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략 핵무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략 핵무기는 대륙간탄도탄(ICBM),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전략폭격기탑재 공중발사 순항미사일(ALCM)과 같은 핵무기를 운반하는 수단을 의미하며, 100kt 이상의 파괴력을 가진다. 이들은 '전략무기 3원'을 구성하며, 상대방의 선제공격에 대한 억지력을 제공한다. 전략 핵무기는 전술 핵무기와 구분되며, 사거리, 공격 대상, 파괴력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긴장 완화 타격 개념이 등장하여, 재래식 분쟁에서 전략적 이점을 위해 핵 위협을 사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전쟁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1945년 8월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한 원자폭탄은 일본의 항복을 이끌어내고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엄청난 인명 피해와 장기적인 방사능 피해를 야기하여 전쟁의 참상과 핵무기의 위험성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남아있다.
  • 핵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은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되어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끝난 전 세계적인 총력전으로, 민족통일주의, 경제 위기, 파시즘 등의 복합적인 배경 하에 발발하여 막대한 피해와 전후 세계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핵무기 - NORSAR
    NORSAR는 노르웨이 셸러에 위치한 지진 연구 및 데이터 센터이며, 기초 지진학 연구, 소프트웨어 개발, 석유 산업 컨설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을 위한 노르웨이 국가 데이터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핵무기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 냉전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냉전 - 이란 혁명
    1979년 이란에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샤의 권위주의 통치와 서구화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이란 혁명은, 루홀라 호메이니의 주도 하에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하여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혁명에 참여했던 여성들의 인권 억압 문제와 함께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전략 핵무기
개요
유형핵무기
사용 목표적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중심지 파괴
적의 전쟁 수행 능력 와해
특징높은 파괴력
장거리 운반 능력
역사
개발 국가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
전략적 목표
주요 목표도시
산업 시설
군사 기지 (특히 핵무기 관련 시설)
정부 기관
인구 밀집 지역
운반 수단
주요 운반 수단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SLBM)
전략 폭격기
영향
정치적 영향공포의 균형: 핵 억지력 유지
냉전: 초강대국 간 대립 심화
군사적 영향대규모 전쟁 억제
제한적인 핵 사용 전략 연구
기타
관련 개념전술 핵무기
핵 억지력
상호확증파괴 (MAD)
선제공격
보복 공격

2. 종류

현대의 대표적인 전략 핵무기 체제로는 대륙간탄도탄(ICBM),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전략폭격기 탑재 공중발사 순항미사일(ALCM)이 있으며, 이들을 묶어 '전략무기 3원(Triad)'이라고 부른다.[17]

1940년대 중반 이후 원자폭탄과 B-29를 연결한 미국의 '전면전략'에서 시작된 제1세대 전략무기 시대는 1980년대에 제5세대 전략무기 시대로 발전했다. MIRV화, CEP 향상, 방공망 돌파 능력 증진, 재공격 시간 단축 등 전략 목표 공격 능력이 강화되었으며, 특히 비취약성[18]이 크게 발전하여 핵대응전략(Counterforce strategy) 실행이 가능해져 핵전쟁 억지 능력이 더욱 안정화되었다.

전략 핵무기는 일반적으로 100킬로톤에서 낮은 메가톤 범위의 파괴력을 가진다.[2] B61 핵폭탄처럼 유연한 위력을 가진 무기는 저위력으로 요격 공격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전략 폭격기에 의해 적 잠수함 기지에 투하될 수도 있다. W89 200킬로톤 (0.2 MT) 탄두는 전략 폭격기 발사 SRAM II 스탠드오프 미사일에 장착되었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대한 전략 공격은 10~20킬로톤 사이의 무기를 사용했지만, 이는 "리틀 보이"와 "팻 맨" 폭탄이 당시 가장 파괴적이고 유일한 핵무기였기 때문이다. 사거리나 위력 모두에 대한 "전략적" 범주의 정확한 정의는 없다.[3][4]

아이젠하워 행정부와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 하에서의 전략적 사고는 소련의 핵무기에 직면하여 대량 보복을 하는 것이었다. 유연적 대응은 1961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처음 시행한 방어 전략으로, 쿠바 미사일 위기 동안 제한된 공격 옵션에 직면하여 대량 보복 정책에 대한 행정부의 회의적인 시각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6]

