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라이어킴 헤이스팅스 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라이어킴 헤이스팅스 무어(Eliakim Hastings Moore, 1862년 1월 26일 ~ 1932년)는 미국의 수학자이다. 그는 추상대수학, 기하학의 기초, 해석학의 기초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시카고 대학교 수학과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 무어는 유한체의 구조 분류, 힐베르트의 공리계 재구성, 폐포 연산자 개념 제시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며,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 레오나드 E. 딕슨, 로버트 리 무어, 오스왈드 베블렌 등 31명의 박사 학위 논문을 지도했다. 그는 미국 수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스웨스턴 대학교 교수 - 힐러리 퍼트넘
힐러리 퍼트넘은 미국의 철학자이자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이며, 다중실현가능성, 기능주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6년에 사망했다. - 노스웨스턴 대학교 교수 - 한나 아렌트
한나 아렌트는 1906년 독일에서 태어난 정치 철학자로, 전체주의, 악의 평범성, 활동적인 삶 등을 탐구하며 《전체주의의 기원》, 《인간의 조건》 등의 저서를 남겼다. - 기하학자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하학자 - 라울 보트
라울 보트는 1923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전기 공학을 전공하고 수학자로서 모스 이론을 활용하여 보트 주기성 정리를 증명했으며, K-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베블런상, 스틸상, 울프상을 수상했다. - 대수학자 - 바스카라 2세
바스카라 2세는 12세기 인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우자인 천문대 책임자를 역임하며 《릴라바티》, 《비자가니타》, 《싯단타 시로마니》, 《카라나 쿠투할라》 등의 저서를 남겼고, 대수학, 미적분학, 삼각법 등에서 업적을 남겨 인도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대수학자 - 에미 뇌터
에미 뇌터는 독일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추상대수학과 이론물리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대수학의 추상적인 개념 정립과 뇌터 정리 증명, 여성에 대한 차별 극복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수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일라이어킴 헤이스팅스 무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일라이어킴 헤이스팅스 무어 |
로마자 표기 | Illaiakhim Heiseutingseu Mueo |
출생일 | 1862년 1월 26일 |
출생지 | 미국 오하이오주 매리에타 |
사망일 | 1932년 12월 30일 |
사망지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국적 | 미국 |
학력 | |
출신 학교 | 예일 대학교 (B.A., 1883; Ph.D., 1885)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n차원 기하학에서 클리포드와 케일리의 특정 정리 확장 |
박사 학위 논문 URL | 박사 학위 논문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1885년 |
박사 지도교수 | 휴버트 앤슨 뉴턴 |
주요 제자 | 레이먼드 월터 버나드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 레너드 E. 딕슨 테오필 헨리 힐데브란트 데릭 노먼 레머 로버트 리 무어 오즈월드 베블런 안나 휠러 |
주목할 만한 학생 | 앤 보스워스 |
경력 | |
직업 | 수학자 |
근무 기관 | 시카고 대학교 1892–1931 예일 대학교 1887–1889 노스웨스턴 대학교 1886–1887, 1889–1892 |
업적 | |
주요 업적 | 일반 해석학 무어-스미스 수렴 무어족 및 핵 연산자 무어-펜로즈 역행렬 유한체의 갈루아 표현 공리계 |
수상 | |
수상 | AMS 콜로퀴엄 강사, 1906년 |
2. 생애
감리교 목사의 아들이자 미국 하원 의원 일라이어킴 H. 무어의 손자였던 무어는, 고등학교 시절 신시내티 천문대에서 여름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수학을 접했다. 예일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였고, 해골과 뼈 회원이었다.[1]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레오폴트 크로네커와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강의를 들었다.
