맹이 에티오피아 사건에서 "회원국이 다른 회원국을 불법 침략한 경우 의무 이행을 위해 노력했다"고 주장했다.[10]
3. 1. 베르사유 조약 (1919)
이 개념의 기원은 저자인 피터 매과이어가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제231조에 대한 논쟁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는 내용에서 찾을 수 있다. 해당 조항은 "독일은 독일과 그 동맹국들이 독일과 그 동맹국의 침략으로 인해 연합국 및 관련 정부와 그 국민들이 입은 모든 손실과 피해에 대한 책임을 인정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6] 매과이어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3. 2. 국제연맹 시대 (1920-1930년대)
피터 매과이어는 침략 전쟁 개념의 기원이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제231조에 대한 논쟁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독일은 독일과 그 동맹국들이 독일과 그 동맹국의 침략으로 인해 연합국 및 관련 정부와 그 국민들이 입은 모든 손실과 피해에 대한 책임을 인정한다."[6] 매과이어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원래 윌슨 대통령은 독일에 전쟁 책임을 씌우려는 노력에 저항했지만, 프랑스와 영국의 지도자들은 그를 타협하게 만들었다. 독일을 '침략자'로 규정함으로써 이 개념이 국제법에 도입되었다.|원래 윌슨 대통령은 독일에 전쟁 책임을 씌우려는 노력에 저항했지만, 프랑스와 영국의 지도자들은 그를 타협하게 만들었다. 독일을 '침략자'로 규정함으로써 이 개념이 국제법에 도입되었다.영어 [7]
만주사변은 국제연맹의 도덕적 힘과 영향력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비평가들이 예측했듯이, 강력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대해 공격적인 정책을 추구하기로 결정하면 국제연맹은 무력했고, 일본과 같은 국가가 심각한 결과 없이 노골적인 침략을 저지를 수 있게 했다. 아돌프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도 이를 알고 있었고, 궁극적으로 일본의 예를 따라 이웃 국가들을 공격했다. 이탈리아의 경우 에티오피아(1935~1937)와 알바니아(1939), 독일의 경우 체코슬로바키아(1938~1939)와 폴란드(1939)이다.[8]
1935년 11월, 국제연맹은 에티오피아에 대한 이탈리아의 침략을 규탄하고 경제 제재를 가했다.[9] 저명한 법학자 한스 켈젠은 에티오피아 사건에서 국제연맹이 "회원국이 다른 회원국에 대해 불법적으로 침략을 가한 경우에 대해서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특정 노력을 기울였다"고 주장했다.[10]
3. 3. 제2차 세계 대전과 뉘른베르크 재판 (1939-1945)
피터 매과이어는 이 개념의 기원이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제231조에 대한 논쟁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독일은 독일과 그 동맹국들이 독일과 그 동맹국의 침략으로 인해 연합국 및 관련 정부와 그 국민들이 입은 모든 손실과 피해에 대한 책임을 인정한다."[6]만주사변은 국제연맹의 도덕적 힘과 영향력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비평가들이 예측했듯이, 강력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대해 공격적인 정책을 추구하기로 결정하면 국제연맹은 무력했고, 일본과 같은 국가가 심각한 결과 없이 노골적인 침략을 저지를 수 있게 했다. 아돌프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도 이를 알고 있었고, 궁극적으로 일본의 예를 따라 이웃 국가들을 공격했다. 이탈리아의 경우 에티오피아(1935~1937)와 알바니아(1939), 독일의 경우 체코슬로바키아(1938~1939)와 폴란드(1939)이다.[8]
1935년 11월, 국제연맹은 에티오피아에 대한 이탈리아의 침략을 규탄하고 경제 제재를 가했다.[9] 한스 켈젠은 에티오피아 사건에서 국제연맹이 "회원국이 다른 회원국에 대해 불법적으로 침략을 가한 경우에 대해서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특정 노력을 기울였다"고 주장했다.[10]
1945년, 국제군사재판소 런던 헌장은 '평화에 대한 범죄'를 포함한 세 가지 범죄 유형을 정의했다. 이 정의는 핀란드가 핀란드 전쟁 책임 재판에서 정치 지도부를 기소하는 데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원칙들은 나중에 뉘른베르크 원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50년, 뉘른베르크 재판소는 평화에 대한 범죄를 원칙 VI, 특히 원칙 VI(a)에서 정의하여 유엔 총회에 제출했다.[17][18]
뉘른베르크 재판소는 제2차 세계 대전을 시작한 데 책임이 있는 여러 사람들에게 이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형을 선고했다. 이로 인해 무력 충돌을 시작하는 국가들은 이제 자위권, 집단적 자위권 또는 – 보이는 바와 같이 – ''강행규범''의 형법 집행을 주장해야 한다. 이는 1945년 이후 공식적인 선전포고를 드물게 만들었다.
