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즈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즈중은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황푸 군관학교 교장, 중일 전쟁 시기 상하이 방어전 지휘,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평화 협상 대표 등을 역임했다. 그는 초기 군 경력을 거쳐 쑨원의 부름을 받고 황푸 군관학교 교관이 되었으며, 북벌과 난징 국민정부 수립에 참여했다. 중일 전쟁 중에는 상하이 방어전을 지휘하고 후난성 주석을 역임했으나, 창사 대화재로 해임되었다. 국공 내전 시기에는 공산당과의 협상에 참여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서북행정위원회 부주석, 국방위원회 부주석 등을 지냈다. 그의 역할에 대해서는 소련 스파이설 논란이 존재하지만, 학계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이 우세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간첩 - 이시다 히로히데
와세다 대학 졸업 후 기자에서 정치인으로 변신한 이시다 히로히데는 이시바시 단잔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자유민주당에서 중의원 의원운영위원장, 여러 내각의 관방장관, 노동상, 운수상을 역임하며 노동 문제 해결에 힘썼고, 자민당의 위기를 경고하기도 했으나 소련 간첩 의혹 속에 정계를 은퇴했다. - 소련의 간첩 - 가이 버지스
가이 버지스는 1911년 영국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5인조 스파이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영국과 미국의 기밀 정보를 소련에 제공하다가 1951년 소련으로 망명하여 1963년 사망했다. - 1969년 사망 - 장택상
장택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임시정부 활동, 수도경찰청장, 초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지지 후 야당 정치인으로 반독재 투쟁을 전개했다. - 1969년 사망 - 레네 바리엔토스
레네 바리엔토스 오르투뇨는 볼리비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64년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이 되어 반공 정책을 추진하고 체 게바라 게릴라 부대 진압, 광산 노동자 탄압 등 권위주의 통치를 펼치다 1969년 사망했다. - 1890년 출생 - 최남선
최남선은 1890년에 태어나 1957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이며, 《소년》을 창간하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현대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친일 행적, 단군 연구, 《단군론》, 《불함문화론》 저술 등의 활동을 했다. - 1890년 출생 - 김창영 (1890년)
김창영은 일제강점기 경찰 및 관료, 만주국 관리로서 항일 무장 세력 탄압과 귀순 공작에 참여하고 금산군수와 전라남도 참여관을 지냈으며, 광복 후 경성부부윤을 역임했으나 반민특위에 체포되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처벌받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장즈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즈중 |
출생일 | 1890년 10월 27일 |
출생지 | 차오후, 청나라 |
사망일 | 1969년 4월 6일 |
사망지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별칭 | 위원장 |
정치 경력 | |
직위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주석 국방위원회 부주석 신장성 성장 후난성 성장 |
임기 시작 | 1965년 1월 3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주석) 1954년 9월 27일 (국방위원회 부주석) 1946년 4월 1일 (신장성 성장) 1937년 11월 20일 (후난성 성장) |
임기 종료 | 1969년 4월 6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주석) 1969년 4월 6일 (국방위원회 부주석) 1947년 5월 21일 (신장성 성장) 1939년 1월 21일 (후난성 성장) |
이전 직위 | 없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주석) 없음 (국방위원회 부주석) 우중신 (신장성 성장) 허젠 (후난성 성장) |
다음 직위 | 없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주석) 없음 (국방위원회 부주석) 마수드 사브리 (신장성 성장) 쉐웨 (후난성 성장) |
주석 | 주더 |
군사 경력 | |
소속 | |
복무 기간 | 1928년–1969년 |
계급 | 2급 상장 |
부대 | 베이징 상하이 경비 군단 제5군 제9 집단군 |
전투 | 상하이 전투 (1932) 상하이 전투 (1937) 장사 전투 (1939) 일리 반란 |
훈장 | 청천백일훈장 |
학력 | |
출신 학교 |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
기타 | |
로마자 표기 | Zhang Zhizhong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장즈중은 안후이성 차오후에서 태어나 1916년 바오딩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보병 장교가 되었다.[1] 상하이 대학교에서 잠시 사회 과학을 공부하기도 했으나, 학위를 받지는 못했다. 이후 윈난성과 광시성의 지방 군벌 군대에서 복무했다.
