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대우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일대우버스는 1955년 신진공업사로 시작하여, 1971년 지엠 코리아의 버스 생산 부문을 거쳐 2002년 대우자동차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대한민국의 버스 제조 회사였다. 2003년 영안모자에 인수되었고, 2013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 울산공장 조업 중단, 베트남 생산 이관 시도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2022년 7월 12일 폐업했다. 주요 생산 차량으로는 NEW BS090, FX116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버스 제조사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버스 제조사 -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196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 기업으로, 포니 출시, 기아자동차 인수, 친환경차 개발 등을 통해 성장했으며, 여러 논란과 사건 사고에 휩싸이기도 했다. - 2022년 해체된 기업 - 포스코
포스코는 196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강 생산 기업으로,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를 운영하며 세계적인 철강 기업으로 성장했다. - 2022년 해체된 기업 - 한화건설
1967년 태평양건설로 시작하여 한화에 흡수합병되었다가 분사 후 독립 법인으로 설립되었으나 2022년 다시 한화에 흡수합병된 한화건설은 국내외 건축, 토목, 플랜트 사업을 수행한 건설 회사이며 주요 프로젝트로는 한화빌딩, 갤러리아 포레,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등이 있다. - 대우그룹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대우그룹 -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967년 대우실업으로 설립되어 2000년 (주)대우 무역 부문에서 분할된 대한민국의 종합상사로, 섬유, 철강 무역에서 시작해 플랜트, 자원 개발, 에너지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0년 포스코 그룹에 편입, 2023년 포스코에너지와 합병하여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성장 중이나, 미얀마 가스전 사업, 파푸아뉴기니 팜유 사업 등으로 논란이 있다.
자일대우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사명 | 자일대우상용차 주식회사 |
영문 사명 | Zyle Daewoo Commercial Vehicle |
로마자 표기 | Ja-il Dae-u Sang-yong-cha Jusikhoesa |
종류 | 주식회사 |
국적 | 대한민국 |
본사 위치 |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 |
설립 | 2002년 8월 30일 |
업종 | 수송용 장비 |
사업 내용 | 버스 제조 |
웹사이트 | 자일대우상용차 공식 웹사이트 |
연혁 | |
2002년 8월 30일 | 회사 설립 |
2007년 4월 | 다보기계로 사명 변경 |
2007년 5월 | 대우버스글로벌로 사명 변경 |
2011년 9월 | 자일자동차로 사명 변경 |
2013년 8월 | 자일상용차로 사명 변경 |
2016년 7월 | 자일대우버스로 사명 변경 |
2018년 6월 | 자일대우상용차로 사명 변경 |
2022년 7월 12일 | 해체 |
재무 정보 (2020년 12월 기준) | |
자본금 | 107,095,000원 |
매출액 | 127,262,834,586원 |
영업 이익 | -7,169,473,719원 |
순이익 | -46,025,625,004원 |
자산 총액 | 285,689,635,054원 |
소유 구조 | |
주요 주주 | 백성학: 17.67% 백정수: 27.45% 백병수: 27.44% 백승수: 27.44% |
모기업 | 영안모자 |
자회사 | |
인물 정보 | |
대표 이사 | 백병수 |
직원 정보 | |
직원 수 | 75명 (2020년 12월 기준) |
2. 역사 및 현황
1955년 김창원, 김제원 형제가 신진공업사를 설립하여 버스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1971년에는 GM 코리아(GMK)가 버스 생산 부문을 설립하고 이스즈와 시보레의 버스 섀시를 이용하여 버스를 생산했다. 2000년 대우자동차의 부도에도 불구하고 버스 생산은 계속되었다.
2002년 GM 대우가 출범하자 대우 계열에서 분리되어 대우버스가 설립되었다. 2003년에는 영안모자가 인수하여 대주주가 되었으며,[1] 2013년 8월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
2020년 6월부터 실적 부진과 코로나19로 울산공장의 조업이 잠시 중단되었다. 2020년 7월부터 베트남 현지공장에서 제작하여 수입하는 방식으로 들어올 예정이었으나 노동조합에서 반발했으며,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에서 제동을 걸었다.[1] 2020년 9월에 차량 몇 대가 인도된 것을 마지막으로, 울산공장의 출고 업무마저 중단됐다. 이후 자일대우버스는 베트남산 BS090 디젤/천연가스버스의 대한민국 환경부 인증을 취득했고, 용인 상현운수와 서울 청화운수에 베트남산 BS090 디젤/천연가스버스 시제차를 판매하며 아예 완전히 이관하려고 했으나, 결국 2021년 6월에 울산공장 재가동에 합의했다.[2]
2022년 7월 12일에 결국 폐업되었으며 자일자동차측이 해외법인의 지분을 완전히 인수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55년 ~ 1971년)
1955년에 김창원, 김제원 형제가 신진공업사를 설립하여 버스를 생산했다.2. 2. GM 코리아 및 대우자동차 시절 (1971년 ~ 2002년)
1971년, GM 코리아(GMK)는 버스 생산 부문을 설립하고 이스즈와 시보레의 버스 섀시를 이용하여 버스를 생산했다. 2000년 대우자동차의 부도에도 불구하고 버스 생산은 계속되었다.GM 코리아 및 대우자동차 시절에 생산된 차종은 다음과 같다.
