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지대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지대 국가는 역사적으로 부르고뉴 공작의 궁정에서 유래한 용어로, 현재는 베네룩스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 지역은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며, 한자 동맹 시대부터 상업이 발달하여 서유럽의 선진 지역이었다. 14세기 후반 부르고뉴 공국, 15세기 후반 합스부르크가 지배를 거쳐, 종교 개혁 이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역사가 전개되었다. 1815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으로 통합되었으나, 벨기에 독립 혁명과 룩셈부르크의 독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으며 독일의 침공과 점령을 겪었고, 전후 베네룩스 경제 연합을 통해 유럽 통합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저지대 국가
지도
명칭
네덜란드어Nederlanden
영어Netherlands
로마자 표기Nederlanden
프랑스어les Pays-Bas
개요
설명북서부 유럽의 해안 저지대 지역
기타 명칭네덜란덴, 네덜란트, 니더란트
포함 국가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역사적 맥락
역사적 의미현재 네덜란드 북부를 점유하고 있는 나라
언어
언어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기타
관련 위키백과 문서네덜란드

2. 용어

'저지대 국가'라는 용어는 부르고뉴 공국에서 유래했으며, '낮은 땅'을 뜻하는 프랑스어 Pays-Bas프랑스어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저쪽 땅'을 뜻하는 les pays de par delà프랑스어와 대비되는 표현으로, 부르고뉴 공국의 영토 중 지리적으로 낮은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었다.[6][7] 헝가리의 마리아는 les pays de par deçà프랑스어와 Pays d'Embas프랑스어(아래 땅)라는 표현을 모두 사용했는데, 이는 Pays-Bas프랑스어 또는 '저지대 국가'로 발전했다.[8][9]

네덜란드 국명은 'nether'(낮은)에서 유래하여 저지대 국가라는 지역명과 어원 및 기원이 같다.[10] 네덜란드어에서 De Lage Landennl은 현대의 저지대 국가를, De Nederlandennl(복수)은 16세기 카를 5세의 영토였던 역사적인 저지대 국가를 가리킨다. 오늘날 '저지대 국가'는 베네룩스와 유사하게 현대적인 정치적 경계에 맞춰 사용된다.[8][9]

벨기에는 1830년 네덜란드로부터 분리 독립하면서, 저지대 국가의 라틴어화된 이름인 Belgica에서 국명을 따왔다. 이는 팔십년 전쟁 당시 저지대 국가가 북부의 Belgica Foederatala(네덜란드 공화국)와 남부의 Belgica Regiala(스페인령 네덜란드)로 나뉜 것에서 기원한다.[11]

3. 역사

저지대 국가는 중세 시대부터 플랑드르를 중심으로 상업이 발달하여 서유럽의 선진 지역이었다.

저지대 국가의 역사
프리지인colspan="2" style="background:#FF9966; border-width: 1px 0 1px 0; padding:0.25em 0.25em" |벨가에
style="background:#FF9966; border-width: 0 1px 0 1px; padding:0.25em 0.25em" |카나네파테스[12]카마비,
투반테스[13]
갈리아 벨기카 (기원전 55년–5세기경)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83년–5세기경)
style="background:#FF9966; border-top:none; padding:0.25em 0.25em" |살리 프랑크족style="background:#CC6633; -align:top;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바타비족[12]style="background:#CC99FF;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rowspan="2" style="background:#CC99FF; -align:top;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style="background:#CC99FF; border-width: 0 1px 0 0; padding:0.25em 0.25em" |
인구 없는 지역
(4세기–5세기경)
사크센족살리 프랑크족[12]
(4세기–5세기경)
style="background:#CC99FF;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1px 0" |style="background:#CC99FF; border-width: 0 1px 0 0; padding:0.25em 0.25em" |
프리지아 왕국
(6세기경–734년)
style="background:#CC6633;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프랑크 왕국 (481년–843년)—카롤링거 제국 (800년–843년)
오스트라시아 (511년–687년)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1px"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colspan="7"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colspan="9"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1px" |
중프랑크 왕국 (843년–855년)서프랑크 왕국
(843년–)
colspan="3"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
로타링기아 왕국[14] (855년–959년)
하로트 공국[15] (959년–)
colspan="3"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1px 1px 0 0" |
프리지아colspan="2"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0 0" |style="background:#FFFFCC;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1px 1px 0 1px" |colspan="3" style="background:#c1cbf2;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프리지아 자유[16]
(11세기–16세기)

