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차 바르바리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은 1801년부터 1805년까지 미국과 북아프리카의 바르바리 해안 국가들 간에 벌어진 전쟁이다. 미국은 독립 이후 바르바리 해적의 공격에 직면하여 공물을 지불해 왔으나,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해군력 강화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트리폴리가 선전포고를 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고, 미국 해군은 해상 봉쇄와 전투를 통해 대응했다. 데르나 전투에서의 승리는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1805년 조약을 통해 미국은 포로를 교환하고 몸값을 지불하는 조건으로 전쟁을 종식했다. 이 전쟁은 미국의 해군력 강화와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했으며, 미국 해병대의 해외 파병과 활약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2. 배경

트리폴리, 튀니스, 알제 등 바르바리 국가들은 오스만 제국파샤가 임명되어 통치하고 있었으나[7], 실질적으로는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유지했다.[8] 이들은 바르바리 해적을 통해 지중해를 통과하는 상선으로부터 통행료를 징수하거나, 상선을 습격하여 기독교인 포로를 인질로 잡아 몸값을 요구하거나 노예로 팔았다.[9]

영국, 프랑스 등 해군 강국들은 자국 상선을 보호하기 위해 바르바리 해적에게 공물을 바치거나, 때로는 해적을 이용하여 경쟁국의 상선을 공격하게 하는 등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1783년 파리 조약으로 독립한 미국은 이전에는 영국 상선의 깃발을 달고 있었기 때문에 바르바리 해적의 습격으로부터 보호받았지만, 독립 이후에는 미국 상선들이 나포의 표적이 되었다.[11]

1784년 10월 11일, 모로코 해적들이 브리간틴 ''Betsey''를 나포했다.[11] 스페인 정부는 나포된 배와 선원들의 석방을 협상했지만, 미국에게 더 이상의 상선 나포를 예방하기 위해 조공을 제공하라고 조언했다. 토머스 제퍼슨모로코알제리에 특사를 보내 조약을 맺고 억류된 선원들을 석방하고자 했다.[12] 1786년 6월 23일, 모로코는 미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미국 상선에 대한 해적 행위를 중단했다.[13]

그러나 알제리는 1785년 7월 25일 스쿠너선 <마리아호>와 <다우핀호>를 나포하며 해적 행위를 재개했다.[14] 바르바리 국가들은 각각 60만 달러를 요구했지만, 특사에게 부여된 예산은 4만 달러에 불과했다.[12] 외교 회담은 난항을 겪었고, 마리아호와 다우핀호의 선원들은 10년 이상 억류되었다.[15]

1795년 알제리는 115명의 미국인 선원을 100만 달러에 석방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당시 미국 예산의 1/6에 해당하는 금액이었으며, 추가적인 해적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공물로 요구된 것이었다.[26] 지속적인 공물 요구는 결국 1798년 미국 해군부 창설로 이어졌다.[27]

1785년 3월, 토머스 제퍼슨존 애덤스는 트리폴리 특사 시디 하지 압둘 라만 아드자와 협상하기 위해 런던에 갔다. 코란에는 "선지자 마호메트를 인정하지 않은 모든 국가는 죄인이며, 그들을 공격해서 노예로 삼는 것은 정당하며, 신실한 신도의 의무"라는 구절을 인용하며, 이 전쟁에 참가한 무슬림은 천국에 간다고 주장했다.[16][17][18][19][20][21]

제퍼슨은 공물 지불이 더 빈번한 습격을 조장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애덤스는 미국이 해군력을 갖출 때까지 공물을 바칠 수밖에 없다고 믿었다. 당시 미국은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었고, 연방주의자와 반연방주의자는 국가와 조세 부담의 필요성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22] 제퍼슨의 민주공화당과 반해군주의자들은 국가의 미래가 서부 확장에 있다고 믿었다.[54] 미국은 알제리에 몸값을 지불하고, 15년 동안 매년 1백만 달러를 지불했다.[55] 이는 1800년 미국 정부 연간 지출액의 10%였다. 제퍼슨은 조지 워싱턴 등의 지지를 받으며 공물 지급 중지를 주장했고, 1794년 미국 해군 창설로 점차 공물 제공을 거부할 수 있게 되었다.

윌리엄 베인브리지 선장이 1800년 알제 데이에게 조공을 바치고 있다.


1783년 독립을 달성한 미국은 풍부한 산림 자원을 바탕으로 해운업이 발달했지만, 독립 이전에는 종주국이었던 영국 상선의 보호를 받았기 때문에 바르바리 해적의 습격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파리 조약 이후에는 미국 상선들이 나포의 표적이 되었다.[49]

1784년 10월 11일, 모로코 해적들이 브리간틴 벳시호(''Betsey'')를 나포하자,[49] 스페인 정부가 나서서 배와 선원들의 석방을 협상했다. 스페인은 미국에 더 이상의 상선 나포를 막기 위해 조공을 바칠 것을 조언했다. 프랑스 주재 미국 공사였던 토머스 제퍼슨모로코알제리에 특사를 보내 조약을 맺고, 알제리에 억류된 선원들을 석방하기로 결정했다.[50] 1786년 6월 23일, 모로코는 미국과 조약을 체결한 최초의 바르바리 해안 국가가 되었다. 이 조약으로 모로코 해적의 미국 상선 공격은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 조약 6조는 모로코나 다른 바르바리 해안 국가에 의해 나포된 미국인이 모로코 도시에 정박하면 석방되고 모로코의 보호를 받게 된다고 명시했다.[51]