2. 1. 황푸 군관학교 교관
쑨원의 부름을 받고 광저우로 이동하여 황푸 군관학교의 교관이 되었다.[1] 바오딩 육군 군관학교를 졸업한 장즈중은 황푸 군관학교에서 학생단 단장, 학생 총대 대장, 군관단 단장을 역임했다.[1] 북벌에 참가했다.2. 2. 북벌 참여와 난징 국민정부
장즈중은 중국 국민당의 북벌에 참가하여 우한 군분교 교육장 겸 학병단 단장을 맡았다.[3] 국민당이 난징에 공화국 정부를 수립한 후, 1929년 중앙 군사 학교의 사령관이 되어 1937년까지 8년간 이 직책을 맡았다.[1]3. 중일 전쟁 시기 활동
장제스의 신임을 받던 장즈중은 옌시산, 펑위샹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1932년 상하이 전투에서는 제5군을 지휘했다. 수도 난징 방어를 위해 주롱 비행장 건설에 참여했으며, 1937년에는 제9집단군을 이끌고 상하이 방어전을 지휘했다.
중일 전쟁 기간 동안 후난성 성장(1937~1940년)을 역임한 장즈중은 일본군의 공격에 대비해 주요 건물 철거를 명했으나, 오판으로 창사 대화재를 야기하여 해임되었다.
이후 1940년 군사위원회 정치부장에 임명되어 장제스의 변함없는 신뢰를 확인했다.[1]
3. 1. 상하이 방어전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 장즈중은 제5군 군장을 맡아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3] 1937년 제2차 상하이 사변 발발 당시 난징-상하이 방위대 사령관이었던 장즈중은 제9집단군 사령관으로서 상하이 방어전을 지휘했다.[3]장제스는 제1차 상하이 사변 이후 열강의 압력으로 상하이 부근에 군사 시설을 만들지 못하게 하는 비무장 지대가 설정된 상황에서, 중국의 산업과 금융의 중심지이자 수도 난징에 가까운 상하이에서의 전투를 원치 않았다. 그러나 장즈중은 1937년 8월 9일, 장제스의 승인 없이 상하이 비행장 밖에서 일본 해군 육전대 중위와 일등병을 사살하는 다야마 사건을 일으켰다. 이는 일본 측이 먼저 발포한 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공작이었다.[3]
8월 15일, 장즈중은 일본 함선의 상하이 포격과 일본군의 중국인 공격에 대한 거짓 정보를 발표하여 반일 감정을 고조시켰고, 결국 장제스는 총공격을 명령할 수밖에 없었다. 장제스는 공격 중지 명령을 내렸지만, 장즈중은 이를 무시하고 전투를 확대했다. 8월 22일 일본 증원 부대가 도착하면서 전면전이 시작되었고, 중국 측은 큰 피해를 입었다.
