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채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채정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41년 전라남도 나주군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 유신 체제에 반발하여 해직된 후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 1988년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이후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에서 활동하며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 열린우리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6년에는 재야 민주화 운동가 출신 최초로 국회의장에 선출되었다. 정계 은퇴 후 민주당계 정당 상임고문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한국기원 총재를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정치민주연합 당원 - 문희상
    문희상은 1992년 정계 입문 후 6선 국회의원을 지내며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국회의장까지 오른 더불어민주당 계열의 정치인이지만, 위안부 발언 논란, 아들 세습 논란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인 후 2020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 새정치민주연합 당원 - 박용갑
    박용갑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제22대 국회의원으로, 대전 중구에서 당선되어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대전광역시의회 의원과 대전광역시 중구청장을 3선 역임했고, 현재 더불어민주당 대전광역시당 중구 지역위원회 위원장 및 이재명 대표 국민소통특보단 국민화합특보직을 수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 박병석
    박병석은 중앙일보 기자 출신으로 6선 국회의원과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나주 임씨 - 임동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임동원은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군과 정부의 요직을 거쳐 나이지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며 김대중 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제2연평해전 발언과 불법 감청 혐의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나주 임씨 - 임채진
    임채진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제36대 검찰총장을 역임했으며, 검사로 임용되어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을 거쳤고, 검찰총장 재임 중 노무현 전 대통령 관련 비리 수사를 지휘했으나 논란과 노 전 대통령 서거로 사퇴하고 삼성 뇌물 수수 의혹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임채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임채정
출생1941년 5월 14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나주군 다시면 신풍리
본관나주
종교천주교
군복무면제(고령)
학력
학력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경력
경력동아일보 신문기자
민통련 상임위원장 및 사무처장
평화민주당 중앙정치연수원장
민주당 당무위원
제14·15·16·17대 국회의원
새정치국민회의 창당기획단장
새정치국민회의 통일특별위원회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정세분석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홍보위원장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의장
국회 남북관계발전지원특별위원회 위원장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새천년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장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장
열린우리당 기획전략자문위원장
열린우리당 중앙위원
열린우리당 열린정책연구원 원장
열린우리당 비상대책위원장
열린정책연구원 이사장
제17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
통합민주당 상임고문
민주당 상임고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민주당 상임고문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한국기원 총재
제21대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공동위원장
의정 활동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4·15·16·17
정당더불어민주당
지역구서울 노원구 을(14·15·16)
서울 노원구 병(17)
당내 직책상임고문
기타 직책
기타 직책제21대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공동위원장
웹사이트
웹사이트대한민국헌정회
임채정 국회의장, 18대 총선 불출마 선언

2. 학력


  • --


(변경사항 없음) 주어진 지시사항과 허용된 문법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으며, 오탈자, 문법 오류, 문맥 오류 등도 발견되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위키텍스트 형식에 맞게 작성되었습니다.

3. 생애

1941년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나주군에서 태어났다.[2] 광주제일고등학교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1969년부터 1975년까지 동아일보 기자로 일했다. 1975년 박정희의 유신 체제에 반발하여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하다 해고되었다. 이후 한겨레신문 창간 발기인,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상임위원장,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실행위원을 역임하며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다.[1]

1988년 김대중평화민주당에 입당하여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을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검표를 통해 당선된 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같은 선거구에서 4선을 기록했다.

2002년 대통령 선거 이후 노무현 당선자 측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고, 제17대 국회 전반기 통일외교통상위원장, 2005년 열린우리당 당의장을 지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제17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하며, 재야 민주운동가 출신 최초로 입법부 수장이 되었다. 4선 의원으로서 국회의장이 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1][5][6] 김대중 정부 이후 관례에 따라 제17대 국회 임기 만료와 함께 정계를 은퇴했다.[7]

은퇴 후 민주당계 정당 상임고문,[8][9] 2019년 한국기원 총재를 역임했다.[10] 전직 국회의장은 국가묘지 설치법 등에 따라 사후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있다.[11]

3. 1. 언론인 및 민주화 운동 (정계 입문 전)

1941년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나주군에서 태어났다.[2] 광주제일고등학교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후, 1969년부터 1975년까지 동아일보 기자로 일했다. 1975년 기자 재직 중, 박정희의 유신 체제에 반발하여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하다 해고되었다. 이후 한겨레신문 창간 발기인,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상임위원장,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실행위원을 역임하며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다.[1]

3. 2. 정치 활동 (1988년 ~ 2008년)

1988년 김대중평화민주당에 입당하여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을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신민주공화당 소속 김용채에게 밀려 낙선했다.[3] 4년 후 실시된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근소한 차이로 낙선하자 대법원에 선거 무효 소송을 제기하여 재검표를 요구했고, 군인 투표함 중 개표가 100표나 잘못된 것이 발각되어 당선되었다.[3] 이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같은 선거구에서 4선을 기록했다.

