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호(Ailuranthrope)는 "고양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어근과 "인간"을 의미하는 어근의 합성어로, 인간과 고양이의 변신, 또는 고양이와 인간의 특징을 결합한 존재를 지칭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짐승고양이 설화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등 각 지역의 문화와 민속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아시아에서는 호랑이, 유럽에서는 집고양이, 아프리카에서는 사자나 표범, 아메리카에서는 재규어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변신 능력, 저주, 마법 등 다양한 요소와 결합하여 전승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호랑이 - 백호
백호는 동아시아 사신 중 서쪽을 수호하는 상징으로, 오행 사상과 관련되어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과 일본으로 전해졌으며, 고대 유물과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신화의 호랑이 - 샤치호코
샤치호코는 일본 성의 지붕을 장식하는 상상의 동물 형상으로,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고 권위를 상징하며, 현재는 장식적 기능이 강조된다. - 변신설화 - 잠녀 (전설)
잠녀는 고대 중국 설화 속 인물로, 물에 빠져 죽거나 누에가 되어 비단을 생산해 가족을 돕는 여성으로 묘사되며, 여성의 희생과 공동체 정신을 담고 있고 오늘날 여성의 강인함을 보여주는 문화적 자산으로 평가받는다. - 변신설화 - 미녀와 야수
미녀와 야수는 아름다운 여성과 야수의 사랑을 다룬 유럽 전래 동화로, 여러 판본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해석되었으며 외모와 내면의 아름다움, 진정한 사랑의 힘과 같은 주제를 다룬다. - 초자연적 전설 - 골렘
골렘은 유대교 전승에서 특별한 의식으로 진흙을 빚어 만든 인조 인간을 뜻하며, 16세기 랍비 엘리야후와 프라하의 랍비 예후다 레브 벤 베잘렐의 창조 설화로 유명하고, 이후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 초자연적 전설 - 발푸르기스의 밤
발푸르기스의 밤은 성 발푸르가의 축일과 관련된 4월 30일에서 5월 1일 사이의 축제로, 유럽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기념되며 독일에서는 마녀들이 봄을 맞이하는 축제, 스웨덴에서는 봄의 시작을 알리는 축제로 여겨진다.
인호 | |
---|---|
일반 정보 | |
![]() | |
종류 | 전설적인 동물 신화 속 혼종 |
분류 | 변신 |
관련 항목 | 늑대인간 스키ਨ워커 |
추가 정보 | |
다른 이름 | 바르코피시커 (Vârcopisică) |
2. 어원
아일루란트로피(Ailuranthropy)는 "고양이"를 뜻하는 그리스어 어근 ''ailouros''[1]와 "인간"을 뜻하는 ''anthropos''[2]에서 유래되었으며, 인간과 고양이의 변신, 또는 고양이와 인간의 특징을 결합한 존재를 가리킨다. ''ailouros''는 고양이를 사랑하는 것을 의미하는 아일루로필리아(ailurophilia)라는 단어에도 사용된다.[3][4][5]
짐승고양이 설화는 인도, 중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과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등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다.
아일루란트로프(Ailuranthrope)는 고양이과 테리안트로프(therianthrope)를 지칭하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용어이다.[6]
3. 각지의 전승
유럽에는 몸통은 호랑이이고 이마에서 뿔이 솟은 인간의 머리를 가진 '호랑이 인간'(man tiger영어)이라는 가공의 동물이 있어, 문장 등에 사용되었다.[31] 2세기의 파우사니아스는 인도에 산다고 믿었던 괴물 만티코어의 원형도 호랑이와 관련된 전승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31]
3. 1. 아시아
인도에서 중국에 걸쳐 아시아 일대에 비슷한 전설이 있으며[28], 호랑이가 서식하지 않는 일본에서도 중국의 영향으로 그 존재를 믿었다고 한다.
중국 송에서 청에 걸쳐 집필된 설화집 『태평광기』·『고금설해』·『당인설회』 등에 "인호전"으로 호랑이로 변신하는 남자의 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일본 작가 나카지마 아쓰시는 『당인설회』 속 "인호전"을 바탕으로 소설 『산월기』를 집필해 재능 있는 지식인의 좌절과 고뇌를 그려냈다.
