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는 2019년에 개최되었으며, 개막작은 《말도둑들. 시간의 길》, 폐막작은 《윤희에게》였다. 영화제는 11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영화들을 상영했으며, 아시아콘텐츠어워즈, 아시아프로젝트마켓, 플랫폼부산, 포럼 비프 등의 부대행사가 진행되었다. 뉴 커런츠상에는 《하이파 스트리트》와 《롬》이,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에는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9년 영화제 - 2019년 칸 영화제
2019년 칸 영화제는 2019년 5월 프랑스 칸에서 개최되었으며,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 2019년 영화제 - 제76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2019년 베네치아에서 개최된 제76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루크레시아 마르텔이 심사위원장을 맡고 토드 필립스 감독의 《조커》가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며, 페드로 알모도바르와 줄리 앤드루스가 명예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 2019년 10월 - 201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1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중화민국에서 개최되어 중화 타이베이가 우승하고, 일본을 제외한 상위 2개국인 중화 타이베이와 중국이 202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최종 예선 출전권을 획득한 국제 야구 대회이다. - 2019년 10월 - 2019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2019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퍼시픽 리그 포스트시즌으로, 정규 시즌 2, 3위 팀의 퍼스트 스테이지와 퍼스트 스테이지 승리 팀과 정규 시즌 1위 팀의 파이널 스테이지로 진행되었으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최종적으로 일본 시리즈에 진출하였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2021년 부산에서 열린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여러 국가와 장르의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의 위상을 높였으며, '온 스크린' 섹션에서 OTT 드라마 시리즈를 선보였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2014년에 개최된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는 다양한 섹션을 통해 세계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 신인 감독을 발굴하며, 여러 부문의 상을 수여하고, 정진우 감독 회고전과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 상영 등으로 관객의 호응과 사회적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영화 축제이다.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부산 영화의 전당 |
창립 | 1995년 |
이전 회차 | 23회 |
다음 회차 | 25회 |
공식 웹사이트 | 부산국제영화제 공식 웹사이트 |
일정 | |
개막일 | 2019년 10월 3일 |
폐막일 | 2019년 10월 12일 |
개막작 | |
제목 | 도둑맞은 말: 시간의 길 |
원제 | The Horse Thieves. Roads of Time |
폐막작 | |
제목 | 윤희에게 |
원제 | Moonlit Winter |
수상 | |
뉴 커런츠상 | Haifa Street Rom |
김지석상 | Circus of Life |
한국 영화 공로상 | 배용재 유동석 |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 | 고레에다 히로카즈 |
2. 프로그램
부산국제영화제의 프로그램은 주제에 따라 크게 11개의 섹션으로 나뉘어 있다.
섹션 | 상영작 |
---|---|
개막작 | 말도둑들. 시간의 길 |
폐막작 | 윤희에게 |
갈라 프레젠테이션 | 《커밍 홈 어게인》 《글로리아 먼디》 《더 킹: 헨리5세》 《파비안느에 관한 진실 》 |
아이콘 | 《어른의 부재》 《기생충》 등 |
아시아영화의 창 | 《악마같은 우리 형》 《비가 그친 후》 《니나 우》 《아저씨X아저씨》 등 |
뉴 커런츠 | 《69세》 《잭푸르트》 《나의 정체성》 《롬》 등 |
한국영화의 오늘 | 《미성년》 《야구소녀》 《엑시트》 《니나 내나》 《찬실이는 복도 많지》 등 |
한국영화회고전 | 정일성회고전 《본투킬》 《황진이》 《만추》 《만다라》 《사람의 아들》《최후의 증인》 《화녀》 |
월드시네마 | 《#아이엠히어》 《어떤 침묵》 《세자매》 《내 몸이 사라졌다》 《결혼 이야기》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두 교황》 등 |
플래시 포워드 | 《퍼펙트 넘버, 파이브》 등 |
와이드앵글 | 《내가 그리웠니》《쓰레기》《새의 정원》《대통령의 7시간》 등 |
오픈시네마 | 《99개의 노래》《초미의 관심사》《레미제라블》《기생충》《더킹:헨리 5세》등 |
특별기획프로그램1 | 한국영화100년사,위대한 정전10선 《휴일》《오발탄》《바람불어 좋은 날》《올드보이》 등 |
특별기획프로그램2 | 응시하기와 기억하기 - 아시아 여성감독 3인전 《흙》《불》《재집합》《그녀 이름은 베트남》 등 |
미드나잇패션 | 《블러드 퀀텀》《반교:디텐션》《퍼스트 러브》《3층의 여자》 등 |
부산클래식 | 《알라딘》《면로》《졸업》《증인》《붉은 나무딸기》 |
2. 1. 개막작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의 개막작은 옐란 누르무함베토프와 타케바 리사가 감독한 말도둑들. 시간의 길이다. 이 영화는 카자흐스탄과 일본의 합작 영화이다.
2. 2. 폐막작
윤희에게 - 임대형 (대한민국)2. 3. 갈라 프레젠테이션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의 프로그램은 주제에 따라 11개의 섹션으로 나뉘어 있으며, 갈라 프레젠테이션에서는 《커밍 홈 어게인》, 《글로리아 문디》, 《더 킹: 헨리5세》, 《파비안느에 관한 진실》이 상영되었다.
