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흥 위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흥 위씨는 관서 홍농 출신 위경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 위창주를 중시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으며, 고려 문종 때 위계정이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시중에 올랐다. 본관은 전라남도 장흥이며, 능주파, 관산파, 행원파, 여천파, 사월파, 관북파 등으로 분파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위덕유, 위대기, 위백규 등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으며, 문과 급제자 13명, 무과 급제자 21명을 기록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31,342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흥 위씨 - 위서현 (아나운서)
    위서현은 숙명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춘천MBC 기자 및 뉴스캐스터를 거쳐 2003년 KBS 29기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아침마당》, 《국악한마당》, 《KBS 뉴스 네트워크》, 《KBS 뉴스 7》, 《KBS 8 뉴스타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만남의 힘》, 《뜨거운 위로 한 그릇》을 저술한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 장흥 위씨 - 위성곤
    위성곤은 제주대학교를 졸업하고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을 역임한 후, 제20대, 제21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장흥 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장흥군
창시자(위경)
관련 인물위하준
위서영
미셸 위
위성곤
웹사이트장흥 위씨 대종회
한자 표기
한자長興 魏氏
역사
시조(위경)
별칭수녕 위씨(遂寧魏氏)
중시조위창주(魏菖珠)
지역
집성촌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강진군 강진읍 춘전리
여수시 율촌면 산수리·봉두리
완도군 청산면 국산리
기타 정보
저명한 인물위덕유
위숭
위계정
위원개
위문개
위덕의
위대기
위대경
위흥조
위창조
위백규
위정학
위상규
위쌍숙
위성락
위성호
위철환
위승호
위성곤
위서현
미셸 위
위대한
인구 (2015년)30,450명

2. 기원

장흥 위씨(長興 魏氏)의 시조 '''위경'''(魏鏡)은 관서(關西) 홍농(弘農) 사람으로 638년 신라 선덕여왕의 초청으로 당 태종이 파견한 팔학사(八學士)의 일원으로 신라에 들어왔다. 위경은 신라에서 문하습비후(門下拾非侯)ㆍ아찬(阿湌)ㆍ상서시중(尙書侍中)을 역임하고 회주군(懷州君)에 봉해졌다.

3. 역사

고려 초 대각간시중(大角干侍中)을 지낸 '''위창주'''(魏菖珠)를 중시조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위창주의 5세손 '''위계정'''(魏繼廷)은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좌보궐지제고(左補闕知制誥)를 거쳐 선종 때 어사중승(御史中丞)이 되었고, 숙종 초에 예부와 이부의 상서를 지냈다. 결백하고 지조 있는 관료 생활을 하여 칭송을 받았다. 이어 판한림원사(判翰林院事)를 거쳐 1101년(숙종 6)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中書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냈으며, 1104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로 태자소사(太子少師)를 겸하고, 1105년(예종 1년)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며, 예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6]

4. 본관

장흥(長興)은 전라남도 남쪽에 있는 지명이다. 삼국시대 백제의 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이었다. 신라에서 마읍현(馬邑縣)으로 고쳐 보성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에서 수녕현(遂寧縣)으로 고쳐 영암(靈巖)의 임내(任內)로 하였다가 장흥부(長興府)에 내속(來屬)시켰다. 1392년(태조 1)에 수녕현(遂寧縣)의 중녕산에 성을 쌓고 중심지로 했으며, 1413년(태종 13)에 장흥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1652년(효종 3) 장흥현으로 강등되었다. 1896년 전라남도 장흥군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전라도 장흥도호부 수녕(遂寧)의 성으로 위(魏)·박(朴)·(曺)·함(咸) 4성이 기록되어 있다. 수녕(遂寧)이 장흥(長興)에 내속되고 관산(冠山)이라는 별호가 있었기에 수녕 위씨(遂寧 魏氏)가 장흥 위씨(長興 魏氏)로 개칭되고, 관산 위씨(冠山 魏氏)라고도 하였다.

5. 분파

장흥 위씨 15세손 위덕룡(魏悳龍)은 위자온(魏自溫)ㆍ위자량(魏自良)ㆍ위자공(魏自恭)ㆍ위자검(魏自儉) 네 아들을 두었는데, 이들로부터 위씨의 상계분파(上系分派)가 시작되었다. 위자온(魏自溫)은 능주파(綾州派)로, 위자량(魏自良)은 관산파(冠山派)ㆍ행원파(杏園派)ㆍ여천파(麗川派)로, 위자공(魏自恭)은 사월파(沙月派)ㆍ관북파(關北派)로 분파되었다. 위자검(魏自儉)은 후손이 끊겼다.


