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유의 마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의 마을은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위치한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에 있는 마을이다. 1953년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체결 이후, 남북한이 각각 하나의 마을만 남기기로 한 부칙에 따라 오늘날까지 마을이 유지되었다. 농업을 주된 경제 활동으로 하며, 유엔군사령부의 관리와 통제를 받는다. 주민들은 참정권과 교육권을 보장받지만, 국방의 의무와 납세의 의무는 면제되며, 거주와 생활에 여러 제약이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행정 구역 - 법원읍
    법원읍은 경기도 연천군에 위치한 읍으로, 본래 천현면이었으나 1989년 법원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율곡 이이의 장지가 있는 곳으로도 알려져 있고, 10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읍의 이름은 법원리에서 유래되었지만 사법기관인 법원과는 관련이 없다.
  • 파주시의 행정 구역 - 금촌동
    금촌동은 대한민국 파주시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파주시의 주요 기관과 수도권 전철역,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며, 금촌1동, 금촌2동, 금촌3동으로 구성되어 교육 시설과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한반도 비무장 지대 - 한반도 군사 분계선
    한반도 군사 분계선은 한국 전쟁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남북한 간 육상 경계선으로, 비무장지대(DMZ)와 함께 분단과 냉전 시대 갈등을 상징하며 평화 구축 노력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 한반도 비무장 지대 - 도라전망대
    도라전망대는 서부전선 최북단에 위치하여 비무장 지대를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개성특별시, 송악산 등을 볼 수 있으며, 1998년부터 1999년까지 건립되어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 판문점 - 판문점 선언
    판문점 선언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명한 합의문으로, 한반도 비핵화, 종전 선언 및 평화협정 추진, 남북 관계 개선, 군사적 긴장 완화 등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사항에 합의한 문서이다.
  • 판문점 - 자유의 집 (판문점)
    자유의 집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남북 연락 및 회담에 활용되는 건물로, 남북 연락사무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남북 관계의 역사와 미래를 담고 있는 상징적인 장소이다.
자유의 마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대성동 풍경
대성동 자유의 마을. 중앙에 북한측의 기정동 (평화의 마을)과 높이 경쟁을 벌인 국기 게양탑이 있음
한글대성동
한자臺城洞
로마자 표기Daeseong-dong
행정 구역
국가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읍/면군내면
통계
면적4,957 km²
인구 (2024년)138명
가구수51세대
기타
상징나무: 은행나무
상징꽃: 해당 정보 없음
상징새: 해당 정보 없음

2. 역사

구석기 시대에 사용된 뗀석기, 고려·조선 시대에 제작된 토기·기와 조각 유물이 발견되어 옛부터 사람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22] 과거에는 군사 분계선 근처 마을 서쪽에 축조된 연대 불명의 토성이 있어 태성(台城)으로 불렸다.[20] 1747년에서 1750년 사이에 그려진 "해동지도"(海東地圖)의 장단부 지도에 '태성'이라는 지명이 표기되었고, 1911년 "조선지지자료"와[23] 1918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작성된 개성 지도에[24] 대성동이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적어도 1747년 이전에 마을이 조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강릉 김씨 동원군파의 집성촌으로, 2014년 7월 기준으로 강릉 김씨 14가구가 거주하고 있었다.[25] 이후 유엔군이 마을 이름을 '대성'으로 발음하면서 대성동 마을로 알려졌다.[20]

1945년 8월 15일 해방 당시 행정 구역은 경기도 장단군 군내면 조산리였다.[26] 약 50세대 300여 명의 주민이 농업을 생업으로 살았으며, 교통이 불편하여 외부와 접촉이 거의 없는 시골이었다.[29] 한국 전쟁 발발 후, 주민들이 피난을 가면서 마을에는 노인과 아이들만 남았으나, 전쟁이 소강 상태에 빠지자 돌아오는 주민도 있었다.[27] 1951년 10월, 정전 회담이 판문점에서 열리면서 대성동 마을과 기정동 마을은 군사 분계선상에서 유일하게 전투 지역에서 제외되었다.[28]

1967년 마을 주민에게 참정권이 주어졌고,[35][36] 1969년부터 주민등록증이 발급되었다.[37]

2020년 5월 26일부터 29일까지 대한민국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대성동 자유의 마을 문화유산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22]