그러나 알제리와의 외교적 조치는 모로코만큼 성공적이지 못했다. 알제리는 1785년 7월 25일 스쿠너선인 <마리아호>와 <다우핀호>를 나포하며 해적 행위를 재개했다.[14] 바르바리 국가들은 각각 60만 달러를 요구했지만, 특사에게 주어진 평화 협상 예산은 최대 4만 달러였다. 외교 회담은 돌파구를 찾지 못했고, 마리아호와 다우핀호의 선원들은 10년 이상 억류되었다.[15]

1795년 알제리는 억류 중인 115명의 미국인 선원을 100만 달러에 석방하기로 합의했다. 이 금액은 당시 미국 예산의 1/6에 해당하는 금액이었으며, 추가적인 해적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공물로 요구된 것이었다. 지속적인 공물 요구는 결국 1798년 미국 해군부 창설로 이어졌고, 이는 추가적인 도발을 예방하고 바르바리 국가들의 막대한 공물 요구를 종식시키기 위함이었다.[27]

1785년 3월, 토머스 제퍼슨존 애덤스는 트리폴리 특사(시디 하지 압둘 라만 아드자)와 협상하기 위해 런던에 갔다. 그들이 “해를 끼치지 않은 국가에 대한 전쟁 자격 요건”에 대해 묻자, 대사는 코란을 언급하며 “선지자 마호메트를 인정하지 않은 모든 나라들은 죄인이며, 그들을 공격해서 노예로 삼는 것은 정당하며, 신실한 신도의 의무”라고 답했다.[16][17][18][19][20][21] 제퍼슨은 이 대화를 존 제이에게 보고했고, 그는 대사의 발언과 제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제퍼슨은 공물 지급이 더 빈번한 습격을 조장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존 애덤스는 미국이 적절한 해군력을 가질 수 있을 때까지 공물을 바칠 수밖에 없다고 믿었다.

당시 미국은 전쟁 직후라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었고, 연방주의자와 반연방주의자는 국가와 조세 부담의 필요성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 제퍼슨의 민주공화당과 반해군주의자들은 국가의 미래가 서부 개척에 있으며, 대서양 무역이 신생 국가의 돈과 에너지를 구대륙의 쓸모없는 전쟁에 낭비하게 할 것이라고 믿었다.[54] 미국은 알제리에 몸값을 지불하고, 미국 상선의 안전한 통행과 미국인 인질들의 귀환을 위해 다음 15년 동안 매년 1백만 달러를 계속 지불했다. 1800년을 기준으로, 몸값과 공물로 지불된 100만 달러는 미국 정부 연간 지출액의 10%를 차지했다.[55]

제퍼슨은 조지 워싱턴 등의 지지를 받으며 공물 지급 중지를 계속 주장했다. 1794년 미국 해군의 창설과 해군력 증강으로 미국은 점차 공물 제공을 거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2. 1. 바르바리 국가들과 해적 행위

트리폴리, 튀니스, 알제 등 바르바리 국가들은 오스만 제국파샤가 임명되어 통치하고 있었으나[7], 실질적으로는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유지했다.[8] 이들은 바르바리 해적을 통해 지중해를 통과하는 상선으로부터 통행료를 징수하거나, 상선을 습격하여 기독교인 포로를 인질로 잡아 몸값을 요구하거나 노예로 팔았다.[9]

영국, 프랑스 등 해군 강국들은 자국 상선을 보호하기 위해 바르바리 해적에게 공물을 바치거나, 때로는 해적을 이용하여 경쟁국의 상선을 공격하게 하는 등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1783년 파리 조약으로 독립한 미국은 이전에는 영국 상선의 깃발을 달고 있었기 때문에 바르바리 해적의 습격으로부터 보호받았지만, 독립 이후에는 미국 상선들이 나포의 표적이 되었다.[11]

1784년 10월 11일, 모로코 해적들이 브리간틴 ''Betsey''를 나포했다.[11] 스페인 정부는 나포된 배와 선원들의 석방을 협상했지만, 미국에게 더 이상의 상선 나포를 예방하기 위해 조공을 제공하라고 조언했다. 토머스 제퍼슨모로코알제리에 특사를 보내 조약을 맺고 억류된 선원들을 석방하고자 했다.[12] 1786년 6월 23일, 모로코는 미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미국 상선에 대한 해적 행위를 중단했다.[13]

그러나 알제리는 1785년 7월 25일 스쿠너선 <마리아호>와 <다우핀호>를 나포하며 해적 행위를 재개했다.[14] 바르바리 국가들은 각각 60만 달러를 요구했지만, 특사에게 부여된 예산은 4만 달러에 불과했다.[12] 외교 회담은 난항을 겪었고, 마리아호와 다우핀호의 선원들은 10년 이상 억류되었다.[15]

1795년 알제리는 115명의 미국인 선원을 100만 달러에 석방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당시 미국 예산의 1/6에 해당하는 금액이었으며, 추가적인 해적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공물로 요구된 것이었다.[26] 지속적인 공물 요구는 결국 1798년 미국 해군부 창설로 이어졌다.[27]

1785년 3월, 토머스 제퍼슨존 애덤스는 트리폴리 특사 시디 하지 압둘 라만 아드자와 협상하기 위해 런던에 갔다. 코란에는 "선지자 마호메트를 인정하지 않은 모든 나라들은 죄인이며, 그들을 공격해서 노예로 삼는 것은 정당하며, 신실한 신도의 의무"라는 구절을 인용하며, 이 전쟁에 참가한 무슬림은 천국에 간다고 주장했다.[16][17][18][19][20][21]