  • 위자온(魏自溫)
  • * 능주파(綾州派) - 위종형
  • 위자량(魏自良)
  • * 관산파(冠山派) - 위유형
  • * 행원파(杏園派) - 위유정
  • * 여천파(麗川派) - 위종노
  • 위자공(魏自恭)
  • * 사월파(沙月派) - 위단
  • * 관북파(關北派) - 위돈

6. 항렬표

장흥 위씨는 본관 중심 항렬자와 관북 중심 항렬자로 나뉜다.[4][5]

6. 1. 본관 중심

○세손282930313233343536373839
행렬자[4][5]영○(榮)○조(祚)목○(木)
석○(錫)
계○(啓)○량(良)
○규(奎)
○철(喆)
화○(火)
종○(鐘)
성○(聖)
○원(源)
○복(復)
환○(桓)
김○(金)
○현(炫)
태○(泰)
곤○(坤)
○현(賢)
○균(鈞)
산○(山)
락○(洛)
○세손404142434445464748495051
행렬자[4][5]○송(松)○기(基)
연○(然)
토○(土)
○기(琦)
영○(永)
호○(鎬)
○창(昌)
○철(澈)
수○(水)
동○(東)
○진(晋)
노○(魯)
○문(文)
서○(瑞)
차○(車)
○선(善)
인○(寅)
제○(濟)
○령(齡)
○극(極)
언○(言)
희○(熙)


6. 2. 관북 중심

세손282930313233343536373839
행렬자[4][5]○상(相)
○남(男)
옥○(玉)
지○(志)
태○(泰)
석○(石)
○조(祖)
○대(大)
광○(光)
철○(哲)
○철(喆)
○광(光)
종○(鐘)
동○(東)
○원(源)
○조(祚)
정○(楨)
기○(基)
○환(煥)
○석(錫)
재○(在)
한○(漢)
○련(鍊)
○권(權)
세손404142434445464748495051
행렬자[4][5]영○(泳)
희○(熙)
○주(柱)
○규(奎)
병○(炳)
종○(鍾)
○규(圭)
○순(淳)
석○(錫)
병○(柄)
○호(浩)
○섭(燮)
병○(秉)
배○(培)
○렬(烈)
○호(鎬)
길○(吉)
영○(永)
○용(鎔)
○식(植)
순○(淳)
형○(炯)
○영(榮)
○수(壽)


7. 인물

장흥 위씨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고려시대 주요 인물로는 위덕유, 위종정, 위숭, 위계정, 위원개, 위문개, 위온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위덕의, 위덕화, 위대기, 위대경, 위정철, 위산보, 위흥조, 위창조, 위백규, 위경규 등이 있다. 현대에는 위상규, 위성락, 위철환, 위승호, 위성곤, 위서영 등이 있다.

7. 1. 고려

고려 초 대각간시중(大角干侍中)을 지낸 '''위창주'''(魏菖珠)를 중시조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위창주의 5세손 '''위계정'''(魏繼廷)은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좌보궐지제고(左補闕知制誥)를 거쳐 고려 선종 때 어사중승(御史中丞)이 되었고, 고려 숙종 초에 예부와 이부의 상서가 되어서도 결백하고 지조 있는 관료 생활을 계속하여 칭송을 받았다. 이어 판한림원사(判翰林院事)를 거쳐 1101년(숙종 6)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中書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냈으며, 1104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로 태자소사(太子少師)를 겸하고, 1105년(고려 예종 1년)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며, 고려 예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6]

이름생몰년주요 경력
위덕유(魏德柔)?병부낭중(兵部郞中), 989년(고려 성종 8년) 송나라 황제에게 광록대부(光祿大夫) 벼슬 받음[7]
위종정(魏從政·魏從正)?고려 현종 때 내사주서(內史主書)
위숭(魏崇)?1049년(고려 문종 3년) 섭호부상서(攝戶部尙書)[8]
위계정(魏繼廷)1038~1107고려 문종 때 문과 급제, 좌보궐지제고, 고려 선종 때 어사중승, 고려 숙종 때 예부상서, 이부상서, 판한림원사, 1101년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1104년 문하시랑평장사 겸 태자소사, 1105년 문하시중(門下侍中)
위원개(魏元凱)1226~12921244년(고려 고종 31) 문과 장원 급제, 한림학사, 추밀원부사, 출가 후 법명 충지(沖止), 시호 원감(圓鑑)
위문개(魏文凱)1228~?위원개의 동생, 1260년 문과 장원 급제, 평양 군수, 1271년(고려 원종 12) 국자박사, 1280년(고려 충렬왕 6) 쌍성(雙城) 민호(民戶) 쇄환(刷還) 추진
위온?고려 문하시중, 평장사


