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입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봄이 시작되는 날'을 의미한다. 동지와 춘분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의 황경이 315°일 때이다.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입춘은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시기로 여겨지며, 다양한 풍속과 행사가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입춘을 맞아 '입춘대길' 등의 글귀를 써서 붙이는 풍습이 있으며,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했다. 기상학적으로는 봄의 시작과는 차이가 있으며, 절기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월의 세시 - 마르디 그라
    마르디 그라는 사순절 전 풍성한 음식을 즐기는 기독교 전통에서 시작된 축제로, 특히 뉴올리언스에서 대규모 퍼레이드와 축제로 발전하여 현재는 화려한 퍼레이드와 음악 중심의 축제로 자리 잡았으며, 유럽에서는 카니발이라는 유사한 축제가 열린다.
  • 2월의 세시 - 발렌타인데이
    발렌타인데이는 초콜릿, 카드, 꽃 등을 주고받으며 사랑을 기념하는 날로, 기독교 순교자 성 발렌타인의 축일에서 유래되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기념되며 상업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절기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절기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입춘
개요
이름입춘 (立春)
로마자 표기Ipchun
의미봄의 시작
시기양력 2월 4일 ~ 5일 (태양 황경 315° 지점)
절기 종류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
이전 절기대한
다음 절기우수
관련 풍속입춘첩 붙이기
입춘 음식 먹기
상세 정보
음력정월
일본어 표기りっしゅん (Risshun)
중국어 표기lì chūn
베트남어 표기Lập xuân
설명대한과 우수 사이에 위치
태양의 황경이 315도에 이를 때
보통 양력 2월 4일이나 5일 시작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
풍속입춘첩을 대문이나 기둥에 붙여 길운을 기원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등의 문구를 사용
오신반(五辛盤)이라 하여 겨자, 파, 마늘, 부추, 무릇의 맵고 자극적인 맛을 가진 새싹을 먹음.
한국에서의 의미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절기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행사

2. 명칭과 의미

입춘은 '봄이 시작되는 날'이라는 뜻을 가지며,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이다.[10] 동지(冬至)와 춘분(春分)의 중간에 위치하며, 태양의 황경이 315°일 때이다. 『력편람(暦便覧)』에는 "봄 기운이 서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11]

예로부터 입춘이 되면 동풍이 불고, 얼음이 풀리며, 동면하던 벌레들이 깨어난다고 하였다. 각 절기는 3개의 5일씩(候, 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초후(初候), 중후(次候), 말후(末候)라고 한다. 중국과 일본에서 입춘의 5일씩은 다음과 같다.

구분초후(初候)중후(中候)말후(末候)
중국東風解凍|동풍해동|동쪽 바람이 얼음을 녹이다중국어蟄蟲始振|칩충시진|겨울잠 자던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다중국어魚上冰|어상빙|물고기가 얼음 위로 올라오다중국어
일본동풍해동황앵규규물고기가 얼음 위로 올라오다



구성기학(九星気学)에서는 입춘이 1년의 시작이 된다. 사주명리학이나 풍수 등의 점술에서는 절분까지는 전년에 속하고, 입춘을 기점으로 새해가 시작된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음력(중국·일본의 태음태양력)에서는 원일(元日)이 입춘 전후에 놓인다. 그것은 입춘 무렵을 연초로 하여 봄의 시작과 연초를 일치시키기 위함인데, 이를 하정(夏正)이라고 한다.

3. 한국의 입춘

한국에서 입춘은 1985년부터 2020년까지는 2월 4일이었지만, 1984년까지는 2월 5일, 1897년까지는 2월 3일이기도 했다. 2021년부터 윤년의 다음 해는 다시 2월 3일이 된다.

입춘은 음력으로 대개 정월이므로 새해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래서 옛 어른들은 이날 '입춘대길(立春大吉:입춘을 맞이하여 좋은 일이 많이 생기라는 뜻)'과 같은 좋은 글을 적은 입춘부를 대문 기둥이나 대들보 혹은 천장에 붙였다. 농가에서는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그해 농사가 잘 될지 어떨지를 점치기도 하였다.

입춘은 중국 화북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정해졌기 때문에, 한국의 실제 기후와는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 이 시기의 기상은 매년 불규칙적이다. 입춘 무렵에도 강추위가 찾아올 수 있으며, 기온 변화가 불규칙하여 1년 중 가장 추운 날씨를 보이기도 한다.