귀국 후 예일 대학교와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892년 시카고 대학교가 개교하자, 수학과 초대 학과장이 되었고, 1932년 사망할 때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무어는 1862년 1월 26일 오하이오주 Marietta, Ohio|마리에타영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David Hastings Moore|데이비드 헤이스팅스 무어영어로 감리교 목사였으며, 할아버지는 하원 의원 Eliakim H. Moore|일라이어킴 H. 무어영어였다.[1]고등학교 시절 여름 방학에 Cincinnati Observatory|신시내티 천문대영어에서 일을 도우면서 수학을 처음 접했다. 그 후, 예일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을 전공했고, 1883년에 문학사(B.A.), 1885년에 철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예일 대학교 재학 중에는 비밀 결사 스컬 앤 본즈에 가입했다.[4] 박사 학위 논문은 허버트 뉴턴의 지도를 받았으며, William Kingdon Clifford|윌리엄 킹던 클리포드영어와 아서 케일리의 연구에 관한 것이었다. 뉴턴의 권유로 독일로 유학하여 베를린 대학교에서 1년간 레오폴트 크로네커와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강의를 들었다.
2. 2. 학문적 경력
무어는 예일 대학교에서 1883년에 학사 학위를, 1885년에 허버트 앤슨 뉴턴의 지도 하에 윌리엄 킹던 클리포드와 아서 케일리의 연구를 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뉴턴은 무어에게 독일 유학을 권했고, 무어는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1년간 레오폴트 크로네커와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강의를 들었다.귀국 후에는 예일 대학교와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892년에 시카고 대학교가 개교하자, 무어는 수학과 초대 학과장이 되었고, 오스카 볼자와 하인리히 마슈케가 그의 동료였다. 시카고 대학교 수학과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 이어 미국 역사상 두 번째 연구 중심의 수학과가 되었다.
3. 연구 업적
무어는 추상대수학, 기하학의 기초, 해석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893년 유한체(갈루아체)의 구조 분류를 증명했고, 1900년경에는 기하학의 기초 연구를 통해 힐베르트의 공리계를 재구성하여 점을 유일한 원시적 개념으로 만들었다. 1902년에는 힐베르트의 기하학 공리 중 하나가 중복됨을 밝혀 메타수학과 모형 이론의 발전에 기여했다. 1906년 이후에는 해석학 연구에 주력하여 폐포 연산자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했다.[5] 이 외에도 대수기하학, 정수론, 적분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6]
시카고 대학교에서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 레오나드 E. 딕슨, 로버트 리 무어 (친척 관계 아님), 오스왈드 베블렌 등 31명의 박사 학위 논문을 지도하여 많은 후학을 양성했다. 수학 계보 프로젝트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으로 무어는 29,982명의 알려진 "후손"을 가지고 있었다.
뉴욕 수학회를 미국 수학회(AMS)로 개칭시키고 시카고 지부를 이끌었으며, 1901년부터 1902년까지 AMS 회장을 역임했다. 1899년부터 1907년까지 『미국 수학회 회보』(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를 편집했다.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08년 로마, 1912년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의 초청 연설자였다.
미국 수학회는 2002년 그를 기리는 상을 제정했다.
3. 1. 추상대수학
무어는 1893년 추상대수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연구를 시작하여 유한체(갈루아체)의 구조 분류를 증명했다.[5] 1900년경부터는 기하학의 기초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힐베르트의 공리계를 재구성하여, 점을 유일한 원시적 개념으로 하고, 선과 면을 정의된 개념으로 바꿨다. 1902년에는 힐베르트의 공리 중 하나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무어의 공리계에 관한 연구는 메타수학과 모형 이론의 출발점 중 하나로 여겨진다. 1906년 이후에는 해석학의 기초에 주목했다. 그 외에, 대수기하학, 정수론, 적분 방정식에 대해서도 집필했다.[6]3. 2. 기하학의 기초