제퍼슨은 공물 지불이 더 빈번한 습격을 조장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애덤스는 미국이 해군력을 갖출 때까지 공물을 바칠 수밖에 없다고 믿었다. 당시 미국은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었고, 연방주의자와 반연방주의자는 국가와 조세 부담의 필요성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22] 제퍼슨의 민주공화당과 반해군주의자들은 국가의 미래가 서부 확장에 있다고 믿었다.[54] 미국은 알제리에 몸값을 지불하고, 15년 동안 매년 1백만 달러를 지불했다.[55] 이는 1800년 미국 정부 연간 지출액의 10%였다. 제퍼슨은 조지 워싱턴 등의 지지를 받으며 공물 지급 중지를 주장했고, 1794년 미국 해군 창설로 점차 공물 제공을 거부할 수 있게 되었다.

2. 2. 미국의 상황과 초기 대응

1783년 독립을 달성한 미국은 풍부한 산림 자원을 바탕으로 해운업이 발달했지만, 독립 이전에는 종주국이었던 영국 상선의 보호를 받았기 때문에 바르바리 해적의 습격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파리 조약 이후에는 미국 상선들이 나포의 표적이 되었다.[49]

1784년 10월 11일, 모로코 해적들이 브리간틴 벳시호(''Betsey'')를 나포하자,[49] 스페인 정부가 나서서 배와 선원들의 석방을 협상했다. 스페인은 미국에 더 이상의 상선 나포를 막기 위해 조공을 바칠 것을 조언했다. 프랑스 주재 미국 공사였던 토머스 제퍼슨모로코알제리에 특사를 보내 조약을 맺고, 알제리에 억류된 선원들을 석방하기로 결정했다.[50] 1786년 6월 23일, 모로코는 미국과 조약을 체결한 최초의 바르바리 해안 국가가 되었다. 이 조약으로 모로코 해적의 미국 상선 공격은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 조약 6조는 모로코나 다른 바르바리 해안 국가에 의해 나포된 미국인이 모로코 도시에 정박하면 석방되고 모로코의 보호를 받게 된다고 명시했다.[51]

그러나 알제리와의 외교적 조치는 모로코만큼 성공적이지 못했다. 알제리는 1785년 7월 25일 스쿠너선인 <마리아호>와 <다우핀호>를 나포하며 해적 행위를 재개했다.[14] 바르바리 국가들은 각각 60만 달러를 요구했지만, 특사에게 주어진 평화 협상 예산은 최대 4만 달러였다. 외교 회담은 돌파구를 찾지 못했고, 마리아호와 다우핀호의 선원들은 10년 이상 억류되었다.[15]

1795년 알제리는 억류 중인 115명의 미국인 선원을 100만 달러에 석방하기로 합의했다. 이 금액은 당시 미국 예산의 1/6에 해당하는 금액이었으며, 추가적인 해적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공물로 요구된 것이었다. 지속적인 공물 요구는 결국 1798년 미국 해군부 창설로 이어졌고, 이는 추가적인 도발을 예방하고 바르바리 국가들의 막대한 공물 요구를 종식시키기 위함이었다.[27]

1785년 3월, 토머스 제퍼슨존 애덤스는 트리폴리 특사(시디 하지 압둘 라만 아드자)와 협상하기 위해 런던에 갔다. 그들이 “해를 끼치지 않은 국가에 대한 전쟁 자격 요건”에 대해 묻자, 대사는 코란을 언급하며 “선지자 마호메트를 인정하지 않은 모든 나라들은 죄인이며, 그들을 공격해서 노예로 삼는 것은 정당하며, 신실한 신도의 의무”라고 답했다.[16][17][18][19][20][21] 제퍼슨은 이 대화를 존 제이에게 보고했고, 그는 대사의 발언과 제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제퍼슨은 공물 지급이 더 빈번한 습격을 조장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존 애덤스는 미국이 적절한 해군력을 가질 수 있을 때까지 공물을 바칠 수밖에 없다고 믿었다.

당시 미국은 전쟁 직후라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었고, 연방주의자와 반연방주의자는 국가와 조세 부담의 필요성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 제퍼슨의 민주공화당과 반해군주의자들은 국가의 미래가 서부 개척에 있으며, 대서양 무역이 신생 국가의 돈과 에너지를 구대륙의 쓸모없는 전쟁에 낭비하게 할 것이라고 믿었다.[54] 미국은 알제리에 몸값을 지불하고, 미국 상선의 안전한 통행과 미국인 인질들의 귀환을 위해 다음 15년 동안 매년 1백만 달러를 계속 지불했다. 1800년을 기준으로, 몸값과 공물로 지불된 100만 달러는 미국 정부 연간 지출액의 10%를 차지했다.[55]

제퍼슨은 조지 워싱턴 등의 지지를 받으며 공물 지급 중지를 계속 주장했다. 1794년 미국 해군의 창설과 해군력 증강으로 미국은 점차 공물 제공을 거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3. 미국의 입장 변화와 선전포고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바르바리 국가들에 대한 공물 지급이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해군력 강화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1801년 취임 직전, 의회는 6척의 프리깃함 건조를 포함한 해군 관련 법안을 통과시켰다.[28] 이 함선들은 바르바리 세력이 미국에 선전 포고를 할 경우, "상업을 보호하고 그들의 오만함을 징벌하기 위해" 사용될 예정이었다.[28]

1803년 10월, 트리폴리 앞바다에서 좌초된 필라델피아의 모습


제퍼슨은 유수프 카라만리 트리폴리 파샤의 공물 요구를 거절했다.[29] 그 결과, 1801년 5월 10일, 파샤는 미국 영사관 앞 깃대를 자르는 방식으로 미국에 선전 포고를 했다.[30] 알제와 튀니스는 트리폴리를 따르지 않았다.