인도네시아 자바섬에는 '''마간 가둥간'''(magan gadunganid)이라는 호랑이 인간 전설이 있다. 여러 설이 있지만, "응겔름 가둥간"이라는 마법 의식으로 잠든 사람의 영혼이 빠져나가 실체화된다고 하거나, 인간 엄지손가락 정도 크기의 허리띠를 밤에 착용하면 마법이 발동된다고도 한다. 마법이 발동되면 몸이 거대해지고 호랑이 무늬로 뒤덮여 호랑이 모습이 되어 사람들을 공격한다. 희생자는 저주를 받아 살아남아 호랑이로 변신하여 다음 희생자를 찾는다고 한다. 마간 가둥간은 윗입술에 움푹 들어간 곳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29]
말레이 반도에서는 호랑이에게 홀린 사람이 가축, 특히 닭을 공격한다고 믿었다. 이 때문에 호랑이에게 홀렸다고 의심받는 사람은 구토제를 먹고 깃털을 토해내면 호랑이에게 홀린 것으로 간주되어 처형되었다고 한다.[30]
인도에는 강에서 목욕하는 남자를 공격하는 호랑이 여인 전설이 있으며, 회화 등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대륙 아시아의 짐승인간은 보통 호랑이로 묘사된다.[17] 인도에서 짐승호랑이는 종종 위험한 마법사로 묘사되며, 가축을 위협하고 사람을 잡아먹을 수 있는 존재로 여겨졌다. 이러한 이야기는 벵골 호랑이를 만난 여행자들을 통해 인도의 나머지 지역과 페르시아로 전해졌고, 서쪽으로 더 퍼져나갔다.[18] 중국 전설에서 짐승호랑이는 종종 유전적인 저주나 원한을 품은 유령의 희생자로 묘사된다. 호랑이에게 죽은 사람의 유령은 "창"(伥)이라는 악의적인 초자연 존재가 되어 호랑이가 더 많은 사람을 죽이도록 부추긴다. 이 유령들은 평범한 사람을 사람을 잡아먹는 짐승호랑이로 변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일본 민속에는 여우 요괴(키츠네)나 너구리 요괴(바케다누키)와 유사한 고양이 요괴인 바케네코가 있다. 태국에서는 많은 사람을 잡아먹은 호랑이가 짐승호랑이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동물의 모습으로 변할 수 있는 강력한 능력을 가진 마법사와 같은 다른 종류의 짐승호랑이도 있다고 한다.
현재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는 하리마우 자디안(harimau jadian)으로 알려진 또 다른 종류의 짐승호랑이가 있다. 예를 들어, 언어학자이자 작가인 자이날 아비딘 빈 아흐마드는 그의 고향인 느그리슴빌란 지역을 배회하는 모든 호랑이 무리를 이끌었다고 전해지는 유명한 짐승호랑이 다토 파로이에 대한 구전 이야기를 수집했다.[19] 말레이시아에서는 바장(bajang)이 뱀파이어나 악마적인 짐승고양이로 묘사되기도 한다. 수마트라의 케린치 말레이인은 짐승호랑이로 변신하는 능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20]
자바섬 중부에서는 변신의 힘이 유전, 주문, 단식, 의지력, 부적 사용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믿는다. 이들은 배가 고프거나 복수할 정당한 이유가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인간에게 적대적이지 않으며, 밤에만 동물의 형태로 변하여 농장을 야생 돼지로부터 보호한다고 한다. 변신자는 이름을 불러주지 않으면 친구를 알아보지 못하거나, 구걸하는 사람으로 나가 구걸을 거절한 사람에게 복수하기 위해 변신한다고도 한다. 콘드족도 이와 비슷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데, 그들에게 호랑이는 친근하며, 분노는 적들을 위해 남겨둔다. 인간은 정당한 복수를 위해 호랑이로 변신한다고 한다.[21]
3. 2. 유럽
유럽 민간 설화는 보통 짐승고양이를 집고양이로 변신하는 사람으로 묘사한다.[11] 일부 유럽 짐승고양이는 거대한 집고양이나 표범으로 변하기도 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변신 능력 외에 다른 마법 능력은 없을 수 있지만, 마녀로 분류되기도 한다.[13] 마녀 재판 당시, 늑대인간을 포함한 모든 변신자는 남녀를 불문하고 마녀로 간주되었다.[14]
유럽에는 몸통은 호랑이이고 이마에서 뿔이 솟은 인간의 머리를 가진 '호랑이 인간'(man tiger영어)이라는 가공의 동물이 있어, 문장 등에 사용되었다.[31] 인도에 산다고 믿었던 괴물 만티코어의 원형도 호랑이와 관련된 전승에서 찾을 수 있다는 설이 있다(2세기의 파우사니아스의 설).