재판소의 최종 판결을 낭독하면서, 영국 대리 판사인 노먼 버킷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윌리엄 더글러스 대법원 협의 판사는 연합국이 뉘른베르크에서 "원칙을 대신하여 권력을 사용했다"고 비난했다. "나는 당시 그리고 지금도 뉘른베르크 재판이 원칙에 어긋난다고 생각합니다. 당시의 열정과 소란에 맞춰 법이 사후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19]
4. 국제법적 근거
국제연합 헌장은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조약 제5조 2항에 언급되어 있으며, 뉘른베르크 원칙을 포함하도록 규정되었다. 특히, 원칙 VI.a "평화에 대한 범죄"는 1945년 국제군사재판소 런던 헌장에 기반을 두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범죄 재판의 기초가 되었다.[20]
국제연합의 목적은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 평화에 대한 위협 예방 및 제거, 침략 행위 진압,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 국가 간 우호 관계 발전 등이다. 모든 회원국은 국제 관계에서 무력 사용이나 위협을 하지 않아야 하며, 분쟁 발생 시 평화적 수단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안전보장이사회는 평화에 대한 위협, 평화 파괴, 침략 행위 존재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한 조치를 권고하거나 결정한다.[20]
1947년 미주 상호 원조 조약은 침략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고 있다. 침략 행위는 다른 국가의 영토, 국민, 군대에 대한 무력 공격, 무장 세력의 침입 등이다.[21]
유엔 총회는 한국 전쟁 이후 침략 행위 정의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국제법위원회는 1951년 공격 행위에 대한 잠정적 정의를 채택했다.[24] 1974년 유엔 총회는 결의안 3314를 통해 침략 범죄를 정의했다. 이 정의는 국제법상 구속력은 없지만, 관습 국제법을 반영할 수 있다.
이 정의는 "국제적 책임을 발생시키는" ''침략''과 "국제 평화에 대한 범죄"인 ''침략 전쟁''을 구분한다. 침략 행위는 무장 침입, 공격, 폭격, 봉쇄, 영토 침범, 다른 국가의 영토 사용 허용, 무장 비정규군 또는 용병 고용 등이다. 침략 전쟁은 지속적인 의도로 저질러진 일련의 행위이다.
하지만 이 정의는 모호하고 국가 중심적이며, 비국가 행위자나 국제기구의 행위, 개인 책임 등을 다루지 않아 비판받고 있다. 코소보 전쟁과 이라크 전쟁 등에서 이 정의가 인용되었지만, 국제법상 구속력이 없어 처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조약은 침략죄를 중대한 범죄로 규정하고 국제형사재판소(ICC) 관할권에 속한다고 명시했지만, 범죄 정의 및 관할권 행사 조건은 추후 채택될 조항에 따라 결정된다고 규정했다.[30] 2010년 로마 조약 검토 회의에서 캄팔라에서 정의가 채택되었다.[31][32]
5. 최근 사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참조
[1]
서적
Judgment of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for the Trial of German Major War Criminals: The Nazi Regime in Germany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Yale University
1946
[2]
서적
International justice and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
웹사이트
Resolution RC/Res.6
https://web.archive.[...]
2012-05-14
[4]
뉴스
Crime of Aggression Activated at the ICC: Does it Matter?
https://www.justsecu[...]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Law
2017-12-19
[5]
서적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criminal law and proced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6]
서적
War and the Law of Nations: A Gener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2005
[7]
서적
Law and War: International Law and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Columbia UP
2013
[8]
서적
GCSE Modern World History
2001
[9]
서적
Mussolini and Fascism
Interlink Books
2000
[10]
학술지
Between Sovereignty and Race: The Bombardment of Hospitals in the Italo-Ethiopian War and the Colonial Imprint of International Law
https://www.jstor.or[...]
2019
[11]
기타
[12]
학술지
Bulgaria and the Balkan Entente
1938
[13]
학술지
The Soviet Union and International Terrorism
1974
[14]
학술지
An Aspect of the Lithuanian Record of Independence
1944
[15]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Assembly resolution of December 14, 1939, expelling the Soviet government
http://www.histdoc.n[...]
[16]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Council resolution of December 14, 1939, expelling the Soviet government
http://www.histdoc.n[...]
[17]
웹사이트
Skeleton Argument for High Court Judicial Review
https://web.archive.[...]
2008-07-02
[18]
웹사이트
Tri-denting It Handbook, 3rd ed. (2001) – Part 6
https://web.archive.[...]
2007-09-25
[19]
기타
[2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harter
https://www.un.org/a[...]
[21]
웹사이트
The Rio Pact
http://www.oas.org/j[...]
[22]
웹사이트
UN General Assembly Resolution 378 (V) on the Duties of States in the Event of the Outbreak of Hostilities
http://www.refworld.[...]
[23]
웹사이트
Yearbook of the ILC 1951, vol. 2
https://web.archive.[...]
2015-09-12
[24]
웹사이트
Yearbook of the ILC 1951, vol. 1
https://web.archive.[...]
2015-09-12
[25]
뉴스
Creating a Special Tribunal for Aggression Against Ukraine Is a Bad Idea
http://opiniojuris.o[...]
2022-03-07
[26]
서적
The Law of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7]
서적
Recueil De Cours/Collected Courses
Académie de Droit International de La Haye
1998
[28]
서적
War, Aggression and Self-Def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9]
서적
International Criminal Law
1999
[30]
웹사이트
Part 2. Jurisdiction, admissibility and applicable law. Article 5.
http://legal.un.org/[...]
[31]
웹사이트
Review Conference of the Rome Statute concludes in Kampala
https://web.archive.[...]
2010-06-18
[32]
웹사이트
ICC nations define crime of aggression
http://jurist.org/pa[...]
2010-06-12
[33]
서적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criminal law and proced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4]
기타
[3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