2. 4. 아이콘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 섹션에서는 《어른의 부재》, 《기생충》 등을 포함한 여러 작품들이 상영되었다. 이 섹션에는 코스타 가브라스의 《어른의 방》, 아르투로 립스테인의 《다리 사이의 악마》, 베르너 헤어초크의 《패밀리 로맨스, LLC》, 아톰 에고이안의 《게스트 오브 아너》, 라브 디아스의 《더 할트》, 엘리아 술레이만의 《이것이 천국이다》, 브뤼노 뒤몽의 《잔 다르크》, 모흐센 마흐말바프의 《마르게와 그녀의 어머니》, 자비에 돌란의 《마티아스와 막심》, 브릴란테 멘도사의 《민다나오》, 아그네츠카 홀란드의 《미스터 존스》, 봉준호의 《기생충》, 켄 로치의 《미안해요, 우리가 놓쳤어요》, 마르코 벨로키오의 《배신자》, 구로사와 기요시의 《지구의 끝까지》, 페드루 코스타의 《비탈리나 바렐라》, 가브리엘레 살바토레스의 《볼라레》, 올리비에 아사야스의 《말벌 네트워크》, 베르트랑 보넬로의 《좀비 차일드》 등이 포함되었다.2. 5. 아시아 영화의 창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아시아 영화의 창' 섹션에서는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영화들이 소개되었다. 이 섹션에는 이란, 인도,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베트남, 태국, 필리핀, 카자흐스탄, 아프가니스탄, 라오스, 부탄, 인도네시아 등 여러 국가의 영화가 포함되었다.주요 상영작으로는 아딜칸 예르자노프 감독의 《어두운 남자》, 중몽홍 감독의 《A Sun》, 수만 고쉬 감독의 《Aadhaar》, 모나 잔디 하기기 감독의 《아프리카 바이올렛》, 페마 체덴 감독의 《벌룬》, 구르빈더 싱 감독의 《쓴 밤》, 기탄잘리 라오 감독의 《봄베이 로즈》, 톰 월러 감독의 《더 케이브》, 프라사나 비타나게 감독의 《태양의 아이들》, 샤헤드 아흐마들루 감독의 《시네마 동키》, 사르마드 코사트 감독의 《삶의 서커스》, 부 응옥 프엉 감독의 《친애하는 악마 형제》, 알란크리타 슈리바스타바 감독의 《돌리 키티와 반짝이는 별》, 구 샤오강 감독의 《푸춘 산에 머물다》, 헤이워드 맥 감독의 《파가라》, 가오 핀촨 감독의 《갱스, 오스카, 그리고 워킹 데드》, 린 수유 톰 감독의 《저녁 안개 정원》, 찐 딘 레 민 감독의 《굿바이 마더》, 사라 카리미 감독의 《하바, 마리암, 아이샤》, 셰 페이주 감독의 《헤비 크레이빙》, 쩐 흐우 떤 감독의 《홈 스위트 홈》, 나카가와 류타로 감독의 《비가 그쳤다》, 리조 조세 펠리세리 감독의 《잘리까투》, 벤 리버스, 아노차 수위차코른퐁 감독의 《크라비, 2562》, 이사벨 샌도발 감독의 《링구아 프랑카》, 매티 도 감독의 《더 롱 워크》, 파워 초이닝 도르지 감독의 《루나나: 교실의 야크》, 리나 마니메칼라이 감독의 《마아다티, 언 언페어리 테일》, 샤리파 우라즈바예바 감독의 《마리암》, 프라딥 쿠르바 감독의 《마켓》, 미사와 타쿠야 감독의 《오이소의 살인》, 미디 지 감독의 《니나 우》, 비제이 자야팔 감독의 《니르바나 인》, 연판 감독의 《넘버7 체리 레인》, 샤르바노 사다트 감독의 《고아원》, 하이파 알-만수르 감독의 《완벽한 후보》, 제제 타카히사 감독의 《약속된 땅》, 탄니슈타 채터지 감독의 《롬 로메 메인》, 모스토파 사르와르 파루키 감독의 《토요일 오후》, 요셉 앙기 노엔 감독의 《더 사이언스 오브 픽션》, 꽝 빈 응우옌 판 감독의 《바람의 비밀》, 나비드 마흐무디 감독의 《세븐 앤드 하프》, 니시하라 다카시 감독의 《시스터후드》, 류 준펑 감독의 《봄은 겨울을 따른다》, 사피 야즈다니안 감독의 《갑자기 나무》, 레이 예웅 감독의 《숙 숙》, 스오 마사유키 감독의 《토킹 더 픽쳐스》, 오다기리 조 감독의 《그들은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레이먼드 리바이 구티에레즈 감독의 《판결》, 고탐 고시 감독의 《길을 잃은 자들》, 나르게스 아비야르 감독의 《달이 차면》, 콩데 쟈투란라사미 감독의 《우리가 속한 곳》, 스리 시 감독의 《와일드 스패로우》 등이 있다.