절기상의 입춘은 동지춘분의 중간 지점으로, 낮과 밤의 길이를 기준으로 할 때 입하 전날까지가 봄에 해당한다. 그러나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를 기준으로 봄을 구분하기 때문에 절기상의 입춘과 실제 봄의 시작 시점은 차이가 있다.

최근 입춘의 음력 날짜는 19년 주기(메톤 주기)로 반복된다.

서력음력서력음력
1992년 2월 4일1992년 1월 1일2011년 2월 4일2011년 1월 2일
1993년 2월 4일1993년 1월 13일2012년 2월 4일2012년 1월 13일
1994년 2월 4일1993년 12월 24일2013년 2월 4일2012년 12월 24일
1995년 2월 4일1995년 1월 5일2014년 2월 4일2014년 1월 5일
1996년 2월 4일1995년 12월 16일2015년 2월 4일2014년 12월 16일
1997년 2월 4일1996년 12월 27일2016년 2월 4일2015년 12월 26일
1998년 2월 4일1998년 1월 8일2017년 2월 4일2017년 1월 8일
1999년 2월 4일1998년 12월 18일2018년 2월 4일2017년 12월 19일
2000년 2월 4일1999년 12월 29일2019년 2월 4일2018년 12월 30일
2001년 2월 4일2001년 1월 12일2020년 2월 4일2020년 1월 11일
2002년 2월 4일2001년 12월 23일2021년 2월 3일2020년 12월 22일
2003년 2월 4일2003년 1월 4일2022년 2월 4일2022년 1월 4일
2004년 2월 4일2004년 1월 14일2023년 2월 4일2023년 1월 14일
2005년 2월 4일2004년 12월 26일2024년 2월 4일2023년 12월 25일
2006년 2월 4일2006년 1월 7일2025년 2월 3일2025년 1월 6일
2007년 2월 4일2006년 12월 17일2026년 2월 4일2025년 12월 17일
2008년 2월 4일2007년 12월 28일2027년 2월 4일2026년 12월 28일
2009년 2월 4일2009년 1월 10일2028년 2월 4일2028년 1월 9일
2010년 2월 4일2009년 12월 21일2029년 2월 3일2028년 12월 20일


3. 1. 풍속

입춘은 음력으로 대개 정월이므로 새해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래서 옛 어른들은 이날 '입춘대길(立春大吉:입춘을 맞이하여 좋은 일이 많이 생기라는 뜻)'과 같은 좋은 글을 적은 '''입춘부'''를 대문 기둥이나 대들보 혹은 천장에 붙였다.[9] 농가에서는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그해 농사가 잘 될지 어떨지를 점치기도 하였다. 또한, 음력으로 한 해에 입춘이 두 번 들어 있으면 '쌍춘년(雙春年)'이라고 하여 그해에 결혼하는 것이 길하다고 받아들여져 왔다.

대문에 붙어 있는 민화와 입춘대길. (민속촌)


입춘에는 도시든 시골이든 가족들이 벽이나 문지방에 글을 써서 붙이는 축복 행사를 한다.[9] 이 글씨는 입춘축, 춘축, 입춘서, 입춘방, 춘방 등으로도 불린다.[9] 글씨를 아는 사람은 직접 쓰고, 글씨를 모르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여 써달라고 한다.[9] 입춘 시각에 붙이는 것이 좋다고 하나, 상가(喪家)에는 쓰지 않는다고 한다.[9]

3. 2. 기후

입춘은 중국 화북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정해졌기 때문에, 한국의 실제 기후와는 차이가 있다. 예로부터 입춘이 되면 동풍이 불고 얼음이 풀리며, 동면하던 벌레들이 깨어난다고 했지만, 한국에서 이 시기의 기상은 매년 불규칙적이다. 입춘 무렵에도 강추위가 찾아올 수 있으며, 기온 변화가 불규칙하여 1년 중 가장 추운 날씨를 보이기도 한다.[14][15][16][17][18]

대한민국 기상청은 9일 동안 일 평균기온이 5°C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을 때, 그 첫 번째 날을 의 시작일로 정의한다.[19][20] 이 기준에 따르면, 전국 6개 지점(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과 서울의 10년 단위 평균 봄 시작일과 종료일, 그리고 기간은 다음과 같다.