3. 3.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전설에는 짐승사자, 짐승표범, 짐승재규어가 묘사된다. 표범의 경우, 인간으로 변장한 표범 신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신들이 인간과 짝짓기를 하면 자손이 생길 수 있으며, 이 아이들은 때때로 변신 능력을 가지거나 다른 능력을 가질 수 있다.[15] 짐승사자에 대한 언급은 종종 왕족과 관련이 있으며, 그러한 존재는 이전 생에서 왕이나 여왕이었을 수도 있다.[15]
아프리카에는 밤에 마을을 배회하는 거대한 크기의 고양이, "눈다" 또는 "므응와"에 대한 민담이 있다. 이 이야기들 중 많은 부분에서 눈다는 사자보다 사납고 표범보다 민첩하다고 묘사된다. 눈다는 낮에는 인간이지만 밤에는 짐승고양이가 되는 수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한 생물이 존재한다는 실제 증거는 기록된 적이 없지만, 1938년 탄자니아에서 일하던 영국 행정관 윌리엄 히첸스는 지역 주민들로부터 괴물 고양이가 밤에 사람들을 공격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 거대한 발자국이 알려진 어떤 맹수보다 훨씬 컸지만, 히첸스는 거인증을 앓는 사자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했다.[16]
3. 4. 아메리카
선사 메소아메리카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짐승인간은 재규어인간이었다. 재규어 숭배와 관련이 있었으며, 이 전통을 따르는 다양한 민족들 중 사제와 샤먼들은 재규어 가죽을 입고 재규어인간이 되었다. 아즈텍족 사이에서는 재규어 가죽을 입는 전문 전사 계급 전체를 "재규어 전사" 또는 "재규어 기사"라고 불렀다. 재규어와 재규어인간의 묘사는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의 유물 중 가장 흔한 모티브 중 하나이다.
N. W. 토마스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1911)에서 카를 프리드리히 필리프 폰 마르티우스(1794–1868)에 따르면, ''카나이마''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독을 사용하는 인간이었으며, 다른 권위자들은 ''카나이마''를 복수자이거나 식인 마법사의 친숙한 존재인 재규어로 묘사했다고 썼다. 그는 또한 1911년 브라질의 일부 유럽인들이 동일 성별의 일곱 번째 아이가 연속으로 태어나면 짐승인간이 되며 말, 염소, 재규어 또는 돼지의 형태로 변한다고 믿었다고 언급했다.[21]
미국에서는 고양이 머리, 꼬리, 발을 가진 빅풋과 유사한 존재인 고양이과 이족 보행과의 만남에 대한 도시 전설이 전해진다. 고양이과 이족 보행은 때때로 미확인 동물학의 일부로 분류되지만, 더 자주 짐승고양이로 해석된다.[22]
4. 신체
반인반호의 경우 다리, 팔, 손, 몸통, 생식기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호랑이의 특징을 가진다. 완전히 호랑이로 변신한 경우에는 몸 전체가 호랑이의 모습을 띤다.[1]
5. 호랑이 이외의 고양이과
고양이과 동물이 인간에게 빙의하여 그 동물 또는 인간의 형태를 일부 남긴 수인으로 변신한다는 설화나 전설은 전 세계에 존재한다. 유럽과 러시아에서는 묘빙(고양이)[1], 아프리카에서는 표빙(표범)[1]·자칼빙(자칼)[1], 북아메리카에는 삵빙(삵)[1], 남아메리카에는 재규어빙/재규어 인간(재규어)[1] 이야기가 있다.