2. 6. 뉴 커런츠
《69세》, 《잭푸르트》, 《나의 정체성》, 《롬》 등 여러 나라의 다양한 영화들이 상영되었다.- 通往春天的列车중국어 - 리 지 (중국)
- در میان تپههاfa - 모하마드레자 케이반파 (이란)
- 《어떤 노부인》 - 임선애 (대한민국)
- 菠萝蜜중국어 - 라우 케크 홧, 베라 첸 (대만)
- دیاپازونfa - 하메드 테라니 (이란)
- 《교육》 - 김덕중 (대한민국)
- شارع حيفاar - 모하나드 하얄 (이라크/카타르)
- 존 덴버 트렌딩 - 아르덴 로드 콘데즈 (필리핀)
- क.ख.ग.hi - 키슬레이 키슬레이 (인도)
- 《럭키 몬스터》 - 봉준영 (대한민국)
- 《나의 정체성》 - 스즈키 사에 (일본)
- 出走的娜拉중국어 - 쑨 아오첸 (중국)
- 롬 - 쩐 타잉 휘 (베트남)
- Жөө Күлүкky - 미를란 압디칼리코프 (키르기스스탄)
2. 7. 한국 영화의 오늘
'''파노라마'''- ''다른 아이'' - 김윤석 (대한민국)
- ''야구소녀'' - 최윤태 (대한민국)
- ''생일'' - 이종언 (대한민국)
- ''엑시트'' - 이상근 (대한민국)
- ''극한직업'' - 이병헌 (대한민국)
- ''가족의 문제'' - 이동은 (대한민국)
- ''갱'' - 조바른 (대한민국)
- ''강변호텔'' - 홍상수 (대한민국)
- ''아임 홈'' - 박제범 (대한민국)
- ''젊은이의 빛'' - 신수원 (대한민국)
- ''어른들은 몰라요'' - 박정범 (대한민국)
- ''우리동네'' - 고봉수, 고민수 (대한민국)
- ''종이꽃'' - 고훈 (대한민국)
- ''프린세스 아야'' - 이성강 (대한민국)
- ''
2. 7. 1. 파노라마
wikitext- ''다른 아이'' - 김윤석 (대한민국)
- ''야구소녀'' - 최윤태 (대한민국)
- ''생일'' - 이종언 (대한민국)
- ''엑시트'' - 이상근 (대한민국)
- ''극한직업'' - 이병헌 (대한민국)
- ''가족의 문제'' - 이동은 (대한민국)
- ''갱'' - 조바른 (대한민국)
- ''강변호텔'' - 홍상수 (대한민국)
- ''아임 홈'' - 박제범 (대한민국)
- ''젊은이의 빛'' - 신수원 (대한민국)
- ''어른들은 몰라요'' - 박정범 (대한민국)
- ''우리동네'' - 고봉수, 고민수 (대한민국)
- ''종이꽃'' - 고훈 (대한민국)
- ''프린세스 아야'' - 이성강 (대한민국)
- ''유열의 음악앨범'' - 정지우 (대한민국)
- ''버티고'' - 전계수 (대한민국)
2. 7. 2. 비전
'''비전''' 섹션은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램의 일부로, 다음 작품들이 상영되었다.- ''은미'' - 정지영 (대한민국)
- ''심장'' - 정가영 (대한민국)
- ''바람의 언덕'' - 박석영 (대한민국)
- ''경미의 세계'' - 구지현 (대한민국)
- ''찬실이는 복도 많지'' - 김초희 (대한민국)
- ''남매의 여름밤'' - 윤단비 (대한민국)
- ''임산부 나무와 도깨비'' - 김동령, 박경태 (대한민국)
- ''루비'' - 박한진 (대한민국)
- ''웨이 백 홈'' - 박선주 (대한민국)
- ''우린 괜찮아'' - 박민국 (대한민국)
2. 8. 한국영화회고전
wikitext정일성회고전 《본투킬》 《황진이》 《만추》 《만다라》 《사람의 아들》《최후의 증인》 《화녀》
2. 8. 1. [[정일성]] 촬영감독
wikitext- 본 투 킬한국어 - 장현수 (대한민국)
- 황진이 - 배창호 (대한민국)
- 만추 - 김수용 (대한민국)
- 만다라 - 임권택 (대한민국)
- 사람의 아들 - 유현목 (대한민국)
- 최후의 증인 - 이두용 (대한민국)
- 불의 여자 - 김기영 (대한민국)
2. 9. 월드 시네마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월드 시네마 섹션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영화들이 초청되었다. 에릭 라르티고 감독의 ''#아이엠히어''(프랑스), 미할 호게나우어 감독의 ''어떤 침묵''(체코/네덜란드/라트비아), 에민 알페르 감독의 ''세 자매 이야기''(터키/독일/네덜란드/그리스), 흐리뉘르 팔마손 감독의 ''하얀, 하얀 날''(아이슬란드/덴마크/스웨덴) 등이 상영되었다.또한, 실야 호크스도티르 감독의 ''아그네스 조이''(아이슬란드), 니콜라 파리제 감독의 ''앨리스와 시장''(프랑스), 소피 데라스프 감독의 ''안티고네''(캐나다), 마넬 라비디 감독의 ''아랍 블루스''(프랑스), 칸테미르 발라고프 감독의 ''빈폴''(러시아) 등도 포함되었다.
다그 요한 하우게루드 감독의 ''아이들을 조심해''(노르웨이/스웨덴), 요스트 반 헤지크 감독의 ''Boy Meets Gun''(네덜란드), 닉 롤랜드 감독의 ''Calm with Horses''(아일랜드/영국), 얀 코마사 감독의 ''성체''(폴란드/프랑스), 데이비드 스텁스 감독의 ''수선화''(뉴질랜드) 등도 상영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이 외에도 쿠엔틴 뒤피외 감독의 ''데어스킨''(프랑스), 유카-페카 발케아패 감독의 ''바지가 필요 없는 개''(핀란드/라트비아), 지스카 리만 감독의 ''Electric Girl''(독일/벨기에), 파블로 라라인 감독의 ''에마''(칠레), 올리버 라세 감독의 ''불은 곧 올 것이다''(스페인/프랑스/룩셈부르크) 등이 초청되었다.
아나 가르시아 블라야 감독의 ''The Good Intentions''(아르헨티나), 벤 로렌스 감독의 ''Hearts and Bones''(호주), 언주 문 감독의 ''아이 엠 우먼''(호주), 제레미 클라팽 감독의 ''나는 내 몸을 잃었다''(프랑스), 안젤라 샬라넥 감독의 ''나는 집에 있었지만''(독일/세르비아) 등도 월드 시네마 섹션에서 상영되었다.