2. 1. 남북 관계 속의 역사

1953년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비무장지대 내 남북 양측에 하나씩 마을이 남게 되면서, 자유의 마을은 대한민국에 속하게 되었다. 이 마을은 한국 전쟁 이전부터 강릉 김씨 동원군파 집성촌이었으며, 전쟁 이후에도 주민들은 이곳에 남아 생활을 이어갔다.[25]

유엔군 사령부는 1959년 자유의 마을 근대화 계획을 추진하여 발전기 도입, 주택 건설, 공공시설 등을 지원했다.[33] 대한민국 정부도 1970년대에 대성동 종합 개발 사업을 통해 주거 환경 개선과 시설 현대화를 지원했다.[38][39][40] 2015년부터 2018년까지는 '대성동 프로젝트'를 통해 노후 주택 보수, 마을 기록관 조성, 기반 시설 정비 등이 이루어졌다.[41]

그러나 자유의 마을은 군사 분계선과 매우 가까워 조선인민군(북한군)의 도발이 종종 발생했다. 1958년에는 주민 월북 및 피살 사건,[75] 1975년에는 주민 납치 사건이 발생했다.[76] 1997년에는 주민 2명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군에 붙잡혔으나 조기 송환되기도 했다.[63][77]

이러한 긴장 속에서도 자유의 마을은 남북 화해와 평화의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18년 제1차 남북정상회담에서는 대성동 초등학교 학생들이 화동으로 참여하여 김정은에게 꽃다발을 전달하며 평화 분위기 조성에 기여했다.[78] 2021년에는 국도 1호선 일부 구간이 '4.27 판문점 선언길'로 명명되고, 대성동에서 가져온 흙으로 기념 식수를 심었다.[79]

2019년에는 KT가 마을에 5G 통신망을 구축하여 '대성동 5G DMZ 빌리지'를 개소, 농업 및 생활 환경 개선 작업을 진행했다.[42]

3. 지리

한반도 비무장 지대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에 위치한다. 마을 북동쪽 약 1km 지점에는 판문점이 있으며, 서쪽에 위치한 군사 분계선과는 400m 정도 떨어져 있다.[44] 군사 분계선 건너편에 위치한 기정동과의 직선 거리는 1.8km이다.[44][45]

마을의 북쪽으로는 대한민국의 파주시 진서면 선적리, 북동쪽으로는 진서면 어룡리와 접하며 서쪽으로는 휴전선을 경계로 북한의 개성특별시 판문군 평화리, 남쪽으로는 대한민국의 파주시 군내면 송산리, 동쪽으로는 파주시 진서면 금릉리와 접해 있다. 대성동 마을이 있는 한반도 중서부 최북단은 북부의 대륙성 기후와 남부의 난온대 기후의 특색이 함께 나타나는 점이지대이다.

4. 경제

1988년 비무장 지대에서 쌀을 수확하는 주민들.


마을 주민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195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정부와 유엔군 사령부의 지원으로 농업 환경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다. 1965년 당시 벼 생산량은 5000가마였으나,[46] 1971년에는 7000가마,[47] 1993년에는 38000가마로 증가하였다.[48] , , 고추 등이 주요 농산물이며,[49] 과거에 많이 재배되었던 인삼은 일손 부족 등의 이유로 재배가 줄어들었다.[20] 2010년 11월 기준으로 전체 경작 면적은 4.83km2이며, 농가당 11.23ha를 경작하고 있다. 호당 평균 소득은 6700만으로 다른 민통선 북쪽의 마을에 비해 1.5배가량 높은 편이다.[50]

미수복 지역이기에 주민의 경작권은 인정하지만, 개인 소유권은 인정하지 않는다.[20][51] 따라서 토지의 매매는 불가능하며 경작권 양도만 가능하다.[27] 농업은 마을의 주요 경제 활동이며, 특히 DMZ 브랜드 쌀이 판매된다.[8]

5. 시설

자유의 마을에는 다양한 시설들이 자리 잡고 있다.