순번연도시작일 ~ 종료일기간비율
11991년 ~ 2000년3월 2일 ~ 6월 2일93일25.5%
22001년 ~ 2010년3월 8일 ~ 5월 30일84일23.0%
32011년 ~ 2020년2월 27일 ~ 5월 24일87일23.8%



순번연도시작일 ~ 종료일기간비율
11991년 ~ 2000년3월 7일 ~ 5월 31일86일23.6%
22001년 ~ 2010년3월 12일 ~ 5월 26일76일20.8%
32011년 ~ 2020년3월 12일 ~ 5월 23일73일20.0%


3. 3. 기상학적 봄과의 비교

절기상의 입춘은 동지춘분의 중간 지점으로, 낮과 밤의 길이를 기준으로 할 때 입하 전날까지가 봄에 해당한다.[12] 그러나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를 기준으로 봄을 구분하기 때문에 절기상의 입춘과 실제 봄의 시작 시점은 차이가 있다.

일본의 경우, 24절기가 만들어진 중국 대륙과 달리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입춘이 지나도 추위가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12] 남쪽 해안 저기압의 발생도 입춘을 기점으로 많아지는데, 2014년 폭설과 같이 관동 지방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린 것도 입춘 이후였다.

최근 입춘의 음력 날짜는 19년 주기(메톤 주기)로 반복되며, 아래 표와 같이 19년 중 10년은 연내 입춘, 9년은 신년 입춘이다.

서력음력서력음력
1992년 2월 4일1992년 1월 1일2011년 2월 4일2011년 1월 2일
1993년 2월 4일1993년 1월 13일2012년 2월 4일2012년 1월 13일
1994년 2월 4일1993년 12월 24일2013년 2월 4일2012년 12월 24일
1995년 2월 4일1995년 1월 5일2014년 2월 4일2014년 1월 5일
1996년 2월 4일1995년 12월 16일2015년 2월 4일2014년 12월 16일
1997년 2월 4일1996년 12월 27일2016년 2월 4일2015년 12월 26일
1998년 2월 4일1998년 1월 8일2017년 2월 4일2017년 1월 8일
1999년 2월 4일1998년 12월 18일2018년 2월 4일2017년 12월 19일
2000년 2월 4일1999년 12월 29일2019년 2월 4일2018년 12월 30일
2001년 2월 4일2001년 1월 12일2020년 2월 4일2020년 1월 11일
2002년 2월 4일2001년 12월 23일2021년 2월 3일2020년 12월 22일
2003년 2월 4일2003년 1월 4일2022년 2월 4일2022년 1월 4일
2004년 2월 4일2004년 1월 14일2023년 2월 4일2023년 1월 14일
2005년 2월 4일2004년 12월 26일2024년 2월 4일2023년 12월 25일
2006년 2월 4일2006년 1월 7일2025년 2월 3일2025년 1월 6일
2007년 2월 4일2006년 12월 17일2026년 2월 4일2025년 12월 17일
2008년 2월 4일2007년 12월 28일2027년 2월 4일2026년 12월 28일
2009년 2월 4일2009년 1월 10일2028년 2월 4일2028년 1월 9일
2010년 2월 4일2009년 12월 21일2029년 2월 3일2028년 12월 20일


3. 3. 1. 대한민국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9일 동안 일 평균기온이 5°C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을 때, 그 첫 번째 날을 의 시작일로 정의한다.[14][15][16][17][18]

이 기준으로 전국 6개 지점(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과 서울의 10년 단위 평균 시작일, 종료일, 기간은 다음과 같다.[19][20]

순번연도시작일 ~ 종료일기간비율
11991년 ~ 2000년3월 2일 ~ 6월 2일93일25.5%
22001년 ~ 2010년3월 8일 ~ 5월 30일84일23.0%
32011년 ~ 2020년2월 27일 ~ 5월 24일87일23.8%



순번연도시작일 ~ 종료일기간비율
11991년 ~ 2000년3월 7일 ~ 5월 31일86일23.6%
22001년 ~ 2010년3월 12일 ~ 5월 26일76일20.8%
32011년 ~ 2020년3월 12일 ~ 5월 23일73일20.0%


4. 다른 나라의 입춘

입춘은 동지춘분의 중간으로, 낮과 밤의 길이를 기준으로 할 때 입하 전날까지가 봄이다. 2014년 폭설처럼 관동 지방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린 것도 입춘 이후였다.