이바나 믈라데노비치 감독의 ''Ivana the Terrible''(루마니아/세르비아), 마르코 슈코프 감독의 ''빛이 있으라''(슬로바키아/체코), 알베르 세라 감독의 ''Liberté''(프랑스/스페인/포르투갈), 제시카 하우스너 감독의 ''리틀 조''(오스트리아/영국/독일), 야론 샤니 감독의 ''사랑 3부작: 체인드'', ''사랑 3부작: 리본'', ''사랑 3부작: 스트립''(이스라엘/독일) 등도 포함되었다.
노아 바움백 감독의 ''결혼 이야기''(미국), 마우라 델페로 감독의 ''마테르날''(이탈리아/아르헨티나), 마리오 마르토네 감독의 ''라 시네타 시장''(이탈리아), 폴 아일랜드 감독의 ''Measure for Measure''(호주), 저스틴 전 감독의 ''미스 퍼플''(미국) 등도 상영되었다.
유리스 쿠르시에티스 감독의 ''Oleg''(라트비아), 크리스토프 오노레 감독의 ''마법의 밤에''(프랑스/벨기에/룩셈부르크), 세사르 디아스 감독의 ''우리 어머니들''(과테말라/벨기에/프랑스), 블레이즈 해리슨 감독의 ''입자''(프랑스/스위스), 다니엘 레소비츠 감독의 ''포트 오소리티''(미국/프랑스) 등도 포함되었다.
셀린 시아마 감독의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프랑스), 세바스티안 무뇨스 감독의 ''The Prince''(칠레/아르헨티나/벨기에), 마리 그라트 감독의 ''Psychosia''(덴마크/핀란드), 플로리안 고츠치크 감독의 ''Rest in Greece''(그리스/독일/오스트리아), 피터 매키 번스 감독의 ''Rialto''(아일랜드/영국) 등도 상영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사라 가브론 감독의 ''락스''(영국), 루시아 가리발디 감독의 ''상어''(우루과이/아르헨티나/스페인), 쥐스틴 트리에 감독의 ''시빌''(프랑스/벨기에), 파울라 에르난데스 감독의 ''The Sleepwalkers''(아르헨티나/우루과이), 카를로 시로니 감독의 ''솔레''(이탈리아/폴란드) 등도 월드 시네마 섹션에서 상영되었다.
이네스 타노비치 감독의 ''The Son''(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크로아티아/루마니아/슬로베니아/몬테네그로), 프랑수아 지라르 감독의 ''노래의 이름''(캐나다/헝가리), 라바 아메르 자이메체 감독의 ''남부 터미널''(프랑스/카타르), 마크 비질 감독의 ''The Swamp's Silence''(스페인), 나다브 라피드 감독의 ''시노니미스''(프랑스/이스라엘/독일) 등도 포함되었다.
조앙 니콜라우 감독의 ''Technoboss''(포르투갈/프랑스), 버나바스 토트 감독의 ''남겨진 사람들''(헝가리), 아나 루이자 아제베두 감독의 ''Through Ernesto's Eyes''(브라질), 장-샤를 위 감독의 ''Tijuana Bible''(프랑스/멕시코), 알라 에디네 슬림 감독의 ''Tlamess''(튀니지/프랑스) 등도 상영되었다.
타넬 톰 감독의 ''진실과 정의''(에스토니아), 페르난도 메이렐레스 감독의 ''두 교황''(이탈리아/아르헨티나), 알라 에디네 알젬 감독의 ''The Unknown Saint''(모로코/프랑스), 오그넨 스빌리치치 감독의 ''The Voice''(크로아티아/마케도니아/세르비아), 요나 루이스와 캘빈 토마스 감독의 ''화이트 라이''(캐나다), 테오 코트 감독의 ''화이트 온 화이트''(스페인/칠레/독일/프랑스), 암자드 아부 알알라 감독의 ''20살에 죽는다''(수단/프랑스/이집트/노르웨이/독일/카타르) 등도 월드 시네마 섹션에 포함되었다.
2. 10. 플래시 포워드
이고르의 ''5 Is the Perfect Number''(이탈리아/벨기에/프랑스), 란다 샤후드(Randa CHAHOUD)의 ''The Accidental Rebel''(독일/영국), 리비우 산둘레스쿠(Liviu SĂNDULESCU)의 ''Carturan''(루마니아/스웨덴), 알리 아이든(Ali AYDıN)의 ''Chronology''(터키/독일), 멜라니 샤르보노(Mélanie CHARBONNEAU)의 ''Fabulous''(캐나다), 알렉산더 룽긴(Alexander LUNGIN)의 ''Great Poetry''(러시아), 사무엘 키시 레오포(Samuel KISHI LEOPO)의 ''Los Lobos''(멕시코), 토마스 벵그리스(Tomas VENGRIS)의 ''Motherland''(리투아니아/라트비아/독일/그리스), 바실 다 쿠냐(Basil DA CUNHA)의 ''O Fim do Mundo''(스위스), 다비데 델 데간(Davide DEL DEGAN)의 ''Paradise''(이탈리아/슬로베니아), 샘 켈리(Sam KELLY)의 ''Savage''(뉴질랜드), 하롤도 보르지스(Haroldo BORGES)와 에르메스토 몰리네로(Ermesto MOLINERO)의 ''Son of Ox''(브라질), 니콜라스 린콘 길레(Nicolás RINCÓN GILLE)의 ''Valley of Souls''(콜롬비아/벨기에/브라질/프랑스) 등이 상영되었다.섹션 | 상영작 |
---|---|
플래시 포워드 | 《퍼펙트 넘버, 파이브》 등 |
2. 11. 와이드 앵글
《내가 그리웠니》, 《쓰레기》, 《새의 정원》, 《대통령의 7시간》 등이 상영되었다.- '''한국 단편 경쟁'''
:* ''AKA 5JO'' - 이경원 (대한민국)
:* ''Fruits'' - 양재준 (대한민국)
:* ''Hello'' - 진성문 (대한민국)
:* ''How are you, Joo-hee'' - 최민구 (대한민국)
:* ''Jesa'' - 송경원 (미국/대한민국)
:* ''Joan'' - 김지산, 유정수 (대한민국)
:* ''My Little Television'' - 리홍메이 (대한민국)
:* ''Nose'' - 윤한나 (대한민국)
:* ''Snail Man'' - 박재범 (대한민국)