초기 ICBM은 원형 공산 오차 (CEP)가 커서 정확도가 낮았다. 항법 기술이 향상되고 많은 미사일과 거의 모든 폭격기에 여러 핵탄두가 장착되면서, 무게를 줄이고 부수적 피해와 관련하여 목표 설정에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탄두 위력을 줄이는 추세가 있었다.[9]

전략 핵무기의 특징 중 하나는 ICBM과 같은 전달 장치의 더 큰 사거리를 갖는다는 것이다. 핵탄두를 탑재한 ICBM은 주요 전략 핵무기이며, 단거리 미사일은 전술 핵무기이다. 전략 무기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상호 확증 파괴 이론에 따른 억제이다.

냉전 이후, NATO와 러시아의 전술 핵무기 비축량은 대폭 감소했다. 트라이던트 II와 같은 고도로 정확한 전략 미사일은 하위 전략적, 전술적 공격에 사용될 수 있다.

전략 핵무기는 미국소련의 관계에서 자주 언급되었으며, 미소 간의 핵 군축 조약에서는 사거리 500km 이상을 전략 핵, 그 미만을 전술 핵으로 규정했다. 인접 국가 간과 같이 거리가 가까운 경우(예: 인도파키스탄)에는, 보다 사거리가 짧은 단·중거리 탄도 미사일이나 항속 거리가 짧은 전투기 등에 탑재된 핵무기라도 전략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전술 핵무기는 국지적인 핵전쟁에서 적국의 선박이나 전차, 보병 등을 직접 공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위력이 약하게 만들어진다. 위력만으로 단순하게 핵무기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비록 위력이 낮더라도 공격 목표가 대규모라면 전략 핵으로 분류되므로, "무엇을 공격하는가"로 판단하는 것이 옳다.

예를 들어, 히로시마·나가사키 양 도시에 투하된 원자 폭탄은, 전략 폭격기 B-29 슈퍼포트리스에서 투하된 점, 일본을 항복시켜 태평양 전쟁 자체를 종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했던 점에서 전략 핵무기라고 할 수 있다.

2. 1. 지상 발사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은 지상 고정(silo) 또는 이동식 기지에서 발사되며, 대부분 로켓 엔진 추력과 관성 유도 비행 방식에 의해 1~10개의 핵탄두를 운반한다. 미국의 미니트맨, 피스키퍼(MX의 정식 명칭), 미제트맨과 구소련의 SS-18, SS-19, SS-X-24, SS-X-25가 이에 해당한다.[17]

초기 ICBM은 원형 공산 오차 (CEP)가 커서 정확도가 낮았다. 초기 냉전 시대에는 비행장, 지휘 통제 시설, 방어 인프라, ICBM 기지 등 지상 연성 표적 또는 최소 강화된 표적이 많았다. 미사일이 하나의 부정확한 탄두만 탑재했을 때는 큰 피해 범위를 가진 대규모 탄두가 여러 표적을 파괴하고 주 표적이 CEP 내에 있을 가능성을 높이는 데 유리했다.[8]

2. 2.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SLBM)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과 추진력 및 비행 방식은 같지만, 잠수함에서 발사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원자력 추진 잠수함에 탑재되어 장기간 수중 항해가 가능하므로 ICBM보다 탐지가 어렵고, 공격 지점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회피할 수 있는 이동성과 생존성이 뛰어나 상대방의 선제공격에 대한 강력한 억지력을 갖는다. 미국은 폴라리스, 포세이돈, 트라이던트 순으로 개량·발전했고, 소련은 SSN-8, SSN-18, SSN-X-20 순으로 발전했다.[17]

2. 3. 전략 폭격기 탑재 공중 발사 순항 미사일 (ALCM)