1801년5월 14일, 당시 트리폴리의 지배자이자 트리폴리의 파샤였던 카라만리 왕조의 Yusuf Karamanli영어가 주 트리폴리 미국 영사관의 성조기를 깃대에서 잘라내는 만행을 저지르자, 이는 국기에 대한 공식적인 모욕으로 받아들여 미국과의 사이에 긴장 상태가 조성되었다.

6월 1일, 미국 해군의 리처드 데일이 이끄는 프레지던트, 필라델피아, 에식스 및 엔터프라이즈로 구성된 함대가 지브롤터에 도착했다.

6월 14일, 트리폴리 측이 미국에 대해 개전을 통지함에 따라, 정식으로 전쟁 상태에 돌입했다.

이때 파견된 미국 해군 함대는 트리폴리 측이 약 2만 5천 명의 병력과 24척의 전투함을 보유하고 있어 정면 공격을 할 수도 없어, 트리폴리를 원거리에서 해상 봉쇄하고, 지중해를 통과하는 미국 선적의 상선을 호위했다.

전쟁 선포 소식을 접하기 전, 제퍼슨은 리처드 데일 제독에게 함대를 파견하여 평화 유지를 시도했다.[31] 그러나 전쟁이 선포되자 데일은 미국 선박과 시민을 보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31] 제퍼슨은 의회에 "모든 중요 정보를 전달"하여 의회가 "자체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했다.[32] 의회는 공식적인 선전 포고는 하지 않았지만, 미국 함선 사령관에게 트리폴리 선박과 물품을 압수할 권한을 부여했다.[32]

1801년 5월 31일, 데일의 후임인 에드워드 프레블 제독은 시칠리아, 메시나로 이동하여 나폴리 왕국의 페르디난트 4세와 협력했다. 페르디난트는 미국에 인력, 물자, 항구 사용 등을 제공했다.[33]

1801년 8월 1일, 전투에서 엔터프라이즈가 트리폴리 해적선 ''트리폴리''를 격파했다.

1802년, 의회는 대통령에게 "미국의 무장 선박을 사용할" 권한을 부여하는 법을 통과시켰다.[34] 이 법은 미국 선박이 트리폴리 선박을 압수하고 재산을 분배할 수 있도록 했다.[32] 제퍼슨은 군사력 증강을 추진하여 1802년 내내 해군력을 증강했다. 아르고스, 체서피크, 콘스텔레이션, 컨스티튜션, 엔터프라이즈, 인트레피드, 필라델피아, 빅센, 프레지던트, 콩그레스, 에식스, 존 애덤스, 노틸러스, 스커지, 시렌, 호넷 등이 프레블의 지휘 아래 임무를 수행했다.

3. 1. 제퍼슨 행정부의 강경 정책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바르바리 국가들에 대한 공물 지급이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해군력 강화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1801년 취임 직전, 의회는 6척의 프리깃함 건조를 포함한 해군 관련 법안을 통과시켰다.[28] 이 함선들은 바르바리 세력이 미국에 선전 포고를 할 경우, "상업을 보호하고 그들의 오만함을 징벌하기 위해" 사용될 예정이었다.[28]

제퍼슨은 유수프 카라만리 트리폴리 파샤의 공물 요구를 거절했다.[29] 그 결과, 1801년 5월 10일, 파샤는 미국 영사관 앞 깃대를 자르는 방식으로 미국에 선전 포고를 했다.[30] 알제와 튀니스는 트리폴리를 따르지 않았다.

전쟁 선포 소식을 접하기 전, 제퍼슨은 리처드 데일 제독에게 함대를 파견하여 평화 유지를 시도했다.[31] 그러나 전쟁이 선포되자 데일은 미국 선박과 시민을 보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31] 제퍼슨은 의회에 "모든 중요 정보를 전달"하여 의회가 "자체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했다.[32] 의회는 공식적인 선전 포고는 하지 않았지만, 미국 함선 사령관에게 트리폴리 선박과 물품을 압수할 권한을 부여했다.[32]

1801년 5월 31일, 에드워드 프레블 제독은 시칠리아, 메시나로 이동하여 나폴리 왕국의 페르디난트 4세와 협력했다. 페르디난트는 미국에 인력, 물자, 항구 사용 등을 제공했다.[33]

1801년 8월 1일, 전투에서 엔터프라이즈가 트리폴리 해적선 ''트리폴리''를 격파했다.

1802년, 의회는 대통령에게 "미국의 무장 선박을 사용할" 권한을 부여하는 법을 통과시켰다.[34] 이 법은 미국 선박이 트리폴리 선박을 압수하고 재산을 분배할 수 있도록 했다.[32] 제퍼슨은 군사력 증강을 추진하여 1802년 내내 해군력을 증강했다. 아르고스, 체서피크, 콘스텔레이션, 컨스티튜션, 엔터프라이즈, 인트레피드, 필라델피아, 빅센, 프레지던트, 콩그레스, 에식스, 존 애덤스, 노틸러스, 스커지, 시렌, 호넷 등이 프레블의 지휘 아래 임무를 수행했다.