:* ''Starex'' - 노도현 (대한민국)
:* ''The Dog Days'' - 이해은 (대한민국)
:* ''While you play'' - 김경래 (대한민국)
- '''아시아 단편 경쟁'''
바수레로(BASURERO) | 에일린 카빌링/Eileen CAVELLLING영어 (필리핀/미국) |
버드랜드(Birdland) | 코가하라 타케시/古家原 岳史일본어 (일본) |
드래곤스 테일(Dragon's Tail) | 사에드 케샤바르즈/سعید کشاورزfa (이란) |
이 땅에서 우리는 잠시 유령이다 (In This Land We′re Briefly Ghosts) | 첸웬 로/羅晨文중국어 (대만/미얀마) |
칼람(KALAM) | 프라빈 쿠마르 라와트/प्रवीण कुमार रावतne (네팔) |
마울렌(Maulen) | 다리나 마나포바/Дарина Манаповаkk (카자흐스탄) |
이 마을에는 미친 사람은 없다(No One is Crazy in This Town) | 브레가스 바누테자/Bregas Bhanutejaid (인도네시아) |
리프라이즈(Reprise) | 스탠리 쉬/徐丹琪중국어 (대만/싱가포르) |
르나 씨의 영화 촬영!(Shooting Ms Rena's Film!) | 엘빈 아디고젤/Elvin ADIGÖZƏLaz (아제르바이잔/프랑스) |
달콤하고 짭짤한(Sweet, Salty) | 즈엉 디에우 린/Dương Diệu Linhvi (베트남) |
- '''다큐멘터리 경쟁'''
:* ''가위·바위·보'' - 히로세 나나코(일본)
:* ''컴 앤 씨'' - 놋타폰 분프라콥(태국)
:* ''깃발, 푸른 하늘, 파티'' - 장윤미(대한민국)
:* ''부리람으로 보내는 편지'' - 오민욱(대한민국)
:* ''누들 키드'' - 훠닝(중국)
:* ''비밀의 맛'' - 기욤 수온(캄보디아/프랑스)
:* ''언더그라운드'' - 김정근(대한민국)
:* ''언씬'' - 베흐자드 날반디(이란)
:* ''웰컴 투 엑스 월드'' - 한태희(대한민국)
:* ''옐로우 리본'' - 주현숙(대한민국)
- '''와이드 앵글'''
:* ''에로티카''(Erotica) - 린 가빈(대만)
:* ''똑똑똑''(Knock Knock Knock) - 수단슈 사리아(인도)
:* ''고기 한 점''(Piece of Meat) - 황쥔샹, 제롤드 쳉(싱가포르)
:* ''로카이아''(Roqaia) - 디아나 사케브 자말(아프가니스탄/방글라데시)
:* ''깨어있어, 준비해''(Stay Awake, Be Ready) - 팜 티엔 안(베트남/한국/미국)
:* ''더 케이브(The Cave)'' - 페라스 파야드(시리아/덴마크)
:* ''꿈의 산맥(The Cordillera of Dreams)'' - 파트리시오 구스만(칠레/프랑스)
:* ''함바'' - 방성준 (한국)
:* ''아이 엠 어 파일럿(I AM A PILOT)'' - 김대현 (한국)
:* ''아이 바이 유 바이 에브리바디(I BY YOU BY EVERYBODY)'' - 김남숙, 최승윤 (한국)
:* ''엠 포 말레이시아(M for Malaysia)'' - 이네자 루실(Ineza ROUSSILLE), 디안 리(Dian LEE) (말레이시아)
:* ''더 멘스 룸(The Men's Room)'' - 페터 솜머(Petter SOMMER), 요 베문드 스벤센(Jo Vemund SVENDSEN) (노르웨이)
:* ''물라의 딸(Mullah's Daughter)'' - 하산 솔흐주(Hassan SOLHJOU), 마디에 사다트 미르하비비(Mahdieh Sadat MIRHABIBI) (이란/영국)
:* ''무순, 저 너머의 우주'' - 남승석 (한국)
:* ''좁은 적색선(Narrow Red Line)'' - 파르자드 호쉬다스트(Farzad KHOSHDAST) (이란)
:* ''하나의 국가''(One Child Nation) - 왕난푸(Nanfu Wang), 장자링(ZHANG Jialing) (중국/미국)
:* ''오버시즈(Overseas)'' - 윤선아 (벨기에/프랑스)
:* ''페블(Pebble)'' - 첸틴 차오(Quentin QIAO) (중국)
:* ''대통령의 7시간''(President's 7 Hours) - 이상호 (한국)
:* ''케 세아 레이 (레트 잇 비 로우)(Que Sea Ley (Let It Be Law))'' - 후안 디에고 솔라나스(Juan Diego Solanas) (프랑스/아르헨티나/우루과이)
:* ''사카쳄(Sacavém)'' - 훌리오 알베스(Júlio ALVES) (포르투갈)
:* ''우리들을 갈라놓는 것들''(Things That Do Us Part) - 임흥순 (한국)
:* ''이것은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2'' - 박홍렬, 황다은 (한국)
:* ''타이니 소울스(Tiny Souls)'' - 디나 나세르(Dina NASER) (요르단/프랑스/카타르/레바논)
:* ''트란스니스트라(Transnistra)'' - 안나 에본(Anna EBORN) (스웨덴/덴마크/벨기에)
:* ''취약한 역사들 (로드 무비)(Vulnerable Histories (A Road Movie))'' - 다나카 코키(TANAKA Koki) (일본)
:* ''왓 캔 유 두 어바웃 잇(What Can You Do about It)'' - 츠보타 요시후미(TSUBOTA Yoshifumi) (일본)
2. 11. 1. 한국 단편 경쟁
wikitext- ''AKA 5JO'' - 이경원 (대한민국)
- ''Fruits'' - 양재준 (대한민국)
- ''Hello'' - 진성문 (대한민국)
- ''How are you, Joo-hee'' - 최민구 (대한민국)
- ''Jesa'' - 송경원 (미국/대한민국)
- ''Joan'' - 김지산, 유정수 (대한민국)
- ''My Little Television'' - 리홍메이 (대한민국)
- ''Nose'' - 윤한나 (대한민국)
- ''Snail Man'' - 박재범 (대한민국)