입춘은 팔십팔야, 이백십일, 이백이십일 등 잡절의 기산일(첫째 날)이다. 입춘부터 춘분 사이에 처음 부는 남쪽(동남동에서 서남서)의 강한 바람을 춘일(春一番)이라고 한다. 벚꽃 개화 시기는 입춘부터의 최고 기온 합계가 540℃라는 대략적인 계산법이 있다.

절분은 보통 입춘 전날을 가리킨다. 입춘 이른 아침, 선원에서는 문에 "입춘대길"이라고 쓴 종이를 붙이는 풍습이 있다. 구성기학(九星気学)에서는 입춘이 1년의 시작이다.

4. 1. 중국

입춘은 전통적으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다.[4][3] 중국에서는 이날, 특히 북부 지방에서 춘병(春餅)을 먹는 풍습이 있다.[4]

음력으로 한 해에 입춘이 없는 해를 무춘년(無春年)이라고 한다. 무춘년은 중국 북부에서는 과부년(寡婦年), 남부에서는 맹년(盲年)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이런 해에는 결혼이 불운하다고 여겨진다.[6]

1941년부터 중화민국에서는 입춘을 농민의 날로 지정했다.[7]

최근 입춘의 음력 날짜는 다음과 같다. 19년 주기(메톤 주기)로 거의 같은 날짜가 반복되며, 최근에는 19년 중 10년이 연내 입춘, 9년이 신년 입춘이다.

서력음력
1992년 2월 4일1992년 1월 1일
1993년 2월 4일1993년 1월 13일
1994년 2월 4일1993년 12월 24일
1995년 2월 4일1995년 1월 5일
1996년 2월 4일1995년 12월 16일
1997년 2월 4일1996년 12월 27일
1998년 2월 4일1998년 1월 8일
1999년 2월 4일1998년 12월 18일
2000년 2월 4일1999년 12월 29일
2001년 2월 4일2001년 1월 12일
2002년 2월 4일2001년 12월 23일
2003년 2월 4일2003년 1월 4일
2004년 2월 4일2004년 1월 14일
2005년 2월 4일2004년 12월 26일
2006년 2월 4일2006년 1월 7일
2007년 2월 4일2006년 12월 17일
2008년 2월 4일2007년 12월 28일
2009년 2월 4일2009년 1월 10일
2010년 2월 4일2009년 12월 21일
2011년 2월 4일2011년 1월 2일
2012년 2월 4일2012년 1월 13일
2013년 2월 4일2012년 12월 24일
2014년 2월 4일2014년 1월 5일
2015년 2월 4일2014년 12월 16일
2016년 2월 4일2015년 12월 26일
2017년 2월 4일2017년 1월 8일
2018년 2월 4일2017년 12월 19일
2019년 2월 4일2018년 12월 30일
2020년 2월 4일2020년 1월 11일
2021년 2월 3일2020년 12월 22일
2022년 2월 4일2022년 1월 4일
2023년 2월 4일2023년 1월 14일
2024년 2월 4일2023년 12월 25일
2025년 2월 3일2025년 1월 6일
2026년 2월 4일2025년 12월 17일
2027년 2월 4일2026년 12월 28일
2028년 2월 4일2028년 1월 9일
2029년 2월 3일2028년 12월 20일


4. 2. 일본

일본에서는 겨울이 절정에 달하고 봄 기운이 느껴지기 시작하는 날로 여겨진다.[10] 『력편람(暦便覧)』에는 "봄 기운이 서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11] 규슈 등 따뜻한 지방에서는 매화가 피기 시작하지만, 바다로 둘러싸인 일본 열도는 입춘이 지나도 추위와 악천후가 계속된다.[12]

입춘은 팔십팔야, 이백십일, 이백이십일 등 잡절의 기산일(첫째 날)이 된다. 입춘부터 춘분 사이에, 그 해 처음으로 부는 남쪽(동남동에서 서남서)의 강한 바람을 춘일(春一番)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절분은 입춘 전날을 말한다. 입춘의 이른 아침, 선원에서는 문에 "입춘대길"이라고 쓴 종이를 붙이는 풍습이 있다.

구성기학(九星気学)에서는 입춘이 1년의 시작이 된다.

입춘은 음력 1월 1일이라는 오해가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틀리다. 하지만 약 30년에 한 번, 입춘이 삭(朔)(신월)과 겹쳐 음력 1월 1일이 되는 해가 있는데, 이를 삭단입춘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1954년, 1992년이 그러했고, 다음은 2038년으로 예상된다.