6. 오컬트 및 신학
수 세기 동안 짐승고양이가 실제로 존재하며 초자연적 또는 종교적 기원을 가진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19세기 오컬티스트 J. C. 스트리트는 인간의 몸이 떠다닌다고 여겨지는 "에테르 유체"를 조작하여 물질적인 고양이와 개 변신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23] 가톨릭 마녀사냥 지침서인 마녀의 망치는 마녀가 고양이로 변할 수 있지만, 그들의 변신은 악마가 만들어낸 환상이라고 주장했다.[24] 뉴에이지 작가 존 퍼킨스는 모든 사람이 정신력을 사용하여 "재규어, 덤불 또는 다른 형태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주장했다.[25] 오컬티스트 로잘린 그린은 "고양이 변신자"라고 불리는 짐승고양이가 수인증과 관련된 신념을 기반으로 하는 "변신자 하위 문화" 또는 지하 뉴에이지 종교의 일부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26]
참조
[1]
웹사이트
What does αίλουρος (aílouros) mean in Greek?
https://www.wordhipp[...]
2022-06-28
[2]
웹사이트
anthropic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anthropic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2-06-28
[3]
웹사이트
ailurophile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ailurophile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2-06-28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ailurophilia {{!}}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2-06-28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AILUROPHILE
https://www.merriam-[...]
2022-06-28
[6]
웹사이트
What is a Therianthrope? (with pictures)
http://www.languageh[...]
2022-06-28
[7]
서적
Witchling
https://archive.org/[...]
Berkley
[8]
서적
Monster Manual: Core Rulebook III
Wizards of the Coast
[9]
서적
Lair of the Lion
Leisure Books
[10]
서적
The Horror Film: An Introduction
Blackwell Publishing
[11]
서적
The Magic of Shapeshifting
Red Wheel Weiser Conari
[12]
뉴스
You Sexy Beast: Our Fascination With Werewolves
https://www.npr.org/[...]
NPR
2009-07-17
[13]
서적
Human Animals
University Books
[14]
서적
The Malleus Maleficarum of Heinrich Kramer and James Sprenger
Book Tree
[15]
웹사이트
Werecats: The Lions of Tsavo {{!}} Werewolves
https://www.werewolv[...]
2020-05-21
[16]
서적
Arthur C. Clarke's Mysterious World
Book Club Associates
[17]
서적
The Werewolf
University Books
[18]
문서
lycanthropy – the were-tiger of the east indies
http://www.experienc[...]
[19]
간행물
Dato' Paroï, Were-Tiger
https://www.jstor.or[...]
1925
[20]
웹사이트
In pursuit of a were-tiger
https://www.nst.com.[...]
2022-02-01
[21]
문서
[22]
서적
Out of the Dark
Kensington Books
[23]
서적
Human Animals
University Books
[24]
서적
The Malleus Maleficarum of Heinrich Kramer and James Sprenger
Book Tree
[25]
서적
Shape Shifting
Destiny Books
[26]
서적
The Magic of Shapeshifting
Red Wheel Weiser Conari
[27]
문서
英:{{ipa|ˈwɛə.ˌtaɪ.ɡə}}もしくは{{ipa|ˈwɪə.ˌtaɪ.ɡə}}、米{{ipa|ˈwɛɹ.ˌtaɪ.ɡɚ}}もしくは{{ipa|ˈwɪɹ.ˌtaɪ.ɡɚ}}
[28]
문서
『世界の怪物・神獣事典』、292頁(虎憑き)。
[29]
문서
『世界の怪物・神獣事典』、293頁(虎憑き)、409頁(マガン・ガドゥンガン)。
[30]
문서
『世界の怪物・神獣事典』、293頁(虎憑き)。
[31]
문서
『世界の怪物・神獣事典』、293頁(虎人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