- ''Starex'' - 노도현 (대한민국)
- ''The Dog Days'' - 이해은 (대한민국)
- ''While you play'' - 김경래 (대한민국)
2. 11. 2. 아시아 단편 경쟁
wikitable바수레로(BASURERO) | 에일린 카빌링/Eileen CAVELLLING영어 (필리핀/미국) |
버드랜드(Birdland) | 코가하라 타케시/古家原 岳史일본어 (일본) |
드래곤스 테일(Dragon's Tail) | 사에드 케샤바르즈/سعید کشاورزfa (이란) |
이 땅에서 우리는 잠시 유령이다 (In This Land We′re Briefly Ghosts) | 첸웬 로/羅晨文중국어 (대만/미얀마) |
칼람(KALAM) | 프라빈 쿠마르 라와트/प्रवीण कुमार रावतne (네팔) |
마울렌(Maulen) | 다리나 마나포바/Дарина Манаповаkk (카자흐스탄) |
이 마을에는 미친 사람은 없다(No One is Crazy in This Town) | 브레가스 바누테자/Bregas Bhanutejaid (인도네시아) |
리프라이즈(Reprise) | 스탠리 쉬/徐丹琪중국어 (대만/싱가포르) |
르나 씨의 영화 촬영!(Shooting Ms Rena's Film!) | 엘빈 아디고젤/Elvin ADIGÖZƏLaz (아제르바이잔/프랑스) |
달콤하고 짭짤한(Sweet, Salty) | 즈엉 디에우 린/Dương Diệu Linhvi (베트남) |
2. 11. 3. 다큐멘터리 경쟁
wikitext- ''가위·바위·보'' - 히로세 나나코(일본)
- ''컴 앤 씨'' - 놋타폰 분프라콥(태국)
- ''깃발, 푸른 하늘, 파티'' - 장윤미(대한민국)
- ''부리람으로 보내는 편지'' - 오민욱(대한민국)
- ''누들 키드'' - 훠닝(중국)
- ''비밀의 맛'' - 기욤 수온(캄보디아/프랑스)
- ''언더그라운드'' - 김정근(대한민국)
- ''언씬'' - 베흐자드 날반디(이란)
- ''웰컴 투 엑스 월드'' - 한태희(대한민국)
- ''옐로우 리본'' - 주현숙(대한민국)
2. 12. 오픈 시네마
《99개의 노래》, 《초미의 관심사》, 《레 미제라블》, 《기생충》, 《더킹:헨리 5세》 등이 오픈 시네마 섹션에서 상영되었다.2. 13. 특별기획 프로그램
wikitext{| class="wikitable"
|-
! 한국영화 100년사, 위대한 정전 10선
|-
|
- 휴일 - 이만희 (한국)
- 바람 불어 좋은 날 - 이장호 (한국)
- 오발탄 - 유현목 (한국)
-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 홍상수 (한국)
- 하녀 - 김기영 (한국)
- 바보들의 행진 - 하길종 (한국)
- 살인의 추억 - 봉준호 (한국)
- 올드보이 - 박찬욱 (한국)
- 서편제 - 임권택 (한국)
- 왜 그는 동으로 갔는가? - 배용균 (한국)
|-
! 응시하기와 기억하기 - 아시아 여성감독 3인전
|-
|
지구(Earth) | 디파 메타/Deepa Mehta영어 (캐나다/Canada영어/인도/India영어) |
파이어(Fire) | 디파 메타/Deepa Mehta영어 (캐나다/Canada영어/인도/India영어) |
베트남을 잊다(Forgetting Vietnam) | 찐 T. 민-하/Trinh T. Minh-ha영어 (미국/United States영어/한국/대한민국한국어/독일/Deutschlandde) |
묵신(Mukhsin) | 야스민 아흐마드/Yasmin Ahmad영어 (말레이시아/Malaysia영어) |
재조립(Reassemblage) | 찐 T. 민-하/Trinh T. Minh-ha영어 (세네갈/Senegal영어/미국/United States영어) |
성(姓) 베트 남(越) 이름 남(南)(Surname Viet Given Name Nam) | 찐 T. 민-하/Trinh T. Minh-ha영어 (미국/United States영어) |
탤런타임(Talentime) | 야스민 아흐마드/Yasmin Ahmad영어 (말레이시아/Malaysia영어) |
워터(Water) | 디파 메타/Deepa Mehta영어 (캐나다/Canada영어) |
|}
2. 13. 1. 한국영화 100년사, 위대한 정전 10선
wikitext한국영화 100년사를 기념하여 선정된 10편의 한국 영화가 특별 상영되었다. 선정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휴일'' - 이만희 (한국)
- ''바람 불어 좋은 날'' - 이장호 (한국)
- ''오발탄'' - 유현목 (한국)
-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 홍상수 (한국)
- ''하녀'' - 김기영 (한국)
- ''바보들의 행진'' - 하길종 (한국)
- ''살인의 추억'' - 봉준호 (한국)
- ''올드보이'' - 박찬욱 (한국)
- ''서편제'' - 임권택 (한국)
- ''왜 그는 동으로 갔는가?'' - 배용균 (한국)
2. 13. 2. 응시하기와 기억하기 - 아시아 여성감독 3인전
wikitext지구(Earth) | 디파 메타/Deepa Mehta영어 (캐나다/Canada영어/인도/India영어) |
파이어(Fire) | 디파 메타/Deepa Mehta영어 (캐나다/Canada영어/인도/India영어) |
베트남을 잊다(Forgetting Vietnam) | 찐 T. 민-하/Trinh T. Minh-ha영어 (미국/United States영어/한국/대한민국한국어/독일/Deutschlandde) |
묵신(Mukhsin) | 야스민 아흐마드/Yasmin Ahmad영어 (말레이시아/Malaysia영어) |
재조립(Reassemblage) | 찐 T. 민-하/Trinh T. Minh-ha영어 (세네갈/Senegal영어/미국/United States영어) |
성(姓) 베트 남(越) 이름 남(南)(Surname Viet Given Name Nam) | 찐 T. 민-하/Trinh T. Minh-ha영어 (미국/United States영어) |