전략폭격기 탑재 공중발사 순항미사일(ALCM)은 전략폭격기나 전술항공기에 탑재되어 사정거리까지 접근한 후, 탑재 항공기에서 분리되어 지상대응 유도장치의 유도에 따라 자체 추력으로 비행한다. 초저공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재래식 방공망으로는 조기 탐지 및 파괴가 어렵고, 대륙간탄도탄(ICBM)이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에 비해 근거리에서 발사되므로 명중 정밀도(COP)가 매우 뛰어나다.[17] 보통 순항미사일(Cruise missile, 무인 비행체)이라고 불리며, 사정거리는 2,000~2,400km, 핵탄두 파괴력은 200kt급이 일반적이다.[17]

스텔스(stealth) 기술이 적용된 이후에는 방공 체계의 근본적인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ALCM의 운반 수단인 전략폭격기 및 전술항공기들은 주로 전략공군에 소속되어 전략정찰기, 공중급유기와 함께 작전을 수행한다. 미국의 경우 B-52가 오랫동안 주력으로 활약했으나, B-1을 중심으로 F-111, B-2 스텔스기로 대체되었다. 소련의 경우에도 투폴레프(TU)16, 22, 95 기종에서 백파이어나 블랙잭으로 대체되었다.

3. 폭발력

일반적으로 파괴력 100kt 이상을 전략 핵무기, 그 미만을 전술 핵무기로 분류한다.[19] 서울에 100kt 수소폭탄이 투하될 경우, 약 580만 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략 핵무기는 보통 100킬로톤에서 낮은 메가톤 범위의 큰 위력을 가지며, 적국 내부 깊숙한 곳의 피해를 극대화하는 데 사용된다.[2] 그러나 B61 핵폭탄처럼 위력 조절이 가능한 무기는 저위력 요격 공격이나 적 잠수함 기지 공격에 사용될 수 있어, 전략 핵무기와 전술 핵무기의 위력은 겹치기도 한다. W89 200킬로톤(0.2MT) 탄두는 전략 폭격기 발사 미사일과 전술 대잠수함 무기에 탑재되었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는 10~20킬로톤급 무기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당시 사용 가능한 가장 강력한 핵무기였기 때문이다. '전략적' 범주를 정의하는 정확한 기준은 사거리나 위력 모두에 대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다.[3][4] 현대 전술 핵탄두는 수십, 수백 킬로톤에 달하는 위력을 가지기도 하며, 이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것보다 몇 배나 강력한 수준이다.

4. 전술 핵무기와의 차이

국가별로 기준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파괴력이 100kt(킬로톤)을 넘으면 전략 핵무기, 그보다 작으면 전술 핵무기로 분류한다.[19] 100kt 수소폭탄이 서울에 투하될 경우, 서울 인구의 절반 가량인 약 580만 명이 사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전략 핵무기는 보통 위력이 매우 크며, 적국의 주요 시설, 특히 아군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미사일 격납고, 대형 폭격기 기지, 해군 기지 등에 큰 피해를 입히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B61 핵폭탄처럼 위력 조절이 가능한 핵무기는 낮은 위력으로 적 잠수함 기지를 공격하는 등 전술적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W89 200kt(0.2MT) 탄두는 전술용 Sea Lance 대잠수함 무기, 전략 폭격기 발사 SRAM II 미사일 등에 장착되었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리틀 보이팻 맨은 당시 가장 강력한 핵무기였기 때문에 10~20kt의 위력이었음에도 전략 핵무기로 분류된다.[3][4]

전략 핵무기와 전술 핵무기의 구분은 사거리나 위력만으로는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3][4] 현대 전술 핵탄두는 수십, 수백 kt에 달하는 위력을 가지기도 하며, 이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핵무기보다 몇 배나 강력한 것이다.

아이젠하워 행정부와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는 소련의 핵무기에 대한 대량 보복 전략을 채택했다. 양국은 가장 파괴적인 핵무기를 개발했고, 적국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모든 핵무기는 억지력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고 판단했다.[5] 그러나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쿠바 미사일 위기를 겪으면서 유연적 대응 전략을 도입하여 제한적인 공격 옵션을 고려하게 되었다.[6]

초기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은 정확도가 낮았기 때문에, 큰 피해 범위를 가지는 대규모 탄두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했다.[8] 그러나 항법 기술이 발전하고, 미사일과 폭격기에 여러 개의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게 되면서, 탄두의 위력을 줄이는 추세가 나타났다.[9]