홀란트 백국[17]
(880년–1432년)

위트레흐트 주교령[18]
(695년–1456년)

브라반트 공국[19]

게르더른 공국[20]
(1046년–1543년)

플랑드르 백국[21]
(862년–1384년)

에노 백국

나뮈르 백국

리에주 주교령
[22]

룩셈부르크 공국
 

부르고뉴 네덜란드 (1384년–1482년)
style="background:#FFFFCC; padding:0.25em; padding:0.25em; border-width: 0 1px 0 1px"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1px 0 1px 1px"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1482년–1795년)
(십칠주 1543년 이후)[23]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네덜란드 공화국
(1581년–1795년)
--
스페인령 네덜란드
(1556년–1714년)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1714년–1795년)
style="background:#FFFFCC; padding:0.25em; border-width:0 1px 0 1px" |style="background:#efcccb;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0 0" |
 
border

벨기에 합중국
(1790년)
border

리에주 공화국
(1789년–1791년)
style="background:#dac1dd;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1px 1px 1px 0" |
 colspan="3" style="background:#efcccb; border:none; padding:0.25em 0.25em" |  

바타비아 공화국 (1795년–1806년)
네덜란드 왕국 (1806년–1810년)
border

프랑스 제1공화국과 연합 (1795년–1804년)
프랑스 제1제정의 일부 (1804년–1815년)
  

네덜란드 연합 공국 (1813년–1815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 (1815년–1830년)
border

룩셈부르크 대공국
(1815년–)

네덜란드 왕국 (1839년–)
border

벨기에 왕국 (1830년–)
colspan="4" style="background:#f7d2a8;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0 1px 1px" |colspan="4" style="background:#dac1dd; padding:0.25em 0.25em; border-width: 0 1px 1px 1px" |
룩셈부르크 대공국
(1890년–)



로마 제국 시대에 저지대 국가는 갈리아 벨기카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속주에 속했으며, 벨가에족과 게르만 부족들이 거주했다.[12] 4~5세기에는 프랑크족이 이 지역에 진입했다. 8세기 말, 저지대 국가는 프랑크 왕국의 핵심 지역이 되었고, 샤를마뉴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책봉되었다. 샤를마뉴 사후 프랑크 왕국은 분열되었고, 저지대 국가는 서프랑크 왕국동프랑크 왕국 모두의 분쟁 대상이었다.

14세기와 15세기에는 여러 봉토들이 부르고뉴 공국의 통치 아래 점차 통합되었다. 1477년 부르고뉴령은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상속되었다.[29] 카를 5세는 1549년 실용적 조칙을 통해 저지대 국가들을 하나의 통합된 단위로 만들었다.[29]

카를 5세의 퇴위 후, 저지대 국가는 스페인펠리페 2세에게 넘어갔다. 종교 개혁 이후, 신교 세력이 강했던 북부 7개 주는 80년 전쟁을 일으켜 1581년 네덜란드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남부 10개 주는 스페인령 네덜란드로 불렸고, 1713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가 되었다.