탤런타임(Talentime) | 야스민 아흐마드/Yasmin Ahmad영어 (말레이시아/Malaysia영어) |
워터(Water) | 디파 메타/Deepa Mehta영어 (캐나다/Canada영어) |
2. 14. 미드나잇 패션
《블러드 퀀텀》 (제프 바나비, 캐나다), 《반교: 디텐션》 (쉬한중, 대만), 《퍼스트 러브》 (미이케 다카시, 일본), 《걸 온 더 서드 플로어》 (트래비스 스티븐스, 미국), 《그리너 그래스》 (조슬린 드보어, 던 루베, 미국), 《비바리움》 (로르칸 피네건, 아일랜드/미국) 등이 상영되었다.2. 15. 부산 클래식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의 '부산 클래식' 섹션에서는 탕 싱 홧(인도네시아)의 《알라딘》, 에릭 쿠(싱가포르)의 《미 포크 맨》, 마이크 니컬스(미국)의 《졸업》, 바실리 슈크신(러시아)의 《붉은 찔레나무》, 페테르 바초(헝가리)의 《증인》 등의 작품이 상영되었다.3. 부대 행사
3. 1. 아시아콘텐츠어워즈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기간인 6일 오후,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에서는 TV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시상식인 아시아콘텐츠어워즈(Asia Contents Awards)가 부대행사로 열렸다. 오동진 위원장의 사회로 레드카펫 행사가 열렸고 이어, 배우 유태오와 2019 미스코리아 진 출신의 김세연로 시상식이 진행되었다.[10]부문 | 수상자 |
---|---|
신인상 | 케미사라 팔라데시 배우, 사난타찻 타나팟피잘 배우 (태국 호르몬 시리즈) |
인기상 | 팡 롱 (싱가포르 <팩컬티>) |
작가상 | 루시유안 (대만 <아문여악적거리>) |
남자배우상 | 레이지아인 ( 중국 <장안십이시진>) |
여자배우상 | 야오첸 (중국 <도정호>) |
공로상 | 이혜민 감독 (중국 <비호지장행극전>) |
베스트 아시아 드라마 | <호르몬 시리즈>(태국) |
베스트 크리에이티브 | 김영규 총괄PD (한국 스튜디오드래곤 <미스터 선샤인>) |
특별상 | 김재중 (한국) |
3. 2. 아시아프로젝트마켓 (Asian Project Market)
부산국제영화제 기간에 부산영상위원회와 함께 아시아프로젝트마켓(APM)을 개최했다. 아시아프로젝트마켓은 기획 개발 및 제작 중인 전 세계 극영화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는 아시아 최대의 투자 및 공동제작 마케팅 행사이다.[11] 올해 APM에서는 총 60개국 384편의 프로젝트가 접수되었고 치열한 경쟁을 거쳐 15개국 29편이 선정되어, 영화제 기간에 열린 APM 행사에서 투자 및 마케팅이 진행되었다.[11]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 부산상: 《고독의 지도》 (고도쿠노 지즈/孤独の地図일본어) 나카이 노에미, 와타나베 사치 (일본)
- 마스어워드: 《택배원은 문을 두 번 두드린다》 후지아, 다니엘 위 (중국)
- CJ엔터테인먼트어워드: 《포르노 스타》 앙트와넷 자다온, 비앙카 발부에나, 댄 빌레가스 (필리핀)
- 롯데어워드: 《딸에 대하여》 부지영, 제정주 (대한민국)
- 한국콘텐츠진흥원상: 《동충, 하초》 강상우, 한선희 (대한민국)
- 아르떼상: 《모어》 자낫 알샤노바, 줄리아 킴 (카자흐스탄)
- 노르웨이사우스필름펀드상: 《청춘의 결》 애쉬 메이페어, 쩐 티 빅 응옥 (베트남)
- 모네프상: 《아이》 강동헌, 정연 (대한민국)
3. 3. 플랫폼부산
올해 세 번째 열린 '플랫폼부산'은 영화제 기간인 10월 5일에서 8일까지 4일간 진행되었다. 플랫폼부산은 25개국 아시아 영화인들의 활발한 소통의 장으로서 더욱 폭넓고 실용적인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과 박찬욱 감독을 초청해서 열린 필름메이커 토크를 통해 영화계 거장들과 직접적인 만남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독립영화인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강화하기 위해 영화 투자, 배급, 펀드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제작자들의 노하우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였다.3. 4. 포럼 비프
올해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지석영화연구소의 출범과 함께 포럼 비프를 새롭게 개최했다. 10월 5일부터 11일까지 영상산업센터, 동서대학교 센텀캠퍼스, CGV 센텀시티에서 열린 포럼 비프는 한국영화, 아시아영화, 영화기술∙산업∙정책 포럼의 세 부문으로 구성되었다. 이창동 감독, 트린 민하 감독, 제인 게인스 교수의 기조 발제를 포함하여 국내외 여러 학자와 영화인들이 참가한 이번 포럼은 총 1,276명의 청중과 함께 열정적인 토론의 장을 이루어냈다. 이번 포럼 비프는 영화의 바다와 함께 인문학의 바다도 열고자 하는 부산국제영화제의 오랜 지향을 이루어내기 위한 발판을 만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4. 수상
뉴 커런츠상에는 모하나드 하얄(Mohanad HAYAL)의 ''하이파 스트리트''(Haifa Street) (이라크/카타르)[4][5][6]와 쩐 타잉 후이(TRAN THANH Huy)의 ''롬(Rom)'' (베트남)이 선정되었다. 심사위원 특별 언급으로는 키슬레이 키슬레이(Kislay KISLAY)의 ''저스트 라이크 댓''(Just Like That) (인도)이 있었다.