출시년도 | 차종 |
---|---|
1972년 | DB105LC |
1973년 | BD50DL, BLD24 (이스즈 저니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1976년 | BD098, BD101, BU100/110, BU120 (이스즈 BU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1977년 | BL064 (이스즈 저니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BF101 |
1980년 | BR101 |
1981년 | BH120 |
1982년 | BV113, BF105 |
1983년 | BH120S, BV101 |
1984년 | BH115Q |
1985년 | BH120H |
1986년 | BS105, BU113, BH115H |
1987년 | BF120 |
1991년 | BS106 |
1992년 | BH120F (이스즈 수퍼 크루저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1994년 | BH113 (이스즈 수퍼 크루저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1996년 | BM090 |
2. 3. 영안모자 인수와 사명 변경 (2003년 ~ 2013년)
2003년에 영안모자가 인수하여 대주주가 되었다.[1] 2013년 8월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2. 4. 울산공장 가동 중단 및 재개 (2020년 ~ 2021년)
2020년 6월부터 실적 부진과 코로나19로 울산공장의 조업이 잠시 중단되었다. 2020년 7월부터 베트남 현지공장에서 제작하여 수입하는 방식으로 들어올 예정이었으나 노동조합에서 반발했으며,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에서 제동을 걸었다.[1] 2020년 9월에 차량 몇 대가 인도된 것을 마지막으로, 울산공장의 출고 업무마저 중단됐다.이후 자일대우버스는 베트남산 BS090 디젤/천연가스버스의 대한민국 환경부 인증을 취득했고, 용인 상현운수와 서울 청화운수에 베트남산 BS090 디젤/천연가스버스 시제차를 판매하며 아예 완전히 이관하려고 했으나, 결국 2021년 6월에 울산공장 재가동에 합의했다.[2] 재가동 합의 후에는 부산 성진버스에 인도될 BS090 디젤, 제주 삼영교통에 인도될 BX212M을 시작으로 출고업무도 재개했으나, 아직까지는 정상화되지 못했다.
2. 5. 폐업 (2022년)
2020년 6월 실적 부진과 코로나19로 울산공장의 조업이 잠시 중단되었다. 2020년 7월부터 베트남 현지공장에서 제작하여 수입하는 방식으로 들어올 예정이었으나 노동조합에서 반발했으며,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에서 제동을 걸었다.[1] 2020년 9월에 차량 몇 대가 인도된 것을 마지막으로, 울산공장의 출고 업무마저 중단됐다.이후 자일대우버스는 베트남산 BS090 디젤/천연가스버스의 대한민국 환경부 인증을 취득했고, 용인 상현운수와 서울 청화운수에 베트남산 BS090 디젤/천연가스버스 시제차를 판매하며 아예 완전히 이관하려고 했으나, 결국 2021년 6월에 울산공장 재가동에 합의했다.[2] 재가동 합의 후에는 부산 성진버스에 인도될 BS090 디젤, 제주 삼영교통에 인도될 BX212M을 시작으로 출고업무도 재개했으나, 아직까지는 정상화되지 못했다.
2022년 7월 12일에 결국 폐업되었으며 자일자동차측이 해외법인의 지분을 완전히 인수하였다.
3. 생산 공장
공장명 | 위치 |
---|---|
자일대우버스 본사 |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오정로 215 |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길천산업로 31 |
계림 대우객차 유한공사 | 중국 |
마스터 버스 여객차량 제조공사 | 대만 |
자일대우버스 코스타리카 법인 | 코스타리카 |
FIDC | 필리핀 |
자일대우버스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법인 | 베트남 |
4. 주요 차량
자일대우버스는 다양한 종류의 버스를 생산 및 판매했다. 주요 차량은 다음과 같다.
- FX 시리즈: 2007년에 출시된 고속버스 모델로, FX 115, FX 116, FX 120, FX 212 등이 있다.