최근 입춘의 음력 날짜는 다음과 같다(미래는 예측). 19년 주기(메톤 주기)로 거의 같은 날짜가 반복되며, 최근에는 19년 중 10년이 연내 입춘, 9년이 신년 입춘이다.

서력음력서력음력
1992년 2월 4일1992년 1월 1일2011년 2월 4일2011년 1월 2일
1993년 2월 4일1993년 1월 13일2012년 2월 4일2012년 1월 13일
1994년 2월 4일1993년 12월 24일2013년 2월 4일2012년 12월 24일
1995년 2월 4일1995년 1월 5일2014년 2월 4일2014년 1월 5일
1996년 2월 4일1995년 12월 16일2015년 2월 4일2014년 12월 16일
1997년 2월 4일1996년 12월 27일2016년 2월 4일2015년 12월 26일
1998년 2월 4일1998년 1월 8일2017년 2월 4일2017년 1월 8일
1999년 2월 4일1998년 12월 18일2018년 2월 4일2017년 12월 19일
2000년 2월 4일1999년 12월 29일2019년 2월 4일2018년 12월 30일
2001년 2월 4일2001년 1월 12일2020년 2월 4일2020년 1월 11일
2002년 2월 4일2001년 12월 23일2021년 2월 3일2020년 12월 22일
2003년 2월 4일2003년 1월 4일2022년 2월 4일2022년 1월 4일
2004년 2월 4일2004년 1월 14일2023년 2월 4일2023년 1월 14일
2005년 2월 4일2004년 12월 26일2024년 2월 4일2023년 12월 25일
2006년 2월 4일2006년 1월 7일2025년 2월 3일2025년 1월 6일
2007년 2월 4일2006년 12월 17일2026년 2월 4일2025년 12월 17일
2008년 2월 4일2007년 12월 28일2027년 2월 4일2026년 12월 28일
2009년 2월 4일2009년 1월 10일2028년 2월 4일2028년 1월 9일
2010년 2월 4일2009년 12월 21일2029년 2월 3일2028년 12월 20일


5. 천문학적 의미

천문학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4가지만 큰 의미가 있고, 나머지 20개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는 천문학에서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가 없다.[21]

지구에서 보면 태양의 궤적은 북회귀선남회귀선 사이를 왕복한다. 태양이 춘분점이나 추분점에 있으면 적도(0°)에 있고, 하지점에 있으면 북회귀선(북위 23.5°)에 도달하며, 동지점에 있으면 남회귀선(남위 23.5°)에 도달한다. 태양이 남위 '''약 11.7°''', 즉 남회귀선적도 '''가운데'''에 있을 때는 입춘, 입동이 아니라 우수, 상강이다.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10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참고)[22]

이는 낮의 길이, 즉 하루 24시간(1,440분) 중 낮이 차지하는 비율과도 같다.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9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일출일몰시각계산]에서 낮의 길이 비율을 계산하면, 대한민국 서울(북위 37.5°) 기준 춘분은 약 50%, 하지는 약 60%, 추분은 약 50%, 동지는 약 40%이다.[23] 이들의 '''중간'''인 '''약 45%'''일 때는 입춘, 입동이 아니라 우수, 상강이다. 입춘, 입동은 약 43%이다. (입춘, 입하, 입추, 입동우수, 곡우, 처서, 상강보다 ±2%p 정도 차이 나는데, 이는 ±28.8분 정도 차이다.) (24절기, 적위 참고)

6. 입춘과 관련된 문화

입춘은 음력 1월 1일이라는 오해가 있지만, 대부분 틀리다. 음력 1일은 반드시 삭(朔)(신월)이지만, 입춘은 삭과 관계없이 정해지기 때문에 많은 해에 음력 1일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약 30년에 한 번, 입춘이 삭과 겹쳐 음력 1월 1일이 되는 해가 있는데, 이를 삭단입춘이라 한다. 최근에는 1954년·1992년이 그러했고, 다음은 2038년으로 예상된다.

음력(중국·일본의 태음태양력)에서는 원일(元日)이 입춘 전후에 놓인다. 이는 입춘 무렵을 연초로 하여 봄의 시작과 연초를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이것을 하정(夏正)이라고 하는데, 고대 중국 하(夏) 왕조의 정월이라는 뜻이다. 평기법에서는 입춘 다음의 우수(雨水)를 포함하는 달을 정월(1월)로 한다. 정기법에서 월명의 정의는 다소 복잡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역시 우수를 포함하는 달이 정월이 된다.