자유의 마을에 게양된 태극기

  • 민정반사무실: 유엔군사령부 소속으로, 1963년부터 미군 제1기갑사단 민정반이 마을에 상주하며 시작되었다. 공동경비구역의 한국군 경비대대 헌병중대 소속 군인이 상주하며 주민 안전 및 구호 지원을 담당한다.[54] 1980년 종합 개발 사업 때 마을 안쪽으로 이전되었다.
  • 마을 회관: 1983년 10월에 건립되었으며, 노인정, 회의실, 여성회관, 식당, 관망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29] 2009년 10월 21일에는 2층에 영화 상영관을 개관하였고,[55] 2012년 3월 19일 롯데시네마와 협약을 맺어 매월 첫째, 둘째 토요일에 신작 영화를 무료 상영한다.[20][56]
  • 자유의 집: 1959년에 지어진 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 건축물이다. 회합 장소로 사용되었으나, 2016년 6월 3일 마을기록전시관으로 리모델링되어 개관하였다.[20][57]
  • 국기 게양대: 마을에는 99.8m 높이의 대형 국기 게양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로 18m, 세로 12m 크기의 태극기가 게양되어 있다.[58] 1980년대 초, 남북한은 서로 국기 게양대의 높이를 경쟁적으로 높이는 '깃대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 팔각정: 1980년 12월 18일 설치된 2층 규모의 정자로, 방문객들이 망원경 없이 북한 지역을 조망할 수 있다.[64]
  • 대성동 주민센터: 식당이 함께 있으며, 2층 상영실은 롯데시네마와 협력하여 월 2회 신작 영화를 상영한다.[18]
  • 대성동초등학교: 마을 내 유일한 교육 기관이다. 1954년 간이학교로 시작하여 1968년 정식 개교하였으며, 2009년 파주시 공동학구로 지정되어 외부 학생도 입학 가능하다. 졸업 후에는 중학교·고등학교에 진학할 때는 마을 밖으로 나가야 한다.


마을 풍경

5. 1. 대성동초등학교

대성동초등학교는 자유의 마을 내 유일한 교육 시설이다. 1954년 간이학교로 시작하여 1968년 정식 개교하였다. 2009년 파주시 공동학구로 지정되어 마을 외부 학생도 입학이 가능해졌다. 졸업 후 중학교·고등학교에 진학할 때는 마을 밖으로 나가야 한다.[15] 유엔군에서 파견된 병사들이 학생들에게 영어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15] 2024년 현재, 학생 및 원아 수는 29명이며,[16] 대부분 비무장 지대 밖에서 스쿨버스로 통학하고 있다.[17]

  • 대성동초등학교 부속 유치원

6. 특징과 생활

자유의 마을은 유엔군사령부가 관리하는 비무장 지대에 있어, 정전협정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고 유엔군 사령부의 관할 구역이다. 대한민국 법률 적용을 위해서는 유엔군 사령부의 동의가 필요하다.[65][66]

마을 주민은 참정권과 교육권은 있으나, 국방 의무와 납세의 의무는 면제된다.[20] 여러 제약도 있는데, 매일 19시부터 20시까지 인원 점검이 있고, 0시부터 5시까지 통행이 금지된다. 영농 활동은 2~3일 전에 군에 보고해야 하고, 군사 분계선 근처에서 영농 활동을 할 때는 군인이 동행해야 한다.[67] 외부인은 주민 초대로 1주일 전에 신청 후 신원 확인을 거쳐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만 출입이 가능하며, 공동경비구역 민정중대의 경호를 받아야 한다.[20]

주거 이전의 자유도 제한되어 1년에 8개월(240일) 이상 거주해야 주민 자격이 유지되지만, 중·고등학생은 예외이다.[70][20][65] 외부인은 마을 남자와 결혼한 여자, 아들이 없는 집의 딸과 결혼하여 데릴사위가 된 남자만 입주가 허락된다.[20][71][65][72] 여자 주민은 외부 남성과 결혼하면 거주할 수 없다.[20][72]

과거에는 금촌동으로 이동하여 물건을 구매해야 했으나, 현재는 문산에서 통일촌을 거쳐 마을로 들어오는 버스가 하루 3회 운행되고, 주민 대부분이 자가용으로 출입한다.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2리 대성동 마을과 자매 결연을 맺고 특산품 교류를 매년 진행하고 있다.[74][63]