BIFF 메세나상은 후오 닝(HUO Ning)의 ''누들 키드''(Noodle Kid) (중국)와 김정근의 ''언더그라운드''(Underground) (대한민국)에 돌아갔다. 손제상은 사에드 케샤바르즈(Saeed KESHAVARZ)의 ''드래곤 테일''(Dragon's Tail) (이란)과 진성문의 ''헬로우''(Hello) (대한민국)가 수상했다.
올해의 배우상은 ''교육''(The Education) (대한민국)의 김준형과 문혜인이 수상했다.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은 미를란 압디칼리코프(Mirlan ABDYKALYKOV)의 ''러닝 투 더 스카이''(Running to the Sky) (키르기스스탄)에게 돌아갔다.
넷팩상은 윤단비 감독의 ''남매의 여름밤(Moving On)'' (대한민국)이 수상했다. 김지석상은 사르마드 코사트의 ''서커스 오브 라이프(Zindagi Tamasha)'' (파키스탄)와 프라딥 쿠르바(Pradip KURBAH)의 ''마켓''(Market) (인도)이 수상했다.
KNN 관객상은 임선애 감독의 ''어떤 할머니''(An Old Lady) (대한민국)에게 돌아갔다. 부산은행상은 멜라니 샤르보노(Mélanie CHARBONNEAU)의 ''패뷸러스(Fabulous)'' (캐나다)가 수상했다.
시민 평론가상은 윤단비 감독의 ''남매의 여름밤(Moving On)'' (대한민국)이 수상했다. 부산 씨네필상은 후안 디에고 솔라나스의 ''께 세이 레(Que Sea Ley)'' (프랑스/아르헨티나/우루과이)에게 돌아갔다.
DGK상은 윤단비 감독의 ''남매의 여름밤(Moving On)'' (대한민국)과 김초희 감독의 ''찬실이는 복도 많지''(Lucky Chan-sil) (대한민국)이 수상했다. CGV 아트하우스상과 KBS 독립영화상 역시 김초희 감독의 ''찬실이는 복도 많지''(Lucky Chan-sil) (대한민국)에게 돌아갔다.
KTH상은 봉준영 감독의 ''럭키 몬스터''(Lucky Monster) (대한민국)와 윤단비 감독의 ''남매의 여름밤(Moving On)'' (대한민국)이 수상했다. CGK&SamyangXEEN상은 ''경미의 세계''(Kyungmi's World) (대한민국) 촬영 김길자가 받았다.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은 고레에다 히로카즈 (일본)[7]에게 돌아갔으며, 한국 영화 공헌상은 배용재 (대한민국)[8]와 유동석 (대한민국)이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24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www.biff.kr/e[...]
2019-09-06
[2]
웹사이트
Busan to open with ''The Horse Thieves. Roads Of Time'', close with ''Moonlit Winter''
https://www.screenda[...]
2019-09-05
[3]
웹사이트
Korean cinema: 100 years in the making
http://www.koreahera[...]
2019-09-18
[4]
웹사이트
24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wards Announced
http://www.biff.kr/e[...]
2019-10-15
[5]
웹사이트
Busan awards top prizes to ''Rom'', ''Haifa Street'', ''Moving On''
https://www.screenda[...]
2019-10-15
[6]
웹사이트
Busan: Main Awards Handed to Iraqi-Qatari and Vietnamese Dramas
https://www.hollywoo[...]
2019-10-15
[7]
웹사이트
Hirokazu Kore-eda recognized as Asian filmmaker of the year at 24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s://www.japantim[...]
2019-09-05
[8]
웹사이트
24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wards - Korean Cinema Award
http://www.biff.kr/e[...]
2019-10-17
[9]
웹인용
부산국제영화제
http://www.biff.kr/k[...]
null
null
[10]
뉴스
"[BIFF] 부산영화제, TV를 품다 아시아콘텐츠어워즈 수상자 발표"
https://entertain.na[...]
null
2019-10-10
[11]
웹인용
부산국제영화제 APM
http://apm.biff.kr/k[...]
null
null
[12]
뉴스
"[BIFF] 넷플릭스 ‘더 킹: 헨리 5세’ 부산영화제 장악"
https://entertain.na[...]
null
2019-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