전략 핵무기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처럼 사거리가 길어 아군 영토에서 멀리 떨어진 적국의 지휘 통제 시설과 국가 기반 시설을 공격할 수 있다. 반면 전술 핵무기는 가까운 거리에서 아군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군사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호 확증 파괴 이론에 따라 전략 핵무기는 억지력을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반도와 같이 인접한 국가 간에는 짧은 사거리의 핵무기도 전략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전술 핵무기를 대한민국에 재배치하여 지역적 억지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10]

냉전 이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러시아는 전술 핵무기 비축량을 대폭 감축했다. 트라이던트 II와 같은 고도로 정확한 전략 미사일은 전술적 공격에도 사용될 수 있다.

미국과 소련 간의 핵 군축 조약에서는 사거리 500km 이상을 전략 핵무기, 그 미만을 전술 핵무기로 규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인접 국가 간에는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나 전투기에 탑재된 핵무기도 전략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전술 핵무기는 국지전에서 적의 선박, 전차, 보병 등을 직접 공격하기 위해 위력이 비교적 낮게 만들어진다. 그러나 위력이 낮더라도 공격 목표가 대규모라면 전략 핵무기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 폭탄은 B-29 슈퍼포트리스 폭격기에서 투하되었고, 일본의 항복을 받아내 태평양 전쟁을 종결시키는 것이 목적이었으므로 전략 핵무기로 볼 수 있다.

5. 긴장 완화 타격 (De-escalation strikes)

카네기 국제평화 기금과 핵 과학자 회보 등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코소보 전쟁에서 미국 공군이 사용한 정밀 유도 무기는 효과적이었고 부수적 피해가 거의 없었으며, 이는 핵무기나 대규모 폭격으로만 가능했던 전략적 파괴에 해당했다. 이에 따라 당시 러시아 안전 보장 이사회 서기였던 블라디미르 푸틴은 전술 및 전략 핵 위협과 공격을 사용하여 러시아가 전략적 이익이라고 간주하는 것을 위협하는 재래식 분쟁에서 적을 완화시키거나 철수하도록 하는 개념("강력한 대응을 통한 긴장 완화")을 공식화했다.[11][12][13] 다만,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에 대한 낮은 임계값은 다른 전문가들에 의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4][15]

참조

[1] 웹사이트 Strategic Air Command Declassifies Nuclear Target List from 1950s https://nsarchive.gw[...]
[2] 서적 Implications of the Reykjavik Summit on Its Twentieth Anniversary: Conference Report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2013-09
[3] 서적 Tactical nuclear weapons: emergent threats in an evolving security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Brassey's 2011-03-22
[4] 문서
[5] 웹사이트 Foreign Policy under President Eisenhower – Short History – Department History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6] 웹사이트 NAto's Strategy of Flexible Response and the Twenty-First Century http://www.globalsec[...]
[7] 웹사이트 A 21st-Century Role for Nuclear Weapons |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http://issues.org/20[...] 1970-01
[8] 웹사이트 Disarmament Study Series: No. 1 – UNODA https://www.un.org/d[...] 2012-02-06
[9] 웹사이트 Disarmament Study Series: No. 1 – UNODA https://www.un.org/d[...] 2012-02-06
[10] 웹사이트 Not a Good Idea: American Nukes in South Korea https://thediplomat.[...]
[11] 웹사이트 Why Russia calls a limited nuclear strike "de-escalation" http://thebulletin.o[...] 2013-03-13
[12] 웹사이트 The Role of Nuclear Weapons in the U.S.-Russian Relationship http://carnegieendow[...]
[13] 간행물 Russia's Nonstrategic Nuclear Weapons Foreign Military Studies Office, Fort Leavenworth 2001-05
[14] 웹사이트 The Myth of Russia's Lowered Nuclear Threshold https://warontherock[...] 2017-09-22
[15] 웹사이트 The Elusive Russian Nuclear Threshold https://www.nonproli[...] 2019-11-26
[16] 웹사이트 The B61 Bomb http://nuclearweapon[...]
[17] 문서
[18] 문서
[19] 뉴스 美 기밀문서로 본 ‘한반도 핵우산’의 실체 신동아 2008-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