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의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의화는 의사 출신으로, 대한민국 제15대부터 제19대까지 5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제19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제19대 국회의장으로 재임하며 세월호 특별법 제정,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회담 등을 진행했다. 2016년 국회의장 퇴임 후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국민의힘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초등학교 (부산) 동문 - 허삼수
    허삼수는 하나회 회원으로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하여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체포를 지휘하고, 전두환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사정수석비서관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사회정화분과위원회 간사를 지냈으며, 제14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군인, 정치인이다.
  • 중앙초등학교 (부산) 동문 - 권두조
    권두조는 1982년부터 1987년까지 롯데, 삼미, 청보에서 활동한 프로야구 선수로, 6시즌 동안 타율 0.220, 352안타, 112타점, 24도루를 기록했으나, 낮은 타율과 높은 삼진율을 보였고 상세 기록은 자료 부족으로 미완성 상태이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신의진
    신의진은 대한민국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소아정신과 의사로 활동하며 아동 성폭력 문제 해결에 기여했고,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아동 및 여성 대상 범죄에 대한 법률 제정 및 개정에 힘썼으나, 조두순 사건 피해 아동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언급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인요한
    인요한은 미국 국적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5·18 민주화 운동 당시 통역 활동, 대한민국 의료 시스템 개선, 대북 의료 지원 등의 활동을 했으며, 한국 국적을 취득 후 국민의힘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과거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인제대학교 동문 - 김춘진
    김춘진은 대한민국의 치과의사이자 정치인으로, 김대중 대통령의 치과 주치의, 3선 국회의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전라북도당 위원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대한민국헌정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 인제대학교 동문 - 김정권 (정치인)
    김정권은 경상남도 김해시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제17대, 18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경상남도의회 의원, 낙동강살리기 경상남도본부 부장 등을 역임하고 국회에서 안전행정위원회 등 다수 상임위에서 활동, 한나라당 주요 직책, 박근혜 정부 경남 선대위원장, 경남발전연구원 원장 등을 지냈고 저서와 수상 경력,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 전과가 있다.
정의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의화 의원 사진
이름정의화
로마자 표기Jeong Uihwa
한자 표기鄭義和
출생일1948년 12월 18일
출생지경상남도 창원군 진해읍
소속 정당국민의힘
다른 소속 정당새누리당
한나라당
신한국당
모교부산대학교
학력인제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직업의사
종교개신교
배우자김남희
자녀3남
국회 의원 정보
국회 의원 지역구부산광역시 중구·동구
국회 의원 선수5선
국회 의원 대수15·16·17·18·19
첫 국회 의원 임기 시작1996년 5월 30일
마지막 국회 의원 임기 종료2016년 5월 29일
국회 의장 정보
직책국회의장
임기 시작2014년 5월 30일
임기 종료2016년 5월 29일
이전 국회의장강창희
다음 국회의장정세균
기타 경력
겸임 교수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
한나라당 원내수석부총무한나라당 원내수석부총무
한나라당 최고위원한나라당 최고위원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제18대 국회 부의장제18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제19대 국회 의장제19대 후반기 국회의장
당내 직책상임고문
상임고문단 회장
외부 링크
유튜브 채널정의화 유튜브
대한민국헌정회대한민국헌정회

2. 학력

2. 1. 명예 박사 학위

수여 대학교학위 종류수여 년도
한국해양대학교명예 경영학 박사2002년
조선대학교명예 정치학 박사2009년
공주대학교명예 교육학 박사2011년
전남대학교명예 법학 박사2015년