1815년 빈 회의에서 저지대 국가는 네덜란드 연합 왕국으로 통합되었으나, 벨기에 독립 혁명으로 벨기에가 분리 독립했다.[37] 1890년에는 룩셈부르크 대공국이 네덜란드 왕국과의 동군 연합을 해소하고 독립했다.[37]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저지대 국가는 독일에 점령되었다. 종전 후, 세 국가는 베네룩스 경제 연합을 결성했고,[36] 이는 EU의 전신이 되었다.[37]

3. 1. 초기 역사

로마 제국 시대에 저지대 국가는 갈리아 벨기카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속주에 속해 있었으며, 벨가에족과 게르만 부족들이 거주했다.[12] 4~5세기에는 프랑크족이 이 지역에 진입하여 독자적인 통치를 시작했고, 메로빙거 왕조 아래에서 라인강 이남 지역이 다시 기독교화되었다.

3. 2. 프랑크 제국

8세기 말, 저지대 국가는 프랑크 왕국의 핵심 지역이 되었고, 메로빙거 왕조는 카롤링거 왕조로 대체되었다.[26] 800년, 교황은 샤를마뉴를 신성 로마 제국황제로 책봉했다.

샤를마뉴 사후, 프랑크 왕국은 그의 세 손자에게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27] 중앙 지역인 중프랑크 왕국은 로타르 1세가 통치했으며, '로타링기아' 또는 '로렌'으로도 불렸다. 해안 지역인 플랑드르 백작령은 서프랑크 왕국에 속했지만, 저지대 국가의 나머지 지역은 '로어 로렌'에 속했다.

로타르 1세 사후, 저지대 국가는 서프랑크 왕국동프랑크 왕국 모두의 분쟁 대상이었다. 각 왕국은 이 지역을 병합하려 했다. 저지대 국가는 여러 봉토로 구성되었고, 프랑스 왕국 또는 신성 로마 제국에 속했다. 저지대 국가의 이후 역사는 두 강대국의 끊임없는 투쟁으로 볼 수 있지만, 로타르 공작의 칭호는 수 세기간 저지대 국가에서 탐내는 자리였다.[28]

3. 3. 부르고뉴 공국

14세기와 15세기에 여러 봉토들이 왕실 간의 혼인을 통해 발루아 가문의 통치하에 점차 통합되었다. 이들은 부르고뉴 공국의 통치자였다. 부르고뉴의 영향력이 절정에 달했을 때, 저지대 국가는 북유럽의 정치, 문화, 경제 중심지가 되었으며, 특히 수공예품과 사치품으로 유명했다. 초기 네덜란드 회화는 현재 벨기에에 있는 브뤼헤, 겐트, 메헬렌, 뢰번, 투르네, 브뤼셀 등 번영하는 도시에서 활동한 예술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프랑코 플랑드르 악파의 음악가들은 유럽 전역의 상류층에게서 높이 평가받았다.[16]

3. 4. 합스부르크 가문

1477년 이 지역의 부르고뉴령은 상속녀인 부르고뉴의 마리를 통해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이전되었다.[29] 1506년 이 지역을 상속받은 카를 5세는 네덜란드 총회에 의해 통치자로 임명되었고 스스로를 "네덜란드의 영주"(Heer der Nederlanden)라고 칭했다. 그는 여러 공국과 영방으로 이루어진 이 지역들을 계속 통치하다가, 결국 저지대 국가들이 하나의 불가분의 영토인 17개 주로 통합되었고, 1549년 실용적 조칙에 의해 규정되었으며, 각 주의 기존 관습, 법률 및 통치 형태는 유지되었다.[29]

1549년 실용적 조칙은 여러 지역의 집합체를 하나의 통합된 단위로 변모시켰고, 합스부르크 가문이 그 상속자가 될 것이었다. 카를 5세는 17개 주 모두의 계승 법을 간소화하고 이 모든 주가 단일 상속인에게 상속될 것이라고 선포함으로써 네덜란드를 하나의 단위로 효과적으로 통합했다. 1555년 카를 5세의 퇴위 후, 17개 주는 그의 아들인 스페인의 필리프 2세에게 넘어갔다.[31]

3. 5. 분열

카를 5세의 퇴위 후 17개 주는 스페인펠리페 2세에게 넘어갔다. 종교 개혁 이후, 신교 세력이 강했던 북부 7개 주는 가톨릭 국가인 스페인의 지배에 저항하여 80년 전쟁을 일으켰고, 1581년 독립을 선포하여 네덜란드 연합 공화국이 되었다. 남부 10개 주는 스페인의 지배하에 남아 '스페인령 네덜란드'로 불렸다.[32] 1713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위트레흐트 조약에 따라 스페인령 네덜란드는 오스트리아에 할양되어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가 되었다.