참조

[1] 뉴스 각 지방 표정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00-06-13
[2] 뉴스 The hidden village just metres from North Korea https://www.bbc.com/[...] BBC 2024-03-13
[3] 뉴스 The hidden village just metres from North Korea https://www.bbc.com/[...] BBC 2024-03-13
[4] 뉴스 What is the demilitarised zon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16-12-17
[5] 뉴스 Taesung Village Journal; In a DMZ That Bristles Less, the Villagers Are at Hom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2-18
[6] 웹사이트 DMZ Not All That Peaceful for S. Korea Village : Asia: North Korean jeeps and other military gear are an unnerving presence for farm families living along the heavily armed border https://www.latimes.[...] LA Times 2016-12-06
[7] 웹사이트 School in DMZ's 'Freedom Village' becomes coveted learning spot for S. Koreans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6-02-01
[8] 뉴스 As North Korea Tensions Rise, Farming in the Demilitarized Zone Goes 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4-21
[9] 뉴스 The hidden village just metres from North Korea https://www.bbc.com/[...] BBC News 2024-10-12
[10] 뉴스 CNN.com – Korea's DMZ: 'Scariest place on Earth' – February 20, 2002 http://edition.cnn.c[...] CNN 2007-10-23
[11] 웹사이트 개성에 '구멍탄' 5만장 배달했습니다 http://economy.ohmyn[...] economy.ohmynews.com 2006-12-06
[12] 웹사이트 null https://dong.paju.go[...]
[13] 뉴스 各地方の表情 http://www.munhwa.co[...] 문화日報 2000-06-13
[14] 웹사이트 DMZ내 하나뿐인 ‘대성동 자유의 마을’ 가보니 https://www.korea.kr[...]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4-10-18
[15] Youtube DMZ에서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영화관은? 편의점은? / 14F https://www.youtube.[...] youtube 2024-10-18
[16] 웹사이트 台城洞初等学科公式サイト https://daesungdong-[...] 2024-10-18
[17] 뉴스 The hidden village just metres from North Korea https://www.bbc.com/[...] BBC News 2024-10-18
[18] 뉴스 最北端DMZ大城洞村に公開映画館がオープンする https://n.news.naver[...] 2024-10-18
[19] 뉴스 각 지방 표정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2-02-19
[20] 뉴스 DMZ내 하나뿐인 ‘대성동 자유의 마을’ 가보니 http://www.korea.kr/[...]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9-07-20
[21] 웹인용 장단면 기본현황 https://dong.paju.go[...] 파주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2020-12-31
[22] 뉴스 파주 대성동 마을서 구석기 유물 발견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21-05-19
[23] 서적 조선지지자료-경기도편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2008
[24] 서적 경기도의 근현대지도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2005
[25] 뉴스 [6·25 65주년] DMZ 내 대성동 마을 30년 만에 리모델링 http://weekly.chosun[...] 조선일보 2021-09-24
[26] 뉴스 환갑 맞은 대성동, 떡으로 탑 쌓고 기념잔치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1-09-24
[27] 뉴스 이색 마을을 가다 (11) 남북 분단의 산물 … 자유의 마을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2-02-09
[28] 뉴스 [이 순간] 태극기 800m 건너편 인공기…두 마을에 평화가 깃든다 https://www.hani.co.[...] 한겨레 2021-05-19
[29] 웹인용 대성동 마을소개 http://uni.invil.org[...] 2012-01-19
[30] 뉴스 <6.25 60년 르포> DMZ '대성동 마을'의 소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01-09
[31] 간행물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행정안전부 1962-01-21
[32] 간행물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72-12-28
[33] 뉴스 망치 소리 요란한 자유의 마을 갈대만이 넘실대는 휴전선상의 대성동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2-02-09
[34] 뉴스 보충공사키로 말썽난 대성동주택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2-02-09
[35] 저널 자유의 마을 대성동 이야기 - Tales of Two Koreas https://www.kf.or.kr[...] 한국국제교류재단 2015
[36] 뉴스 [경기이야기] 파주 대성동(臺城洞) 마을 http://www.1gan.co.k[...] 일간경기 2018-05-24