3. 2. 트리폴리의 선전포고

1801년 5월 10일, 트리폴리의 파샤 유수프 카라만리는 미국에 선전포고를 하였다.[30] 이는 공식적인 문서가 아닌, 미국 영사관 앞의 깃대를 자르는 바르바리 전통 방식이었다.[30] 당시 트리폴리의 지배자이자 카라만리 왕조의 유수프 카라만리는 주 트리폴리 미국 영사관의 성조기를 깃대에서 잘라내는 만행을 저질렀는데, 이는 국기에 대한 공식적인 모욕으로 받아들여 미국과의 사이에 긴장 상태가 조성되었다.[29]

토머스 제퍼슨이 대통령 취임식을 올리기 직전, 의회는 6척의 프리깃을 건조하는 해군 법안을 통과시켰다.[28] 제퍼슨은 취임 후, 오랜 신념에 따라 트리폴리의 공물 요구를 거부했다.[29] 그 결과, 미국이 1796년 트리폴리와 체결한 트리폴리 조약에 명시된 돈이나 선물을 지불하지 않자, 파샤는 선전포고를 한 것이다. 알제와 튀니스는 트리폴리의 선전포고에 동참하지 않았다.[30]

4. 전쟁의 경과

USS ''필라델피아''의 소실을 그린 1897년 그림


1803년 10월, 트리폴리 함대는 프리깃함 USS ''필라델피아''가 트리폴리 항을 순찰하다 암초에 좌초되자 온전한 상태로 나포했다.[35] 해안 포대와 트리폴리 해군 부대의 공격을 받으면서도 미국인들이 이 배를 다시 띄우려는 노력은 실패했다. 배와 선장 윌리엄 베인브리지, 그리고 모든 장교와 승무원은 육지로 끌려가 인질로 잡혔다. ''필라델피아''는 이후 항구 방어를 위한 부유 포대로 개조되었다.

1804년 2월 16일 밤, 스티븐 데케이터 대위는 나포된 트리폴리 켓치를 개조하여 ''인트레피드''라 이름짓고, 소규모의 미국 해병대 분견대를 이끌고 ''필라델피아''의 경비병들을 속여 배에 접근하여 탑승했다. 데케이터의 부대는 배를 습격하여 트리폴리 선원들을 제압했다. 미국 군함의 화력 지원을 받아 해병대는 ''필라델피아''에 불을 지르고 파괴했다.

1804년 7월 14일, 프레블은 트리폴리를 공격하여 일련의 결정적인 전투를 시작했다. 여기에는 리처드 소머스 대위가 폭발물을 가득 채운 화공선 ''인트레피드''를 사용하여 트리폴리 항에 진입하려던 시도가 포함되었지만 실패했다. ''인트레피드''는 목표를 달성하기 전에 적의 사격으로 파괴되었고, 소머스와 그의 승무원 전원이 사망했다.[35]

해상 교전 중 트리폴리 포트보트에 탑승하는 스티븐 데케이터의 그림, 1804년 8월 3일


전쟁의 전환점은 데르나 전투 (1805년 4월~5월)였다. 전 육군 대위이자 "장군"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던 전 영사 윌리엄 이튼과 미국 해병대 제1중위 프레스리 오배넌은 8명의 미국 해병대원[36]과 500명의 용병—그리스인, 아랍인, 베르베르인—으로 구성된 병력을 이끌고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트리폴리 도시 데르나를 점령하기 위해 사막 횡단을 감행했다. 이것은 미국 국기가 외국의 땅에서 승리한 최초의 사례였다. 이 작전은 해병대 찬가의 한 구절—"트리폴리의 해안"—에 기념되어 있다.[37] 도시 점령으로 미국 협상가들은 인질 송환과 전쟁 종식에 대한 지렛대를 확보했다.[38]

1805년 4월 데르나에서 프레스리 오배넌 중위의 그림

4. 1. 초기 해상 봉쇄와 전투

1801년, 미국은 리처드 데일 제독이 이끄는 함대를 지중해에 파견하여 트리폴리 해안을 봉쇄하고 미국 상선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했다.[35] 같은 해 8월 1일, 앤드루 스타렛이 지휘하는 미국 해군 스쿠너 엔터프라이즈호는 트리폴리 해적선 트리폴리호를 격파하는 첫 승리를 거두었다.[35] 이 전투에서 엔터프라이즈호는 트리폴리호를 일방적으로 공격하여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들었으나, 전리품으로 확보하라는 명령을 받지 않아 무장 해제 후 석방했다. 돛대가 잘려 항해 불능 상태가 된 트리폴리호는 간신히 트리폴리로 귀환했지만, 지휘관 레이스 마호메트 라우스는 유수프 카라만리에게 심한 비난을 받고 엄벌에 처해졌다.