3. 경력

정의화는 신경외과 전문의와 정치인으로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연도경력
1974년미국의사자격(ECFMG) 획득
1975년세브란스병원 인턴 수료
1979년전주예수병원 신경외과 전공의 과정 수료
1979~1980년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 신경외과 연구 펠로우십
1981년미국 뉴욕 대학교 병원 신경외과 임상 펠로우십
1982년미국 로마린다 대학교 신경외과 뇌졸중 연구 펠로우십, 봉생신경외과병원장 취임
1984년미국 신경외과학회 정회원
1985년종합병원 김원묵기념 봉생병원장 취임
1990년동래봉생병원 의료원장, 한-폴란드 의원친선협회장
1996년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부산 중구·동구, 신한국당, 초선)
2000년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부산 중구·동구, 한나라당, 재선)
2004년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부산 중구·동구, 한나라당, 3선)
2008년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부산 중구·동구, 한나라당, 4선)
2012년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부산 중구·동구, 새누리당, 5선)
2016년~새한국의 비전 이사장
2021년 1월~3월국민의힘 박형준 4·7 재보궐선거 부산광역시장 예비후보 ‘내게 힘이 되는 캠프’ 선거대책위원회 명예 선대위원장
2021년 3월~국민의힘 상임고문
2021년 3월~4월국민의힘 4·7 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위원장, 국민의힘 부산광역시당 4.7 부산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거대책위원장
한반도선진화재단 고문
2021년 8월~9월국민의힘 최재형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열린캠프 명예 공동선거대책위원장
2022년 5월국민의힘 제8회 지방 선거 부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위원장
2022년 12월 ~국민의힘 상임고문단 회장



1996년부터 2012년까지 부산 중구·동구에서 내리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1] 2014년 5월 30일 대한민국 국회의장에 취임하여,[3]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약속하고,[14]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16] 아베 신조 일본 총리,[17] 존 베이너 미국 하원의장[19] 등과 회담했다.

3. 1. 의료 경력

연도내용
1974년미국의사자격(ECFMG) 획득
1975년세브란스병원 인턴 과정 수료
1979년전주예수병원 신경외과 전공의 과정 수료
1979~1980년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 신경외과 연구 펠로우십
1981년미국 뉴욕 대학교 병원 신경외과 임상 펠로우십
1982년미국 로마린다 대학교 신경외과 뇌졸중 연구 펠로우십
1982년봉생신경외과병원장 취임
1984년미국 신경외과학회 정회원
1985년종합병원 김원묵기념 봉생병원장 취임
1990년동래봉생병원 의료원장 취임


3. 2. 정치 경력

1996년 4월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동구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0년 4월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신한국당이 1997년에 당명을 변경) 후보로 출마하여 재선되었다. 2002년에 실시된 김석수 국무총리 인사청문 특별위원회에서 세금 신고 누락 의혹 등을 추궁했다.[8]

2004년 4월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3선에 성공했다. 2007년에는 한나라당의 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서 이명박 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9]

2008년 4월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4선에 성공했다. 2009년 5월 한나라당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10] 2011년에는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어 박근혜계와 격렬하게 대립했다.[11] (정의화 의원은 이명박계로 분류된다.) 2010년에는 제18대 후반기 국회에서 여당 측 국회 부의장에 선출되었다.[12]

2012년 2월, 박희태 국회의장이 비위 사건으로 의장직을 사퇴하면서, 정의화 의원은 여야 합의에 따라 제18대 국회 임기 만료까지 국회의장 직무 권한을 대행했다.

2012년 4월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한나라당이 2012년에 당명을 변경) 후보로 출마하여 5선에 성공했다. 당내 국회의장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강창희에게 패했다.[13] 2014년 5월, 제19대 후반기 국회의장에 선출되었다. 같은 해 6월에는 세월호 침몰 사고 실종자 가족들이 생활하고 있는 체육관을 방문하여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약속했으나,[14] 제정은 11월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15]

같은 해 7월, 방한한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주석과 국회에서 회담하고,[16]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10월 27일에는 이부키 분메이 중의원 의장의 초청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을 예방하고,[17] 위안부 문제 등 역사 문제에서 일본의 양보를 요구했다.[18] 2015년 3월에는 미국을 방문하여 존 베이너 미국 하원의장과 회담하고, 일본의 진정한 사과와 행동이 필요하다고 전했다.[19]

2015년 12월,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선거구 획정 협상이 여야 대립으로 난항을 겪자, 여당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야당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사이를 중재했으나 합의에는 이르지 못하고 임시 국회 개최를 결정했다.[20]

국회의장은 선거에 출마하지 않는 관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의화 의원은 당초 제20대 총선에 출마하겠다고 밝혔으나,[21] 최종적으로 출마를 포기했다.[22] 2016년 3월, 국회의장으로서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재직하고 있었지만, 의장 퇴임 후에도 복당하지 않겠다고 밝혔다.[23] 같은 해 5월 29일 제20대 국회가 개원함에 따라 의장직에서 물러났다. 후임은 정세균이다.