3. 6. 근대

빈 회의에서 저지대 국가는 네덜란드 연합 왕국으로 통합되었으나, 벨기에 독립 혁명으로 벨기에가 분리 독립했다.[37] 1839년 네덜란드는 벨기에의 독립을 승인했다.[37] 1890년에는 룩셈부르크 대공국이 네덜란드 왕국과의 동군 연합을 해소하고 독립했다.[37]

3. 7. 현대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인 1914년경, 중앙 연합국은 룩셈부르크벨기에를 침략했는데, 이는 벨기에 침공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두 국가는 독일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독일군의 프랑스 진격은 곧 중단되었고, 전쟁 대부분 기간 동안 군사적 교착 상태가 지속되었다. 이 침공으로 약 56,000명이 사망했다.[3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돌프 히틀러는 프랑스 마지노선을 우회하기 위한 쉬운 경로로 저지대 국가들을 주목했다. 그는 프랑스를 선제 공격하고, 연합군 공군력이 독일 루르 지역을 위협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저지대 국가들을 최대한 빨리 정복하라는 명령을 내렸다.[34] 또한, 영국에 대한 장기적인 공중 및 해상 작전 기지를 확보하고자 했다.[35] 독일의 전격전 전술은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의 방어를 빠르게 무너뜨렸다.

세 국가 모두 1940년 5월부터 1945년 초까지 점령되었다. 점령 기간 동안 이들 정부는 영국으로 망명했다. 1944년, 세 국가는 런던 관세 협약에 서명하여 베네룩스 경제 연합[36]의 기반을 마련했고, 이는 EEC(후일의 EU)의 중요한 전신이 되었다.[37]

4. 현대의 저지대 국가

현대의 저지대 국가는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3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베네룩스 경제 연합을 통해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베네룩스 3국은 모두 유럽 연합(EU)의 회원국이며, 유럽 통합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정식 명칭은 네덜란드 왕국(Koninkrijk der Nederlandennl)이며, "nether"가 "낮은"을 의미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 '저지대 국가'라는 지역 명칭과 같은 어원을 갖는다.[10] 네덜란드어와 영어에서 저지대 국가는 구어적으로 네덜란드와 벨기에, 때로는 네덜란드와 플랑드르(벨기에의 네덜란드어 사용 북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저지대 더비nl"("Derby der Lage Landen")는 벨기에와 네덜란드 간의 스포츠 경기를 가리킨다.

벨기에는 1830년 (북부) 네덜란드로부터 분리되었다. 벨기에는 팔십년 전쟁(1568-1648) 당시 저지대 국가를 칭하던 라틴어 이름인 “Belgica”에서 국명을 따왔다. 당시 저지대 국가는 북부 연합 네덜란드(“Belgica Foederata”)와 남부 왕립 네덜란드(“Belgica Regia”)로 나뉘었는데,[11] 이는 훗날 현대 국가인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기초가 되었다.