2002년 대통령 선거 이후 노무현 당선자 측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4]을 역임했고, 제17대 국회 전반기에는 통일외교통상위원장을 지냈으며, 당내에서는 2005년 열린우리당 당의장을 역임했다. 제17대 국회 후반기인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국회의장직을 수행하며, 재야 민주운동가 출신으로는 최초로 입법부 수장이 되었다. 역대 국회의장들의 당선 횟수는 대개 5회 이상이었으나, 임채정 의원은 4선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장이 된 것이 화제가 되었다.[1][5][6]

3. 3. 정계 은퇴 이후

통합민주당, 민주당, 민주통합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등 민주당계 정당의 상임고문을 역임했다.[8][9] 2019년부터 한국기원 총재를 맡고 있다.[10]

4. 경력

기간직함
1969년~1975년동아일보 기자[2]
1975년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상임위원[2]
1981년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상임위원장ㆍ사무처장[2]
1984년민주통일국민회의 민생문제위원장[2]
1988년평화민주당 입당 및 중앙정치연수원장[2]
1992년~1996년제14대 국회의원(민주당, 서울 노원구 을)[2]
민주당 당무위원[2]
새정치국민회의 창당기획단장[2]
1996년~2000년제15대 국회의원(새정치국민회의, 서울 노원구 을)[2]
새정치국민회의 통일특별위원회 위원장, 정세분석위원장, 홍보위원장, 정책위원회 의장[2]
1998년~2000년제15대 국회 후반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2]
2000년~2004년제16대 국회의원(새천년민주당, 서울 노원구 을)[2]
2000년~2001년제16대 국회 전반기 남북관계발전지원특별위원회 위원장[2]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국가전략연구소장[2]
2002년~2003년노무현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2]
2004년~2008년제17대 국회의원(열린우리당, 서울 노원구 병)[2]
2004년~2006년제17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장[2]
열린우리당 기획전략자문위원장, 열린정책연구원장, 중앙위원[2]
2005년열린우리당 비상대책위원장[2]
2006년~2008년제17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2]
통합민주당, 민주당, 민주통합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2]
2019년~2020년제20대 한국기원 총재[2]
2020년~제21대 한국기원 총재[2]
2021년~2021년제21대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공동위원장[2]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88년총선평화민주당30,346표 (29.99%)2위낙선보기
1992년총선민주당40,601표 (32.96%)1위당선초선
1996년총선새정치국민회의41,615표 (33.25%)1위당선재선
2000년총선새천년민주당47,815표 (41.11%)1위당선3선
2004년총선열린우리당44,923표 (45.21%)1위당선4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2-07-01
[2] text
[3] 웹사이트 -36표에서 +172표로? 선거 재검표의 역사 https://www.hankooki[...] 2020-04-25
[4] 웹사이트 임채정 민주당 의원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에 임명[이호인] http://imnews.imbc.c[...] 2002-12-25
[5] 뉴스 [국회 후반기 의장단] 임채정 의장 https://news.v.daum.[...] 2006-06-19
[6] 웹사이트 '해직기자 임채정' 안 밝힌 동아일보 http://www.mediatoda[...] 2006-06-20
[7] 웹사이트 ''불출마'' 임채정 "통합민주당 풍부히 하는 데 헌신" https://www.nocutnew[...] 2008-02-15
[8] text
[9] 웹사이트 더불어민주당 https://theminjoo.kr[...]
[10] 웹사이트 한국기원號 새 선장에 임채정 전 국회의장 https://www.hankyung[...] 2019-05-28
[11] 웹사이트 국립묘지의설치및운영에관한법률 https://www.law.go.k[...]
[12] 웹인용 임채정 국회의장, 18대 총선 불출마 선언 http://www.assembly.[...] 대한민국국회 2008-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