트리폴리와 싸우는 엔터프라이즈


1803년 10월, 트리폴리 함대는 프리깃함 USS ''필라델피아''를 나포했다. 윌리엄 베인브리지 선장과 승무원들은 인질로 잡혔고, ''필라델피아''는 항구 방어를 위한 부유 포대로 개조되었다. 1804년 2월 16일 밤, 스티븐 데케이터 대위는 나포된 트리폴리 켓치를 개조한 ''인트레피드''호를 이끌고 ''필라델피아''에 잠입, 배를 불태워 파괴했다.[35]

1804년 7월, 프레블은 트리폴리를 공격하여 여러 전투를 벌였다. 리처드 소머스 대위는 화공선 ''인트레피드''호를 이용해 트리폴리 항에 진입하려 했으나, ''인트레피드''호는 목표 달성 전 적의 사격으로 파괴되었고, 소머스와 승무원 전원이 사망했다.[35]

전쟁의 전환점은 데르나 전투 (1805년 4월~5월)였다. 윌리엄 이튼과 프레스리 오배넌 중위는 8명의 미국 해병대원과 500명의 용병을 이끌고 알렉산드리아에서 데르나를 점령했다. [36][37] 이는 미국 국기가 외국의 땅에서 승리한 최초의 사례였다. 도시 점령으로 미국 협상가들은 인질 송환과 전쟁 종식에 대한 지렛대를 확보했다.[38]

4. 2. 필라델피아호 나포 사건과 데케이터의 활약

1803년 10월, 트리폴리 함대는 프리깃함 USS ''필라델피아''가 트리폴리 항을 순찰하다 암초에 좌초되자 온전한 상태로 나포했다.[35] 해안 포대와 트리폴리 해군 부대의 공격을 받으면서도 미국인들이 이 배를 다시 띄우려는 노력은 실패했다.[35] 배와 선장 윌리엄 베인브리지 및 모든 장교와 승무원은 육지로 끌려가 인질로 잡혔다.[35] ''필라델피아''는 이후 항구 방어를 위한 부유 포대로 개조되었다.[35]

1804년 2월 16일 밤, 스티븐 데케이터 대위는 나포된 트리폴리 케치를 개조하여 ''인트레피드''라 이름짓고, 소규모의 미국 해병대 분견대를 이끌고 ''필라델피아''의 경비병들을 속여 배에 접근하여 탑승했다.[35] 데케이터의 부대는 배를 습격하여 트리폴리 선원들을 제압했다.[35] 미국 군함의 화력 지원을 받아 해병대는 ''필라델피아''에 불을 지르고 파괴했다.[35] 호레이쇼 넬슨은 이 작전의 성공을 보고 "당대 가장 대담하고 용감한 행위이다"라고 칭찬했다.

필라델피아 사건으로 미국 해군은 트리폴리 앞바다의 얕은 물에서의 행동이 대형 함선에게는 위험하다는 것을 인지했다. 이에 따라, 미국 해군의 프레블은 페르디난도 3세에게 포격함 6척과 박격포함 2척을 빌려 전력을 정비했다.

4. 3. 데르나 전투와 육상 작전

1805년, 전직 육군 대위 윌리엄 이튼은 8명의 미국 해병대[36]과 500여 명의 그리스인, 아랍인, 베르베르인 용병들을 이끌고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데르나를 점령하기 위해 사막을 횡단했다.[37] 데르나 전투는 전쟁의 전환점으로, 이튼의 부대는 트리폴리 동부의 데르나를 점령했다. 이는 미국 역사상 최초로 외국 영토에서 성조기를 게양한 사례였다.[37] 이 작전은 해병대 찬가의 한 구절인 "트리폴리의 해안"에 기념되어 있다.[37]

1804년 11월, 바론의 명령에 따라 프레스리 오바논이 이끄는 7명의 미국 해병대 분견대는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상륙했다. 이들은 하메트 카라만리와 함께 약 500명의 기독교도 및 이슬람교도 용병대를 조직했다. 1805년 4월 27일, 45일간의 행군 끝에 데르나에 도달한 미국 해병대와 용병대는 공격을 시작했다.[35] 미국 해군의 함포 사격 지원을 받아[35] 데르나 시가지를 제압하고 요새를 점령했다. 오바논은 점령한 요새에서 성조기를 흔들었다.

이후 4월 28일에 도착한 트리폴리 측 증원군에 의한 반격에 직면했지만, 이튼 장군 등이 이끄는 약 800명의 용병대가 도착할 때까지 버텨 5월 13일까지 트리폴리 측을 격퇴하고 데르나를 완전히 확보했다. 도시 점령으로 미국 협상가들은 인질 송환과 전쟁 종식에 대한 지렛대를 확보했다.[38]

5. 종전 협상과 결과

데르나 전투에서의 승리와 지속적인 해상 봉쇄로 인해 트리폴리 파샤 유수프 카라만리는 결국 협상에 응했다. 1805년 6월 10일, 미국과 트리폴리는 조약을 체결했다.[39] 조약에 따라 트리폴리 파샤는 미국인 포로를 모두 넘겨주고, 미국은 트리폴리 포로를 넘겨주기로 했다. 포로 수 차이로 인해 트리폴리 파샤는 미국으로부터 6만 달러를 받기로 합의했다.[39]

미국은 포로 석방을 위해 6만 달러의 몸값을 지불했지만, 이후 트리폴리로부터 공물을 요구받지 않게 되었다.[39][40] 당시 제퍼슨 행정부는 '공물'과 '몸값'을 구분했으며, 일부 사람들은 노예 상태의 선원을 구출하는 것이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정당한 교환이라고 주장했다.[40] 그러나 윌리엄 이튼은 토바이어스 리어가 미국 국무부에서 보낸 미국의 특사로 인해 자신의 노력이 낭비되었다고 느끼며 조약에 대해 평생 분개했다. 그는 데르나 점령을 통해 몸값 없이 모든 미국인 포로를 석방할 수 있었다고 믿었다.[40]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은 미국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미국 해군미국 해병대미국 정부와 미국 역사에서 영구적인 부분이 되었다.[41]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은 미국의 해군력 강화와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했다.[41] 이 전쟁을 통해 미국은 자국민 보호와 해상 무역로 확보를 위해 해외에서도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1] 미국 해군미국 해병대미국 정부와 미국 역사에서 영구적인 부분이 되었고, 데케이터는 혁명 전쟁 이후 미국의 첫 번째 영웅으로 미국으로 돌아왔다.[41]