참조

[1] 백과사전 Low Countrie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01-26
[2] 웹사이트 Low Countries – definition of Low Countries by the Free Online Dictionary, Thesaurus and Encyclopedia http://www.thefreedi[...] Farlex, Inc. 2014-01-26
[3] 서적 Re-imagining Western European Geography in English Renaissance Dram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2
[4]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2011: The Politics, Cultures and Econom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
[5] 서적 Civilization and Capitalism, 15th–18th Century, Vol. III: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6] 웹사이트 1. De landen van herwaarts over https://vre.leidenun[...] Vre.leidenuniv.nl 2014-01-01
[7] 웹사이트 The Elusive Netherlands. The question of national identity in the Early Modern Low Countries on the Eve of the Revolt http://www.bmgn-lchr[...] 2014-01-01
[8] 웹사이트 Low Countries http://www.thefreedi[...]
[9] 웹사이트 Low Countries region, Europe https://www.britanni[...] 2023-05-31
[10] 웹사이트 Netherlands https://www.etymonli[...]
[11] 서적 Sparks of Reason: Vernacular Rationalism in the Low Countries, 1550–1670 https://books.google[...] Uitgeverij Verloren 2015
[12] 문서 Roman foederati
[13] 문서 The Chamavi merged into the confederation of the Franks; the Tubantes merged into the confederation of the Saxons.
[14] 문서 Part of East Francia after 939, divided in Upper Lorraine (as part of West Francia) and Lower Lorraine (as part of East Francia) in 959.
[15] 문서 Lower Lorraine—also referred to as Lothier—disintegrated into several smaller independent territories and only the title of a "Duke of Lothier" remained, held by Brabant.
[16] 문서 Lordship of Frisia and Lordship of Groningen (including the Ommelanden) after 1524 and 1536 respectively.
[17] 문서 Including County of Zeeland, that was ruled by neighboring County of Holland and County of Flanders (until 1432).
[18] 문서 Utrecht included Lordship of Overijssel (until 1528), County of Drenthe (until 1528) and County of Zutphen (until 1182).
[19] 문서 Duchy of Brabant included since 1288 also the Duchy of Limburg (now part of Belgium's Liège Province) and the "Overmaas" lands Dalhem, Valkenburg and Herzogenrath (now part of the Dutch Province of Limburg).
[20] 문서 The county, later duchy, of Guelders consisted of four quarters, as they were separated by rivers: situated upstream Upper Quarter (the present day northern half of the Dutch province of Limburg),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three downstream Lower Quarters: County of Zutphen (after 1182), Veluwe Quarter and Nijmegen Quarter. The three lower quarters emerged from the historic gau (country subdivision) Hamaland (named after the Chamavi tribe), and formed the present day province of Gelderland. Guelders did not include the Duchy of Cleves enclave Huissen and the independent counties of County of Buren and Culemborg, that were much later seceded to the province of Gelderland.
[21] 문서 Including County of Artois (part of Flanders until 1237) and Tournaisis.
[22] 문서 Throughout the Middle Ages, the bishopric was further expanded with the Duchy of Bouillon in 1096 (ceded to France in 1678), the acquisition of the county of Loon in 1366 and the county of Horne in 1568. The Lordship of Mechelen was also part of the Prince-Bishopric of Liège.
[23] 문서 The name Seventeen Provinces came in use after the Habsburg emperor Charles V had re-acquired the Duchy of Guelders, and an continuous territory arose.
[24] 백과사전 Franks http://www.encyclop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02-01
[25] 웹사이트 Lotharingia / Lorraine (Lothringen) http://nobhist.narod[...] 2014-02-01
[26]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 2007
[27] 서적 De Gaulle and European Unity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74
[28] 서적 Routledge Revivals: Medieval Germany (2001):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29] 웹사이트 History of Luxembourg: Primary Documents https://eudocs.lib.b[...] 2017-09-10
[30] 서적 The Dutch Revolt 1559–1648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1] 서적 Heretic Queen: Queen Elizabeth I and the Wars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12
[32]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Netherland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8-10-20
[33] 웹사이트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https://archive.org/[...] London H.M. Stationery Off 2018-04-14
[34] 문서 Frieser 2005, p. 74.
[35] 웹사이트 Directive No. 6 Full Text http://der-fuehrer.o[...] 2015-12-05
[36] 서적 Governments in Exile, 1939–1945 http://governmentsin[...]
[37] 서적 Regionalism, Economic Integration and Security in Asia: A Political Economy Approach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1
[38]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the Low Countries https://books.google[...] Camden Hou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