무어는 1900년경부터 기하학의 기초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힐베르트의 공리계를 재구성하여 점을 유일한 원시적 개념으로 만들었고, 이로써 다비트 힐베르트의 원시적인 선과 평면을 정의된 개념으로 바꾸었다. 1902년에는 힐베르트의 기하학 공리 중 하나가 중복됨을 추가로 밝혀냈다.[5] 무어의 공리계에 대한 연구는 메타수학과 모형 이론의 시작점 중 하나로 여겨진다.3. 3. 해석학 및 기타 분야
무어는 1893년 추상대수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연구를 시작하여 유한체(갈루아체)의 구조 분류를 증명했다.[5] 1900년경에는 기하학의 기초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힐베르트의 공리계를 재구성하여 점을 유일한 원시적 개념으로 만들었고, 이로써 다비트 힐베르트의 원시적인 선과 평면을 정의된 개념으로 바꾸었다. 1902년에는 힐베르트의 기하학 공리 중 하나가 중복됨을 추가로 밝혀냈다. 그의 공리계에 대한 연구는 메타수학과 모형 이론의 시작점 중 하나로 여겨진다. 1906년 이후에는 해석학의 기초로 연구 분야를 전환했다. 폐포 연산자의 개념은 1910년 그의 저서 『일반적 해석의 한 형태에 대한 소개』에서 처음 등장했다.[5] 그는 또한 대수기하학, 수론, 적분방정식에 관해서도 저술했다.[6]4. 교육 및 학회 활동
무어는 1893년 추상대수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연구를 시작하여 유한체(갈루아체)의 구조 분류를 증명했다. 1900년경 기하학의 기초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힐베르트의 힐베르트의 공리계를 재구성하여 점을 유일한 원시적 개념으로 만들었고, 이로써 힐베르트의 원시적인 선과 평면을 정의된 개념으로 바꾸었다. 1902년에는 힐베르트의 기하학 공리 중 하나가 중복됨을 추가로 밝혀냈다. 그의 공리계에 대한 연구는 메타수학과 모형 이론의 시작점 중 하나로 여겨진다. 1906년 이후 수학적 분석의 기초로 연구 분야를 전환했다. 폐포 연산자의 개념은 1910년 그의 저서 『일반적 해석의 한 형태에 대한 소개』에서 처음 등장했다. 대수기하학, 수론, 적분방정식에 관해서도 저술했다.[5][6]
4. 1. 제자 양성
무어는 시카고 대학교에서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 레오나드 E. 딕슨, 로버트 리 무어 (같은 성이지만 혈연관계는 없음), 오스왈드 베블렌 등 31명의 박사 논문을 지도했다.[5] 버코프는 하버드 대학교의, 베블렌은 프린스턴 대학교의 수학부를 이끌었다. 딕슨은 미국 최초의 위대한 대수학자이자 수론학자가 되었다. 로버트 무어는 미국의 위상수학을 확립했다. 수학 계보 프로젝트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으로 E. H. 무어는 29,982명의 알려진 "후손"을 가지고 있었다.4. 2. 학회 활동
무어는 뉴욕 수학회를 미국 수학회(AMS)로 개칭시키고, 시카고 지부를 이끌었다. 1901년부터 1902년까지 AMS의 회장을 역임했으며, 1899년부터 1907년까지 "''미국 수학회 회보''"를 편집했다.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회의 회원이었다. 1908년 로마, 1912년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의 초청 연설자였다.[5]2002년, 미국 수학회는 무어를 기념하는 상을 제정했다.[6]
5. 수상 및 기념
무어는 뉴욕 수학회가 미국 수학회로 이름을 바꾸도록 설득했으며, 시카고 지부를 이끌었다. 1901년부터 1902년까지 미국 수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899년부터 1907년까지 『미국 수학회 회보』를 편집했다.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08년 로마, 1912년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의 초청 연설자였다.
미국 수학회는 2002년 그를 기리는 상을 제정했다.
참조
[1]
웹사이트
Obituary Record of Graduates of Yale University Deceased during the Year 1932–1933
http://mssa.library.[...]
Yale University
1933-10-15
[2]
서적
Lattices and Ordered Algebraic Structure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3]
논문
The scientific work of Eliakim Hastings Moore
[4]
웹사이트
Obituary Record of Graduates of Yale University Deceased during the Year 1932–1933
http://mssa.library.[...]
Yale University
1933-10-15
[5]
서적
Lattices and Ordered Algebraic Structure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6]
논문
The scientific work of Eliakim Hastings Moo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