3. 2. 창사 대화재
1937년 11월, 장즈중은 후난성 정부 주석에 취임했다.[3] 그러나 일본군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잘못된 판단으로 주요 건물 파괴를 명령했고,[3] 이로 인해 걷잡을 수 없는 창사 대화재가 발생하여, 장즈중은 이 사건의 책임으로 해임되었다.3. 3. 군사위원회 정치부장
1940년, 장즈중은 국민당 군사위원회 정치부 부장 겸 삼민주의 청년단 서기장을 역임했다.[1] 이는 장제스가 그를 계속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직책이었다.[1]4. 국공 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1949년, 장즈중은 베이징에서 열린 공산당과의 평화 회담에 국민당 수석 협상가로 참여했다. 협상이 결렬된 후, 베이징에 남아 국민당 탈퇴를 선언했다. 이후 타오즈위에 장군(당시 신장 국민당 성장)이 공산당으로 전향하도록 설득하여,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중화인민공화국 편입이 평화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1]
마오쩌둥은 장즈중의 공로를 인정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고위직에 임명했다. 장즈중은 서북군정위원회 부주석(1949–1954), 국방위원회 부주석(1954–1969),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1965–1969)을 역임했다.[1]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저우언라이의 보호로 박해를 피할 수 있었다. 1969년 4월 6일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4. 1. 국공 협상 참여
1945년, 장즈중은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위원장 서북행영 주임 겸 신장성 정부 주석을 역임했다.[3] 중국 공산당과의 충칭 평화 협상에서 국민당 대표로 참여했다.[3] 1949년 1월, 리쭝런의 지시에 따라 국민당 측 평화 협상 대표단으로 북평에서 공산당과 평화 협상을 진행했지만 실패했다.[3] 이후 장즈중은 북평에 남아 공산당 정권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3]4. 2. 중화인민공화국 합류
1949년, 장즈중은 베이징에서 열린 공산당과의 평화 회담에 국민당 수석 협상가로 참여했다.[1] 협상이 결렬된 후, 장즈중은 베이징에 남아 국민당 탈퇴를 선언하고 공산당 정권에 합류할 의사를 밝혔다. 이후 그는 오랜 친구이자 당시 신장 국민당 성장이었던 타오즈위에 장군이 공산당으로 전향하도록 설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중화인민공화국 편입이 평화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1]마오쩌둥은 장즈중의 공로를 높이 평가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고위직에 임명했다. 장즈중은 서북행정위원회 부주석(1949–1954), 국방위원회 부주석(1954–1969),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1965–1969)을 역임했다.[1] 또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상무위원,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민혁) 중앙 부주석 등도 역임했다.
5. 사망
장즈중(张治中중국어)은 1969년 4월 6일 베이징에서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6. 소련 스파이설 논란
융 창과 존 핼리데이 부부는 저서 『마오』에서 장즈중을 소련 스파이로 규정하고, 그가 중일 전쟁 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4] 저우언라이는 장즈중에게 공산당 입당 대신 국민당에 남아 "은밀히" 공산당과 협력할 것을 제안했고, 이후 장즈중은 국민당 장군이 되어 1930년대 중반에는 소련 대사관과 긴밀한 연락을 취했다. 장즈중이 교관을 지낸 황푸 군관학교는 소련이 자금과 인력을 제공하여 설립한 곳으로, 소련은 처음부터 국민당군 고위직에 스파이를 침투시킬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고 이들은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목소리도 존재한다.
6. 1. 주요 내용
융 창과 존 홀리데이는 장즈중이 소련의 스파이였으며, 저우언라이의 제안으로 국민당에 잠입했다고 주장한다.[4] 장즈중은 황푸 군관학교 교관 시절부터 소련과 긴밀히 협력했다.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 이후, 장즈중은 장제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상하이에서 일본군을 공격하여 중일 전쟁을 확대하려 했다. 다야마 사건 역시 장즈중의 지시로 일어난 조작극이며, 장제스의 공격 중지 명령을 무시하고 전투를 확대했다는 것이다.[4]
중일 전쟁 발발 직후, 소련은 중소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고 장제스에게 대규모 군사 지원을 제공했는데, 이는 장즈중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4] 소련은 2.5억달러를 무기 구매 대금으로 지급하고, 항공기 1천 대, 전차, 대포를 판매했으며, 군사 고문단과 공군도 파견했다. 초대 고문단장은 바실리 추이코프였다. 1937년부터 1939년까지 2천 명 이상의 소련군 조종사가 중국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여 약 1000대의 일본 항공기를 격추하고 타이완을 폭격했다.
