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 서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성 서씨는 전라남도 장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고종 때 효성이 지극했던 서릉이다. 현대에는 일부가 이천 서씨로 합본되기도 한다. 조선 시대에는 무과 급제자를 다수 배출했으며, 현대에도 그 후손들이 이어지고 있다. 장성 서씨는 항렬자를 사용하여 세대를 구분하며, 인구는 2015년 기준 10,137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장성 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씨 | 장성 서씨 長城徐氏 |
관향 | 전라남도 장성군 |
시조 | 서릉(徐稜) |
인물 | 서기동, 서혜경, 서기호 |
년도 | 2015 |
인구 | 10,137명 |
나라 | 한국 |
비고 | 서씨일가연합회 |
2. 역사
장성 서씨(長城徐氏)의 시조 '''서릉'''(徐稜)은 장성현(長城縣) 사람으로 고려 고종 때 모친을 봉양하기 위해 벼슬에도 나아가지 않았다.[1] 모친의 목에 등창이 나서 의원을 청하여 진찰하게 하니 의원이 말하기를, “살아있는 개구리가 아니면 고치기 어렵다.”고 하였다.[1] 서릉이 이르기를, “지금 같은 엄동설한에 살아있는 개구리를 어디서 구한단 말인가? 어머니의 병은 분명 고치지 못하겠구나.”라고 하여 소리쳐 울기를 그치지 않자, 의원이 말하기를, “비록 살아 있는 개구리는 없지만, 우선 약을 지어 시험해 봅시다.”라고 하였다.[1] 그리고 나무 밑에서 약을 볶는데, 갑자기 어떤 물건이 나무 위에서 솥 안에 떨어지니 바로 살아 있는 개구리였다.[1] 의원이 이르기를, “당신 효성이 하늘을 감동시켜 하늘이 이를 내려 주었다. 당신 어머니는 반드시 쾌차할 것이오.”라고 하고, 약을 만들어 등창에 붙이자 과연 나았다.[1]
현대에 들어와 일부는 이천 서씨로 합본하여 절효공파라고 하고, 일부는 장성 서씨를 이어가고 있다.[1]
2. 1. 시조 및 유래
장성 서씨(長城徐氏)의 시조 '''서릉'''(徐稜)은 장성현(長城縣) 사람으로 고려 고종 때 모친을 봉양하기 위해 벼슬에도 나아가지 않았다.[1] 모친의 목에 등창이 나서 의원을 청하여 진찰하게 하니 의원이 말하기를, “살아있는 개구리가 아니면 고치기 어렵다.”고 하였다.[1] 서릉이 이르기를, “지금 같은 엄동설한에 살아있는 개구리를 어디서 구한단 말인가? 어머니의 병은 분명 고치지 못하겠구나.”라고 하여 소리쳐 울기를 그치지 않자, 의원이 말하기를, “비록 살아 있는 개구리는 없지만, 우선 약을 지어 시험해 봅시다.”라고 하였다.[1] 그리고 나무 밑에서 약을 볶는데, 갑자기 어떤 물건이 나무 위에서 솥 안에 떨어지니 바로 살아 있는 개구리였다.[1] 의원이 이르기를, “당신 효성이 하늘을 감동시켜 하늘이 이를 내려 주었다. 당신 어머니는 반드시 쾌차할 것이오.”라고 하고, 약을 만들어 등창에 붙이자 과연 나았다.[1]현대에 들어와 일부는 이천 서씨로 합본하여 절효공파라고 하고, 일부는 장성 서씨를 이어가고 있다.[1]
2. 2. 이천 서씨와의 관계
서문중의 기록에 따르면, 서씨는 애당초 두 관적이 없었으나 뒤에 8파로 나뉘었으며, 그 중 하나가 장성(長城)이다. 장성 서씨의 선조는 서능이다. 서문중은 모든 서씨가 이천 서씨에서 나왔고, 나머지 7관은 이천의 별파라고 하였다.1742년 이천 서씨 문중에서 간행된 족보인 《임술보》(壬戌譜) 서문에는 장성 서씨를 포함한 여러 서씨들이 서신일을 조상으로 하여 나뉜 것이라고 쓰여 있다. 이천 서씨의 족보 「계미보癸未譜(1763년)」 서문에는 이천 서씨, 달성 서씨, 부여 서씨가 서신일의 후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3. 분파
서문중(徐文重)이 대구 서씨 보(大丘 徐氏 譜 – 1702년간) 서문에서 서씨(徐氏)는 애당초 두 관적(貫籍)이 없었고 뒤에 8파(이천, 달성, 대구, 장성, 연산, 남평, 부여, 평당, 남양, 당성)로 나뉘었다고 하였다. 그 분파된 이유는 문헌에 증거가 없어 알 수 없으나, 이천 서씨의 선조는 서신일(徐神逸), 대구 서씨의 선조는 서한(徐閈), 달성 서씨의 선조는 서진(徐晋), 장성(長城)의 선조는 서능(徐稜), 연산(連山)의 선조는 서보(徐寶), 남평(南平)의 선조는 서린(徐鱗), 부여 서씨의 선조는 서수손(徐秀孫), 평당(平當)의 선조는 서준방(徐俊邦), 남양 서씨의 선조는 서간(徐趕), 당성 서씨의 선조는 서득부(徐得富)라고 하였다. 모든 서씨(徐氏)가 이천 서씨에서 나왔고 나머지 7관(七貫)은 이천 서씨의 별파라고 하였다.
