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리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리돔은 제주도에서 자리, 자리돔, 자돔 등으로 불리며, 표준어는 자리돔이다. 농어목에서 오발렌타리아류로 분류되며, 몸길이 15-18cm의 흑갈색 물고기로, 등지느러미 뒤에 흰 반점이 있다. 수심 20-30m의 연안이나 산호초에 떼를 지어 서식하며, 5-8월에 산란한다. 동남아시아, 일본, 제주도에 분포하며, 수온 8℃에서도 생존 가능하다. 최근 동해까지 서식지가 확대되었으며, 유전적 차이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제주도에서는 구이, 젓갈, 물회 등으로 조리되며, 자리밧과 같은 제주어 관련 용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3년 기재된 물고기 - 참돔
참돔은 농어목 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북서 태평양에 분포하며 회, 구이 등으로 섭취되고 일본에서는 행운과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양식과 방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1843년 기재된 물고기 - 청보리멸
청보리멸(*Sillago japonica*)은 동아시아 연안에 분포하는 실라기오속 어종으로, 상업적 가치와 낚시 인기가 높으며, 다양한 천해 환경에서 저서생활을 하고, 특징적인 부레 형태와 몸 색깔, 식성 변화, 무리 생활 및 모래 속에 숨는 습성을 가진다. - 자리돔과 - 흰동가리아과
흰동가리아과는 인도-태평양 열대 산호초에 사는 해수어류로, 말미잘과 공생하며, 선명한 색과 흰색 가로줄을 가진 약 30종의 물고기이다. - 자리돔과 - 파랑돔
파랑돔은 인도-태평양에 널리 분포하며 최대 9cm까지 성장하고 몸 전체가 밝은 푸른색을 띠는 어류로, 얕은 해역의 산호초나 석호에서 살며 동물성 플랑크톤과 저서 조류를 먹고 5~9월에 산란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자리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Chromis notata |
명명자 | Temminck와 Schlegel, 1843년 |
영명 | Pearl-spot chromis(펄-스팟 크로미스) |
과 | 스즈메다이과 |
아과 | 스즈메다이아과 |
속 | 스즈메다이속 |
기타 | |
이명 | Heliases notatus Temminck & Schlegel, 1843 Chromis notatus (Temminck & Schlegel, 1843) Chromis villadolidi Jordan & Tanaka, 1927 Chromis miyakeensis Moyer & Ida, 1976 |
2. 명칭과 분류
'''자리돔'''은 제주도에서 부르는 명칭으로 표준어는 '자리돔'이다. 경상남도 통영시 일대에서는 '''생이리'''라고도 부른다.[5] 영어권에서는 자리돔과 전체를 '''Damselfish'''라 부르고,[6] 자리돔은 '''pearl-spot chromis'''라고 한다.[7] 일본어 명칭은 스즈메다이(スズメダイ, 雀鯛)이고, 중국어 명칭은 웨이반광사이유(尾斑光鰓魚)이다.[8]
몸길이는 15-18 cm[10][5]이다. 몸통은 타원형이며 흑갈색을 띠고, 배쪽은 색이 옅다. 살아있을 때는 등지느러미 뒤쪽에 흰 반점이 있는데[11], 물 속에서는 뚜렷하지만 죽으면 사라진다.[12] 주둥이는 작고 입 안에 원뿔니가 있다.[10] 양턱을 제외한 온 몸이 큰 비늘로 덮여있다.[10] 몸은 나뭇잎과 같은 형태이며, 비늘은 두껍고 몸에 비해 비교적 크다.