- BX 시리즈: 2004년에 출시된 고급형 모델로, BX212H/S, BX212M 등이 있다.
- BH 시리즈: 1992년부터 생산된 모델로, BH120F, BH119H, BH117H, BH116, BH115E 등이 있다.

- BS/BC 시리즈: 2002년부터 생산된 시내버스 모델로, BS120CN, BS110, BV120MA, BC211, BS106, BS090 등이 있다.
- 기타: BF106/120, BH090, BC095(베트남 사양), BC110(베트남 사양) 등이 있다.
4. 1. 현재 생산 차량 (2022년 폐업 전까지)
차종 | 세부 차종 |
---|---|
NEW BS090 | 해당 없음 |
NEW BS106 | 해당 없음 |
NEW BC211 | 해당 없음 |
NEW BS110 | 해당 없음 |
BH090 | 해당 없음 |
FX116 | 해당 없음 |
FX120 | 해당 없음 |
FX212 | 해당 없음 |
BX212 | 해당 없음 |
BX212M | 해당 없음 |
레스타 | 해당 없음 |
FX II 115 (Cruiser) | 2007년 |
FX II 116 (Crusing Arrow) | 2007년 |
FX II 120 (Crusing Star) | 2007년 |
FX II 212 (Super Cruiser) | 2007년 |
BX212H/S (Royal Hi-Dekcer) | 2004년 |
BS120CN | 2002년, CNG 사양 |
BS110 | 2011년, 저상 버스, CNG, 디젤, 전기 |
BC211 | 2005년, 원스텝 버스 |
BS106 | 1991년, 투스텝 버스 |
BS090 | 2002년, 투스텝, BS106의 단축 사양 |
4. 2. 과거 생산 차량
- BF101, BF105
- BS105, BS105L, BS106L, BS106[3]
- BM090 로얄미디
- BH113, BH115Q, BH115H, BH115L, BH115E, BH116, BH117H, BH119, BH120, BH120S, BH120H, BH120F
- BV101, BV101S, BV113 시리즈
- BR101
- BU100, BU110, BU120
- BL064
- BD098, BD101
- FX 115 / FX II 115(Cruiser) (2007년)
- FX 116 / FX II 116(Crusing Arrow) (2007년)
- FX 120 / FX II 120(Crusing Star) (2007년)
- FX 212 / FX II 212(Super Cruiser) (2007년)
- BX212H/S(Royal Hi-Dekcer) (2004년)
- BH120F(Royal Cruiser) (1992년)
- BH119H(Royal Special) (2003년)
- BH117H(Royal Cruistar) (1995년)
- BH116(Royal Luxury) (1997년)
- BH115E(Royal Economy) (1998년)
- BF106/120 (2001년)
- BH090 (2002년)
- BS120CN(2002년, CNG 사양)
- BS110(2011년, 저상 버스, CNG, 디젤, 전기)
- BV120MA(2002년)
- BC211(2005년, 원스텝 버스)
- BS106(1991년, 투스텝 버스)
- BS090(2002년, 투스텝, BS106의 단축 사양)
- BC095(베트남 사양)
- BC110(베트남 사양)
- FB100LK (1966년)
- B-FB-50 (1966년)
- DB102L (1968년)
- DHB400C (1970년)
- DAB (1970년)
- RC420TP (1971년)
- DB105LC (1972년)
- BD50DL (1973년)
- BLD24 (1973년) (이스즈 저니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BD098 (1976년)
- BD101 (1976년)
- BU100/110 (1976년) (이스즈 BU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BU120 (1976년) (이스즈 BU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BL064 (1977년) (이스즈 저니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BF101 (1977년)
- BR101 (1980년)
- BH120 (1981년)
- BV113 (1982년)
- BF105 (1982년)
- BH120S (1983년)
- BV101 (1983년)
- BH115Q (1984년)
- BH120H (1985년)
- BS105 (1986년)
- BU113 (1986년)
- BH115H (1986년)
- BF120 (1987년)
- BS106 (1991년)
- BH120F (1992년) (이스즈 수퍼 크루저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BH113 (1994년) (이스즈 수퍼 크루저의 라이선스 생산 차량)
- BM090 (1996년)
5. 경쟁 업체
6.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법원 “자일대우상용차 공장 베트남 이전, 노조 합의 없이 안돼”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
뉴스
대우버스 사태 1년여 만에 '일단락'…울산공장 재가동
https://news.naver.c[...]
시사저널
[3]
문서
BS106은 BS106L과 함께 하이파워, 로얄시티에 해당한다.
[4]
문서
여기에 각주 내용을 적어 주세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