의성 김씨(義城 金氏) 족보에는 서씨(徐氏)의 선조(先祖)는 기자(箕子)로부터 나왔고, 이천 서씨는 신라말 서신일(徐神逸)과 고려 초 서목(徐穆)의 후손이며, 대구 서씨, 봉성(峯城) 서씨, 남양 서씨, 당성 서씨가 이천에서 나뉘었다고 한다.
1742년 이천 서씨 문중에서 간행된 족보인 《임술보》(壬戌譜) 서문에는 달성 서씨, 대구 서씨, 부여 서씨, 평당(平當) 서씨, 장성(長城) 서씨, 연안(延安) 서씨, 전주 서씨, 남평 서씨, 남양 서씨, 당성 서씨가 모두 서신일(徐神逸)을 조상으로 해서 나뉘었다고 쓰여 있다.
이천 서씨의 족보 「계미보癸未譜(1763년)」 서문에는, 이천 서씨의 선조는 서신일(徐神逸), 부여 서씨의 선조는 온조왕(溫祚), 달성 서씨의 선조는 서한(徐閈)이라고 하였다. 서명응(徐命膺)은 이천 서씨, 달성 서씨, 부여 서씨가 서신일(徐神逸)의 후손이라고 썼다.
4. 본관
장성(長城)은 전라남도 장성군의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고시이현(古尸伊縣)이었다. 신라 경덕왕이 갑성군(岬城郡)으로 개칭하였고, 고려 때 장성(長城)으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5. 인물
5. 1. 과거 급제자
장성 서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는 없었으나, 무과 급제자 19명, 생원·진사 14명을 배출하였다.[2]무과 |
---|
서경묵(徐敬默) 서끝룡(徐唜龍) 서문상(徐文尙) 서상영(徐相英) 서상운(徐尙雲) 서성좌(徐成佐) 서순만(徐順萬) 서왜톨(徐倭土里) 서인경(徐仁京) 서정문(徐挺文) 서진번(徐進蕃) 서차선(徐次善) 서창익(徐昌益) 서필화(徐弼華) 서한주(徐漢柱) 서항(徐) 서확(徐㬦) 서효복(徐效福) 서흠(徐欽) |
생원시 |
---|
서지언(徐芝彦) 서치홍(徐致弘) 서태수(徐台壽) 서환(徐瓛) 서희익(徐希益) |
진사시 |
---|
서몽룡(徐夢龍) 서영(徐嶸) 서영적(徐榮頔) 서우녕(徐禹寧) 서학권(徐鶴權) 서한용(徐漢茸) 서한풍(徐漢豊) 서홍유(徐弘有) 서후용(徐厚容) |
역과 |
---|
서기룡(徐起龍) 서임룡(徐任龍) |
5. 2. 현대 인물
6. 항렬자
장성 서씨는 항렬자를 사용하여 세대 구분을 한다. 26세 정(挺) 현(鉉), 27세 연(衍) 영(泳), 28세 진(震) 동(東), 29세 열(烈) 섭(燮), 30세 재(載) 증(增), 31세 종(鍾) 상(商), 32세 순(淳) 원(源), 33세 식(植) 휴(休), 34세 현(顯) 병(炳), 35세 규(圭) 재(在), 36세 진(鎭) 일(鎰), 37세 수(洙) 연(淵), 38세 상(相) 계(桂), 39세 희(熙) 훈(薰), 40세 요(堯) 경(坰)이다.
7. 인구
1985년에는 1,472가구 6,382명이었으며, 2000년에는 1,540가구 4,832명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에는 10,137명으로 조사되었다.
참조
[1]
역사
《고려사》 권121 열전 권제34 효우(孝友) 서릉
http://db.history.go[...]
[2]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