1812년 전쟁의 서막에 정신이 팔린 미국은 1807년 알제가 함대를 재조립하고 미국 선박과 선원을 인질로 잡는 것을 재개했으나, 1815년까지 도발에 대응할 수 없었다.[42] 제2차 바르바리 전쟁에서 코모도어 윌리엄 베인브리지와 스티븐 데케이터의 해군 승리로 미국이 모든 공물 지불을 종식하는 조약이 체결되었다.[42]

조약 체결로 전쟁은 종식되었으나, 미국은 트리폴리에 6만 달러의 몸값을 지불해야 했다.[39] 윌리엄 이튼을 비롯한 일부는 데르나 점령을 협상 카드로 활용하지 못하고 하메트 카라만리를 저버린 조약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40]

유럽 국가들에게 지중해에서 손을 댈 수 없는 존재로 두려움을 사던 바르바리 제국의 바르바리 해적이 패배한 것은 유럽 국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이후 미국의 북아프리카, 중동 이슬람 국가에 대한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해적이라는 수입원을 잃은 유수프 카라만리는 사하라 교역으로 세력 회복을 꾀했지만, 1832년에 아들 중 한 명인 알리 2세에게 양위했지만 형제들 간의 내란이 발생했다. 알리 2세는 1835년에 폐위되었고, 카라만리 왕조는 멸망했다. 유수프 카라만리는 1838년에 사망했다.

미국 해병대에서는 다르네 전투가 최초의 해외 파병에서의 본격적인 전투였기 때문에, 전장에서 직접 지휘하며 결정적인 전력 차이를 뒤집고 승리했으며, 미국의 역사에서 해외 점령지에 처음으로 성조기를 게양한 프레스리 오바논의 지휘관으로서의 공적과 함께, 해병대 찬가의 가사 "''To the shores of Tripoli''"에 반영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5. 1. 강화 조약 체결

데르나 전투에서의 승리와 지속적인 해상 봉쇄로 인해 트리폴리 파샤 유수프 카라만리는 결국 협상에 응했다. 1805년 6월 10일, 미국과 트리폴리는 조약을 체결했다.[39] 조약에 따라 트리폴리 파샤는 미국인 포로를 모두 넘겨주고, 미국은 트리폴리 포로를 넘겨주기로 했다. 포로 수 차이로 인해 트리폴리 파샤는 미국으로부터 6만 달러를 받기로 합의했다.[39]

미국은 포로 석방을 위해 6만 달러의 몸값을 지불했지만, 이후 트리폴리로부터 공물을 요구받지 않게 되었다.[39][40] 당시 제퍼슨 행정부는 '공물'과 '몸값'을 구분했으며, 일부 사람들은 노예 상태의 선원을 구출하는 것이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정당한 교환이라고 주장했다.[40] 그러나 윌리엄 이튼은 토바이어스 리어가 미국 국무부에서 보낸 미국의 특사로 인해 자신의 노력이 낭비되었다고 느끼며 조약에 대해 평생 분개했다. 그는 데르나 점령을 통해 몸값 없이 모든 미국인 포로를 석방할 수 있었다고 믿었다.[40]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은 미국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미국 해군미국 해병대미국 정부와 미국 역사에서 영구적인 부분이 되었다.[41]

5. 2. 전쟁의 영향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은 미국의 해군력 강화와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했다.[41] 이 전쟁을 통해 미국은 자국민 보호와 해상 무역로 확보를 위해 해외에서도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1] 미국 해군과 미국 해병대미국 정부와 미국 역사에서 영구적인 부분이 되었고, 데케이터는 혁명 전쟁 이후 미국의 첫 번째 영웅으로 미국으로 돌아왔다.[41]

1812년 전쟁의 서막에 정신이 팔린 미국은 1807년 알제가 함대를 재조립하고 미국 선박과 선원을 인질로 잡는 것을 재개했으나, 1815년까지 도발에 대응할 수 없었다.[42] 제2차 바르바리 전쟁에서 코모도어 윌리엄 베인브리지와 스티븐 데케이터의 해군 승리로 미국이 모든 공물 지불을 종식하는 조약이 체결되었다.[42]

조약 체결로 전쟁은 종식되었으나, 미국은 트리폴리에 6만 달러의 몸값을 지불해야 했다.[39] 윌리엄 이튼을 비롯한 일부는 데르나 점령을 협상 카드로 활용하지 못하고 하메트 카라만리를 저버린 조약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40]

유럽 국가들에게 지중해에서 손을 댈 수 없는 존재로 두려움을 사던 바르바리 제국의 바르바리 해적이 패배한 것은 유럽 국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이후 미국의 북아프리카, 중동 이슬람 국가에 대한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해적이라는 수입원을 잃은 유수프 카라만리는 사하라 교역으로 세력 회복을 꾀했지만, 1832년에 아들 중 한 명인 알리 2세에게 양위했지만 형제들 간의 내란이 발생했다. 알리 2세는 1835년에 폐위되었고, 카라만리 왕조는 멸망했다. 유수프 카라만리는 1838년에 사망했다.