막심 리트비노프 소련 외무상은 레옹 블룸 프랑스 부총리에게 "소련은 중국과 일본의 전쟁이 가능한 한 오래 지속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4]
상하이 사변 발발 이후 장제스는 장즈중을 의심하여 사령관에서 해임했지만, 그의 정체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5]
6. 2. 비판적 시각
야부키 신은 장즈중의 소련 스파이설이 근거가 부족한 추론에 불과하며, 『마오』의 내용 자체가 과장되고 편향되었다고 비판했다.[7] 장즈중이 소련 대사관과 밀접하게 연락했다는 증거가 부족하며, 오야마 중위 살해 사건 관련 주장도 추론에 불과하다는 것이다.[8] 소련군 조종사가 일본 항공기 1000대를 격추했다는 주장 역시 근거 자료를 비판 없이 사용했기 때문에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8]현재 중국과 대만에서는 『마오』가 발행되지 않고 있으며,[9] 학계에서도 융 창과 핼리데이의 주장을 채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10] 『장즈중 회억록』에는 『마오』가 주장하는 내용, 즉 자신이 공산당 스파이이며 스탈린의 지시에 따라 제2차 상하이 사변을 일으켰다는 등의 기술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7. 평가
장즈중은 중국 국민당 내 온건파로, 중국 공산당과의 협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인물로 평가된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특히 신장 지역의 평화적 편입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2] 마오쩌둥은 그의 공로를 높이 평가하여 서북군정위원회 부주석(1949–1954), 국방위원회 부주석(1954–1969),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1965–1969) 등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위직에 임명했다.[1]
하지만, 중일 전쟁 발발 과정에서 그의 역할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 1937년 제9집단군 사령관으로서 제2차 상하이 사변에 참가했는데, 같은 해 11월 후난성 정부 주석에 취임하였으나 일본군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잘못된 판단으로 중요한 건물의 파괴를 명령했다.[3] 이로 인해 걷잡을 수 없는 화재(창사 대화)가 발생했고, 이 사건의 책임으로 해임되었다.
융 창과 존 홀리데이는 저서 『마오 잊혀진 마오쩌둥』에서 장즈중이 소련의 스파이이며,[4] 상하이의 일본군에 대한 정당한 이유 없는 공격을 통해 중일 전쟁을 시작하려 했다고 비판한다. 다만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목소리도 존재한다.
한국의 관점에서 보면, 장즈중은 복잡한 역사적 인물이다. 일제강점기 조선 독립운동가들을 지원했던 중국 국민당 소속이었지만, 동시에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후 공산 정권에 합류했기 때문이다. 그의 생애는 이념 대립과 전쟁, 그리고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개인의 선택과 신념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8. 주요 경력
연도 | 직책 |
---|---|
1929년–1937년 | 중앙군관학교 교장 |
1932년 | 제5군단 사령관, 제5군 군장 겸 제87사 사장[3] |
1933년 | 제4로군 총지휘[3] |
1937년 | 난징 및 상하이 수비대 사령관, 경호 경비 총사령,[3] 제9집단군 사령관, 중앙군 및 제3전구 사령관, 제3전구 제9집단군 총사령[3] |
1937년-1938년 | 후난성 정부 주석 겸 전성 보안 사령[3] |
1940년 | 최고사령관 장제스의 부관 |
1940년–1945년 | 군사위원회 정치부 주임, 군사위원회 위원, 삼민주의청년단 중앙 간사회 서기장[3] |
1945년–1949년 | 국민당 북서부 사령부 주임 |
1946년–1948년 | 군사위원회 위원장 서북행영 주임[3] |
1946년–1947년 | 신장성 정부 주석 |
1948년 - 1949년 | 서북군정장관 공서 장관[3] |
1949년–1954년 | 중화인민공화국 서북군정위원회 부주석 |
1954년–1969년 |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부주석 |
1965년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3] |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dern China (1800–1949)
The Scarecrow Press
[2]
서적
Struggle by the Pen: The Uyghur Discourse of Nation and National Interest, c. 1900–1949
https://books.google[...]
BRILL
[3]
문서
堅壁清野 (초토화 작전)
[4]
서적
マオ 誰も知らなかった毛沢東(上)
講談社
[5]
문서
三民主義青年団 중앙간사회 서기장
[6]
문서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 (민혁)
[7]
웹사이트
Director's Watching 『マオ―誰も知らなかった毛沢東』を評す
http://www.21ccs.jp/[...]
[8]
웹사이트
『マオ』書評レジュメ
https://takeosa75.ha[...]
[9]
문서
マオ 誰も知らなかった毛沢東#共産主義者の「スリーパー」
[10]
서적
中華民国史
南京大学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