절기에서는 입춘이 연초가 된다. 사주명리학이나 풍수 등의 점술에서는 절분까지는 전년에 속하고, 입춘을 기점으로 새해가 시작된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절분의 콩 뿌리기는 입춘을 연초로 하여 새해의 행운을 기원하는, 옛날부터 내려오는 풍습이다.

이십사절기의 "입춘"은 『역편람(暦便覧)』에서는 "의 기운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고 되어 있지만, 시절에 대한 설명에서는 "대한(大寒)부터 입춘까지는 일 년 중 가장 추운 계절이며, 입춘이 지나면 조금씩 추위가 누그러지기 시작하고 의 기운이 스며든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주의해야 할 것은, 이러한 기상 현상 때문에 "입춘"이 정해진 것이 아니라, 동지에서 춘분으로 가는 중간점으로서 역법상의 요구에서 정해진 것이라는 점이다.

의 구분은 서구에서는 관습적으로 덥지도 춥지도 않은 계절, 즉 춘분부터 하지까지를 spring이라고 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낮과 밤의 길이의 피크가 되는 이지(하지, 동지)와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는 이분(춘분, 추분)을 각 계절의 갈림길로 하고, 이들의 중간에 각 계절의 극으로서 사립(四立)(입춘, 입하, 입추, 입동)을 두었다. 참고로 일본의 기상청에서는 3월 - 5월이 , 6월 - 8월이 여름, 9월 - 11월이 가을, 12월 - 2월이 겨울로 하고 있다.[13]

6. 1. 문학

두보의 시 입춘에서는 입춘에 '춘병'을 먹는 전통 풍습을 이야기하고 있다.[3]

고금와가집의 서두에는 연내 입춘을 읊은 재원원방의 노래가 있다.

年内に 春は来にけり ひととせを こぞとはいはむ ことしとやいはむ|도시나이니 하루와키니케리 히토토세오 고조토와이와무 고토시토야이와무일본어

(해 안에 봄이 왔구나. 일 년을 작년이라 할까, 올해라 할까)

현대어 역은 다음과 같다.

새해가 밝기 전에 입춘이 와 버렸다. 어제까지의 일 년(1월 1일부터 절분까지)을 작년이라 할까, 올해라 할까|새해가 밝기 전에 입춘이 와 버렸다. 어제까지의 1년을 작년이라 할까, 올해라 할까한국어

참조

[1] 웹사이트 Asian Cultures - an overview https://www.scienced[...] 2024-02-04
[2] 문서 Five elements (Chinese philosophy)
[3] 서적 中國節日的故事 將門文物出版社 2001
[4] 뉴스 Traditional pancakes served up on holiday http://usa.chinadail[...] 2023-03-26
[5] 웹사이트 Do You Know Which Chinese Zodiac You Belong To? https://fengshuibegi[...] 2020-12-13
[6] 웹사이트 有关寡妇年 https://zhidao.baidu[...]
[7] 웹사이트 Farmer's Day http://www.gio.gov.t[...] 2006-12-13
[8] 뉴스 DBS/POSB employees receive February salary on 'auspicious' Li Chun http://www.straitsti[...] 2016-02-04
[9] 웹사이트 입춘 https://terms.naver.[...] 2021-03-28
[10] 서적 天体観測ハンドブック―「天文年鑑」を100%活用するために 誠文堂新光社 1970
[11] 웹사이트 こよみ便覧 https://dl.ndl.go.jp[...] 2022-12-17
[12] 웹사이트 こよみのページ - なぜずれる? 二十四節気と季節感 https://koyomi8.com/[...]
[13] 웹사이트 気象庁(時に関する用語) https://www.jma.go.j[...]
[14] 웹사이트 기상청에서는 우리나라의 계절 구분을 어떻게 하나요? https://kin.naver.co[...] 2023-06-15
[15] 웹사이트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http://www.climate.g[...] 2021-04-30
[16]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https://data.kma.go.[...]
[17] 웹사이트 기후평년값(1991~2020) 기후표 https://data.kma.go.[...]
[18] 문서 쉽게 말하면, 하루 평균기온이 5°C~20°C인 경우이다.
[19] 웹사이트 관측자료 http://www.climate.g[...]
[20] 웹사이트 일별자료 https://www.weather.[...]
[21] 웹사이트 절기 https://terms.naver.[...]
[22] 웹사이트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https://astro.kasi.r[...]
[23] 문서 전세계적으로 보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