자리돔은 수심 20 - 30 m 연안의 해안 절벽이나 산호초에서 떼를 지어 서식하는 내만성 어종이다.[10] 산란기는 5-8월이며, 수컷 한 마리가 여러 마리의 암컷을 바꿔가며 산란소로 유인해 알을 낳게 한 뒤 정자를 뿌려 수정시킨다. 알은 암초에 부착하며, 수컷이 알을 보호한다.[13] 먹이는 동물성 플랑크톤이다.[10]
자리돔은 처음 학명이 등재될 당시에는 농어목으로 분류되었으나,[5] 2009년 오발렌타리아류가 제안되면서 현재는 농어목과는 다른 계통으로 분류된다.[9]
3. 형태
4. 생태
자리돔은 대표적인 아열대성 물고기로 동남아시아에서부터 일본과 대한민국 제주도까지 분포되어 있다.[7] 자리돔과 중에서 차가운 물에 가장 잘 적응하는 어종으로 8 °C의 수온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다.[12] 최근 해수온 상승으로 대한민국 동해까지 서식지가 확대되었다.[14]
4. 1. 동해안 자리돔과 제주도 자리돔의 유전적 차이
2014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해양생물학과는 제주도와 동해안 자리돔 개체군 사이에 유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15]
5. 어획과 이용
제주도에서는 전통적으로 '덕자리'와 '자리사둘'을 이용하거나, '태우'를 타고 나가 그물로 자리돔을 잡았다.[17] '자리밧'은 자리가 많이 잡히는 어장을 가리키는 제주어이다.[16]
자리돔은 맛이 좋아 구이, 젓갈, 물회 등으로 먹는다. 제주도의 향토 음식이며, 제주도 사람들은 자리돔 음식에 자부심을 갖는다.[5] 4월 - 5월 무렵 자리 어획이 집중되었다.[18] 바다 낚시에서는 미끼 도둑이나 잡어로 취급되기도 한다.[4]
5. 1. 제주도 이외 지역의 자리돔 요리
대만에서는 자리돔을 다른 물고기를 잡을 때 함께 올라오는 잡어 가운데 하나로 인식하며, 식용으로는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8] 일본에서도 자리돔 요리는 "한국풍"으로 소개하고 있다.[19]규슈 북부에서는 자리돔 소금구이를 '아붓테카모'(炙って噛も, 구워서 먹자는 뜻)라고 부르며 향토 요리로 먹는다. '아붓테카모'는 자리돔 자체의 방언 호칭으로도 사용된다. 하카타나 쓰시마의 어시장에서는 자리돔을 '''카지키리'''라고 부른다.[4]
6. 기타
일본에서는 자리돔의 이름 유래를 참새와 연관짓는 여러 설이 있다. 참새처럼 작다거나, 눈이 참새를 닮았다거나, 참새처럼 무리 지어 다닌다는 등의 설이다.[3]
바다 낚시에서는 '미끼 도둑'이나 '잡어'로 취급되지만, 소금구이나 튀김 등으로 먹는다. 규슈 북부에서는 자리돔 소금구이를 '아붓테카모'(炙って噛も - 구워서 먹자라는 뜻)라고 부르며, 향토 요리로 먹고 있다. 또한 '아붓테카모'는 자리돔 자체의 방언 호칭으로도 사용된다. 하카타나 쓰시마의 어시장에서는 자리돔을 '''카지키리'''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4]
일본 각지에서 오센고로시, 야하즈(오이타현), 나베토리, 야하치(와카야마현), 아부라우오(고치현), 츠바쿠로(에히메현), 아붓테카모(규슈 북부) 등 다양한 방언으로 불린다.
참조
[1]
FishBase species
[2]
서적
北海道の魚類 全種図鑑
北海道新聞社
[3]
웹사이트
骨ごと刺し身、スズメダイ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8-05-19
[4]
서적
福岡県の郷土料理
同文書院
1984-10-15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리돔
http://encykorea.aks[...]
[6]
FishBase
Pomacentridae
http://www.fishbase.[...]
2006
[7]
FishBase
Chromis notata
https://www.fishbase[...]
[8]
臺灣生命大百科
尾斑光鰓魚
http://taieol.tw/pag[...]
[9]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https://bmcevolbiol.[...]
[10]
웹사이트
자리돔
https://www.nifs.go.[...]
국립수산과학원
[11]
웹사이트
자리돔
http://www.jfishing.[...]
jfishing.kr
[12]
간행물
산란기 자리돔, Chromis notata의 성적이형
2018
[13]
백과사전
자리돔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14]
뉴스
난류성 어류 자리돔 독도서 산란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2-03-12
[15]
논문
제주도와 동해 근해에 서식하는 자리돔(Chromis notata)의 형태와 유전특성 비교
http://koreascience.[...]
2014
[16]
우리말샘
자리밧
https://opendict.kor[...]
[17]
문화콘텐츠닷컴
자리잡이
https://www.culturec[...]
[18]
뉴스
청보리 계절, 자리돔 먹고 제주 3색 포구서 어슬렁
http://www.hani.co.k[...]
한겨레
2018-05-10
[19]
市場漁貝類圖鑑
スズメダイ
https://www.zukan-b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독도의 바다생물 인공지능으로 관찰·식별한다
[TV 하이라이트]2025년 7월 1일
‘풍덩’ 독도에 입수한 다이버들…“가장 맑은 바다, 풍성한 생태계 지킬 수 있었으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