2016년부터 새한국의 비전 이사장을 맡고 있다. 2021년에는 국민의힘 상임고문, 국민의힘 4·7 재보궐선거 박형준 부산광역시장 예비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명예 선대위원장, 국민의힘 4·7 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위원장, 국민의힘 최재형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열린캠프 명예 공동선거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22년부터는 국민의힘 상임고문단 회장을 맡고 있다.

3. 3. 국회 경력

정의화는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부산 중구·동구에서 내리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15대 국회에서는 신한국당 소속 초선 의원으로 한나라당 원내부총무 및 과학기술위원장을 역임했다. 16대 국회에서는 한나라당 재선 의원으로 재정경제위원회 간사, 원내수석부총무 등을 역임했다.

17대 국회에서는 한나라당 3선 의원으로 재정경제위원회 위원장,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 여수세계박람회유치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이명박 대통령 후보 경선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

18대 국회에서는 한나라당 4선 의원으로 최고위원, 인재영입위원장, 세종시특별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후반기 국회부의장을 지냈다. 박희태 국회의장 사퇴로 잔여 임기 동안 국회의장 권한대행을 수행하기도 했다.

19대 국회에서는 새누리당 5선 의원으로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국회의장 재임 중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약속했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존 베이너 미국 하원의장 등과 회담했다.

3. 3. 1. 제15대 국회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5대 국회의원 (부산 중구·동구, 신한국당→한나라당, 초선)[1]
  • 제15대 국회
  •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 아동, 인구, 환경의원연맹 회원
  •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위원
  • 한나라당
  • 원내부총무
  • 과학기술위원장


1996년 4월에 실시된 제15대 총선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동구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3. 3. 2. 제16대 국회

제16대 국회 주요 활동
기간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소속 정당한나라당
지역구부산 중구·동구 (재선)
주요 직책
주요 활동2002년 김석수 국무총리 인사청문 특별위원회에서 세금 신고 누락 의혹 등을 추궁[8]


3. 3. 3. 제17대 국회

2004년 5월 30일부터 2008년 5월 29일까지 제17대 국회의원(부산 중구·동구, 한나라당, 3선)을 역임하였다. 제17대 국회에서는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 재정경제위원회 위원장,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 여수세계박람회유치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9] 또한 한나라당 내에서는 지역화합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 이명박 대통령 후보 경선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 겸 대외협력위원회 위원장,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직능정책본부장, 시도별 선거대책위원회 선대위원장(부산지역)을 역임했다.

3. 3. 4. 제18대 국회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8대 국회의원(부산 중구·동구, 한나라당→새누리당, 4선)
  • 제18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
  • 한나라당 최고위원
  • 한나라당 인재영입위원장
  • 한나라당 세종시특별위원장
  • 제18대 국회 스카우트의원연맹 회장
  • 정운찬 국무총리 인사청문회 위원장
  • 제18대 후반기 국회부의장(2010.06 ~ 2012.05)[12]
  • 제18대 후반기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
  • 2011년 5월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11]
  • 제18대 후반기 국회의장 권한대행


2008년 4월에 실시된 제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9년 5월 한나라당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0] 2010년 제18대 후반기 국회에서 여당 측 국회 부의장에 선출되었다.[12] 2011년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어 박근혜계와 격렬하게 대립했다.[11] (이명박계로 분류된다.)

2012년 2월, 박희태 국회의장의 비위 사건으로 의장직 사퇴에 따라, 여야 합의로 제18대 국회 잔여 임기 동안 정의원이 박희태 전 의장의 국회의장 직무 권한을 대행했다.

3. 3. 5. 제19대 국회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19대 국회의원(부산 중구·동구, 새누리당→무소속, 5선)
  • 제19대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
  • 제19대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 제19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


정의화는 2012년 4월 제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한나라당이 2012년에 당명을 변경) 후보로 부산 중구·동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3] 당내 국회의장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강창희에게 패배하였다.[13] 2014년 5월, 제19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14]

2014년 6월, 세월호 침몰 사고 실종자 가족들이 생활하는 체육관을 방문하여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약속했으나,[14] 실제 제정은 11월에 이루어졌다.[15] 같은 해 7월, 방한한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중국) 국가주석과 국회에서 회담하고[16],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2014년 10월 27일, 이부키 분메이 일본 중의원 의장의 초청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아베 신조 총리를 예방했다.[17] 이후 이부키 중의원 의장과 회담하며 위안부 문제 등 역사 문제에서 일본의 양보를 요구했다.[18]