7. 2. 조선


  • 위덕의(魏德毅, 1540~1613) : 1573년(선조 6)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 위덕화(魏德和, 1551∼1598) : 조선 중기의 무신. 1585년(선조 18) 무과에 급제하여 언양현감을 지냈다. 군자감정을 지내고 호조판서에 추증되었다. 훈련원도정으로 있을 때 이순신 장군의 부고를 듣고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 위대기(魏大器, 1555~1607?) : 무과에 급제한 다음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의 조전장으로 전공을 세웠다. 왜병이 금산에서 웅치를 넘어 전주지역으로 들어오려 할 때 이치에서 권율을 도와 호남 지역 수호에 큰 공을 세웠다. 1594년 해남현감을 역임하고, 1597년 정유재란 때에는 고향에서 군사를 일으켜 전공을 세워 훈련원정이 되었으며, 수군절도사가 되었다. 남원에 충량비가 세워졌다.[9]
  • 위대경(魏大經, 1555~1623) : 무과에 급제하여 원주판관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옥포해전과 당항포해전에서 공을 세워 상주영장이 되었다.[10]
  • 위정철 (魏廷喆, 1583~1657) : 조선 중기 무신. 21살 때 무과에 급제하여 현감, 군수, 첨사, 대도호부사, 방어사 등을 역임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원종일등공신에 훈록되었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에 참여하여 진무원종일등공신에 훈록되었다. 1631년(인조 9) 후금과의 사신 왕래에 예물 교환 문제가 발생하자, 심양 회답사로 파견되어 단호한 대처로 이를 해결하였다. 영흥부사 재직 당시 뇌물 수수로 파직되었으나, 곧 숙천부사, 갑산부사에 제수되었다. 1643년 만포첨사로 다시 관직에 올라 41년간 봉직하였다.
  • 위산보 (魏山寶, 1593~1656) : 병자호란 당시 비변사 낭청. 1620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판관, 문화현령 등을 지냈다. 청나라 군대가 침입했을 때 술과 고기를 가지고 그 진영으로 가서 형세를 엿보고 돌아왔다.
  • 위흥조(魏興祖, 1719~1779) : 1744년(영조 20)에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746년(영조 22)에 함경도별시에서 병과 1위로 급제하였다. 1757년(영조 33)에 상소를 하여 의금부와 형조에 갇혀 있는 죄인 중 죄목이 가벼운 자를 석방하도록 건의하였다. 1760년(영조 36) 고원군수로 재직 중 어사 윤면동이 위흥조가 법령을 어겼다고 탄핵하였다. 1761년(영조 37)에 홍봉한이 그를 두둔하며, 윤면동이 탄핵한 내용은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항변하였다.
  • 위창조(魏昌祖, 1703~1759) : 조선 영조 때 북도릉전지를 저술하고 호조참의를 역임했다.
  • 위백규(魏伯珪, 1727년∼1798)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시(詩), 서(書), 화(畵)에 모두 능해 삼절(三絶)로 불렸다. 제자백가는 물론 천문, 지리, 율력, 복서, 산수 등에 통달하고 특히 역(易)에 정통하였다. 조선 정조 때 학행으로 천거받아 선공감부봉사, 옥과현감, 경기전령 등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은거하였다. 문집에 《존재집》, 저서에 《지제지(支提志)》 등이 있다. 조선 호남 실학의 거목으로 당대의 석학으로 이름났다.
  • 위경규(魏璟奎, 1887~1947년) : 조선 말기 유학자. 고을 자제들을 교육하기 위해 사재를 들여 봉무재를 짓고 몸소 교육하였으며, 광복 후에는 장흥향교의 초대 전교를 역임하였다. 만년에는 단강 근처에 영귀정을 짓고 시사로 소일하였다.

7. 3. 현대

8. 과거 급제자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11]
문과무과생원시진사시음관


9. 집성촌

지역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옥산리, 옥동리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행원리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산수리, 봉두리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쌍덕리 평덕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국화리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운곡리
강원도 춘천시 남면 발산리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춘전리
전라남도 여천군 소라면 봉두리
전라남도 여천군 율촌면 산수리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국산리 [4]


10. 인구

연도장흥 위씨관산 위씨수녕 위씨수령 위씨수영 위씨합계
2000년24,654명1,536명26,190명
2015년28,754명2,419명90명41명38명31,342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장흥위씨 長興魏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4] 웹사이트 위씨(魏氏) 본관(本貫) 장흥(長興)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웹사이트 항렬표 https://jhwi.or.kr/d[...] 2024-08-13
[6] 문서 『고려사』 권95, 열전8 https://terms.naver.[...]
[7] 문서 『고려사』 세가 권제3 성종(成宗) 8년 12월 http://db.history.go[...]
[8] 문서 『고려사』 세가 권제7 문종(文宗) 3년 http://db.history.go[...]
[9] 문서 위대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10] 웹인용 위대경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2014-08-06
[11]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장흥 위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