미국 해병대에서는 다르네 전투가 최초의 해외 파병에서의 본격적인 전투였기 때문에, 전장에서 직접 지휘하며 결정적인 전력 차이를 뒤집고 승리했으며, 미국의 역사에서 해외 점령지에 처음으로 성조기를 게양한 프레스리 오바논의 지휘관으로서의 공적과 함께, 해병대 찬가의 가사 "''To the shores of Tripoli''"에 반영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6. 한국의 관점과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Tripolitan War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00
[2] 웹사이트 War with the Barbary Pirates (Tripolitan War) http://www.veteranmu[...] 2017-02-11
[3] 서적 Jefferson's War: America's First War on Terror 1801–1805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04-09-21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Wars of the Early American Republic, 1783–1812: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3 volume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5] 웹사이트 Research Guides: Battle Studies, Country Studies, & Staff Rides: Barbary Wars & the Battle of Tripoli https://grc-usmcu.li[...] 2024-03-21
[6] 웹사이트 Barbary Wars, 1801–1805 and 1815–1816 https://history.stat[...] 2024-03-21
[7] 서적 Biographie universelle, ancienne et moderne https://books.google[...] 1834
[8] 간행물 The Cradle of Colonialism https://www.questia.[...] Yale University Press
[9] 서적 Christian Slaves, Muslim Masters: White Slavery in the Mediterranean, The Barbary Coast, and Italy, 1500–1800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UK
[10] 논문 "'Insults Unpunished' Barbary Captives, American Slaves, and the Negotiation of Liberty." 2003
[11] 논문 "Glimpses of the Other before Orientalism: The Muslim World in Early American Periodicals, 1785–1800." 2010
[12] 잡지 Jefferson, American Minister in France https://books.google[...] 1872-10
[13] 웹사이트 "Barbary Treaties 1786–1816: Treaty with Morocco June 28 and July 15, 1786"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14] 문서 Battistini, 450
[15] 문서 Rojas, 176
[16] 서적 In God We Still Trust: A 365-Day Devotional https://books.google[...] Thomas Nelson Inc
[17] 서적 Hidden History of Maine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18] 서적 The diplomatic corresponde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books.google[...] Printed by Blair & Rives
[19] 서적 Thomas Barclay (1728–1793): Consul in France, Diplomat in Barbary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
[20] 서적 The End of Barbary Terror: America's 1815 War Against the Pirates of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United States Congressional Serial Set, Serial No. 15038, House Documents Nos. 129–137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2] 문서
[23]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From Thomas Jefferson to John Adams, 11 July 1786 http://founders.arch[...]
[24] 문서 Rojas, 168–169.
[25] 문서 Rojas, 163
[26] 문서 Rojas, 165.
[27] 논문 "Pirated Tars, Piratical Texts Barbary Captivity and American Sea Narratives." 2003
[28] 웹사이트 The First Barbary War http://www.monticell[...] Thomas Jefferson Foundation 2019-05-18
[29] 논문 “The Tripolitan War : A Reconsideration of the Causes.” Africa: Rivista Trimestrale Di Studi e Documentazione Dell’Istituto Italiano per l’Africa e l’Oriente
[30] 서적 The U.S. Navy: a history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1997
[31] 웹사이트 The First Barbary War http://www.monticell[...] 2014-10-14
[32] 뉴스 Presidential War Powers http://www.lewrockwe[...] LewRockwell.com 2005-07-07
[33] 간행물 Dawn like Thunder: The Barbary Wars and the Birth of the U.S. Navy https://www.questia.[...] Bobbs-Merrill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https://books.google[...] 2009
[37] 웹사이트 Battle of Derna https://web.archive.[...] 2009-03-15
[38] 웹사이트 A History Lesson: The First Barbary War http://atlasbusiness[...] 2016-01-20
[39]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and Amity, Signed at Tripoli June 4, 1805 http://avalon.law.ya[...]
[40] 서적 From Colony to Superpower: U.S. Foreign Relations since 1776 https://www.quest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41] 서적 2005
[42] 웹사이트 America and the Barbary Pirates: An International Battle Against an Unconventional Foe http://lcweb2.loc.go[...]
[43] 웹사이트 Tripoli Monument at the U.S. Naval Academy in Annapolis, Maryland https://web.archive.[...] dcmemorials.com 2007-01-20
[44] 서적 2005
[45] 웹사이트 Presidential War Powers: The Constitutional Answer http://www.libertycl[...] 2014-07-09
[46] 웹인용 Tripolitan War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00-01-01
[47] 웹인용 War with the Barbary Pirates (Tripolitan War) http://www.veteranmu[...] veteranmuseum.org
[48] 서적 Jefferson's War: America's First War on Terror 1801–1805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04-09-21
[49] 간행물 Glimpses of the Other before Orientalism: The Muslim World in Early American Periodicals, 1785–1800
[50] 간행물 Jefferson, American Minister in France
[51] 웹사이트 Barbary Treaties 1786–1816: Treaty with Morocco June 28 and July 15, 1786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Yale Law School
[52] 문서
[53] 문서
[54] 서적 2005
[55] 웹사이트 United States Federal State and Local Government Revenue, Fiscal Year 1800, in $ million http://www.usgovern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