2015년 3월, 미국을 방문하여 존 베이너 미국 하원의장과 회담하고, 일본의 진정한 사과와 행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19]

2015년 12월, 제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협상이 여야 대립으로 난항을 겪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사이를 중재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임시 국회 개최를 결정했다.[20]

국회의장은 선거에 출마하지 않는 관례에도 불구하고, 정의화는 당초 제20대 총선에 출마할 뜻을 밝혔으나,[21] 최종적으로 불출마를 선언했다.[22] 2016년 3월, 국회의장으로서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재직했으며, 의장 퇴임 후에도 복당하지 않겠다고 밝혔다.[23] 2016년 5월 29일, 제20대 국회가 개원함에 따라 국회의장직에서 물러났으며, 후임은 정세균이다.

4. 서훈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6년제15대 총선신한국당41,185표 (41.61%)당선초선
2000년제16대 총선한나라당48,924표 (57.71%)당선재선
2004년제17대 총선한나라당49,857표 (59.56%)당선3선
2008년제18대 총선한나라당32,669표 (66.35%)당선4선
2012년제19대 총선새누리당31,484표 (48.14%)당선5선


6. 기타

부산 보이스카우트연맹장, 세계 스카우트 의원 연맹 총재를 역임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총선개표]부산 중구동구 새누리당 정의화 당선 http://www.etoday.co[...] 2012-04-12
[2] 웹사이트 국회의장 놓고 '친박' 강창희 vs '친이' 정의화 한판 승부 열기 고조 https://news.joins.c[...] 2012-05-31
[3] 웹사이트 정의화 국회의장 https://www.yna.co.k[...] 2014-05-29
[4] 웹사이트 "제3지대론" vs "한국당 중심"…보수통합론 맞선 플랫폼 '자유와 공화' https://news.joins.c[...] 2019-08-20
[5] 웹사이트 超党派女性議員が訪韓 http://world.kbs.co.[...] 2014-07-22
[6] 웹사이트 鄭義和(チョン・ウィファ)韓国国会議長による安倍総理表敬 https://www.mofa.go.[...] 2014-10-27
[7]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1
[8] 뉴스 金碩洙首相代理の国会聴聞会、贈与税回避や兵役を追求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02-10-01
[9] 뉴스 李前市長、党内選挙本部に3選議員を前進配置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07-06-01
[10] 뉴스 ハンナラの新院内代表に親李系の安商守議員、政策委議長は親朴系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09-05-22
[11] 뉴스 院内代表選び選挙の民主党、刷新ムードの与党警戒論広まる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1-05-09
[12] 뉴스 野党阻止の中、来年度予算案確定 4河川予算2700億削減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0-12-29
[13] 뉴스 セヌリ党が国会議長候補に姜昌熙議員を指名、選出なら忠清道出身では初めて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2-06-02
[14] 뉴스 仲裁の労を怠っている国会議長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4-07-18
[15] 뉴스 [社説]セウォル号の3法妥結、政府も国会も正常に戻るべき時期に来ている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4-11-01
[16] 뉴스 習主席、国会議長との会談で「正確な歴史認識」を強調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4-07-05
[17] 웹사이트 鄭義和(チョン・ウィファ)韓国国会議長による安倍総理表敬 https://www.mofa.go.[...] 2014-10-26
[18] 뉴스 韓国議長、歴史認識で譲歩を要求 「日本政府は河野談話、村山談話を揺るぎなきものに…」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4-10-27
[19] 뉴스 内政も外交も袋小路に迷い込んだ朴槿恵政権 韓国メディアは総攻撃 (2/3ページ) https://www.zakzak.c[...] zakzak 2014-04-28
[20] 뉴스 日々ねじれる選挙区画定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6-01-09
[21] 뉴스 国会議長が「釜山で立候補」表明、議長不出馬の慣行は崩れるか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5-09-02
[22] 뉴스 鄭義和議長、「総選挙に出馬しない」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6-01-26
[23] 뉴스 「あくらつな私的公認、非民主的な政治粛清」 国会議長がセヌリ党を辛らつ批判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6-03-28
[24] 뉴스 皇居で大綬章親授式 森元首相ら14人、陛下から勲章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7-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