[37] 뉴스 통일로 가는 길목 …'그리운 삶'은 계속된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2-07-18
[38] 영상 대성동 http://ehistory.go.k[...] 대한뉴스 1981-01-01
[39] 뉴스 대성동 종합개발완공 국교신축 상수도등도 설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0-12-18
[40] 영상 대성동 http://ehistory.go.k[...] 대한뉴스 1981-01-01
[41] 뉴스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 DMZ 대성동마을 방문 https://www.korea.kr[...]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8-03-31
[42] 뉴스 비무장지대 대성동마을, 첨단 5G 중무장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19-06-28
[43] 웹인용 대성동마을 이야기 https://www.dmz.go.k[...]
[44] 웹인용 파주 대성동마을 https://web.archive.[...]
[45] 백과사전 대성동 마을 https://terms.naver.[...] 네이버
[46] 뉴스 自由(자유)의마을……臺城洞(대성동)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65-07-27
[47] 뉴스 「分斷(분단)의 허리」서 커가는 自由(자유)의 숨결「DNZ平和利用(평화이용)」提議(제의)속에 대성洞(동)을 가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1-07-31
[48] 웹인용 기록으로 만나는 대한민국 > 사회 > 자유의 마을 - 콘텐츠 목록 https://theme.archiv[...]
[49] 저널 르포 대성동 ‘자유의 마을’을 가다 https://web.archive.[...] 2006-09-10
[50] 뉴스 ‘DMZ마을’ 40년 만에 부촌으로 변모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7-20
[51] 뉴스 대성동 「자유의 마을」 200여주민 논밭 소유권없이 경작하며 생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10-18
[52] 저널 04 추곡 대성동 방문 보도자료 https://web.archive.[...] 2004-11-22
[53] 뉴스 병역에 납세 면제까지…DMZ 특별구역 '대성동 마을' https://newsis.com/v[...] 뉴시스 2011-07-23
[54] 문서 유엔사규정 525-2
[55] 뉴스 최북단 DMZ 대성동마을에 영화관 생겼어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0-21
[56] 뉴스 최북단 DMZ 대성동마을에 개봉 영화관 문 연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03-17
[57] 뉴스 대성동프로젝트의 첫 성과…마을기록전시관 6.3 개관 https://www.korea.kr[...]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6-06-02
[58] 뉴스 국내 최고 높이 대성동마을 국기게양대 보수 완료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04-18
[59] 뉴스 [끝나지 않은 전쟁] 남북으로 쪼개진 대성동 마을… “불안하지만 못떠나요”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3-07-26
[60] 뉴스 [여적]대성동·기정동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13-06-14
[61] 영상 대성동 http://ehistory.go.k[...] 대한뉴스 1981-01-01
[62] 웹인용 대성동마을 이야기 대성동 마을을 아세요? - 아름다운 DMZ...가고싶은 DMZ https://www.dmz.go.k[...]
[63] 웹인용 DMZ 내 대성동 마을 30년 만에 리모델링 http://weekly.chosun[...] 2015-06-19
[64] 뉴스 최북단 DMZ 대성동마을 팔각정에 '방탄유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04
[65] 문서 유엔사규정 525-2
[66] 문서 유엔사규정 525-2
[67] 뉴스 앞엔 北초병, 뒤엔 南초병… 주민들, 양측 사이서 농사 지어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6-25
[68] 웹인용 ‘1박 2일’, 예능 사상 처음으로 ‘비무장지대-판문점’ 가다! https://mylovekbs.kb[...] 2018-06-11
[69] 뉴스 '1박2일' 6멤버, 예능 사상 최초 민간인 통제선 넘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8-06-23
[70] 뉴스 <분단의 상징 대성동마을 주민 남다른 기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0-06-13
[71] 뉴스 경기도 '이 동네'서 살면 세금·군대 면제, 어디?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1-05-18
[72] 뉴스 집집마다 일석점호 받고 미군에게 영어 배우고 https://weekly.donga[...] 주간동아 2008-09-29
[73] 뉴스 민통선 대성동마을주민 쌀선물로 회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02-10
[74] 뉴스 '대성동' 같은 마을 이름 인연 15년째 '끈끈한 유대'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2-02-10
[75] 뉴스 중립지대 대성동민피살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2-01-19
[76] 뉴스 "납북농부 즉각 송환" 정전위 본회의, 유엔 측서 촉구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2-01-19
[77] 뉴스 대성동 주민 조기송환 배경 납치상황 아닌 우발적 사건 반영 http://newslibrary.n[...] 한겨레 2012-01-19
[78] 뉴스 김 위원장에 꽃 안긴 ‘화동’은 민통선 안 대성동초 학생 https://www.hani.co.[...] 한겨레 2021-06-11
[79] 뉴스 파주 판문점 가는 길 4ㆍ27판문점 선언길로 명명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21-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